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436B1 -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 Google Patents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436B1
KR101421436B1 KR1020120093068A KR20120093068A KR101421436B1 KR 101421436 B1 KR101421436 B1 KR 101421436B1 KR 1020120093068 A KR1020120093068 A KR 1020120093068A KR 20120093068 A KR20120093068 A KR 20120093068A KR 101421436 B1 KR101421436 B1 KR 101421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vacuum chamber
inlet
raw material
inser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6097A (ko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Priority to KR1020120093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4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2/00Solid state diffusion of at least one non-metal element other than silicon and at least one metal element or silicon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 C23C12/02Diffusion in one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01L23/14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its electrical properties
    • H01L23/145Organic substrates, e.g. plas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을 파괴하지 않은 상태로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하고, 장시간의 유기물 증착이 가능한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와,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와,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A Feeding Apparatus of Linear Type Evaporator and Thin-film Deposi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을 파괴하지 않은 상태로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하고, 장시간의 유기물 증착이 가능한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ed Device)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공정은 유기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이며, 이러한 유기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진공 증착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진공 증착은 챔버 내에 글라스(glass)와 같은 기판과 파우더(powder) 형태의 원료 물질이 담긴 포인트 소스(point source) 또는 점 증발원과 같은 증발원을 대향 배치하고, 증발원 내에 담긴 파우더 형태의 원료 물질을 증발시켜 증발된 원료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기판의 일면에 유기 박막을 형성한다. 최근에는 기판이 대면적화됨에 따라, 포인트 소스 또는 점 증발원으로 알려진 증발원 대신 대면적 기판의 박막 균일도가 확보되는 선형 증발원이 사용된다. 이러한 선형 증발원은 도가니 내에 원료 물질을 저장하고, 저장된 원료 물질을 증발시켜 기판을 향해 분사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증발홀을 구비한다.
하지만, 기판이 더욱 대면적화됨에 따라 더욱 많은 양의 원료 물질이 필요하게 되었고, 장시간 증착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도가니를 교체해야 한다.
도가니를 교체하는 경우, 진공 챔버를 개방하고, 도가니를 담은 소스에 새로운 도가니를 넣어 교체하는데, 이러한 진공 챔버의 개방으로 진공 상태는 파괴되므로 도가니를 교체한 후에는 다시 진공챔버 내를 재 진공화한 후, 증착 공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공 증착 공정 중 도가니 교체 작업이 수반될 때마다 진공화 작업에 따르는 부수적인 작업이 뒤따르게 되어 여러 가지 노력과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며, 챔버를 재 진공화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 전체적인 생산성을 낮춘다.
특히, OLED 와 같은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증착 공정에서는 가급적 장기간 증착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야 그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지니는 점을 고려할 때, 증착 공정을 수행하면서 도가니를 새롭게 교체할 수 있다면 생산성 향상으로 제품 가격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 즉 다량의 원료 물질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019561호를 출원하여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다수의 증발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지와,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증발원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원료 공급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상기 이송 스테이지가 증발원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구조이므로, 챔버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증발원의 개수가 그리 많지 않고, 이에 따라 한정된 양의 원료물질만을 기판에 공급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발원을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 스테이지 및 승강부가 진공 챔버 내에 설치되어 있어서, 진공 챔버 내의 구성이 너무 복잡할 뿐 아니라 증착공정의 신뢰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진공 챔버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고 고진공 중에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하면서도 많은 개수의 교체용 도가니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가니를 교체하기 위해 진공 챔버의 온도를 낮추는 쿨링이 불필요하여 도가니의 교체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가니의 교체구조가 리볼버(Revolver) 형태로 이루어지어 종래의 기술에 비해 진공 챔버 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증착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장시간 유기물 증착이 가능한 박막 증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와,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와,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가니 삽입홈이 상기 도가니 공급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 삽입홈은 상기 도가니의 상단 테두리가 걸쳐지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는 도가니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직선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선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승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 가이드는 상기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가니 가이드는 상기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상부 환형부재와, 상기 상부 환형부재와 대응되는 하부 환형부재와, 상기 상부 환형부재와 하부 환형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는 상기 도가니 가이드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를 예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예비 히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비 히터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의 외곽에 원통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에는 상기 도가니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는 금속재질의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체결가능한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의 하단에는 회전력을 받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가 