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905B1 -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 Google Patents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905B1
KR101417905B1 KR1020120127697A KR20120127697A KR101417905B1 KR 101417905 B1 KR101417905 B1 KR 101417905B1 KR 1020120127697 A KR1020120127697 A KR 1020120127697A KR 20120127697 A KR20120127697 A KR 20120127697A KR 101417905 B1 KR101417905 B1 KR 101417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men
fermentation
feed
additiv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7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846A (ko
Inventor
최낙진
조상범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7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90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의 발효열을 조절하여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를 저감시키고, 반추위 내 열발생 및 가스발생을 저감시켜 궁극적으로 반추동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반추동물에서 배출되는 지구 온난화 가스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 Feed additive for reducing the stress induced by high ambient temperature of ruminant animal through reduction of rumen fermentation heat and Feed mixed the same }
본 발명은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와 같은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의 발효열을 조절하여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를 저감시키고, 반추위 내 열발생 및 가스발생을 저감시켜 궁극적으로 반추동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반추동물에서 배출되는 지구 온난화 가스의 양을 절감할 수 있는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한 나라이고, 여름철에는 매우 높은 대기 온도를 나타내고 있다.
소와 같은 반추동물이 이처럼 높은 온도에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건물섭취량이 적게는 6%에서 많게는 3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고, 폐사율 증가 및 번식효율 저하 등 다양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고온의 사육환경에서는 소의 체온 상승, 반추위 발효열 증가로 인한 운동성 저하 및 사료의 반추위내 체류시간 증가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사료 영양적 조절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국내외적으로 반추동물의 발효열 조절을 통한 연구는 미비하며, 일부 국외 연구진들에 의하여 고온 조건에서 착유우의 영양소 섭취 및 에너지 균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효모제 첨가를 통한 착유우 체온 저감 연구도 진행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75865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9126호, 등록특허공보 10-0597659호 등에는 반추동물용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가 게재되어 있으나, 반추위의 발효열을 조절하여 체온상승을 억제하고 가스발생을 저감시키는 사료첨가제에 대해서는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발효열을 조절하여 반추동물의 체온을 조절하고, 발효가스의 발생을 줄여 반추위 내 에너지 균형을 높이며, 궁극적으로 비육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은, 보호지방(protected fat), 콜린(choline), 효모제(yeas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연제제(zinc),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시나몬추출물(sinnamon)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호지방 40~60wt%, 콜린 3~7wt%, 효모제 10~15wt%, 아연제제 8~12wt%, 스테비오사이드 8~12wt%, 시나몬추출물 10~15wt%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는, 사료첨가물과 기초사료가 혼합된 반추동물용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물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하나의 사료첨가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사료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사료첨가물 0.05~0.15wt%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발효가스발생을 억제하고, pH를 안정화시키며 또한 반추동물의 체온을 조절하여 고온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반추동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첨가제 조성물 원료들 간의 반추위 발효 성상에 대한 상호작용을 도시한 것으로써, (A) 보호지방-콜린[3시간-pH], (B) 보호지방-효모[3시간-pH], (C) 보호지방-콜린 [9시간-A/P], (D) 보호지방-효모 [9시간-A/P], (E) 보호지방-콜린 [24시간-iso-butyrate], (F) 보호지방-콜린 [24시간-iso-valerat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변수(보호지방, 콜린, 효모)들의 발효가스(배양3시간째) 생성량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도시한 것으로써, 보호지방-콜린(A), 보호지방-효모(B), 콜린-효모(C).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지방과 효모가 반추위 발효 9시간째의 발효가스 생성량에 미치는 상호작용을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tr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acetate(A)와 propionate(B)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tr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butyrate(C)와 valerate(D)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tr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총 휘발성 지방산(E)과 A/P ratio(F)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acetate(A)와 propionate(B)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iso-butyrate(C)와 n-butyrate(D)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iso-valerate(E) 와 n-valerate(F)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의 휘발성 지방산 중 총 휘발성 지방산(G)과 A/P ratio(H)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in vivo 직장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
실시예 1 : 반추위 발효가스 발생 저감을 위한 보호지방, 효모 및 콜린의 최적 비율 도출
1. 실험방법
1) 반추위액의 준비
반추위 캐뉼라 장착 한우 거세우 (체중 350kg내외) 1두를 공시하였으며, 공시축은 하루에 2회 오전(08:00)과 오후(17:30) 시판 TMR사료 및 볏짚 급여하여 사육하였음. 반추위액의 채취는 실험당일 오전 사료 급여 30분 전 채취하여, 채취된 위액은 4겹의 거즈로 여과 후 2L 보온병 (39)에 head space가 없도록 하여 bottle내 산소의 침입을 차단한 상태로 실험실로 운반한 뒤 사용하였다. 실험실로 운반된 반추위액은 CO2로 bubbling하여 pH를 6.5로 보정하였고, McDougall's buffer 용액(Troelsen and Donna, 1966)과 반추위액을 4:1롤 혼합하여 rumen inoculum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위액의 희석 및 여과 전 과정동안 O2 free CO2를 분사하여 위액이 산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혐기상태를 유지하였다.
2) 실험설계
In vitro 발효시험으로 4개 처리구당 3반복으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최적 배합비율 도출을 위한 실험 설계는 부분요인실험설계법(fractional factorial design)중 하나인 Box Behnken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나타난 결과들은 반응표면모형(response surface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은 총 3가지 변수(보호지방, 콜린, 효모)로 하였다.
사료첨가제는, 보호지방, 콜린, 효모 이외에 부형제(아연제제, 스테비오사이드, 시나몬추출물)를 포함하여 100wt%로 구성된다.
상세한 실험설계 및 첨가제들의 혼합비율은 표 1과 같다
3가지 사료첨가제 원료(보호지방, 콜린, 효모)들을 서로 다른 농도로 기초사료(한우 육성우사료 4: 볏짚 6)에 첨가하여 총 15가지의 실험을 구성하였고, 반추위 in vitro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사료첨가제 조성물들에 포함된 원료들의 혼합비율

