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370A -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370A
KR20110119370A KR1020100039034A KR20100039034A KR20110119370A KR 20110119370 A KR20110119370 A KR 20110119370A KR 1020100039034 A KR1020100039034 A KR 1020100039034A KR 20100039034 A KR20100039034 A KR 20100039034A KR 20110119370 A KR20110119370 A KR 20110119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minants
feed
feed composition
methan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3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9370A/ko
Publication of KR2011011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hydrolysates of wood or stra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농후사료 35 ~ 45 중량%, 티모시 35 ~ 45 중량% 및 볏짚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은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최적 혼합비를 통해 제조한 사료조성물을 반추동물에게 급여함으로써 반추동물이 방출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Feed composition against greenhouse gases produced by the rumen of ruminants and method for breeding ruminants}
본 발명은 반추동물이 방출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기 중 온실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지구의 평균기온은 20세기 동안 약 0.6도 상승했으며, 2100년에는 2000년 대비 1.4 ~ 5.8도 상승되고, 해수면은 최대 88㎝ 상승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기타 사막화, 가뭄, 홍수, 태풍 등 기상이변이 번번이 발생되는 등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다(IPCC, 2000). 특히, 메탄은 이산화탄소와 함께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이며, 이산화탄소에 비해 온실효과 능력이 약 30배나 더 높아 지구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축산분야에서도 반추동물의 장내발효에 의한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생성에 관한 연구가 본격화 되고 있다. 전 세계 기준으로 볼 때 농업 특히 반추동물에 의한 메탄배출량이 전체 매탄발생량의 15%를 차지하고, 우리나라에서 농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량은 국내 전체 배출량의 2.5%(14.7백만 CO2톤)으로 그 중 39%(5.7백만 CO2톤)가 축산 분야에서 발생되며 반추동물의 장내발효에서 메탄이 20.2% 발생하고 있어 국제적 협약으로 배출감축 요구에 따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반추동물이 섭취한 사료는 반추위에서 반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최종 분해산물로써 휘발성 지방산, 수소, 이산화탄소, 암모니아 등이 생산된다. 이와 같은 발효산물들 중 휘발성 지방산이나 암모니아 등은 반추가축이나 반추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결국 가축의 생산성에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이산화탄소와 수소는 발효의 가장 마지막 단계에서 메탄 생성 박테리아에 의해 메탄으로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메탄은 체내에서 전혀 흡수되지 못하고 대기로 방출되어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요 지구온난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등 대기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메탄은 반추위에서 생산되는 총 가스의 25 ~ 30%를 차지하며, 사양조건에 따라 섭취된 에너지의 2 ~ 15%정도가 메탄가스로 손실되고 있으며(Johnson 등, 1991; Holter & Young, 1992), 세계적으로는 연간 가축에 의한 메탄 배출량이 80Tg정도로 추산되며 이중 85% 정도가 반추가축의 장내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기구인 정부 간 협의회(IPCC)의 설립과 함께 온실 가스 배출 감축에 대한 구체적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 동안 반추동물의 메탄 발생억제를 위한 여러 첨가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메탄 억제를 위한 첨가제들은 불포화지방산, 지반, 질산 등 메탄생성 대신 수소를 이용할 수 있는 화합물군과 이오노포어(ionophore)나 할로겐 화합물과 같이 메탄생성 박테리아에 독성을 갖고 있는 화합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각각의 메탄 억제 물질들이 메탄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질산의 첨가는 반추위내에서 아질산염(nitrite)로 전환되어 동물의 체내로 흡수될 경우 세포에 필요한 산소의 공급이 부족하게 될 수 있으며, 이오노포어의 첨가는 장기간 투여에 의하여 메탄 생성균이 적응을 하게 되어 메탄생성 억제 효과가 감소한다는 문제점들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반추동물의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반추 동물영양학의 근간을 이루어 왔으며 여러 측면에서 방대하게 수행되어져 왔지만 주로 사양 체계의 조절에 의한 방법에 의존되어 왔으며 그 효과 또한 