상기 도가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승강하여 상기 도가니를 인입구에 설치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막 증착장치는 기판의 증착 공정이 수행되는 진공 챔버와, 상기 진공 챔버 내에 마련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와, 상기 진공 챔버 내 상기 기판 지지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판에 증착되는 원료물질이 공급되는 인입구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원료물질을 다수의 경로로 분기시켜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분배기와, 다수의 도가니가 교체되면서 상기 진공 챔버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진공 챔버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한 원료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료공급장치는,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와,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와,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 챔버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고진공 중에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하여 단시간 내에 도가니 교체 후 연속적으로 증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가니를 교체하기 위해 진공 챔버의 온도를 낮추는 쿨링이 불필요하여 도가니의 교체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가니의 교체구조가 리볼버(Revolver) 형태로 이루어지어 종래의 기술에 비해 진공 챔버 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증착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다량의 원료물질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막 증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가니를 설치하는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가니를 설치하는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가니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박막 증착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증착장치는 기판(10)에 증착공정이 수행되는 진공 챔버(100)와, 상기 챔버(100) 내에 마련되어 기판(10)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200)와, 상기 기판 지지부(200)와 대향 배치되어 기판(10)에 원료 물질을 증발시켜 공급하기 위한 분배기(110)와, 다수의 도가니(20)가 교체되면서 상기 진공 챔버(100)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진공 챔버(100)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도가니(20)의 교체를 가능케하는 원료공급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00)는 원통형 또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기판(10)을 처리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반응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에서는 챔버(100)를 원통형 또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판(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챔버(100)의 일측벽에는 기판(10)의 출입을 위한 게이트(도시안함)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챔버(100)의 타측벽에는 내부 배기를 위한 배기부(도시안함)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챔버(100)를 일체형으로 설명하였지만, 챔버(100)를 상부가 개방된 하부 챔버와, 하부 챔버의 상부를 덮는 챔버 리드(lid)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기판 지지부(200)는 챔버(100) 내의 상부에 마련되며, 챔버(100) 내로 인입된 기판(10)을 지지하고, 지지된 기판(10)을 하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판 지지부(200)는 하부면에 기판(10)을 지지하는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20)를 포함한다. 지지대(210)는 통상 기판(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기판(10)이 원형일 경우 지지대(210)는 이와 대응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판(10)이 다각형일 경우 지지대(210)는 이와 대응되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210)의 내부에는 주변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도시안함) 예를 들어, 저항 발열 히터, 램프 히터 등의 가열 수단 또는 냉각 라인과 같은 냉각 수단이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20)는 지지대(210)의 상부에 연결되며, 기판(10)을 지지하는 지지대(21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분배기(110)는 챔버(100) 내의 하부에 마련되고, 구체적으로는 박막이 증착될 기판(10)의 일면과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분배기(110)는 기판(10)의 일면에 증발된 원료 물질 예컨대, 유기물을 다수의 경로로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분배기(110)는 상기 기판(10)에 증착되는 원료물질이 공급되는 인입구(114)와, 상기 인입구(114)를 통해 인입된 원료물질을 다수의 경로로 분기시켜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110)는 인입구(114)와 상기 배출구(112)가 상호 연통되며 증발된 원료 물질이 확산될 수 있는 소정의 확산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입구(114)가 중앙에 형성된 분배기(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상기 인입구(114)가 분배기(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ㄱ"자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분배기에도 본 발명의 원료공급장치(300)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출구(112)는 확산 공간에서 분배기(1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기판(10) 방향으로 증발된 원료 물질을 공급하는 노즐 역할을 한다. 이때, 기판(10)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기판(10)의 주변부에도 원료 물질이 균일하게 도달되도록, 분배기(110)의 중심부에 위치된 배출구는 기판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분배기(110)의 주변부로 갈수록 상기 배출구는 기판면의 외측을 향해 더욱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발되는 원료 물질의 직진성이 커지도록 배출구(112)는 하부에서 상부 즉,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배출구(112)는 역 깔때기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갖는 소정 길이의 파이프(pipe)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의 배출구(112)는 단순하게 분배기(110)의 몸체 상면에 형성된 구멍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배기(110)에 도가니(20)를 연통시켜 원료 물질을 공급하여 기판(10)에 증착시키는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진공 챔버(100)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도가니(20)의 교체를 가능케하는 원료공급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원료공급장치(3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20)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312)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도가니 공급부(310)와, 상기 도가니(2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와,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100)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20)를 분배기(110)의 인입구(114)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11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340)와, 상기 분배기(110)의 인입구(114)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20)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330)를 포함한다.