실험
변수
보호지방 콜린 효모
변수(g)/ 기초사료(1kg)
1 0.1 0.005 0.1
2 1 0.005 0.1
3 0.1 0.1 0.1
4 1 0.1 0.1
5 0.1 0.015 0.05
6 1 0.015 0.05
7 0.1 0.015 0.5
8 1 0.015 0.5
9 0.2 0.005 0.05
10 0.2 0.1 0.05
11 0.2 0.005 0.5
12 0.2 0.1 0.5
13 0.2 0.015 0.1
14 0.2 0.015 0.1
15 0.2 0.015 0.1
3) 분석항목
반추위 발효는 0, 3, 6, 9, 12, 24시간별로 진행하였으며, 발효 성상으로는 발효액의 pH, 휘발성지방산 및 가스발생량을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총 15가지의 서로 다른 사료첨가제 원료 및 그 첨가수준이 반추위 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각 배양시간별 반추위액의 pH, 휘발성지방산 생산량 및 가스발생량은 표 2, 3, 4, 5, 6에서 보는 것과 같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반추위액 발효성상 결과를 바탕으로 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분산분석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회귀모형의 통계 수치를 이용하여 요인들의 효과를 결정하였다. 분산분석결과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 즉 보호지방, 콜린 및 효모 등은 반추위액 발효의 pH에 있어서는 발효 초기인 3시간(P<0.01)과 6시간(P<0.05)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즉 실험에 사용된 3가지 첨가제 원료들은 반추위 in vitro 발효에 있어 발효 초기에만 효과를 나타낸 반면, 그 이후 시간에는 첨가제 원료의 농도수준에 상관없이 서로 유사한 pH 결과를 나타내었다. 휘발성 지방산 생산량에 있어 첨가제 원료들의 다양한 농도수준은 반추위 in vitro 발효시간 9시간째 acetate/propionate 비율(P<0.05), 발효시간 24시간째의 acetate (P<0.01), propionate (P<0.05), iso-butyrate (P<0.05), n-butyrate (P<0.05) 및 iso-valerate (P<0.05) 생성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고, 나머지 휘발성지방산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의 유의적인 효과는 배양 3시간째와 9시간째의 가스발생량에서 나타났다(P<0.05).
여기에서 'P<0.01'이라는 것은, 유의적인 효과가 발생되지 않을 확률이 1%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각 실험들의 시간대별 반추위 발효 pH

실험
발효시간(Hr)
3 6 9 12 24
1 6.76 6.68 6.62 6.56 6.52
2 6.77 6.7 6.63 6.58 6.55
3 6.78 6.67 6.65 6.59 6.53
4 6.74 6.71 6.65 6.6 6.54
5 6.78 6.71 6.67 6.61 6.56
6 6.81 6.73 6.67 6.65 6.56
7 6.77 6.71 6.68 6.6 6.55
8 6.76 6.72 6.66 6.61 6.55
9 6.75 6.72 6.66 6.62 6.56
10 6.76 6.69 6.66 6.6 6.55
11 6.75 6.7 6.66 6.61 6.57
12 6.77 6.69 6.65 6.61 6.55
13 6.81 6.72 6.69 6.63 6.56
14 6.82 6.71 6.66 6.63 6.56
15 6.81 6.73 6.67 6.64 6.55
회귀모형의 유의성1 ** * NS NS NS
1회귀모형의 유의성이란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의 효과에 대한 확률을 의미함 (NS, 유의성없음; *, P<0.05; **, P<0.01).

각 실험들의 반추위 발효 3시간째의 휘발성 지방산 생성특징

실험

휘발성지방산1
AP
ratio2
Total
VFA
C2 C3 iC4 nC4 iC5 nC5
1 14.45 7.42 0.28 4.29 0.61 0.79 1.95 27.84
2 17.81 9.10 0.37 5.28 0.80 1.01 1.96 34.37
3 12.74 6.55 0.25 3.74 0.54 0.69 1.95 24.52
4 16.39 8.40 0.32 4.79 0.62 0.87 1.95 31.40
5 16.91 8.74 0.35 4.97 0.71 0.92 1.93 32.60
6 10.39 5.28 0.22 3.12 0.50 0.62 1.97 20.14
7 11.85 6.10 0.23 3.52 0.51 0.65 1.94 22.87
8 11.63 5.98 0.23 3.45 0.45 0.64 1.95 22.39
9 11.76 6.02 0.23 3.49 0.51 0.64 1.95 22.64
10 15.59 7.95 0.32 4.64 0.69 0.87 1.96 30.06
11 13.48 6.93 0.27 4.05 0.58 0.74 1.95 26.05
12 18.27 9.35 0.37 5.46 0.80 1.00 1.95 35.26
13 17.76 9.10 0.37 5.34 0.77 0.97 1.95 34.31
14 12.98 6.78 0.28 3.95 0.64 0.76 1.91 25.39
15 17.20 9.28 0.37 5.15 0.77 0.93 1.85 33.70
유의성3 NS NS NS NS NS NS NS NS
1. C2, acetic acid; C3, propionic acid; iC4, iso-butyric acid; nC4, normal butyric acid; iC5, iso-valeric acid; nC5, normal valeric acid
2. Acetate to propionate ratio
3. 유의성이란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의 효과에 대한 확률을 의미함 (NS, 유의성없음; *, P<0.05; **, P<0.01).