뚜렷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반추 미생물학과 효소공학, 생명공학 및 유전자공학 등의 눈부신 발전으로 반추위내 발효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에너지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메탄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산업화가 여러 측면에서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반추위내 발효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메탄 및 이산화탄소의 생성량을 감소시켜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뚜렷한 온실가스 억제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료급여수준 및 종류별로 호흡대사 과정 중에서 생산된 온실가스 발생량을 측정하여 온실가스 저감형 사료 및 사양체계를 구축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추동물이 방출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후사료 35 ~ 45 중량%, 티모시 35 ~ 45 중량% 및 볏짚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옥수수, 소맥, 단백피, 대두박, 비타민 및 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후사료 50 ~ 70 중량% 및 볏짚 또는 사일리지 30 ~ 50 중량%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옥수수, 소맥, 단백피, 대두박, 비타민 및 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료조성물을 오전 9시 및 오후 5시에 급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을 반추동물의 체중 1㎏당 1 ~ 1.5 중량%의 양으로 급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은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최적 혼합비를 통해 제조한 사료조성물을 반추동물에게 급여함으로써 반추동물이 방출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반추동물에게서 방출되는 지구온난화 및 대기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실가스 측정방법을 모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 분석기와 챔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후사료와 볏짚을 급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후사료, 티모시 및 볏짚을 급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후사료와 사일리지를 급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후사료와 볏짚을 급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메탄가스의 발생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후사료, 티모시 및 볏짚을 급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메탄가스의 발생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농후사료와 사일리지를 급여했을 때 시간에 따른 메탄가스의 발생량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최적 혼합비를 통해 제조한 사료조성물을 반추동물에게 급여함으로써 반추동물이 방출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산화탄소, 메탄 등 온실가스의 증가에 따른 지구온난화현상은 가축에 대해서도 여름철 기온상승에 따른 생산성저하, 사료작물 등에 대한 강수량의 변화를 동반하는 양향 등, 축산분야에도 영향을 미치는 한편, 축산으로 기인되는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다고 추측되고 있다.
가축의 장내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메탄가스는 주로 가축의 소화과정에서 생성, 배출되고 한우 및 젖소 등 반추동물이 가장 주요한 배출원이다. 반추가축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배출 저감은“가축개량에 의한 메탄 배출량 감축”, “양질 조사료 급여 확대” 및“반추위 발효조정에 사료 첨가”등의 축산정책 사업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반추동물, 바람직하게는 소의 장내발효 및 호흡대사 시 방출되는 메탄가스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최적 배합비를 찾음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반추동물(ruminants)”은 포유류 소목에 속하는 동물로, 되새김동물이라고도 한다. 낙타과·애기사슴과·사슴과·기린과·소과의 동물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동물들은 제1위 ~ 제4위까지 복위를 지녀, 돼지 등의 단위동물과는 매우 다른 소화구조를 지니는데, 이와 같은 여러 개의 위를 반추위라고 한다. 반추위는 먹은 음식물을 넣어두는 큰 제1위(혹위:rumen)와 벌집과 같은 모양의 벽이 있는 제2위(벌집위:reticulum), 점막이 주름 모양으로 된 제3위(겹주름위:omasum), 위선(胃腺)이 분포된 제4위(주름위:abomasum) 등의 4개 방으로 되어 있다.
제1위는 4방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소의 경우 용량이 150∼200ℓ이며, 복위전체의 약 80%, 소화관 전체의 약 50%를 차지한다. 모든 음식물을 먼저 이곳에 모아두었다가, 이 내용물을 토해내서 40 ~ 60회 정도 씹은 다음 다시 삼키는데, 소는 40 ~ 50분 사이에 이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루 종일 몇 번이고 되풀이한다. 제1위 속에는 많은 세균이 있어서 셀룰로오스를 분해시킨다. 또 이것과는 별도로 어떤 종류의 원생동물이 존재하고 있는데, 이것을 단백질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씹어서 되돌아온 제1위의 내용물은 제2위로 간다.