상기 도가니 공급부(3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가니 삽입홈(312)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리볼버(Revolver) 형태를 갖는다.
상기 도가니 공급부(310)는 중앙의 회전축(도시안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진공챔버(100)에 도가니(20)를 한 개씩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도가니 삽입홈(312)은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314)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8개의 도가니 삽입홈(3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도가니 공급부(3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축의 회전각도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312)의 형성개수와 형성각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진공챔버(100)에 도가니(20)를 한 개씩 공급할 수 있는 각도로 제어 장치(도시안함)에 의해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도가니 삽입홈(312)은 상기 도가니 공급부(310)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가니 삽입홈(312)에 삽입된 도가니(20)를 도가니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챔버(100) 내의 도가니(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가니 삽입홈(312)은 상기 도가니(20)의 상단 테두리가 걸쳐지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는 상기 도가니(20)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328)와, 상기 받침대(328)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22)와, 상기 구동모터(322)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받침대(328)를 승강시키기 위한 직선이동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322)는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가니 공급부(310)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직선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322)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받침대(328)를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지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선이동수단으로서, 상기 구동모터(322)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324)와, 상기 구동기어(324)에 맞물려 구동기어(324)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승강축(326)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축(326)에는 상기 구동기어(324)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는 기어치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축(326)의 상단에 상기 받침대(328)가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322)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기어(322)와 구동기어(324)가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구동기어(324)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승강축(326)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받침대(440)를 승강시킨다.
한편, 상기 도가니 가이드(340)는 상기 도가니(20)가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가니 가이드(340)는 상기 도가니(20)가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상부 환형부재와, 상기 상부 환형부재와 대응되는 하부 환형부재와, 상기 상부 환형부재와 하부 환형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히터(330)는 상기 도가니 가이드(34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도가니(20)에 열을 제공하여 도가니(20) 내에 저장된 분말 형태의 원료 물질을 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료공급장치(300)는 상기 진공 챔버(100)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챔버(100)와 동일한 진공을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322)는 진공 챔버(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박막 증착장치를 사용하여 도가니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가니 공급부(310)의 도가니 삽입홈(312)에 장착된 도가니(20)를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시켜, 진공 챔버(100) 내부로 인입하여 상기 분배기(110)의 인입구(114)와 연통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3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축(326)이 회전하면서 상승하고, 상기 도가니(20)를 받치고 있는 받침대(328)가 상승하여 도가니(20)를 상승시킨다.
또한, 도가니(20)의 상승 시, 상기 도가니(20)가 도가니 가이드(340)에 인입되면서 진공챔버(100) 내에 분배기(110)에 안내되므로 상기 인입구(114)의 하단부에 도가니(20)를 정위치로 설치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도가니(20)의 둘레에 마련된 히터(330)에 의해 도가니(20) 내에 저장된 분말 형태의 원료 물질을 증발시켜, 증발된 원료물질이 분배기(110)의 확산 공간을 통해 분배기(110)의 상측에 형성된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기판(10)에 공급된다.
소정의 시간이 지나 도가니(20)에 저장된 원료 물질이 소진되면, 원료 물질이 소진된 도가니(20)는 도가니 승강장치에 의해 하강하여 도가니 공급부(310)의 도가니 삽입홈(312)에 유입된다.
이후, 상기 도가니 공급부(31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새로운 도가니(20a)가 도가니 승강장치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순차적인 동작은 모두 자동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가니 공급부(310)에 센서 등을 구비하여 신호 처리에 의해 도가니 공급부(310)의 회전 동작, 도가니 승강장치의 승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어, 전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도가니(20a)를 도가니 승강장치에 의해 상승시켜, 진공 챔버(100) 내부로 인입하여 상기 분배기(110)의 인입구(114)와 연통되게 설치한다.
