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786B1 -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 Google Patents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786B1
KR101420786B1 KR1020110107778A KR20110107778A KR101420786B1 KR 101420786 B1 KR101420786 B1 KR 101420786B1 KR 1020110107778 A KR1020110107778 A KR 1020110107778A KR 20110107778 A KR20110107778 A KR 20110107778A KR 101420786 B1 KR101420786 B1 KR 10142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
discharge pipe
vehicle
propeller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722A (ko
Inventor
석선열
Original Assignee
석선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선열 filed Critical 석선열
Priority to KR1020110107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786B1/ko
Priority to PCT/KR2012/008658 priority patent/WO2013058625A2/ko
Priority to US14/353,034 priority patent/US20140260188A1/en
Publication of KR2013004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5/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from exhaust energy
    • F01N5/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devices profiting from exhaust energy the devices using hea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7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and conveying dislodged material by driven or pneuma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과 바퀴와 차체를 가지는 자동차에서,
자동차 엔진의 가열된 냉각수 통로에 분기토록 결합하는 유도결속장치에서 분기 순환하는 온수활용순환관(OSWL);
온수활용순환관(OSWL)에서 일차 가열된 공기를 2차 가열하도록 설치된 가열히터(HTR);
2차 가열된 공기를 분배덕트(PEORUM)로 이송하는 프로펠러(OPE); 및
프로펠러(OPE)를 지난 가열된 공기를 자동차 전후좌우측의 배출관(PED)으로 배출하도록 각 분기관을 가지는 분배덕트(PEORUM)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PED) 출구측에는 출구를 여닫는 도어(DOR)를 설치하고, 도어(DOR)는 운전석에 설치한 레버(LB)와 연결된 케이블와이어(KEB)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PED) 출구측에는 출구를 여닫는 배출관(PED)의 일부를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부(EOMG)를 부가하고, 배출관(PED)의 끝단에는 배출관(PED)의 각도를 조절하는 와이어(KEB)와 연결하는 열풍거리 조절용 연결고리(KMC)를 설치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이다.

Description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Nonpolluting snowplow with multipurpose function}
본 발명은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그 옛날 과거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우리네 인간 사회는 끈임 없이 변화 발전되었고 앞으로도 그렇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에서 유를 창조하여 왔으며 어렵게 없이 살던 사회에서 소유를 하는 것에 대한 가치의 존재감이 더 없이 높이 평가되어 왔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패턴이 달라지고 있다. 지속적인 개발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작용 즉 각종 공해로 인하여 돌출되는 온실가스와 기후변화, 이상 기온현상으로 극심한 가뭄과 대홍수 폭설 등으로 지구촌 전체가 각종 자연재해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현실이다. 