제2위는 복위 전체의 약 5%로, 소화나 흡수의 기능은 제1위와 거의 유사하다. 제2위에서는 수축이완 운동을 하여 내용물을 제1위로 보내거나 제1위로부터 받아들인다. 이 내용물은 제3위에서 가늘게 부셔져서 제4위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4위에서 비로소 위선으로부터 위액이 분비된다.
반추위에는 세균, 원생동물 및 진균 등의 혐기성 미생물이 다수 서식하고, 발효에 따른 동물이 섭취한 사료의 소화 작용을 한다. 이 반추위 발효과정에서 사료에 많이 포함된 섬유성분(셀룰로오스)은 분해되어, 초산, 프로피온산, 낙산 등의 휘발성지방산과 메탄 등의 가스류가 생성된다. 또한, 사료 중의 단백질의 대부분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암모니아가 되고, 이것을 통해 미생물 단백질이 합성된다. 각종 휘발성지방산은 반추위 점막에서 흡수되고, 미생물단백질은 제3위 이하에서 소화 흡수되어 동물의 유지, 성장, 우유, 고기의 생산에 이용된다.
소, 말, 사슴, 염소와 같이 반추위를 가진 동물이 섭취한 사료는 제1위 내에 체류하는 동안 위의 연동운동에 의해 혼합되어 위 내의 각종 미생물이나 효소의 작용에 의해 발효되어 소화되는데, 전체 사료 중에 섬유질 물질이 적으면 반추위의 물리적인 자극 부족과 반추위내의 급격한 pH 저하로 여러 가지 소화생리 장애가 나타나기 때문에 반추동물(특히 비육우)에게는 농후사료의 급여와 함께 볏짚 등의 조사료 급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온실가스의 발생량을 억제시킬 수 있는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포함하는 사료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농후사료”는 부피가 작고 섬유소의 함량은 낮은 반면, 가용무질소물 등의 가소화양분의 함량이 많아서 가축의 성장이나 축산물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사료를 총칭한다. 통상적으로 옥수수·수수·밀·보리 등의 곡식류, 식물성 기름을 짜고 남은 깻묵류나 쌀겨·보릿겨·밀기울 등과 같은 강피류, 어분 또는 이들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만든 배합사료 등이 이에 속한다. 본 발명에서 농후사료는 바람직하게 옥수수, 소맥, 단백피, 대두박, 비타민, 광물질 등의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분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추동물의 사육 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농후사료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농후사료는 본 발명의 사료조성물에서 많은 중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전체 사료조성물에 대하여 35 ~ 70 중량%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후사료는 조단백 14 중량부 이상, 조지방 2 중량부 이상, 칼슘 0.7 중량부 이상, 인 0.5 중량부 이상, 조섬유 15 중량부 이상, 조회분 10 중량부 이상, TDN 70 중량부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조사료”는 비교적 구조 탄수화물의 함량이 높고 부피가 큰 사료로서, 조섬유의 함량이 높고 거칠며 부피가 많은 반면에 값이 싼 편이고 가소화양분이 적게 들어 있는 사료를 말한다. 볏짚, 목초의 생·건초, 산야초의 생·건초, 목초를 포함한 풋베기 작물로 만든 엔실리지와 콩깍지 등의 거친 먹이가 이에 속한다. 건조 상태에서의 조사료는 18% 이상의 조섬유를 함유하고 있으며 소화율이 낮은 편이지만 각종 영양소의 공급원으로서 뿐만 아니라 소화기관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를 위해서도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사료조성물에 첨가되는 조사료로 볏짚, 티모시, 사일리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사료는 전체 사료조성물에 대하여 30 ~ 65 중량%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은 농후사료, 티모시 및 볏짚을 포함하며, 이때, 사료조성물은 농후사료 35 ~ 45 중량%, 티모시 35 ~ 45 중량% 및 볏짚 10 ~ 30 중량%를 포함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탄가스의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은 농후사료 및 볏짚 또는 사일리지를 포함하며, 이때, 사료조성물은 농후사료 50 ~ 70 중량% 및 볏짚 또는 사일리지 30 ~ 50 중량%를 포함하여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일리지는 보리 사일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을 급여하는 대상은 반추동물이며, 바람직하게는 소(한우, 젓소, 육우 등)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사료조성물을 이용하여 반추동물을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료조성물은 오전 9시 및 오후 5시에 두 차례 급여할 수 있으며, 반추동물의 체중 1㎏당 1 ~ 1.5 중량%의 양으로 급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육함으로써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의 배출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은 농후사료와 조사료의 최적 혼합비를 통해 제조한 사료조성물을 반추동물에게 급여함으로써 반추동물이 방출하는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추동물에게서 방출되는 지구온난화 및 대기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총 온실가스 발생량의 측정
본 발명자들은 하기와 같은 재료 및 방법을 이용하여 온실가스의 총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측정한 온실가스의 종류는 이산화탄소(CO2)와 메탄(CH4) 가스이다.