각 실험들의 반추위 발효 9시간째의 휘발성 지방산 생성특징

실험
휘발성지방산1 AP
ratio2
Total
VFA
C2 C3 iC4 nC4 iC5 nC5
1 23.22 11.45 0.51 6.36 1.24 1.17 2.03 43.95
2 25.19 13.40 0.57 7.25 1.09 1.25 1.88 48.75
3 22.58 11.50 0.51 6.35 1.10 1.13 1.96 43.16
4 24.09 12.41 0.60 7.26 1.27 1.28 1.94 46.90
5 26.87 13.91 0.63 8.07 1.32 1.44 1.93 52.25
6 21.58 11.78 0.51 6.33 0.98 1.14 1.83 42.32
7 21.77 11.28 0.50 6.28 1.16 1.16 1.93 42.16
8 25.44 13.60 0.62 7.63 1.37 1.42 1.87 50.07
9 27.04 13.63 0.63 7.76 1.49 1.48 1.98 52.03
10 25.51 13.73 0.61 7.77 1.18 1.34 1.86 50.15
11 18.73 9.76 0.44 5.77 1.04 1.00 1.92 36.74
12 25.24 13.32 0.65 7.76 1.43 1.43 1.90 49.83
13 24.28 13.22 0.58 7.66 1.28 1.39 1.84 48.40
14 23.91 13.45 0.56 7.33 1.10 1.31 1.78 47.66
15 24.41 13.21 0.56 7.91 1.24 1.35 1.85 48.68
유의성3 NS NS NS NS NS NS * NS
1. C2, acetic acid; C3, propionic acid; iC4, iso-butyric acid; nC4, normal butyric acid; iC5, iso-valeric acid; nC5, normal valeric acid
2. Acetate to propionate ratio
3. 유의성이란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의 효과에 대한 확률을 의미함 (NS, 유의성없음; *, P<0.05; **, P<0.01).

각 실험들의 반추위 발효 24시간째의 휘발성 지방산 생성특징

실험
휘발성지방산1 AP
ratio2
Total
VFA
C2 C3 iC4 nC4 iC5 nC5
1 35.29 16.67 0.96 9.50 2.21 1.91 2.12 66.54
2 33.43 16.63 0.96 9.88 2.06 1.98 2.01 64.94
3 36.41 17.20 1.00 9.40 2.30 1.88 2.12 68.19
4 30.46 15.88 0.81 8.83 1.70 1.69 1.92 59.38
5 31.48 15.60 0.84 9.63 1.97 1.85 2.02 61.36
6 34.89 17.55 1.06 10.30 2.33 2.17 1.99 68.30
7 25.96 12.92 0.71 7.26 1.68 1.48 2.01 50.01
8 27.86 13.71 0.75 7.59 1.73 1.64 2.03 53.27
9 34.27 16.26 0.97 10.15 2.21 2.03 2.11 65.89
10 34.95 17.49 1.06 9.97 2.32 2.17 2.00 67.96
11 27.51 13.06 0.79 7.69 1.90 1.65 2.11 52.60
12 33.23 16.94 0.91 9.40 1.87 1.85 1.96 64.21
13 34.08 17.27 0.96 9.48 2.07 1.91 1.97 65.76
14 35.33 17.64 1.06 9.86 2.31 2.22 2.00 68.42
15 35.51 17.28 0.99 9.48 2.29 2.10 2.05 67.66
유의성3 ** * * * * NS NS NS
1. C2, acetic acid; C3, propionic acid; iC4, iso-butyric acid; nC4, normal butyric acid; iC5, iso-valeric acid; nC5, normal valeric acid
2. Acetate to propionate ratio
3. 유의성이란 실험에 사용된 변수들의 효과에 대한 확률을 의미함 (NS, 유의성없음; *, P<0.05; **, P<0.01).

각 실험들의 시간대별 반추위 발효가스 발생량 (mL)

