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877B1 -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 Google Patents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877B1
KR101421877B1 KR1020130002934A KR20130002934A KR101421877B1 KR 101421877 B1 KR101421877 B1 KR 101421877B1 KR 1020130002934 A KR1020130002934 A KR 1020130002934A KR 20130002934 A KR20130002934 A KR 20130002934A KR 101421877 B1 KR101421877 B1 KR 10142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e
indicator
slot
bel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833A (ko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102013000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877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8Belt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제2 벨트와, 일측에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1 슬롯이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하부에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벨트가 내입되는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창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2 슬롯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삽입되는 평판부 및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3 슬롯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 상에 선형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삽입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커버부의 제1 창을 통하여 상기 제1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ADJUSTER DEVICE WITHIN INDICATOR}
본 발명은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의 탑승시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안전벨트를 매게 된다.
유아나 어린이인 경우에는, 탑승시에 안전벨트의 착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유아용 보호시트, 일명 카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그 카시트에 앉혀지게 된다.
또한, 카시트는 상부에 구비된 톱 테더(Top tether)를 이용하여 카시트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이 경우, 카시트에 앉혀진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톱 테더 벨트의 헐거워짐을 방지하여 톱 테더를 안정하게 결합하는 것은 중요한 요소이다.
KR 10-0613775
따라서, 본 발명은 톱 테더가 안정하게 결합 된지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의 시인성이 좋도록 인디케이터를 배치하여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위에서 언급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제2 벨트와, 일측에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1 슬롯이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하부에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벨트가 내입되는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창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2 슬롯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삽입되는 평판부 및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3 슬롯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 상에 선형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삽입되는 인디케이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커버부의 제1 창을 통하여 상기 제1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 여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슬롯은 제1 슬롯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탄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부와의 연결부위로서 양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제3 슬롯이 형성된 제1 평판과, 상기 제1 평판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평판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평판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재 상에 형성된 제2 평판과, 상기 제2 평판이 형성된 일면과 대향 하는 상기 제1 평판의 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 되며 인디케이터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평판의 양가장자리에 상기 제1 평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재와 상기 제2 평판의 중앙부위에 상기 제1 평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재 각각은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삽입홀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 벨트의 길이조절 상태가 정상 시 상기 제1 창에 정상표시 인디케이터 라벨이 위치되도록 초기 특정스프링 상수 K를 갖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저스터의 벨트 길이조절 부위가 아닌 어저스터의 커버부 표면에 형성된 표시창을 통하여 인디케이터 라벨이 표시됨으로써, 어저스터의 벨트 길이조절 부위인 벨트가 감겨지는 부위에 인디케이터 라벨이 표시되는 경우에 발생 되는 인디케이터 라벨의 손상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어저스터의 커버부 표면에 형성된 표시창을 통하여 인디케이터 라벨이 표시됨으로써, 벨트가 감겨지는 부위에 인디케이터 라벨이 표시되는 경우보다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벨트가 감겨지는 부위에 인디케이터 라벨이 표시되는 경우보다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인디케이터 라벨의 손상을 제거할 수 있어서 차량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앵커에 최적의 상태로 탑 테더를 고정하여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위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가 장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어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인디케이터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인디케이터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인디케이터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도 2의 평판부, 인디케이터부, 바 및 버튼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어저스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2의 어저스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어저스터에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승용차를 비롯한 각종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형태의 벨트가 구비된다.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벨트, 즉 안전벨트, 카시트의 톱 테더에 연결된 벨트 등은 어저스터를 매개로 그 길이가 조절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에 따라, 카시트의 톱 테더에 연결된 벨트 길이조절용 어저스터에 대해 기술한다.
도 1a는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가 장착된 유아용 카시트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어저스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는 일단에 카시트(1)의 톱 테더(20)가 부착된 상부 벨트(30)가 관통되어 감겨지고, 상기 일단에 대향 하는 타단에 카시트(1)에 고정된, 즉 카시트의 후측에 지지부위를 갖는 하부 벨트(40)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는 평판부(100), 인디케이터부(200), 버튼부(300), 바(400) 및 커버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평판부(100)는, 커버부(500)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 벨트(30)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부 벨트(30)가 관통되는 평판 슬롯(102)과, 상기 평판 슬롯(102)이 형성된 일측과 대향 하는 타측에 형성된 하부 벨트(40)용 관통홀(104)과, 상기 인디케이터부(200)와의 연결부위로써, 평판 슬롯(102)과 관통홀(104) 사이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106) 및 상기 삽입홀(106) 사이의 평판부(343)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제1 리벳홀(108)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홀(106)은 기설정된 인디케이터부(200)의 선형이동거리에 따라 그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버튼부(300)는, 전체적으로 "ㄷ"자의 막대 형상을 이루며 후술할 커버부(500)의 타측으로 조작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버튼 스프링(306)과 결합 되어 하부 벨트(40)에 대한 가압력을 해제하거나 가압하여 하부 벨트(40)의 고정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300)는 바(400)가 삽입되는 부위로서 평판부(100) 상에 접하는 일면의 소정부위에 형성되는 삽입홈(302) 및 "ㄷ"자의 막대 형상의 각 단부 상에 돌출 형성되어 버튼 스프링(306)과 결합 되는 스프링 결합부재(304)를 포함한다.
