KR101422119B1 -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 Google Patents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119B1
KR101422119B1 KR1020130123195A KR20130123195A KR101422119B1 KR 101422119 B1 KR101422119 B1 KR 101422119B1 KR 1020130123195 A KR1020130123195 A KR 1020130123195A KR 20130123195 A KR20130123195 A KR 20130123195A KR 101422119 B1 KR101422119 B1 KR 101422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et
side wire
wire
net
n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주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최진우
이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우, 이윤주 filed Critical 최진우
Priority to KR102013012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28Shapes rect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부와 후면부가 아치형으로 폐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옹벽의 전방측에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보강재 정착부의 인발 파괴를 억제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은, 측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철선이 교차하는 사각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측면 철망과; 양단부가 상기 측면 철망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연결되면서 측면 철망 사이를 폐쇄하며, 다수의 철선이 교차하는 망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전면 철망 및 후면 철망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철망과 전면 철망과 후면 철망은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 철망과 전면 철망과 후면 철망이 이루는 공간 내측에 채움재가 채워져 수직 보강재의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Breat Wall with Vertical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폐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보강재가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보강재 정착부의 인발 파괴를 억제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경사진 지반을 평평하게 만들 때, 성토 부위에 축조되는 영구적인 흙막이 구조물을 일컫는 것으로, 산지와 구릉이 많은 국내 지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옹벽은 토압 및 수압에 대한 저항 능력이 커야한다. 하지만, 옹벽 내에 성토되는 흙은 고체이지만 입자 상호간의 결합력이 약해 외력과 자중에 의해 쉽게 흩어져 파괴된다. 이러한 문제에 의하여 옹벽 높이가 증가할수록 구조적인 취약점 및 시공비 상승 등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강토 옹벽 공법이 개발되었다.
보강토 옹벽 공법은 흙을 주체로 한 성토층에 인장력이 강한 스트립 형태 또는 판 형태의 보강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매설하는 공법인 것으로, 이러한 공법은 보강재를 포함한 토체가 자립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때문에, 옹벽 높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연약한 지반에서도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축조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 블럭(B)은 구조적 안전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하학적 단면형상을 가지며, 부속자재인 그리드형 보강재(R)와 핀(P)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블럭(B) 및 보강재(R)를 상호 결속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재(R)는 흙 위에 수평하게 포설된 후 다짐하여 설치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강토 옹벽은 옹벽 전면(前面)에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해야 하는데, 옹벽의 공사비 중 콘크리트 블록이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으로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옹벽의 공사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강토 옹벽 전면에 대한 파괴 저항은 수평 보강재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보강재 정착부의 길이가 짧을 경우 정착부 파괴가 일어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강재 길이를 증가시키게 되며, 이는 보강재 자재비 및 시공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 배치되는 보강재(R)의 경우 토압이 작아 보강재(R)에 발생하는 수평 인장력이 작지만, 보강재(R) 마찰력을 발휘시키기 위한 상재 토사 자중이 작기 때문에 보강재 정착력이 작고, 이로 인해 상부에 위치한 보강재(R)의 길이를 줄일 수 없어 대부분 하부 보강재(R) 총길이와 상부 보강재(R) 총 길이를 균등하게 만들어야 하므로 보강재(R) 량이 증가되어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75122호(등록일자 2012년08월13일) "옹벽용 보강재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의 설치방법"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98669호(등록일자 2007년03월15일) "지반을 차폐, 지지 및 보강하는 구조물, 및 옹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3142호(등록일자 2011년12월29일) "옹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재가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하지 않고도 충분한 지지 강도를 발현할 수 있으며, 전,후면이 폐합된 구조에 의해 정착부 