이후, 새롭게 교체된 도가니(20a) 내에 저장된 분말 형태의 원료 물질을 증발시켜, 기판(10)에 증착공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도가니(20a)(20b)(20c)(20d)를 순서대로 교체한 후 연속적으로 증착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박막 증착장치는 도가니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진공 챔버(100)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고 고진공 중에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하므로 연속증착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가니를 진공 챔버(100) 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110)와의 결합상태가 견고할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도가니를 설치구조를 제안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110)의 인입구(114)에는 상기 도가니(20)가 상승되어 장착될 때 장착된 도가니(20)와 인입구(114)를 결합시키는 클램프 형태의 고정장치(1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16)는 도가니(20)의 상단이 삽입가능한 홈이 구비된 'ㄷ'자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클램프 형태로 도가니(20)와 인입구(114)를 결합시키는 구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가니(20)의 상단에는 가스켓(22)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켓(22)은 금속재질, 바람직하게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어, 상기 도가니(20)가 상승하면서 상기 고정장치(116)에 삽입될 때 그 압력에 의해 금속재질의 가스켓(22)이 압축되면서 상기 도가니(20)와 분배기(11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124)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6)가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30)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126)에 체결가능한 수나사(32)가 형성되어 상기 도가니(30)가 회전하면서 상승할 때 나사체결에 의해 분배기의 인입구(124)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가니(30)의 하단면에는 회전력을 받기 위한 홈(34)이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의 받침대(440)는 상기 홈(34)에 끼워짐이 가능한 끼움편(442)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428)의 하단에 형성된 승강축(426)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할 때 상기 도가니(30)의 하단면에 형성된 홈(34)에 상기 끼움편(438)이 끼워져 상기 도가니(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가니 공급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도가니 공급부(410)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412)에 삽입된 도가니를 예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예비 히터(4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비 히터(420)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412)의 외곽에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도가니가 진공챔버(100)에 인입되기 전에 예열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가니 공급부(410)의 외주면 및 바닥면에는 쿨링 장치가 장착되어 도가니의 가열뿐 아니라 등온 유지를 할 수 있도록 함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가니가 진공챔버(100) 내에 인입되기 전에 비교적 낮은 온도로 예열해줌으로써, 진공챔버(100) 내에서의 증착 공정 시 도가니를 가열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증착 공정에 드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 챔버(100)의 진공을 파괴하지 않은 상태에서 물질이 소모된 도가니를 꺼내고 새 도가니를 공급함으로써, 단시간 내 도가니의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연속증착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기판 20 : 도가니
100 : 진공 챔버 110 : 분배기
112 : 배출구 114 : 인입구
300 : 원료공급장치 310 : 도가니 공급부
312 : 도가니 삽입홈 314 : 축삽입공
330 : 히터 340 : 도가니 가이드

Claims (16)

  1.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 및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가니 삽입홈은 상기 도가니 공급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의 상단 테두리가 걸쳐지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는 도가니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직선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선이동수단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6. 삭제
  7.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 및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 가이드는 상기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내경을 가지는 상부 환형부재와,
    상기 상부 환형부재와 대응되는 하부 환형부재와,
    상기 상부 환형부재와 하부 환형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수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도가니 가이드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9. 삭제
  10.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 및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를 예비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예비 히터가 더 설치되되,
    상기 예비 히터는 상기 도가니 삽입홈의 외곽에 원통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11.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 및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인입구에는 상기 도가니의 상단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된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도가니의 상단에는 금속재질의 가스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입구의 내주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의 상단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체결가능한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의 하단에는 회전력을 받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가 상기 도가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승강하여 상기 도가니를 인입구에 설치하거나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13. 기판의 증착 공정이 수행되는 진공 챔버;
    상기 진공 챔버 내에 마련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
    상기 진공 챔버 내 상기 기판 지지부와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판에 증착되는 원료물질이 공급되는 인입구와, 상기 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원료물질을 다수의 경로로 분기시켜 배출하는 다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분배기; 및
    다수의 도가니가 교체되면서 상기 진공 챔버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진공 챔버의 진공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한 원료공급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원료공급장치는,
    내부 공간에 원료 물질이 저장되는 도가니가 삽입가능한 도가니 삽입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진공챔버에 도가니를 한 개씩 공급하기 위한 도가니 공급부;
    상기 도가니 삽입홈에 삽입된 도가니 중 어느 하나의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부로 인입시키거나 원료물질이 소진된 도가니를 진공챔버 내에서 인출하도록 상기 도가니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도가니 승강장치;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를 통해 진공챔버 내에 인입되는 도가니를 분배기의 인입구에 안내하도록 상기 인입구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도가니 가이드; 및
    상기 분배기의 인입구에 연통되게 설치된 도가니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를 포함하며,
    상기 도가니 공급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가니 삽입홈은 상기 도가니 공급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도가니의 상단 테두리가 걸쳐지도록 상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승강장치는 도가니를 받치기 위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구동기어의 회전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직선운동하는 승강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 증착장치.