실험
발효시간(Hr)
3 6 9 12 24
1 27 50 73 83 106
2 28 54 65 78 93
3 29 55 66 79 87
4 26 49 63 80 95
5 17 39 50 65 87
6 16 35 40 55 90
7 16 37 43 64 89
8 20 41 53 63 90
9 27 53 68 75 101
10 27 50 64 77 102
11 27 49 60 74 96
12 25 48 60 76 94
13 15 39 45 63 85
14 14 36 46 61 84
15 14 37 45 58 85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산분석의 회귀모형에서 유의성을 나타낸 항목들에 대하여 반응표면모형을 근사화 시켰고, 그 결과 발효시간 3시간째의 pH 변화에 있어서 보호지방과 콜린(P<0.05) 그리고 보호지방과 효모(P<0.05)에서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발효시간 6시간째의 pH에 있어서는 각 첨가제 원료들간의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발견되지 않았다(P>0.05). 발효시간 9시간때의 acetate/propionate 비율에 있어서는 보호지방과 콜린 간의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5). 발효시간 24시간때의 iso-butyrate 생성량에 있어 보호지방과 콜린간의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고(P<0.05), 같은 시간때의 iso-valerate에서도 보호지방과 콜린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P<0.05). 이에 반추위 발효액의 pH와 휘발성지방산 생성에 유의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낸 첨가제 원료들 간의 상호작용 형태를 등고선 그림으로 나타낸 결과 도 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vitro 반추위 발효 3시간때의 pH는 모두 등고선 그림의 중앙부에서 가장 높았으며(도1-(A),(B)), 이것은 실험에 사용된 보호지방과 콜린 및 효모 각각의 농도가 절반정도로 혼합되었을 때에 반추위 pH 안정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추위 발효 9시간때의 acetate/propionate 비율 또한 pH에 대한 효과와 같이 그림의 중앙부위에 효과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림의 중앙부위, 즉 보호지방과 콜린 및 콜린과 효모제가 각각 실험에 사용된 농도범위의 절반정도로 혼합되었을 때에 acetate/propionate 비율이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Acetate와 propionate의 비율이 낮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propionate의 생성비율이 높음을 시사하고, 일반적으로 propionate의 생성비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반추위내 메탄 생성비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추위내 메탄생성율의 감소는 반추위내 에너지 효율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iso-butyrate와 iso-valerate는 보호지방을 사료에 0.5 g/kg의 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시 발생하는 발효가스에 대한 변수들의 유의적인 효과의 분산분석결과는 표 7과 8에서 보는 것과 같다. 반추위 발효가스는 발효효율을 나타냄과 동시에 열생산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발효가스의 절감은 열생산의 저감에도 효과가 있게된다.
변수들이 반추위 발효 3시간째의 발효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산분석
항목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 F값 P값
회귀모형 9 485.873 53.986 145.12 <0.001
선형모형 3 91.971 1.791 4.82 0.062
2차모형 3 377.095 126.926 341.20 <0.001
상호작용 3 16.807 5.602 15.06 0.006
잔차오차 5 1.860 0.372
적합성결여 3 1.193 0.398 1.19 0.486
순수오차 2 0.667 0.333
총합 14 487.733
변수들이 반추위 발효 9시간째의 발효가스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산분석
항목 자유도 제곱합 평균제곱 F값 P값
회귀모형 9 1563.14 173.682 111.46 <0.001
선형모형 3 198.68 9.480 6.08 0.04
2차모형 3 1202.59 444.911 285.51 <0.001
상호작용 3 161.88 53.958 34.63
잔차오차 5 7.79 1.558 0.126
적합성결여 3 7.12 2.375 7.12
순수오차 2 0.67 0.333
총합 14 1570.93
총 3가지의 원료들이 반추위 발효가스에 미치는 영향을 반응표면모형으로 근사화시켰고, 그 결과는 표 9와 표 10에서 보는 것과 같다.
보호지방, 콜린 및 효모의 비율이 반추위 발효 3시간째의 발효가스 생성량에
대한 효과의 반응표면모형 근사화 결과 및 확률값
항목 계수 계수의 표준오차 T 값 P값
상수 -8.6251 1.4836 -5.814 0.002
보호지방(A) 0.2796 0.2656 1.053 0.341
콜린(B) -0.7830 0.2647 -2.958 0.032
효모(C) 0.3024 0.2656 1.139 0.306
A2 4.2009 0.9295 4.520 0.006
B2 31.1766 0.9773 31.901 <0.001
C2 1.6246 0.9295 1.748 0.141
AB -0.7142 0.2514 -2.841 0.036
AC 1.1224 0.2523 4.449 0.007
BC -0.6563 0.2514 -2.611 0.048
결정계수: 99.6%
보호지방, 콜린 및 효모의 비율이 반추위 발효 9시간째의 발효가스 생성량에
대한 효과의 반응표면모형 근사화 결과 및 확률값
항목 계수 계수의 표준오차 T 값 P값
상수 1.0274 3.0365 0.338 0.749
보호지방(A) 1.0581 0.5436 1.946 0.109
콜린(B) -0.8500 0.5417 -1.569 0.177
효모(C) 1.6895 0.5436 3.108 0.027
A2 9.7104 1.9024 5.104 0.004
B2 57.9463 2.0002 28.970 <0.001
C2 -1.0250 1.9024 -0.539 0.613
AB 0.9882 0.5145 1.921 0.113
AC 5.2533 0.5163 10.174 <0.001
BC 1.0046 0.5145 1.952 0.108
결정계수: 99.6%
반응표면모형을 근사화시키고, 결정된 계수들의 확률값을 분석한 결과, 발효시간 3시간째에는 모든 3가지 변수들에서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발견되었다. 이에 3가지 변수들의 상호작용을 등고선 도면으로 나타낸 결과 도 2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발효시간 9시간째에는 보호지방과 효모에서 유의적인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에 보호지방과 효모간의 상호작용을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나타내었다.
도 2과 도 3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반추위 발효가스 생성량을 저감하여 궁극적으로 반추위 발효열 생성 감소를 유도할 수 있는 사료첨가제 원료(보호지방, 콜린, 효모)들의 최적 첨가비율로 보호지방 0.5 g/kg, 콜린 0.05 g/kg 및 효모 0.125 g/kg 을 산출 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표 11과 같이 최종적으로 반추위 발효열 저감용 사료첨가제를 개발하였다. 표 11에서 나타난 보호지방, 콜린 및 효모 외에 다른 성분들은 반추동물의 사료섭취량에 관여하는 것으로 별도로 첨가하여 최종 사료첨가제용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첨가제 배합 비율
성분 함량(%)
choline 5
yeast 12.5
protected fat 50
zinc 10
stevioside 10
cinnamon 12.5
총합계 100
실시예 2: In vitro 반추위 발효를 이용한 도출된 최적 비율로 제조된 사료첨가제의 첨가 수준별 발효효율 분석을 통한 최적 첨가수준 결정
1. 실험방법
1) 공시축
반추위 캐뉼라 장착 한우 거세우 (체중 350kg내외) 1두를 공시하였으며, 공시축은 하루에 2회 오전(08:00)과 오후(17:30) 시판 농후사료, 볏짚 급여하였다.
2) 반추위액 채취
실험당일 오전 사료 급여 30분 전 채취하여, 채취된 위액은 4겹의 거즈로 여과 후 2L 보온병 (39)에 head space가 없도록 하여 bottle내 산소의 침입을 차단한 상태로 실험실로 이송하여 사용하였다.
3) 공시재료
시험사료는 농후사료(안심한우)와 오차드그라스를 6:4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사료의 화학성분 함량은 표 12에서 보는 것과 같다. 시험구 배치에 관하여 대조구는 아무런 첨가제도 혼합하지 않은 시험구이며, 처리구는 첨가제 복합제를 4개의 수준으로 첨가시킨 시험구를 사용하였다. 시험구별 첨가제 첨가수준은 표 13에서 보는 것과 같다.