인발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 보강재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로써 공사비를 감소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은, 측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철선이 교차하는 사각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측면 철망과; 양단부가 상기 측면 철망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연결되면서 측면 철망 사이를 폐쇄하며, 다수의 철선이 교차하는 망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전면 철망 및 후면 철망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철망과 전면 철망과 후면 철망은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 철망과 전면 철망과 후면 철망이 이루는 공간 내측에 채움재가 채워져 수직 보강재의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직 보강재는 전방면과 후방면이 폐합된 구조이므로 정착력 부족에 따른 파손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옹벽 상부에서의 수직 보강재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보강재 절감으로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철망과 토사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철망 및 후면철망을 직접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과 보강재 사이의 연결 파단과 같은 파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보강재 자체로 충분히 안정적인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직 보강재의 전방에 콘크리트 블록을 시공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옹벽 구조물 공사비를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이 매우 단순화되고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옹벽의 각 층에 배치되는 수직 보강재가 단일 셀(cell)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채움 토사를 채워도 자립할 수 있으므로 뒷채움 토사 없이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순서에 있어서, 일반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단계별로 보강토 옹벽 및 뒷채움 토사를 동시에 시공하여나 하나, 본 발명의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은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을 먼저 완공한 후 뒷채움 토사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순서에 제약이 없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평 보강재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보강토 옹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재의 평면도로서, 도 4a는 각각의 철망을 분해하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b는 각각의 철망을 서로 결합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전면과 후면이 평판형으로 된 수직 보강재에 내부 토압이 작용하는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전면과 후면이 아치형으로 만곡된 수직 보강재에 내부 토압이 작용하는 양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는 도 4a 및 도 4b의 A 부분에 대한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수직 보강재의 전면 철망과 측면 철망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4a 및 도 4b의 A 부분에 대한 평면도로서, 수직 보강재의 전면 철망과 측면 철망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4a 및 도 4b의 B 부분에 대한 평면도로서, 수직 보강재의 전면 철망과 측면 철망 간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b는 도 4a 및 도 4b의 B 부분에 대한 평면도로서, 수직 보강재의 전면 철망과 측면 철망 간의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직 보강재 단일 셀들을 축조하여 만들어진 보강토 옹벽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재(10)는 사각 판 형태를 갖는 복수개의 측면 철망(11)과, 곡면 형태를 갖는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전방부와 후방부가 아치형이고, 상하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은 다수의 철선이 가로와 세로로 교차하는 망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은 개별체로 제작된 다음 도 6a 및 도 6b, 또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연결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혹은 공지의 연결 방식(예를 들어 철사 이음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 철망(11)은 지면(地面)에 대해 수평한 복수개의 철선(수평 가닥; 11a)과 지면에 대해 수직한 복수개의 철선(수직 가닥; 11b)이 교차하면서 접합된 사각형의 망체로 이루어지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 보강재(10)의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 역시 측면 철망(11)과 마찬가지로 지면(地面)에 대해 수평한 복수개의 철선(수평 가닥; 12a, 13a)과 지면에 대해 수직한 복수개의 철선(수직 가닥; 12b, 13b)이 교차하면서 접합된 망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은 수직 보강재의 전방부와 후방부로 볼록하게 만곡된 곡면형(arch shape)을 이루고, 양단부가 상기 측면 철망(11)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에 고정되게 연결되면서 수직 보강재(10)의 전방면과 후방면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직 보강재(10)는 상기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측에 채움재인 골재나 토사를 