<1-1> 호흡대사 시험을 이용한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측정
가스발생량 측정은 다중 가스검출기 Mamos-300(오스트레일리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호흡시험 개시 전에 메탄, 이산화탄소의 표준가스를 통과시켜 0점과 조정점을 맞춘 후 공기와 챔버 내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고, 동일조건 하에서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12시간 동안 발생량을 계산하였다.
<1-2> NDIR 센서를 이용한 가스측정
이산화탄소와 메탄 등의 가스상 물질들이 적외선에 대해 특정한 흡수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이용하여 특정성분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으로 대기의 오염물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비분산 정필터형 적외선 가스 분석계에 대해 적용한다.
광원에서 방출되는 넓은 파장의 IR 복사선이 광학 섹타(Gas filter wheel)에서 광학필터를 거치며 특정 IR 파장을 불활성기체(질소, 아르곤)가 충전된 기준셀과 시료가 흐르는 시료셀을 번갈아 통과시키게 되는데, 기준셀은 IR 파장이 모두 통과하고 시료셀에서는 가스에 의해 흡수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의 흡수도를 검출기에서 검출하고 변환·증폭하여 농도를 측정하여 메탄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1-3> 시험동물
시험에 사용된 동물은 43개월령의 평균 체중 347.5㎏ 한우 암소를 이용하였다.
<1-4> 시험방법
시험 설계에 따라 각 조합별 대사시험에 공시될 한우에 시험시작 약 2주 간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의 시험사료(농후사료 종류는 동일)를 급여하면서 사료의 종류 및 양에 적응시킨 후, 7일간 예비시험과 7일간 본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의 조성(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농후사료 40 60 40 40 40 60
볏짚 60 40 40 20 - -
티모시 - - 20 40 - -
보리 사일리지 - - - - 60 40
상기와 같은 조성의 사료는 오전 9시와 오후 5시에 2회로 나누어 급여하였고, 물과 미네랄 블록(mineral block)은 자유섭취 하도록 하였다.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12시간 동안 측정한 사료 급여 형태에 따른 시간당 평균 온실가스 발생량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사료급여 형태에 따른 시간당 평균 온실가스 발생량 측정 결과
사료급여 형태 이산화탄소(g/h) 메탄(g/h)
실시예 1 127.36±34.70b 4.11±0.61c
실시예 2 120.45±22.92b 3.13±0.58d
실시예 3 121.71±17.68b 5.08±0.92b
실시예 4 86.60±16.88c 4.60±0.33bc
실시예 5 175.55±20.59a 6.64±1.18a
실시예 6 117.45±22.91b 3.40±0.83d
* a~d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낸 것임(p<0.05).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료의 급여수준 및 조사료의 종류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량은 유의적(p<0.05)인 차이를 각각 나타내었다. 농후사료와 볏짚을 혼합한 사료를 급여한 경우(실시예 1 및 2) 및 농후사료와 사일리지를 혼합한 사료를 급여한 경우(실시예 5 및 6)에는 농후사료의 비율이 높을수록 이산화탄소 및 메탄가스의 발생량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농후사료 비율이 40%일 때는 실시예 5 > 실시예 1 > 실시예 3 > 실시예 4 순으로 각각 가스발생량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각각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에서는 양질의 건초인 티모시를 다량 급여한 처리구(실시예 4)에서 가장 낮은 발생량을 나타내었으며, 메탄은 조사료의 급여수준이 높을 경우에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실시예 5(사일리지와 농후사료의 급여비율이 6:4인 경우)는 이산화탄소와 메탄 모두 가장 높은 발생량을 보였다.