시험사료의 화학적 성분(%)
Orchard grass 농후사료(안심한우)
수분 7.08 4.54
조단백질 7.22 13.25
조지방 1.64 4.04
조섬유 30.86 10.27
조회분 6.77 6.40
첨가제 조성 비율

C(대조구)
처리구
T1 T2 T3 T4
볏짚 0.3g 0.3g 0.3g 0.3g 0.3g
농후사료 0.2g 0.2g 0.2g 0.2g 0.2g
사료첨가제 0 0.1% 0.2% 0.5% 1.0%
4) 시험 수행방법
In vitro 발효시험으로 5개 처리구당 3반복으로 48시간 배양하였으며, 배양개시 30분전 반추위액을 CO2로 bubbling하여 pH를 6.5로 보정하고 McDougall's buffer solution(Troelsen and Donna, 1966)과 반추위액을 4:1롤 혼합하여 rumen inoculum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위액의 희석 및 여과 전 과정동안 O2 free CO2를 분사하여 위액이 산소에 노출되지 않도록 혐기상태를 유지하였다.
5) 분석항목
각 발효 시간별로 반추위 발효액의 pH, 암모니아, 휘발성지방산 및 총 발효가스 생성량을 분석하였다.
2. 실험결과
1)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in vitro 반추위 발효 pH에 미치는 영향
시험 사료의 in vitro 발효시간에 따른 처리구별 pH는 표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초기에는 다소 높은 경향을 보이다가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반추위 미생물활동에 부(-)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첨가제의 사료내 첨가가
반추위 in vitro 발효 pH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배양시간

대조구(C)

처리구
평균의
표준오차
T1 T2 T3 T4
0 7.47a1 7.62b 7.92c 7.92c 7.92c 0.054
2 7.33b 7.28a 7.47c 7.46c 7.46c 0.022
4 7.17a 7.17a 7.30b 7.32b 7.35c 0.019
6 7.03a 7.12b 7.17c 7.23d 7.26d 0.021
8 6.98a 7.07b 7.13c 7.18d 7.26e 0.020
12 6.85a 6.99bc 6.97b 7.02c 7.10d 0.017
24 6.78a 6.85a 6.91a 6.78a 6.78a 0.030
48 6.65a 6.78ab 6.94bc 7.18c 7.03bc 0.064
1서로 다른 윗첨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나타낸다(P<0.05).
2)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tro 발효 가스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시험사료의 in vitro 발효시간에 따른 Gas 발생량은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첨가 시험구(대조구)와 복합제제 0.1% 처리구(T1)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이는 반추위 미생물 활동 적정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반추위 발효정도를 일정부분 저하시킴으로서 반추위 발효열 감소의 가능성으로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첨가제의 사료내 첨가가
반추위 in vitro 발효 gas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배양시간

대조구(C)
처리구 평균의
표준오차
T1 T2 T3 T4
2 9.67c1 10.00c 8.00b 6.00a 5.00a 0.556
4 15.00c 14.67c 10.33b 10.00b 8.67a 0.707
6 24.33c 19.67b 16.67a 14.00a 12.33a 1.227
8 36.67b 28.00b 11.00a 15.67a 13.00a 2.903
12 45.33d 36.67c 24.67b 22.67b 18.67a 2.672
24 68.33b 57.67ab 42.00a 54.33ab 43.33a 3.625
48 83.33c 75.33c 49.67b 32.00a 44.33ab 5.458
1서로 다른 윗첨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나타낸다(P<0.05).
3)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tro 발효 암모니아태 질소에 미치는 영향
암모니아 농도는 총 가스발생량의 패턴과 유사하게 조사되었다. 타 수준별 처리구 대비 0.1% 처리구(T1)에서 미생물체단백질 이용효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사료된다.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첨가제의 사료내 첨가가
반추위 in vitro 발효 암모니아태 질소 생성량