채워넣고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축조함으로써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직 보강재(10)의 전면 철망(12)과 후면 철망(13)은 사각 평판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면 철망(12)과 후면 철망(13)이 아치형으로 만곡된 곡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전면 철망(12)과 후면 철망(13)이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각 평판 형태를 갖게 되면, 상재 하중에 의한 내부 토압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전면 철망(12)이 정면으로 볼록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형상 변형에 의해 수직 보강재(10) 내부 채움재인 골재나 토사의 변형 및 수직 보강재(10) 자체의 파손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토사가 뒷채움 되는 후면 철망(13) 역시 편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될 경우, 편평한 부분의 변형으로 정착력이 감소되며, 그에 따라 수직 보강재(10)가 옹벽 전면으로 변형되면서 전체 옹벽 변형을 유발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하지만,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면 철망(12)과 후면 철망(13)이 아치형으로 만곡된 곡면 형태를 갖게 되면, 수직 보강재(10) 내부에 토압이 발생하더라도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의 원주방향으로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내부 토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수직 보강재(10)는 측면 철망(11)을 3개 이상 나란하게 연속 배치하고,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을 각각 2개 이상을 사용하여 서로 분리된 채움 공간을 갖는 복수개의 수직 보강재 단위체(10a)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수직 보강재(10)의 측면 철망(11)들은 최외곽에 배치되는 측면 철망(11)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 철망(11)들이 중간 벽체를 구성하게 되며, 각각 서로 분리되어 있거나 서로 연결되어 있는 2개 이상의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이 함께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나의 측면 철망(11)에 서로 분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전면 철망(12)을 함께 연결하고자 할 경우,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측면 철망(11)의 수평 가닥(11a) 끝단부와 전면 철망(12)의 수평 가닥(12a) 끝단부 각각에 고리 형태로 말려진 핀삽입부(11c, 12c)가 형성되어, 상기 측면 철망(11)의 핀삽입부(11c)와 전면 철망(12)의 핀삽입부(12c)가 겹쳐진 상태에서 핀삽입부(11c, 12c)를 통해 길다란 강봉 형태의 고정핀(15)이 수직하게 삽입되면서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이 서로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측면 철망(11)의 핀삽입부(11c)에 지면(地面)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 가닥(11b)을 결속하여 측면 철망(11)의 끝단부의 펴짐을 억제함으로써 추가 보강 기능을 하는 묶음철선(17)과, 각각의 전면 철망(12)의 핀삽입부(12c)에 지면(地面)에 대해서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 가닥(12b)을 결속시켜 주는 묶음철선(16)이 추가로 설치됨으로써 끝단부의 펴짐을 억제하여 추가 보강 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는 서로 개별체로 되어 있는 복수개의 전면 철망(12)과 측면 철망(11)을 연결하는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서로 개별체로 되어 있는 복수개의 후면 철망(13)과 측면 철망(11)을 연결하는 구조 역시 이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수직 보강재의 양측 전면 철망(12)(또는 후면 철망(13))이 하나의 측면 철망(11)을 공유하면서 서로 연결된 구조로 만들어지게 되면, 수직 보강재의 지지 강도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어 수직 보강재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수직 보강재가 파손되거나 붕괴되지 않고 더욱 안정적으로 토압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개 이상의 전면 철망(12)(또는 후면 철망(13))이 서로 분리된 개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지만, 도 4a 및 도 4b의 B 부분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아치 형상으로 된 전면 철망(12)들의 수평 가닥(12a)을 연속화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2개 이상의 아치 형상으로 된 후면 철망(13)들의 수평 가닥(13a)을 연속화하여 서로 일체로 형성한 경우에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아치형 전면 철망(12)(또는 후면 철망(13))을 하나의 측면 철망(11)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면 철망(12)의 수평 가닥(12a) 중앙의 연결 지점(12d)과, 측면 철망(11)의 수평 가닥(11a) 끝단부에 형성된 핀삽입부(11c)를 서로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지점(12d)과 핀삽입부(11c)를 통해 길다란 강봉 형태의 고정핀(15)을 수직하게 삽입함으로써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을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도 상기 측면 철망(11)의 핀삽입부(11c)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직 가닥(11b)을 묶음철선(17)으로 결속하여, 측면 철망(11)의 끝단부의 펴짐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철선을 연속 절곡하여 2개 이상의 전면 철망(12) 또는 후면 철망(13)을 일체로 형성하여 측면 철망(11)과 연결할 경우, 연결부의 감소로 재료비를 절감하고,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수직 보강재(10)의 후면 철망(13)을 측면 철망(11)에 결합하는 방식도 