이처럼 엄청난 각종 자연 재해로부터 벗어나고자 환경보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리하여 세계 각국의 지도자들은 이러한 자연보호의 소중함과 심각성에 대하여 깊이 인식하고 이에 대처하고자 각종 방법론을 강구하고 있는 현실과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도 필수적이다. 그런고로 이제는 유에서 무의 대세로 전환되고 그 여파가 한층 더 가속화가 이루어질 것이며, 모든 식품들도 무공해 식품으로 자리매김한 것과 같이 여타 상품들도 무공해 상품의 대세 앞에서 설 곳을 잃어가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제설방식은 모래와 염화칼슘을 살포하는 방법인바, 이는 모래와 염화칼슘의 구매에 막대한 비용이 지출되며, 모래 먼지와 염화칼슘에 의해 차량부식을 수반한다. 또한, 제설차량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단순 제설이 아닌 제설하여 모은 눈은 별도로 수거하여야하는 절차를 수반하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화물차 형태의 제설자동차를 도시한 것으로, 로다(LOD)를 차량 전방에 설치하여 눈을 가장 자리로 밀어내도록 이루어지며, 제설용 모래를 살포하는 모래살포기(MSG)를 갖는 일반적인 구성을 예시하며, 모래 및 염화칼슘은 환경 오염을 초래하고, 눈을 밀어내는 방식은 2차로 이를 퍼내는 작업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유에서 무를 피력하면서 다목적 활용도를 높이고자 개발한 것으로, 눈이 많이 내리면 여타 업무들이 중단되고 생활이 마비되는 등 그 어렵고 불편함이 극에 달하는 사태가 속출하는 현실 앞에 이를 개선함에 있어서 대중적이고 파격적이며 다기능성을 제공하도록, 제설비용의 지출 없이 무공해 상태로 제설 가능토록 하고, 제설을 완료하면 일반 차량으로도 주행 가능토록 하는 혁신적인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과 바퀴와 차체를 가지는 자동차 엔진의 가열된 냉각수 통로에 분기토록 결합한 유도결속장치에서 분기 순환하는 온수활용순환관;
온수활용순환관에 의해 일차 가열된 공기를 2차 가열하도록 설치된 가열히터;
2차 가열된 공기를 분배덕트로 이송토록 기능하는 프로펠러; 및
2차 가열된 공기를 이송받아 자동차 전후좌우측의 배출관으로 배출하도록 분기관을 가지는 분배덕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평상시에는 승차용으로 운행하다가 눈이 오면 제설차로 활용하므로 소수의 제설작업 군에서 대중적 새로운 직업군으로 탈바꿈이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블랙박스를 장착하고 제설작업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인센티브를 창출한다면, 본 발명을 사용하는 자는 누구나 즐거운 마음으로 동참 운행할 수 있어서 조기에 제설작업이 완료됨으로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가 될 수 있음을 확신하는바 그 자긍심은 대단히 충만할 것이다. 따라서 본 창작품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엔진을 탑재하고 로봇트 진공청소기의 기능을 부가하여 심야시간 대에는 무인 기능 자동화함으로써 일상 생활에서 활력소가 충전됨으로써 세상에서 가장 갖고 싶어하는 자동차로 자리매김할 수 있으며, 본 발명품을 소지하는 사람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아름다운 사회를 이룩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제설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설용 열풍 발생 원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풍 양 조절 원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열 강약 조절 원리도,
도 7은 본 발명의 열풍 강약 조절 원리도,
도 8은 본 발명의 열풍 도어 개폐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열풍 거리 조절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열풍 분산배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로, 미래의 꿈의 자동차이며, 무공해 다목적 열풍 제설차이며 승차를 겸하며 무인 인공지능을 겸하고 미래의 세상에서 가장 주목받을 수 있는 태양열 축전 방식도 구사하는 전기자동차를 총체적으로 나타낸다. 부호(SBT)는 바테리로서 고성능 태양열 충전 겸용 바테리를 나타낸다. 부호(SUNPE)는 고성능 태양열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충전용판넬이고, 부호(SENG)는 슈퍼엔진으로서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차의 엔진을 장착하였음을 도시화한 것이다. 부호(OPE)는 초강력 열풍에너지를 발진할 수 있는 프로펠러이다.