상기 바(400)는, 하부 벨트(40)가 감겨지는 부위로써, 버튼부(300)의 삽입홈(302)에 삽입되어 평판부(10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300)의 삽입홈(302)에 바(400)가 삽입된 경우에는 바(400)가 버튼부(300)와 연동 된다.
상기 커버부(500)는, 전체적으로 일측이 곡선기울기를 가지고 타측이 수직한 형상을 가지며 평판부(100), 인디케이터부(200), 버튼부(300) 및 바(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지진 것으로서, 일단에 상부 벨트(30)가 관통하는 부위인 커버 슬롯(502)이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개방된 타단과 이격되어 표면에 형성된 제1 창(506) 및 상기 제1 창(506)과 커버 슬롯(502) 사이의 표면에 형성된 표시창(508)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500)는, 상기 개방된 타단으로부터 하부 벨트(40)가 내입되는 천공 통로로써, 제1 창(506)과 표시창(508)이 형성된 일면과 대향 하는 타면에 돌출 형성된 내입부재(510) 및 상기 개방된 타단과 접하는 일측과 대향 하는 내입부재(510)의 타측으로부터 커버부(500)의 타면이 소정 면적으로 천공되어 형성된 천공부재(52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500)는 평판부(100)의 제1 리벳홀(108)과 대응되는 타면 중앙부위에 형성된 제2 리벳홀(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디케이터부(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인디케이터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인디케이터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인디케이터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인디케이터부(200)는 톱 테더(20)가 안정하게 결합 된지 여부를 표시한다. 그리고 인디케이터부(200)는 커버부(500)에 삽입되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200)는, 벨트 길이 조절 대상이 아닌 상부 벨트(30)에 연결되어 톱 테더(20)가 안정하게 결합 된지 여부를 표시하기 때문에, 하부 벨트(4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어저스터의 동작과는 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자세하게, 상기 인디케이터부(2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부(100)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버부(500)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 벨트(30)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부 벨트(30)가 관통하는 부위인 인디케이터 슬롯(203)이 형성된 제1 평판(202)과 상기 제1 평판(202)에 일체로 형성된 제2 평판(204)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리어 스포일러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2 평판(204)은 제1 평판(202)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제1 평판(202)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후술할 제1, 제2 결합부재(206,208)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200)는 제2 평판(204)이 형성된 제1 평판(202)의 일면과 대향 하는 타면 상에 형성되어 평판부(100)의 삽입홀(106)에 삽입되는 돌출부재(210)와 상기 인디케이터부(2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인디케이터 스프링(21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 슬롯(203)이 형성된 제1 평판(202)의 일측은 평판 슬롯(102)이 형성된 평판부(100)의 일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터 슬롯(203)은 평판 슬롯(102)보다 폭이 작아 인디케이터부(200)는 톱 테더(20)가 안정하게 결합 된지 여부를 더욱 민감하게 체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디케이터 슬롯(203)의 폭은 3 ~ 4㎜이며, 평판 슬롯(102)의 폭은 7 ~ 8㎜이다.
상기 제2 평판(204)은 양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재(206)와 중앙부위에 형성된 제2 결합부재(208)를 매개로 하여 제1 평판(202)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평판(204)은 커버부(500)의 형상에 따라 아치형 평판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재(206)는, 인디케이터 스프링(212)이 결합 되는 부위로써, 돌출부재(210)의 연장선상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결합부재(208)는 커버부(500)의 제1 리벳홀과 평판부(100)의 제2 리벳홀(108)에 체결되는 리벳(600)이 돌출될 공간을 가지며 제1 결합부재(206) 사이의 제1 평판(202) 중앙부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210)는 인디케이터부(200)가 선형이동되도록, 평판부(100)의 삽입홀(106)보다 폭이 작다.
상기 인디케이터 스프링(212)은 하부 벨트(40)의 길이조절 상태가 정상 시, 즉 차량의 엥커에 톱 테더(20)가 안정하게 결합 되면 후술할 커버부(500)의 표시창(508)에 정상표시 인디케이터 라벨(220), 예컨대, 녹색의 인디케이터 라벨(220)이 위치되도록 초기 특정스프링 상수 K를 갖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인디케이터 스프링(212)에 의해 상부 벨트(30)의 장력은 발생한다.