배양시간

대조구(C)
처리구 평균의
표준오차
T1 T2 T3 T4
0 3.23b1 3.21b 2.07a 2.40a 2.44ab 0.132
2 1.93a 4.03d 3.39c 2.44b 2.63b 0.125
4 3.05d 2.43c 1.79ab 1.37a 2.14bc 0.112
6 3.36c 2.31b 1.56ab 1.67a 1.86ab 0.115
8 3.32c 2.27b 1.81ab 1.63a 1.88ab 0.107
12 2.92e 1.13d 0.32a 0.51b 0.96c 0.374
24 7.21c 2.29b 0.23a 0.36a 0.17a 0.391
48 14.7c 7.34b 1.52a 1.97a 1.85a 0.838
1서로 다른 윗첨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나타낸다(P<0.05).
4)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tro 발효 휘발성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
① Acetate와 propionate (도 4)
Acetate 생성량은 반추위내 전체 휘발성 지방산의 60 70%가 생성된다고 보고 된 바 있다. acetate는 가용성 섬유소가 발효 될 때 생성되며, 첨가제 급여 수준에 따라 acetate의 경우는 대조구와 T1 처리구가 타 처리구에 유의성 있게 높았고(P<0.05), T2, T3, T4는 낮은 생성량을 보였다. 근내지방 합성원료인 propionate 생성량은 전체 휘발성 지방산의 15 25%가 생성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 특히 사료 내 발효 가능한 조섬유의 함량이 낮고 비구조 탄수화물인 전분이나 당 함량이 높을 시 증가한다. 본 실험의 경우 대조구와 T1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② Butyrate와 valerate (도 5)
Butyrate는 반추위 내의 전체 휘발성 지방산의 12 18%를 차지하고, 반추 동물 체내로 흡수된 후에 지방조직에서 지방산 합성에 사용된다. 전 배양 시간동안 대조구와 T1처리구의 경우 24 h까지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고(P<0.05), 48 h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지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Valerate 생성량은 전 배양시간동안 처리구간 수치가 유사하게 조사되었다.
③ 총 휘발성 지방산과 A/P ratio (도 6)
전 배양기간 동안 총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게 발생하였으며, 뒤이어 T1 처리구에서 많은 생성량을 보였다. 이는 총 발효가스 발생량 패턴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첨가제 수준이 0.1% 이상부터 휘발성 지방산 감소에 직접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며,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 일정부분 억제 효과를 보이며, 동시에 반추위 발효열 감소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측된다. 반추위 내에서 휘발성 지방산의 생성은 미생물에 의해서 탄수화물이 발효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반추위 벽으로 흡수되어 반추동물의 체내에서 에너지원으로 이용 되며, 일부는 반추위 내 미생물 성장 및 미생물 태 단백질 합성에도 이용된다. Acetate와 propionate의 비율(AP ratio)이 높으면 발효 가능한 섬유소함량이 높은 사료가 급여된 것이고, 반면에 AP ratio가 낮으면, 이용 가능한 섬유소 함량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덧붙여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지연 효과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시간은 대략 24시간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도출된 고온 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제의 첨가수준을 적용한 한우 사양효과 검증
1. 시험방법
1) 공시축
반추위 누관 장착 거세한우 4두를 사용하였다.
2) 공시재료
실시예2의 결과에 근거하여 0.1%의 첨가제, 오차드 그라스 및 시판 농후사료(농협 안심한우)를 급여하였다.
3) 시험 수행방법
4x4 라틴방각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13일 적응기간+1일 시료채취 및 측정기간). 실험설계는 표 17에서 보는 것과 같다.
표 17에서 '조'는 조사료를 의미하고, '농'은 농후사료를 의미한다.
실험설계
시험
구간
첨가제 무첨가 첨가제 0.1% 첨가
T1 처리구
[조:농(6:4)]
T2 처리구
[조:농(4:6)]
T3 처리구
[조:농(6:4)+첨가제]
T4 처리구
[조:농(4:6)+첨가제]
1 공시축 1 공시축 2 공시축 3 공시축 4
2 공시축 2 공시축 3 공시축 4 공시축 1
3 공시축 3 공시축 4 공시축 1 공시축 2
4 공시축 4 공시축 1 공시축 2 공시축 3
5) 측정항목
장착된 누관을 통하여 반추위액을 채취하였고, 반추위 발효성상(pH, NH3-N, VFA)을 측정하였다. 또한 부위별 체열(반추위 내, 직장)을 측정하였다.
6) 고온 조건의 유지
최근 7년간 국내 하절기 전국평균 습도 적용(67.4%)를 참고하여 항온항습설비를 이용하여 습도는 68 ~ 70% 온도는 28 ~ 30도를 유지하였고 온습도 체크는 사료 급여시간에 맞추어 하루 2회 체크하였다.
7) 공시축 관리
적응기간동안 각각의 조농비율과 첨가제 유무의 처리구에 따라 하루 8kg의 사료를 2회(09:30, 17:00)로 나누어 급여 하였다.
8) 부위별 체열 측정
반추위 내에 방수가 가능한 소형 온도측정기를 적응기간 마지막 날 저녁 사료 급여시간(17:00)에 3개씩 삽입하여 24시간 측정 하였고, 직장온도는 샘플 채취 당일 오전 사료 급여시간 기준으로 -1, 0, 2, 4 및 6 시간에 3회씩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1)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 pH, Gas, 암모니아태 질소,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반추위 및 직장 온도, 사료섭취량, 분뇨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처리구 간 in vivo 발효시간에 따른 pH변화는 표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pH 6.26.5 범위 내에서 조사되었고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다(P<0.05). 이는 반추위 미생물의 활동 적정범위(pH 5.87.2)에 속하고 미생물 발효성상에 부(-)의영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암모니아태 질소는 중요한 질소원이며, 반추위 미생물의 성장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표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T2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고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P<0.05).
각 개체 간 조사료, 농후사료, 첨가제의 유무를 다르게 설정하여 반추위 in vivo 발효 패턴 분석을 수행한 후에 반추위 발효액에서 나타난 휘발성 지방산(Volatile fatty acid, VFA) 생성량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표 18을 보는 바와 같다.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첨가제가 반추위 in vivo 발효 pH,
NH3-N 농도, VFA 생성량, 반추위 및 직장 온도, 사료섭취량, 분뇨 발생량
처리구 통계분석
처리
구간의
효과
(P 값)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
첨가제
첨가여부
조농비율과
첨가제 사용의
상호관계
T1
(6:4-)
T2
(4:6-)
T3
(6:4+)
T4
(4:6+)
6:4
vs 4:6