도 3은 기존의 자동차 엔진에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되도록 도시한 원리도면으로, 엔진냉각수(온수) 활용 유도결속장치(LOS)에 온수활용 순환관라인(OSWL)을 결합하여 순환에 따른 발열을 유도하고(공정(1F)), 유도된 발열공기는 프로펠러(OPE)를 통하여 출력(공정(3F))하도록 이루어진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공정(1F)에서 생성된 열풍에너지를 태양열 충전용 지붕판넬(SUNPE)을 통하여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바테리(SBT)에 충전하고, 충전된 에너지는 스위치(SWA)가 턴 온 될 때, 프로펠러(OPE)를 구동하고, 프로펠러(OPE)는 차량의 엔진에서 일차 가열된 공기(PEO1)를 열풍에너지가이드(OPEG)를 따라서 안내되도록 하여(공정(F3)), 이전에 일차 가열된 공기(PEO1)가 바테리(SBT) 전원으로 가열되는 가열히터(HTR)를 통과함으로써 2차로 가열된 공기(PEO2)를 생성한다. 2차 가열된 공기(PEO2)는 차량에 배관한 덕트를 통한 공기(PEO3)가 분배덕트(PEORUM)에서 해당 위치(도 4에서는 4개소로 전,후,좌,우 로 구분하여 표기한다)의 각 배출관(PED)으로 분기하여 배출된다. 차량엔진 구조에 따라 각 공정(2F,3F,4F)을 위한 구성은 위치를 바꾸어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풍의 양을 조절하는 수단을 예시한 도면으로, 분배덕트(PEORUM)의 분배 유입구(PE1)를 통하여 분배된 가열된 공기(PEO)가 배출관(PED)으로 배출되고, 배출관(PED)에는 개구를 열고 닫아 풍량을 조절하는 열풍출력 조절레버(PEODOR)를 설치하고, 열풍출력 조절레버(PEODOR)는 솔레노이드 밸브나 유압식밸브나 수동레버식 등의 알려진 기술로 구현 가능하기에 단순히 밸브로만 기술한다. 상기 열풍출력 조절레버(PEODOR)의 구동레버에 예를 들어 자전거 브레이크를 구동하는 구조의 케이블와이어(KEB)를 설치하고, 별도로 운전석에는 레버(LB)로 작동하는 열풍조절체(LBJ)를 설치하고, 상기레버(LB)는 레버힌지(LBG)를 중심으로 케이블 와이어(KEB)를 레버(LB)로 당기거나 밀어서 열풍출력 조절레버(PEODOR)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이 발열 강약 조절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 가변저항 형태로 슬라이드식으로 출력을 조절하는 발열조절기(SWJ)의 발열조절레버(SWLB)를 사용하여 가열히터(HTR)의 발열량을 조절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다. (KS)(KS')는 전원과 제설작업을 확인하는 램프이다.
도 7은 슬라이닥스와 같이 출력 레벨이 열풍출력 조절레버(SWALB)에 의하여 전원 출력을 조절하는 열풍출력 조절기(SWAJ)와, 열풍출력 조절기(SWAJ)에 의한 출력을 받아 회전력이 가변되는 프로펠러(OPE)와 결선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열풍 도어를 여닫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으로, 열풍(가열된 공기)의 배출관(PED)의 출구 측에 가열된 공기(PEO)가 이동하는 것을 도시를 생략한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상승하강하면서 가열된 공기의 이동통로를 열거나 닫는 도어(DOR)에 연결고리(KDG)를 설치하고, 연결고리(KDG)는 케이블와이어(KEB)에 의하여 상하 이동토록 하고(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롤러의 도시는 차량에 따라 차량지형물을 이용할 수도 있고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어 이의 도시는 생략함), 케이블와이어(KEB)는 열풍조절체(LBJ)의 바닥에 레버힌지(LBG)로 힌지작용하는 레버(LB)에 연동하도록 구성한다.
도 9는 도 2에서 전후좌우 4방향의 가열된 공기(PEO)가 제설작업을 할 때 송출되는 고강도 열풍 에너지가 낙하되는 지점 거리를 레버(LB)로 조절하는 것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프로펠러(OPE)에 대한 차체의 고착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전후좌우 4방향이 차체에 결속되는 과정을 형상화한 도면이다.
이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바테리(SBT)를 사용하여 전기 충전과 태양열 충전을 함께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에 설치한 바테리 수납부(SBTD)에 바테리(SBT)를 수납시킨다.
여기에 외부 전원 충전용 코드소켓(JE)을 차량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차량 외부에는 고성능 태양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충전용의 지붕 충전용판넬(SUNPE)을 설치한다. 지붕 충전용판넬(SUNPE) 외에 충전용의 측면 충전용판넬(SUNPE')을 차량의 전후좌우 측면 중 적어도 2면에 부가하면 좋다. 물론 차량에는 슈퍼엔진(SENG)을 설치하여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기자동차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차량의 바퀴(LST)는 차체의 높이가 다소 높도록 광폭 스노우 타이어를 장착하고 구동방식도 전륜 후륜을 겸할 수 있는 사륜 구동방식을 적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로펠러(OPE)는 초강력 열풍 에너지를 발진할 수 있는 프로펠러를 사용하고, 점검도어(PEDD)를 차량 외부에 설치하여 프로펠러의 점검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가열히터(HTR)를 통하여 가열되고, 프로펠러(OPE)에 의하여 차량의 전후좌우에 각각 설치한 송출구로 가열된 공기(PEO)를 송출한다.