이하에서는, 실시 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10)의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는 상부 벨트(30)에 가해지는 장력 여부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부(200)가 커버부(500)의 표면에 형성된 표시창(508)을 통하여 표시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가 조립되는 경우〉
도 6은 도 2의 평판부, 인디케이터부, 바 및 버튼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2의 어저스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어저스터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디케이터 스프링(212)과 결합된 인디케이터부(200)의 돌출부재(210)가 평판부(100)의 삽입홀(106)에 삽입되어 평판부(100) 상에 인디케이터부(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평판부(100)의 타측 상에 버튼부(300)와 바(4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튼부(300)는 스프링 결합부재(304)에 버튼 스프링(306)이 결합 된 후, 평판부(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바(400)는 버튼부(300)의 삽입홈(302)에 삽입되어 평판부(100) 상에 배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평판부(100), 인디케이터부(200), 버튼부(300) 및 바(400)가 개방된 타단으로부터 커버부(500)에 삽입되고, 커버부(500)의 제2 리벳홀과 평판부(100)의 제1 리뱃홀(108)을 통하여 리벳(600)이 체결되어 평판부(100)와 커버부(500)는 결합 된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의 조립이 완성된다.
〈실시 예에 따른 어저스터(10)가 상부 벨트(30)와 하부 벨트(40)가 연결되는 경우〉
도 9는 도 2의 어저스터에 상부 벨트와 하부 벨트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상부 벨트(30)는 일단에 카시트(1)의 톱 테더(20)가 부착되고, 타단이, 예컨대, 평판 슬롯(102), 인디케이터 슬롯(203) 및 커버 슬롯(502)에 관통되어 감겨진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벨트(40)는 일단에 카시트(1)에 고정되고, 즉 카시트(1)의 후측에 지지부위를 가지며 고정되고, 타단이 내입부(510)와 천공부(520)를 통하여 바(400)에 감겨진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 벨트(40)가 바(400)에 감겨진 상태에서 바(400)가 관통홀(104)의 스톱 위치(S1)까지 이동된 경우에는 하부 벨트(40)가 고정되고, 버튼부(300)가 커버(500)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버튼부(300)가 외부로부터 가압 되어 상부 벨트(30) 쪽으로 이동되고, 버튼부(300)와 연동 되어 하부 벨트(40)가 감겨진 바(400)가 상부 벨트(30) 쪽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하부 벨트(40)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그 후, 상기 외부의 가압이 제거된 경우에는 버튼 스프링(306)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 벨트(40)가 감겨진 바(400)가 관통홀(104)의 스톱 위치까지 이동되어 하부 벨트(40)가 고정된다.
〈상기 표시창(508)에 인디케이터 라벨(220)이 표시되는 경우〉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 벨트(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인디케이터부(200)가 인디케이터 슬롯(203)을 통하여 상부 벨트(30)에 의해 장력을 받아 삽입홀(106)의 스톱 위치(S3)까지 이동된 경우에는 인디케이터 라벨(220), 예컨대, 녹색의 인디케이터 라벨(220)이 커버부(500)의 표시창(508)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벨트(30)는 바(400)가 관통홀(104)의 스톱 위치(S1)까지 이동될 때에 위치되는 상부 벨트(30)의 위치부위(S2)로부터 삽입홀(106)의 스톱 위치(S3)까지 이동된다.