KR1020120093068A 2012-08-24 2012-08-24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KR101421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68A KR101421436B1 (ko) 2012-08-24 2012-08-24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068A KR101421436B1 (ko) 2012-08-24 2012-08-24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97A KR20140026097A (ko) 2014-03-05
KR101421436B1 true KR101421436B1 (ko) 2014-07-23

Family

ID=50640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068A KR101421436B1 (ko) 2012-08-24 2012-08-24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4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499A (ko) * 2018-09-18 2020-03-26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제조장치
WO2020059956A1 (ko) * 2018-09-18 2020-03-26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 제조장치 및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복합나노분말 연속 제조방법
KR20200032500A (ko) * 2018-09-18 2020-03-26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215B1 (ko) * 2016-10-24 2018-06-05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증착물질 공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착물질 공급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7874A (ja) * 1986-01-17 1987-07-24 Sumitomo Electric Ind Ltd 蒸着るつぼ交換装置
JPH11222668A (ja) * 1998-02-06 1999-08-17 Ulvac Corp 蒸着装置
KR20060028181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KR20100034168A (ko)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원료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7874A (ja) * 1986-01-17 1987-07-24 Sumitomo Electric Ind Ltd 蒸着るつぼ交換装置
JPH11222668A (ja) * 1998-02-06 1999-08-17 Ulvac Corp 蒸着装置
KR20060028181A (ko) * 2004-09-24 2006-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증착 장치
KR20100034168A (ko) * 2008-09-23 2010-04-01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원료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499A (ko) * 2018-09-18 2020-03-26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제조장치
WO2020059956A1 (ko) * 2018-09-18 2020-03-26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 제조장치 및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복합나노분말 연속 제조방법
KR20200032500A (ko) * 2018-09-18 2020-03-26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 제조방법
KR102160145B1 (ko) * 2018-09-18 2020-09-25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제조장치
KR102162973B1 (ko) * 2018-09-18 2020-10-07 김태윤 이송식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나노분말 연속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6097A (ko)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589B1 (ko) 공정 중 도가니의 교체가 가능한 하향식 증발원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KR101019561B1 (ko) 원료 공급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101421436B1 (ko) 선형 증발원의 원료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장치
KR100848709B1 (ko) 하향식 증발원
CN105603365B (zh) 真空蒸镀加热装置
US20120012050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oating material and evaporation deposition device having same
WO2010123027A1 (ja) 蒸着処理装置および蒸着処理方法
KR20200007395A (ko) 공전, 자전, 틸트를 통한 다중기판 진공증착 장치
KR101811585B1 (ko) 박막 증착장치
KR101419705B1 (ko) 예비 챔버가 구비된 박막 증착장치
KR100881434B1 (ko) 하향식 선형증발원
KR101925111B1 (ko) 박막 증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막 증착 방법
KR101449601B1 (ko) 증착 장치
KR20190129368A (ko) 증착 공정용 멀티 노즐 증착기
US20120048199A1 (en) Crucible and evaporation deposition device having same
CN116018424A (zh) 沉积装置
KR20090056194A (ko) 증착 원료 분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박막 증착 장치
KR101813151B1 (ko) 박막증착장치 및 박막증착장치의 증착물질공급모듈
KR20110016768A (ko) 줄 가열을 이용한 증착 장치 및 방법
KR102313597B1 (ko) 냉각 수단을 갖는 증발원
KR101768120B1 (ko) 증발물질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2297950B1 (ko) 냉각효율을 높인 증발원 및 이를 이용한 증발원 냉각방법
KR101580948B1 (ko) 원료물질 공급기 및 이를 구비하는 증착장치
KR101117663B1 (ko) 증착가스 공급장치
KR100795905B1 (ko) 유기 박막 증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