가열된 공기(PEO)의 송출구에는 도 8과 같이 도어(DOR)를 두어 평소에는 이물질의 진입을 막고, 사용시에만 열어서 가열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화석연료 사용 엔진(ENG)을 병행설치한다. 또한, 차량에는 범퍼(BM)를 설치하여 안정성을 확보토록 한다. 물론 본네트(BON)와 윈도우(IND)와 창문(CM) 및 연료탱크(ET)는 기존과 같이 설치한다. 필요시 경광표시등(KS)(KS')을 설치하면 좋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엔진(SENG, ENG)의 냉각수(사실은 데워진 온수)를 활용하도록 분기시키는 유도결속장치(LOS)를 설치하여 온수가 라디에이터(LD)로 순환되기 전에 유도결속장치(LOS)에서 방향(IN)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온수는 동관인 온수활용 순환관(OSWL)을 통과하여 열전달하고, 방향(OUT)으로 배출하여 다시 유도결속장치(LOS)를 경유하여 라디에이터(LD)로 원래대로 이동토록 한다. 이 경우 온수활용 순환관(OSWL)은 동관이므로 열전도도가 좋아서 프로펠러를 통한 유입공기를 1차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공정(1F)). 이 경우 프로펠러(OPE)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도 3에 보인 열풍가이드(OPG)를 설치하여 외부로의 유출을 차단하여 온수활용 순환관(OSWL)을 통한 열교환 효율을 증진시키도록 보조하고, 엔진의 뜨거운 열기를 식히기 위하여 작동하는 냉각팬(LGH)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더운 바람이 엔진에 맞부딪쳐 온수활용 순환관(OSWL)쪽으로 밀려오는데 이 가열된 공기를 프로펠러(OPE)가 함께 흡수하도록 기능 한다. 이 경우 차체의 하부로부터 상부의 프로펠러(OPE)로 열풍이 순환할 때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수망(GM)을 더 설치한다.
물론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라디에이터(LD)는 엔진(ENG)에서 뜨거워진 온수를 기관실 밖으로 유도하여 식혀주는 열교환장치로 그대로 기능한다. 이 경우 냉각팬(LGH)은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고속으로 회전하는데 라디에이터(LD)의 더운물을 식혀주는 기능을 하고, 뜨거워진 엔진(ENG)의 몸통을 식혀준다. 엔진(ENG)을 냉각시키는 냉각수순환관(LWG)은 라디에이터(LD)와 엔진(ENG) 간의 냉각수가 순환되도록 기능한다. 엔진(ENG)은 점화플러그(NG)(나 노즐)의 구동으로 점화되는데, 노즐(디젤기관) 또는 점화플러그(가솔린기관)로 실린더와 피스톤의 조합세트로 된 엔진 내에서 연소실 공간에 디젤기관인 노즐은 연료를 분사시켜주고, 가솔린 기관인 점화플러그는 전기스파크를 발산하여 연소실 공간에 높은 압력으로 압축된 혼합가스를 폭발시켜 동력의 힘을 생산하는 근원 역할을 한다. 디젤기관의 플런저(EP)는 연료를 공급하고, 가솔린 기관의 점화플러그(NG)는 전기스파크를 제공한다. 물론 연료공급탱크(ET)를 통하여 점화플러그(NG)의 하부공간 즉 연소실에 연료를 공급하고 남은 연료는 연료공급탱크(ET)로 순화토록 한다. 차량이 구동하는 동력은 도 3에 표기한 동력전달메카니즘(DP)(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바퀴(LST)까지 전달된다. 