+ vs. -
pH 6.45 6.32 6.46 6.25 0.0070 0.0009 0.55 0.3974
암모니아태질소 6.88 4.07 5.99 6.45 0.0072 0.0503 0.2113 0.0073
휘발성지방산(mM)
Acetate 60.30 59.96 64.47 56.14 0.0261 0.0239 0.9245 0.0368
Propionate 13.50 13.90 14.35 16.40 0.0011 0.0218 0.0022 0.1199
iso-Butyrate 0.78 0.74 0.71 0.62 0.0886 0.1451 0.0436 0.5211
n-Butyrate 9.21 9.90 9.55 9.81 0.1128 0.9344 0.2532 0.0308
iso-Valerate 0.98 1.13 1.03 1.01 0.1149 0.1468 0.4605 0.0671
n-Valerate 0.88 1.06 0.86 1.75 0.0001 0.0001 0.0008 0.0005
total VFA 85.65 86.70 90.98 84.73 0.3265 0.3116 0.5120 0.1573
AP ratio 4.53 4.40 4.55 3.68 0.0001 0.0001 0.0043 0.0022
온도()
직장 38.33 38.63 38.31 38.21 0.0001 0.2350 0.0089 0.0040
반추위 39.47 39.48 39.23 39.28 0.0001 0.4494 0.0001 0.6583
사료섭취량
(kg/일)
7.98 7.92 7.95 7.78 0.68 0.53 0.37 0.65
분배출량(kg) 10.61 9.42 11.06 9.39 0.41 0.80 0.12 0.77
뇨배출량(L) 8.32 7.09 9.46 4.73 0.18 0.76 0.18 0.40
2)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in vivo 반추위 발효 휘발성 지방산에 미치는 영향
① Acetate와 propionate (도 7)
각 처리구 수준에 따라 acetate의 경우 6:4(첨가제 첨가)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실험의 경우 6:4(첨가제 무첨가), 4:6(첨가제 무첨가) 처리구는 낮은 propionate함량을 나타냈으며, 6:4(첨가제 첨가) 처리구는 2시간대 유의성 있게 높았다.
② iso-butyrate와 n-Butyrate (도 8)
무첨가 처리구에 비해 첨가 처리구가 낮게 생성되었지만 유의성은 없었다(P>0.05). 이에 덧붙여 첨가제 첨가 유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p<0.05). n-butyrate는 비슷한 생성량을 보이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05).
③ iso-valerate와 n-valerate (도 9)
iso-valaerate는 iso-butyrate와 유사한 생성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n-valerate의 생성량은 나머지 처리구에 비해 T4 4:6(첨가제 첨가)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에 덧붙여 조농 비율, 첨가제의 유무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진다(P<0.05).
④ 총 휘발성 지방산과 A/P ratio (도 10)
Total VFA production은 acetate, propionate, n-butyrate의 성상과 비슷하게 나타내었다. T3 6:4(첨가제 첨가)처리구가 높게 나타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는다(P>0.05).
3)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반추위 in vivo 발효 온도에 미치는 영향 (도 11)
도 11은 각 처리구당 반추위내 발효 온도를 나타낸 사진으로, T2는 초반온도가 40.2까지 올라가는 반면, T4 처리구는 온도가 낮게 나타났다. 표 18을 참고하여 첨가제 급여시 무첨가 처리구에 비해 반추위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4) 한우 고온스트레스 저감형 최적사료가 in vivo 직장 온도에 미치는 영향 (도 12)
반추위 온도와 직장온도에서 첨가제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일련의 실시예를 통하여 반추동물의 고온 스트레스 저감을 위하여 보호지방, 콜린 및 효모를 혼합하여 사료첨가제를 제조할 시의 각각 원료들의 최적배합비율로는 보호지방 50wt%, 콜린 5wt% 및 효모 12.5wt%로 나타났다.
일련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 최적조성을 포함하여 아연제제 10wt%, 스테비오사이드 10wt% 및 시나몬추출물 12.5wt%를 혼합하여 최적의 반추동물 고온 스트레스 저감용 조성물을 완성하였고, 개발된 첨가물을 반추동물의 사료에 0.1wt%, 0.2wt%, 0.5wt% 및 1.0wt% 수준으로 혼합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형태를 조사한 결과 0.1wt% 첨가구에서 반추위 발효에 큰 저해현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사료첨가용 조성물의 최적 사용 수준을 0.1wt%로 결정하였다.
일련의 실시예를 통하여 개발된 반추동물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제를 사료에 0.1wt% 첨가하여 거세 한우를 대상으로 사양실험을 수행한 결과 직장온도가 대조구인 무첨가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개발을 통하여 얻어진 사료첨가제 조성물은 반추동물의 체온 조절의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인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4)