<1-5> 통계분석
시험결과에 대한 모든 분석치들은 각 처리구별로 평균치를 제시하였다. 유의성 분석은 Statstical Analysis System(SAS 9.1 TS level 1M3, 2003)의 General linear model(GL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Duncan의 다중검정에 의해 처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 실시예 2>
시간대별 급여비율 및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량
본 발명자들은 시간대별 급여비율 및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볏짚과 농후사료의 급여를 제외한 각각의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볏짚의 급여량 차이에서는 오전 9시 급여 후 4시간까지 차츰 감소하고, 급여 후 5시간대에서 상호간 차이를 나타내다가 오후 5시 급여 후 1시간 이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도 3 참조). 볏짚과 티모시의 혼합급여 처리구에서는 온실가스 발생량의 차이가 특히 오후 시간대에 가장 크게 나타났다(도 4 참조). 사일리지 급여비율 처리구에서는 이산화탄소 발생패턴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도 5 참조).
< 실시예 3>
시간대별 급여비율 및 종류에 따른 메탄의 발생량
본 발명자들은 시간대별 급여비율 및 종류에 따른 메탄 가스 발생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볏짚과 티모시, 농후사료의 급여를 제외한 각각의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볏짚 급여수준 차이에서는 농후사료 다급 시 시간대별 메탄발생량이 감소하였다(도 6 참조). 이는 농후사료의 다량 급여로 반추위내 pH가 낮아지고 메탄생성박테리아의 성장률이 낮아짐에 따른 섬유소 소화율의 저하,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 발생의 증가 등의 요인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볏짚과 티모시의 혼합급여 처리구에서는 오후 급여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참조). 사일리지 급여수준에 따른 메탄가스 발생량에서는 타 처리구에 비해 시간대별 비교적 일정하게 생성되었고 이산화탄소 발생패턴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 것으로 분석되었다(도 8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농후사료 35 ~ 45 중량%, 티모시 35 ~ 45 중량% 및 볏짚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옥수수, 소맥, 단백피, 대두박, 비타민 및 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3. 농후사료 50 ~ 70 중량% 및 볏짚 또는 사일리지 30 ~ 50 중량%를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농후사료는 옥수수, 소맥, 단백피, 대두박, 비타민 및 광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의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료조성물을 오전 9시 및 오후 5시에 급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료조성물을 반추동물의 체중 1㎏당 1 ~ 1.5 중량%의 양으로 급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KR1020100039034A 2010-04-27 2010-04-27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KR20110119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34A KR20110119370A (ko) 2010-04-27 2010-04-27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34A KR20110119370A (ko) 2010-04-27 2010-04-27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70A true KR20110119370A (ko) 2011-11-02

Family

ID=4539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034A KR20110119370A (ko) 2010-04-27 2010-04-27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937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82B1 (ko) * 2012-09-11 2013-12-06 (주)이푸른 영양소급여량 조절을 통한 메탄생성 저감방법 및 고급육 생산방법
KR20180059136A (ko) 2016-11-25 2018-06-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메탄가스 저감을 위한 질산염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85142A (zh) * 2018-03-09 2018-06-22 天津市畜牧兽医研究所 一种改善生猪消化功能的饲粮及其应用
KR20190136250A (ko) * 2018-05-30 2019-12-10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맥문동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저감용 tmr 사료 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저감 방법
FR3116181A1 (fr) * 2020-11-13 2022-05-20 Tereos France Méthode et composition alimentaire pour réduire la production de méthane chez les ruminants