또한 프로펠러(OPE)는 공정(1F)을 통한 가열된 공기를 도 4에 보인 가열히터(HTR)로 이송하여 가열 공정(2F)을 거쳐 더욱 가열토록 하고, 이어 프로펠러(OPE)를 통하여 흡입(또는 방출) 되고(공정(3F))(흡입 기능의 구조의 예로는 공정(2F) 과 공정(4F) 사이에, 방출 기능의 구조 예로는 도 4와 같이 공정(2F) 전에 공정(3F)을 수행하도록 프로펠러(OPE)를 설치한다), 분배덕트(PEORUM)를 통하여 차량의 전후좌우로 배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도 3의 공정(1F)을 거쳐서 생성된 가열된 공기(PEO1)는, 공정(2F)에서 가열히터(HTR)를 거치면서 발열량을 증대시킨 상태의 가열된 공기로 변화되고(이는 초기 가열시간을 단축시켜 가열 효율을 현격히 증대시킨다), 이어 공정(3F)에서 프로펠러(OPE)로 안내되어 공기(PEO3)를 배출하도록 설치한 열풍에너지 가이드(OPEG)에 의하여 안내되고, 이어 분배덕트(PEORUM)를 통하여 차량의 전후좌우 4방으로 분지방식으로 나뉘어 송출된다(공정(4F). 도 4에서는 공정(2F,3F,4F) 순으로 아래에서 위로 가도록 도시하였으나, 공정(3F,2F,4F) 순으로 배열된 구성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열히터(HTR)를 구동하는 전원은 바테리(SBT)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으며, 지붕 충전용판넬(SUNPE)을 통하여 충전토록 하여 별도의 추가 에너지의 공급 없이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토록 한다. 상기 가열히터(HTR)는 히터를 고정하는 브라켓인 히터고정구(HTRK)(HTRK')에 고정되는 것이 좋으며, 구체적인 브라켓은 히터의 형상에 따라 다르므로 단순히 브라켓으로만 표기한 히터고정구(HTRK)(HTRK')로 도 4 에 기재한다. 아울러 브라켓에는 배분점(HTRN)으로 표기한 격벽을 두어 사용중 일측의 히터가 고장이 나도 부품을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고, 최소한의 기능을 수행가능토록 하며, 보다 손 쉽게 하기 위한 배려로서 최선책이다.
또한, 도 3 및 도 4 와 같이 도 3에 보인 온수활용 순환관(OSWL)을 통한 일차 가열된 공기(PEO 1)가 이어 공정(2F)에서 가열히터(HTR)를 통한 가열된 공기(PEO 2)로 되고, 이어 공정(3F)에서 프로펠러(OPE)를 통한 가열된 공기(PEO 3)를 공정(4F)에서 분배 덕트(PEORUM)로 공급토록 한다. (SW,SWA)는 전원 인가용 스위치이다. 분배덕트(PEORUM)에서 차량의 전후좌우측으로 배출할 때는 배출 열기를 도 9에 보인 바와 같은 배출관(PED)으로 송출하고, 송출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분배덕트(PEORUM)에는 국자 같은 분배유입구(PE1)를 형성한다. 상기 스위치(SWA)는 공정(3F)시 열풍에너지 이송 프로펠러를 가동하기 위한 전원스위치로 도 7과 같이 4단계의 열풍 강도의 조절과 역회전이 가능한 전원공급시스템 스위치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사용방식 예로는, 도 5 와 같이 도 4에서의 공정(F4)의 분배덕트(PEORUM)를 확대 도시하면서 4방향 중 하나를 구체적으로 도시함과 동시에 조작레버(LB)에 의해 도어(DOR)가 단계적으로 온,오프됨으로써 가열된 공기(PEO)가 송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분배덕트(PEORUM)에는 가열된 공기가 4곳의 각 방향으로 송출되기 위하여 모여지도록 유도한다. 이 경우 각 방향의 출구 측에는 배출관(PED)을 결합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의 용이를 위하여 배출관(PED)의 결합부위 입구에는 분배유입구(PE1)를 부가하여 분배 유입이 용이하도록 안내한다. 이 경우 배출관(PED)의 입구나 출구측에는 레버(LB)의 케이블와이어 고정용 조인트(KEBG)에 일단이 결합되어 연동하는 케이블와이어(KEB)에 의하여 개폐 정도가 조절되는 열풍조절레버(PEODOR)를 설치한다. 