〈상기 표시창(508)에 인디케이터부(200)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 벨트(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벨트(30)에 의한 장력이 없거나 그 장력이 약하여, 즉 톱 테더 벨트의 헐거워짐에 의해 인디케이터부(200)가 삽입홀(106)의 스톱 위치까지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라벨(220), 예컨대, 녹색의 라벨(220)이 커버부(500)의 표시창(508)에 대응되게 위치하지 않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벨트용 어저스터(10)는, 톱 테더(20)가 안정하게 결합 된지 여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가 내장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벨트용 어저스터(10)는, 커버부(500) 표면에 형성된 표시창(508)을 통하여 인디케이터 라벨(220)이 표시됨으로써, 벨트가 감겨지는 부위에 인디케이터 라벨(220)이 표시되는 경우에 발생 되는 인디케이터 라벨(220)의 손상을 제거할 수 있고, 벨트가 감겨지는 부위에 인디케이터 라벨(220)이 표시되는 경우보다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전향 및 후향의 래치부는 각각 다단계로 인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마다 다르게 형성되는 앵커에 최적의 상태로 카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카시트 10 : 어저스터
20 : 톱 테더 30 : 상부 벨트
40 : 하부 벨트 100 : 평판부
200 : 인디케이터부 202 : 제1 평판
203 : 인디케이터 슬롯 204 : 제2 평판
206 : 제1 결합부재 208 : 제2 결합부재
210 : 돌출부재 212 : 인디케이터 스프링
300 : 버튼부 400 : 바
500 : 커버부

Claims (7)

  1. 제1, 제2 벨트;
    일측에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1 슬롯이 형성되고, 타측이 개방되며, 하부에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벨트가 내입되는 내입부가 형성되고, 상부에 제1 창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2 슬롯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삽입되는 평판부; 및
    상기 제1 벨트가 관통되는 제3 슬롯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 상에 선형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개방된 타측으로부터 상기 커버부에 삽입되는 인디케이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커버부의 제1 창을 통하여 상기 제1 벨트에 가해지는 장력 여부를 표시하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부와의 연결부위로서 양가장자리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디케이터부는,
    상기 제3 슬롯이 형성된 제1 평판;
    상기 제1 평판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평판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1 평판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결합부재 상에 형성된 제2 평판;
    상기 제2 평판이 형성된 일면과 대향 하는 상기 제1 평판의 타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돌출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에 결합 되며 인디케이터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슬롯은 제1 슬롯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평판의 양가장자리에 상기 제1 평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1 결합부재; 및
    상기 제2 평판의 중앙부위에 상기 제1 평판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결합부재 각각은 상기 탄성부재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삽입홀보다 폭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 벨트의 길이조절 상태가 정상 시 상기 제1 창에 정상표시 인디케이터 라벨이 위치되도록 초기 특정스프링 상수 K를 갖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KR1020130002934A 2013-01-10 2013-01-10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KR101421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34A KR101421877B1 (ko) 2013-01-10 2013-01-10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2934A KR101421877B1 (ko) 2013-01-10 2013-01-10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33A KR20140090833A (ko) 2014-07-18
KR101421877B1 true KR101421877B1 (ko) 2014-07-22

Family

ID=5173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2934A KR101421877B1 (ko) 2013-01-10 2013-01-10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971A1 (en) * 2018-06-18 2019-12-26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Tilt-lock adjuster with tension indic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246A (ko) * 2004-05-07 2007-02-22 부리택스 엑셀시어 리미티드 인장 표시기
JP2007112414A (ja) * 2005-09-26 2007-05-10 Takata Corp ベルトの張力検知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7514603A (ja) * 2003-12-17 2007-06-07 ブリタックス エクセルシオル リミテッド 張力インジケータ
JP2008296629A (ja) * 2007-05-29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連結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4603A (ja) * 2003-12-17 2007-06-07 ブリタックス エクセルシオル リミテッド 張力インジケータ
KR20070021246A (ko) * 2004-05-07 2007-02-22 부리택스 엑셀시어 리미티드 인장 표시기
JP2007112414A (ja) * 2005-09-26 2007-05-10 Takata Corp ベルトの張力検知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8296629A (ja) * 2007-05-29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連結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5971A1 (en) * 2018-06-18 2019-12-26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Tilt-lock adjuster with tension indicator
US10897963B2 (en) 2018-06-18 2021-01-26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Tilt-lock adjuster with tension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833A (ko) 2014-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094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連結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60126360A (ko) 착탈식 차일드 시트
US20120007398A1 (en) Child restraint for vehicle
EP2882615B1 (en) Buckle apparatus for seat belt
EP2090458B1 (en) Child seat
US10099589B2 (en) Headrest guide
EP2774130B1 (en) Alarm system
JP394576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取付構造
KR101421877B1 (ko) 인디케이터가 내장된 어저스터
JP2014201244A (ja) 車両用シート
US8635918B2 (en) Belt tension monitor
KR101560986B1 (ko) 차량용 시트
JP3146520U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部品
JP2015066222A (ja) 乗物用シート
US6695379B1 (en) Structure for load detection element in vehicle seat
KR101231013B1 (ko) 헤드레스트
US6851714B2 (en) Seat belt closure-securement arrangement with integrated force evaluation
KR101807123B1 (ko) 자동차의 도어커튼 조립체
KR102093797B1 (ko) 시트벨트 가이드 루프 높이 조절 장치
JP5866630B2 (ja) シートクッション跳ね上げ式の車両用シート
US7165809B2 (en) Safety seat tether system
CN108944779A (zh) 插扣装置
CN106240515B (zh) 可提高汽车驾乘安全系数的防欺骗式汽车安全带扣座及汽车
JP6168698B2 (ja) 車両用シート
TWM506740U (zh) 車輛座椅滑軌鎖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