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직 보강재(10)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수직 보강재(10)는 내측에 다공성 섬유 재질의 전방 매트(20)가 경사지게 설치되며, 수직 보강재(10)의 후단부에 후면 철망(13) 사이로 흙 입자가 빠져 나가지 않도록 토사 빠짐방지용의 후방 매트(21)가 수직하게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전방 매트(20)와 후방 매트(21)는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재질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매트(20)는 수직 보강재(10) 내측 공간에 자갈과 토사를 분리하여 채워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전방 매트(20)의 전방측 공간에 자갈이 채워지고 전방 매트(20)의 후방측 공간(수직 보강재의 중간부)에 토사가 채워지는 구조로 채움재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보강재(10)의 후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후방 매트(21)는 후방의 후면 철망(13) 사이로 토사가 빠져 나가지 않도록 막는 기능을 함으로써 수직 보강재(10) 내측에서 토사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수직 보강재(10) 내부에 토사를 채워넣게 되면 자갈에 비하여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수직 보강재(10) 내부에 쉽게 채움재를 채워넣을 수 있어 작업 시간과 노력이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와 다르게,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수직 보강재(10)의 전면 철망(12)과 연접하여 다공성 섬유 재질의 전방 매트(23)를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하고, 후면 철망(13)과 연접하여 다공성 섬유 재질의 후방 매트(21)를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한 다음, 수직 보강재(10) 내측 공간 전체에 토사를 채워 넣을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전방 매트(23)와 후방 매트(21)는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재질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수직 보강재(10) 단일 셀을 상하로 적층하여 시공된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것으로, 수직 보강재(10)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갈수록 그 전후방향 길이가 작아진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수직 보강재(10)는 전방면과 후방면이 폐합된 구조이므로 정착력 부족에 따른 파손 가능성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옹벽 상부에서의 수직 보강재(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어 보강재 절감으로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옹벽 상부로 갈수록 상재 하중 감소에 따른 정착력 감소로 인한 보강재 정착부의 인발 파괴를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상측에 배치되는 수직 보강재(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보강재 재료비를 감소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정착력 문제가 없어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 철망(12)과 토사 내부에 배치되는 측면 철망(11) 및 후면 철망(13)을 직접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종래의 보강토 옹벽의 콘크리트 블록(B)(도 1 참조)과 보강재(R) 사이의 연결 파단과 같은 파괴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 보강재(10) 자체로 충분히 안정적인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수직 보강재(10)의 전방에 콘크리트 블록(B)(도 1 및 도 2 참조)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옹벽 구조물 공사비를 더욱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이 매우 단순화되고 용이해지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옹벽의 각 층에 배치되는 수직 보강재(10)가 단일 셀(cell)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부 채움 토사를 채워도 자립할 수 있으므로 뒷채움 토사 없이 보강토 옹벽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순서에 있어서, 일반 보강토 옹벽의 경우에는 단계별로 보강토 옹벽 및 뒷채움 토사를 동시에 시공하여나 하나, 본 발명의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은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을 먼저 완공한 후 뒷채움 토사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 순서에 제약이 없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수직 보강재 10a : 수직 보강재 단위체
11 : 측면 철망 11a : 수평 가닥
11b : 수직 가닥 11c : 핀삽입부
12 : 아치형 철망 12a : 수평 가닥
12b : 수직 가닥 12c : 핀삽입부
12d : 연결지점 13 : 후면 철망
13a : 수평 가닥 13b : 수직 가닥
15 : 고정핀 16, 17 : 묶음철선
20, 23 : 전방 매트 21 :후방 매트

Claims (15)

  1. 측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며, 다수의 철선이 교차하는 사각형의 망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측면 철망(11)과;
    상기 측면 철망(11)의 전단부 및 후단부 각각에 연결되면서 측면 철망(11) 사이를 폐쇄하며, 다수의 수평 가닥(12a, 13a)과 수직 가닥(12b, 13b)이 교차하는 망체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철망과 전면 철망(12)과 후면 철망(13)은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측면 철망과 전면 철망(12)과 후면 철망(13)이 이루는 공간 내측에 채움재가 채워져 수직 보강재의 작용을 하도록 된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에 있어서,