개폐 정도를 조절하는 수단은 케이블와이어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이외에 스테핑모터와 연동하는 기어메카니즘에 의한 개폐구조나, 실린더 작동에 연동하는 개폐구조나, 캠 작동에 의한 개폐구조와 같은 알려진 개폐구조로 구현 가능하므로 단순히 열풍출력 조절레버로 표기하고 도시한다. 물론 레버(LB)는 열풍조절체(LBJ)에서 레버힌지(LBG)에 연동하여 다단(0,1,2,3)으로 기어 변속하듯이 조절하여 사용 가능하며, 전자식으로 누름보턴이나, 슬라이닥스 같은 미끄럼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다단 상태는 예를 들어 다단 중 (0)은 오프상태, (1,2,3)은 가열된 공기 상태를 나타낸다. 가열된 공기(PEO)는 도 5에서 분배덕트(PEORUM)를 경유하여 배출관(PED)을 통하여 해당하는 차량위치에서 분출되는 것을 보여준다. (SHB)는 전후좌우측 각 열풍 조절체(LBJ)를 하나의 박스 형태로 결합한 상태를 평면 상태로 예시한 종합열풍 조절체 이다.
본 발명에서의 가열히터(HTR)는 출력 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가변 저항을 선택하거나 히터의 종류나 길이를 선택하는 구조를 이룬 발열조절기(SWJ)를 사용하고, 강도 조절을 위하여 발열조절레버(SWLB)를 다단(0,1,2,3)으로 구분하여 도 6과 같이 예시한다. 가열히터(HTR)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열히터(HTR)와 병렬로 경광표시등(KS)(KS')이 연동하도록 결선한다.
도 7 및 도 10은 도 4에서 공정(3F)을 수행하는 예로써, 열풍출력 조절기(SWAJ)를 예시하여 프로펠러(OPE)가 원하는 출력으로 작동을 가능토록 사용하는 예를 보인다. 열풍출력 조절기(SWAJ)는 프로펠러(OPE)에 의하여 이동하는 가열된 공기 이송의 강약을 다단(-1,0,1,2,3,4)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 예로, 턴 온상태인 단(1,2,3,4)과, 오프 상태인 단(0)과, 역회전 단(-1)을 열풍출력 조절레버(SWALB)를 사용하여 구동하는 것을 보인다. 도 10에서 (OPEG)는 열풍에너지 가이드로, 프로펠러(OPE)를 통한 열풍을 차량의 전후좌우측에 설치한 열풍에너지 가이드(OPEG)를 사용하여 배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물론 열풍에너지 가이드(OPEG)는 차량 프레임(차체)에 볼트(BJ)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좋다. 가이드(OPEG)(전)은 차체의 전방에 설치하는 것을, 가이드(OPEG)(후)는 후방에 설치하는 것을, 가이드(OPEG)(좌)는 좌측에 설치하는 것을, 가이드(OPEG)(우)는 우측에 설치하는 것을 약식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8에 도 5의 상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한 바와 같이, 가열된 공기(PEO)의 배출관(PED)을 통한 배출은 도어(DOR)의 작용으로 가능함을 예시할 수 있으며, 도어(DOR)는 가열된 공기(PEO)의 송출량을 조절하며, 이를 위하여 도어(DOR)의 상단은 연결고리(KDG)를 달아서 케이블와이어(KEB) 일단을 고정시키고, 케이블와이어(KEB)의 다른 단은 레버(LB)의 케이블와이어 조인트(KEBG)에 연결한다. 레버(LB) 하단은 열풍조절체(LBJ) 내에서 레버힌지(LBG)로 유착되고, 상단은 레버 기능을 하도록 열풍조절체(LBJ) 외부로 노출되며, 레버 위치에 연동하여 케이블와이어(KEB) 작동으로 도어(DOR)가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면서 열거나 닫히도록 기능한다.