  1. 보호지방(protected fat) 40~60wt%, 콜린(choline) 3~7wt%, 효모제(yeast) 10~15wt%, 아연제제(zinc) 8~12wt%,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8~12wt%, 시나몬추출물(sinnamon) 10~15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2. 사료첨가물과 기초사료가 혼합된 반추동물용 사료에 있어서,
    상기 사료첨가물은,
    보호지방(protected fat) 40~60wt%, 콜린(choline) 3~7wt%, 효모제(yeast) 10~15wt%, 아연제제(zinc) 8~12wt%,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8~12wt%, 시나몬추출물(sinnamon) 10~15wt%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기초사료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사료첨가물 0.05~0.15wt%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
  4. 삭제
KR1020120127697A 2012-11-12 2012-11-12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KR101417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697A KR101417905B1 (ko) 2012-11-12 2012-11-12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7697A KR101417905B1 (ko) 2012-11-12 2012-11-12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846A KR20140060846A (ko) 2014-05-21
KR101417905B1 true KR101417905B1 (ko) 2014-07-10

Family

ID=5089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697A KR101417905B1 (ko) 2012-11-12 2012-11-12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90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41A (ko) 2016-11-28 2018-06-08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온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049881B1 (ko) 2018-07-16 2019-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애플박 및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의 위궤양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220032485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에리스리톨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220170708A (ko) 2021-06-23 2022-12-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우로우루소디옥시콜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열 보조제
KR20240077094A (ko) 2022-11-24 2024-05-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고온 스트레스 저감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42397A (zh) * 2021-03-03 2021-07-23 武汉市农业科学院 一种用于缓解牛热应激的复合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937A (ja) * 2002-03-11 2003-09-25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動物栄養物に飼料添加物としてコリン酸を使用する方法
KR100491165B1 (ko) * 2003-05-23 2005-05-24 대한민국 고온 스트레스 저감용 젖소용 첨가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937A (ja) * 2002-03-11 2003-09-25 Nutrinova Nutrition Specialties & Food Ingredients Gmbh 動物栄養物に飼料添加物としてコリン酸を使用する方法
KR100491165B1 (ko) * 2003-05-23 2005-05-24 대한민국 고온 스트레스 저감용 젖소용 첨가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441A (ko) 2016-11-28 2018-06-08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당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온 스트레스를 저감하기 위한 가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2049881B1 (ko) 2018-07-16 2019-11-2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인애플박 및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의 위궤양 개선 또는 예방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KR20220032485A (ko) 2020-09-07 2022-03-15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에리스리톨을 함유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KR20220170708A (ko) 2021-06-23 2022-12-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타우로우루소디옥시콜릭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열 보조제
KR20240077094A (ko) 2022-11-24 2024-05-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고온 스트레스 저감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846A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ldes et al. Influence of exogenous enzymes in presence of Salix babylonica extract on digestibility, microbial protein synthesis and performance of lambs fed maize silage
KR101417905B1 (ko)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JP2022511565A (ja) 新規組成物
CN102106453B (zh) 一种利用甘蔗稍发酵生产畜禽饲料的方法
CN105831433B (zh) 一种葡萄籽原花青素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795499B1 (ko) 락토바실러스 균주 조합을 이용한 반추동물용 발효 완전배합사료
KR102331867B1 (ko) N-아세틸-l-트립토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축우용 사료첨가제
Donaldson et al. Feeding value of silage: silages made from freshly cut grass, wilted grass and formic acid treated wilted grass
KR20110119370A (ko)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Arreola et al. prickly pear cladodes
KR20150109516A (ko)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료물
JP4838877B2 (ja) 泌乳牛用発酵飼料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得られる泌乳牛用発酵飼料
Kubelková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treated amaranth seeds on fermentation parameters in an artificial rumen.
Abrams et al. Preservation of wet distillers grains and its value as a protein source for growing ruminants
KR101337882B1 (ko) 영양소급여량 조절을 통한 메탄생성 저감방법 및 고급육 생산방법
CN115176907A (zh) 一种反刍动物用发酵饲料及其制作方法
Ren et al. Effects of tributyrin supplementation on short-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 fibrolytic enzyme activity,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thanogenesis in adult Small Tail ewes
Wilk et al. In vitro rumen methanogenesis and fermentation profile of sorghum whole crop cereal and bagasse ensilaged with inoculum Lactobacillus buchneri
Kour et al. Effect of urea, biological inoculant, molasses and Fiber degrading enzyme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of Paddy straw silage
Van et al. Use of groundnut foliage (Arachis hypogaea L.) in the cattle diet in Dak Lak province, Central Highlands of Vietnam
CN109197759A (zh) 一种生产营养鸡蛋的蛋鸡养殖方法
CN115553384B (zh) 一种植物提取物调控剂在促进瘤胃丙酸型发酵及肉牛抗热应激中的应用
KR20140067841A (ko) 반추동물 반추위 발효가스 생성 절감을 위한 식물 추출물 복합제 및 그의 용도
US20240188588A1 (en) Ruminant Feed Supplement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Enteric Methane
KR101273915B1 (ko) 무산소 섬유질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