WO2024011207A1 (en) * 2022-07-08 2024-01-11 Locus Solutions Ipco, Llc Materials and methods for iron capture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882B1 (ko) * 2012-09-11 2013-12-06 (주)이푸른 영양소급여량 조절을 통한 메탄생성 저감방법 및 고급육 생산방법
KR20180059136A (ko) 2016-11-25 2018-06-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반추동물의 반추위 내 메탄가스 저감을 위한 질산염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85142A (zh) * 2018-03-09 2018-06-22 天津市畜牧兽医研究所 一种改善生猪消化功能的饲粮及其应用
KR20190136250A (ko) * 2018-05-30 2019-12-10 경상북도 (관련부서:경상북도축산기술연구소장) 맥문동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저감용 tmr 사료 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저감 방법
FR3116181A1 (fr) * 2020-11-13 2022-05-20 Tereos France Méthode et composition alimentaire pour réduire la production de méthane chez les ruminants
EP4000411A1 (fr) * 2020-11-13 2022-05-25 Tereos France Méthode et composition alimentaire pour réduire la production de méthane chez les ruminants
EP4282276A3 (fr) * 2020-11-13 2024-02-21 Tereos France Méthode et composition alimentaire pour réduire la production de méthane chez les ruminants
WO2024011207A1 (en) * 2022-07-08 2024-01-11 Locus Solutions Ipco, Llc Materials and methods for iron capture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630B1 (ko) 반추가축용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발효사료조성물
CN103156057A (zh) 一种微生物发酵饲料及其生产工艺
KR20110119370A (ko) 반추동물의 온실가스 발생량을 억제시키기 위한 사료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사육방법
KR20160113590A (ko) 반추류의 사료의 효소 조성물의 이용
KR101965417B1 (ko) 피트모스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분뇨의 악취 저감제 조성물
Azizi-Shotorkhoft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molasses on the digestibility, rumen parameters and blood metabolites in sheep fed processed broiler litter
EP1505884B1 (en) Method for reducing methane production emanating from the digestive activities of an animal
CN105831433B (zh) 一种葡萄籽原花青素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795499B1 (ko) 락토바실러스 균주 조합을 이용한 반추동물용 발효 완전배합사료
CN110800870A (zh) 一种优质青贮构树饲料的制备方法
Donaldson et al. Feeding value of silage: silages made from freshly cut grass, wilted grass and formic acid treated wilted grass
KR101417905B1 (ko) 반추위 발효열 조절을 통한 반추동물의 고온스트레스 저감용 사료첨가물 및 이것이 혼합된 사료
KR102181246B1 (ko) 한우용 사료 조성물
KR20190136250A (ko) 맥문동을 포함하는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저감용 tmr 사료 조성물 및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저감 방법
KR20110036470A (ko) 반추동물의 메탄가스 생성 저감용 사료 및 저감 방법
EP0746985A1 (en) A method of producing a green tea egg
KR101414297B1 (ko) 젖소 또는 육우용 혼합-발효사료
Kubelková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treated amaranth seeds on fermentation parameters in an artificial rumen.
KR101337882B1 (ko) 영양소급여량 조절을 통한 메탄생성 저감방법 및 고급육 생산방법
CN104982669A (zh) 添加于家兔高纤维饲粮的有机复合酸化剂及其制备方法
Yurtseven et al. The effect of pomegranate peel and pistachio hulls on performance and enteric methane emissions in straw-fed lambs (Ovis aries L.).
KR102082427B1 (ko) 반추동물의 사료전환효율 증진용 저단백 사료 조성물
CN111034865A (zh) 一种菌液和含该菌液的饲料及其制备方法
Dung et al. Digestive characteristics, ammonia nitrogen and volatile fatty acids levels, in sheep fed oaten chaff supplemented with grimmett barley grain, freeze-dried or fresh barley sprouts.
KR20140067841A (ko) 반추동물 반추위 발효가스 생성 절감을 위한 식물 추출물 복합제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