또한, 도 9는 도 5의 가열된 공기(PEO) 배출관(PED)의 끝 부분을 올리거나 내려서 고강도 열풍 에너지를 가진 가열된 공기(PEO)의 배출 위치가 달라지도록 하려는 것으로, 제설 작업시 작업 거리와 면적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배출관(PED) 상단에는 열풍거리조절 가능한 연결고리(KMC)를 설치하여 케이블와이어(KEB)의 한쪽 단을 연결하고, 케이블와이어(KEB)의 다른 쪽 단은 레버(LB)의 중간지점에서 케이블와이어 조인트(KEBG)와 연결토록 한다. 물론 열풍조절체(LBJ)에는 레버(LB)에 의하여 열풍거리를 조절하는 다단(1,2,3)을 표기한다. 물론 배출관(PED)에는 배출의 용이를 위한 주름부(EOMG)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BM;범퍼 BON;본네트 CM;창문 DOR;도어 DP;동력전달메카니즘 ENG;엔진 EOMG;주름부 EP;플런저 ET;연료공급탱크 GM;수망 HTR;가열히터 HTRK;히터고정구 HTRN;배분점 IN;방향 IND;윈도우 KEBG;조인트 KL;열풍가이드 KMC;연결고리 KS,KS';경광표시등 LB;레버 LBG;레버힌지 LBJ;열풍조절체 LD;라디에이터 LGH;냉각팬 LOS;유도결속장치 LST;바퀴 LWG;냉각수 순환관 NG;점화플러그 OPE;프로펠러 OPEG;열풍에너지 가이드 OPG;열풍가이드 OSWL;온수활용순환관 PE1;분배유입구 PEDD;점검도어 PED; 배출관 PEO;가열된 공기 PEODOR;열풍출력 조절레버 PEORUM;분배덕트 PEOUT;송출 열기 SBT;바테리 SBTD;바테리보관공 SHB;종합열풍 조절체 SUNPE';측면 충전용판넬 SUNPE;지붕 충전용판넬 SW;전원스위치 SWAJ;열풍출력 조절기 SWALB;열풍출력 조절레버 SWJ;발열조절기 SWLB;발열조절레버

Claims (7)

  1. 엔진과 바퀴와 차체를 가지는 자동차에서,
    자동차 엔진의 가열된 냉각수 통로에 분기토록 결합하는 유도결속장치에서 분기 순환하는 온수활용순환관(OSWL);
    온수활용순환관(OSWL)에 의해 일차 가열된 공기를 2차 가열하도록 설치된 가열히터(HTR);
    2차 가열된 공기를 분배덕트(PEORUM)로 이송하는 프로펠러(OPE); 및
    프로펠러(OPE)를 지난 가열된 공기를 이송받아 자동차 전후좌우측의 배출관(PED)으로 배출하도록 각 분기관을 가지는 분배덕트(PEORUM)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PED) 출구측에는 출구를 여닫는 도어(DOR)를 설치하고, 도어(DOR)는 운전석에 설치한 레버(LB)와 연결된 케이블와이어(KEB)에 의하여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출관(PED) 출구측에는 출구를 여닫는 배출관(PED)의 일부를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부(EOMG)를 부가하고, 배출관(PED)의 끝단에는 배출관(PED)의 각도를 조절하는 와이어(KEB)와 연결하는 열풍거리 조절용 연결고리(KMC)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107778A 2011-10-21 2011-10-21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KR10142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78A KR101420786B1 (ko) 2011-10-21 2011-10-21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PCT/KR2012/008658 WO2013058625A2 (ko) 2011-10-21 2012-10-22 승차 겸용 다목적 무공해 제설자동차
US14/353,034 US20140260188A1 (en) 2011-10-21 2012-10-22 Combined multi-purpose pollution-free car and snowp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78A KR101420786B1 (ko) 2011-10-21 2011-10-21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22A KR20130043722A (ko) 2013-05-02
KR101420786B1 true KR101420786B1 (ko) 2014-07-21

Family

ID=4814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78A KR101420786B1 (ko) 2011-10-21 2011-10-21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40260188A1 (ko)
KR (1) KR101420786B1 (ko)
WO (1) WO20130586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2581A (zh) * 2017-12-27 2019-07-05 河南森源重工有限公司 吸雪管道可加热的融雪车
US10768003B2 (en) 2018-03-23 2020-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route planning