    상기 전면 철망(12)의 수평 가닥(12a), 또는 후면 철망(13)의 수평 가닥(13a)은 복수개의 아치(arch) 형상이 일체로 이어진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철망(11)의 수평 가닥(11a) 양 끝단부에 고리 형태로 말려진 핀삽입부(11c)를 형성하고, 상기 일체로 된 2개 이상의 전면 철망(12) 또는 후면 철망(13)의 수평 가닥(12a, 13a)의 아치 형상의 연결 지점(12d)과 상기 측면 철망(11)의 핀삽입부(11c)를 서로 겹쳐지게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지점(12d)과 핀삽입부(11c)를 통해 길다란 강봉 형태의 고정핀(15)을 수직하게 삽입하여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 또는, 측면 철망(11)과 후면 철망(13)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측면 철망(11)의 핀삽입부(11c)에 지면(地面)에 대해서 수직하게 복수개의 수직 가닥(11b)을 결합하고, 상기 핀삽입부(11c)에 결합된 복수개의 수직 가닥(11b)을 묶음철선(17)에 의해 서로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의 내측면에 연접하여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공성 섬유 재질의 전방 매트(23) 및 후방 매트(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매트(23)와 후방 매트(21) 사이의 공간에 토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철망(11)과 전면 철망(12) 및 후면 철망(1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내측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다공성 섬유 재질의 전방 매트(20)와, 상기 후면 철망(13)의 내측면에 연접하여 지면(地面)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공성 섬유 재질의 후방 매트(21)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방 매트(20)의 전방측 공간에 자갈이 채워지고, 상기 전방 매트(20)와 후방 매트(21) 사이의 공간에는 토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123195A 2013-10-16 2013-10-16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KR101422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95A KR101422119B1 (ko) 2013-10-16 2013-10-16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95A KR101422119B1 (ko) 2013-10-16 2013-10-16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119B1 true KR101422119B1 (ko) 2014-07-22

Family

ID=51742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195A KR101422119B1 (ko) 2013-10-16 2013-10-16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1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67U (ko) * 1999-03-16 2000-10-16 여상용 돌망태프레임
KR20030059670A (ko) * 2002-01-04 2003-07-10 금강와이어메쉬산업 주식회사 제방의 돌망태 축조방법
KR100870034B1 (ko) * 2008-06-11 2008-11-21 태흥산업 주식회사 라운드 개비온
KR101046650B1 (ko) * 2008-10-15 2011-07-05 (주)샌드로블록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267U (ko) * 1999-03-16 2000-10-16 여상용 돌망태프레임
KR20030059670A (ko) * 2002-01-04 2003-07-10 금강와이어메쉬산업 주식회사 제방의 돌망태 축조방법
KR100870034B1 (ko) * 2008-06-11 2008-11-21 태흥산업 주식회사 라운드 개비온
KR101046650B1 (ko) * 2008-10-15 2011-07-05 (주)샌드로블록 초목 식재를 위한 축조형 화분과, 이 화분이 설치된 옹벽과, 옹벽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67578C2 (ru) Сооружение из армированного грунта
KR100834784B1 (ko)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
JP5073823B2 (ja) 補強された土構造内での使用が意図された補強安定化ストリップ
KR20090096055A (ko) 연속 그리드에 의한 보강토옹벽의 옹벽지지구조 및 이를적용한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1000552B1 (ko) 콘크리트가 보강된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570B1 (ko) 보강토 옹벽블럭의 조적구조
WO2007046142A1 (ja) 擁壁盛土構造体
KR20110031861A (ko)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 방법
KR20140069845A (ko) 사선부재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JP2012072650A (ja) 補強を施した土壌構造物
KR101422119B1 (ko) 수직 보강재 보강토 옹벽
KR100933428B1 (ko) 토립자 구속 벌집형 보강재의 시공방법
KR101528725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1348584B1 (ko) 복합 보강토 블록 구조물
JP2011219919A (ja) 擁壁ユニットおよび擁壁の構築方法
CN111511992A (zh) 薄而稳定的分段式墙块以及土壤加固系统和方法
KR102352069B1 (ko) 내진성능이 우수한 옹벽블록 보강지지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1452187B1 (ko)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1452188B1 (ko)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우각부 또는 곡선부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1132697B1 (ko) 침하가 예상되는 불량 지반에 적용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6721185B2 (ja) 布団篭の本体パネル、布団篭、および土木構造物
KR20110037317A (ko) 보강토 옹벽의 보강토블록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US20150132070A1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ystem and method
KR101071595B1 (ko) 보강토 옹벽 보강부재
KR100626717B1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