CN114737507A (zh) * 2022-05-10 2022-07-12 瑞德(新乡)路业有限公司 一种带有防护结构的环保纯电动洗扫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067U (ja) * 1995-03-22 1995-09-26 戸塚 比登美 車両用除雪装置
JPH07279138A (ja) * 1994-04-07 1995-10-24 Yoshio Takahashi 自動車用雪道融雪装置
JPH10317341A (ja) * 1997-05-20 1998-12-02 Akiyoshi Umemura 搭載した水槽の水を熱媒体とするエンジン廃熱を利用する自動車の融雪装置
KR20060094173A (ko) * 2005-02-23 2006-08-29 배희수 자동차의 폐열을 이용한 눈길이나 빙판길에서의 노면해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5901A (en) * 1942-04-11 1943-08-03 Atkinson Frank Fender deicer
US4848510A (en) * 1988-03-23 1989-07-18 Ahmed Mohamed I Snow and ice melt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6848726B1 (en) * 2003-12-19 2005-02-01 Carl Horsham Traction enhancing system
US6946621B1 (en) * 2005-02-10 2005-09-20 Roseman David M Automotive safety device for melting snow and ice from roadways
JP4767624B2 (ja) * 2005-08-24 2011-09-07 豊和化成株式会社 車室内用空気吹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138A (ja) * 1994-04-07 1995-10-24 Yoshio Takahashi 自動車用雪道融雪装置
JP3016067U (ja) * 1995-03-22 1995-09-26 戸塚 比登美 車両用除雪装置
JPH10317341A (ja) * 1997-05-20 1998-12-02 Akiyoshi Umemura 搭載した水槽の水を熱媒体とするエンジン廃熱を利用する自動車の融雪装置
KR20060094173A (ko) * 2005-02-23 2006-08-29 배희수 자동차의 폐열을 이용한 눈길이나 빙판길에서의 노면해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722A (ko) 2013-05-02
US20140260188A1 (en) 2014-09-18
WO2013058625A2 (ko) 2013-04-25
WO2013058625A9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0747B (zh) 车辆用热量管理系统
JP5786213B2 (ja) モータ・ビークル向けエンジンアセンブリ
JP5593087B2 (ja) 電気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101378923B (zh) 利用低级资源的热调节系统式电动或混合动力机动车
CN104114961B (zh) 用于对车辆的乘客舱和传动系进行空气调节的装置
CN101855764B (zh) 用于机动车辆的燃料电池驱动系统
KR101420786B1 (ko) 승차 겸용 다목적 제설자동차
CN106467005A (zh) 用于车辆的气候控制系统
CN105089901A (zh) 车辆加热系统和方法
CN105246718A (zh) 车用空调装置
US9963032B2 (en) Power and drag reduction system
JP2011098710A (ja) 電気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105966189A (zh) 直流快速充电事件期间的乘客舱预调节
CN106252781A (zh) 牵引电池热管理方法和系统
CN107878184A (zh) 一种汽车主动进气格栅
CN108423070A (zh) 一种电池组件及其电动汽车底盘
CN103906639B (zh) 电动汽车的空气调节器
Patel et al. Recent advances in performance enhancement techniques and the perspective of solar energy for automobile air-conditioning system-a critical review
CN206510725U (zh) 一种房车用多功能热循环加热系统
CN203809088U (zh) 一种汽车尾气热能储存转换的装置
DE102009023770A1 (de) Umweltfreundliche Energieautarkie für Elektroautos mit unbegrenzter Fahrstrecke und zwei zusätzlichen innovativen Ideen
CN109968946A (zh) 一种基于新能源复合式空调系统的观光车
CN2858352Y (zh) 车载纳米电子加热供暖系统
CN103628792B (zh) 一种铁路发电车用百叶开闭装置
CN208704169U (zh) 房车用双能源暖风热水一体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