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284B1 -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 Google Patents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284B1
KR101417284B1 KR1020120061399A KR20120061399A KR101417284B1 KR 101417284 B1 KR101417284 B1 KR 101417284B1 KR 1020120061399 A KR1020120061399 A KR 1020120061399A KR 20120061399 A KR20120061399 A KR 20120061399A KR 101417284 B1 KR101417284 B1 KR 10141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rocket
rear plate
power sourc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3269A (ko
Inventor
송강영
Original Assignee
송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강영 filed Critical 송강영
Publication of KR2013010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4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 B62M6/70Rider propelled cycles with auxiliary electric motor power-driven at single endless flexible member, e.g. chain, between cycle crankshaft and wheel axle, the motor engaging the endless flexi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6/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additional source of power, e.g. combustion engine or electric motor
    • B62M6/80Accessories, e.g. power source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16Tensioning or adjusting equipment for chains, bel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4/00Adaptations for driving cycles by 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1000)(2000)는 상호간에 이격된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을 가진다. 상기 후면판(200)은 중앙에 모터(50)의 스프로킷(55)이 인입되는 개방부(800)가 형성되고 그 외주에는 원주를 둘러 다수개의 결합홈(208)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판(200)은 결합홈(208)을 관통한 볼트(6)(23)에 의하여 모터(50)에 직접 결합되거나 또는 모터(50)에 결합된 베이스판(300)을 개재하여 모터(50)에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중심의 바깥쪽에는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Device for mounting a chain on two wheels-transportation means}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 스쿠터 등의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이륜운송수단에서 체인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체인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전거는 모터를 가지며, 모터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체인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의 출력축 스프로킷과 자전거의 구동스프로킷과 연결된 모터연결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모터의 동력이 모터연결스프로킷을 통하여 구동스프로킷으로 전달되고 이후 후륜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발명자의 특허 제0978077호는 이러한 종류의 전기자전거를 보인다.
이와 같이 체인을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전달할 때, 체인은 그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스프로킷에 끼워져야 하는데, 이것은 숙련이 필요하며 그렇게 용이한 일은 아니다.
따라서 전기자전거에 있어서 모터와 모터연결스프로킷을 체인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손쉽게 장력을 유지하면서 장착할 수 있는 기구가 제공된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반드시 전기자전거가 아니라 하여도 이외 스쿠터 등과 같은 이륜운송수단에서도 동력전달이 체인으로 연결되는 경우 동일한 요청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 스쿠터 등과 같은 이륜 운송수단에서 동력원으로부터 바퀴까지 동력을 체인으로 연결할 때, 이러한 체인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자전거, 스쿠터 등과 같은 이륜 운송수단에서 동력원으로부터 바퀴까지 동력을 체인으로 연결할 때, 이러한 체인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스프로킷이 장착된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된 동력원연결스프로킷을 가져, 상기 동력원의 동력을 상기 동력원연결스프로킷을 통하여 전달받아 바퀴를 구동하는 상기 동력원이 장착된 이륜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것으로서,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동력원의 스프로킷이 인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내부공간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입된 동력원의 스프로킷이 놓이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의 측부에는 상기 체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가 형성되고,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동력원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은 상기 동력원에 결합되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중심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력조절용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외주를 따라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다수개의 이격부재를 개재하여 상호간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다수개의 이격부재는 상호간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측부를 따라 이격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가 상기 인입공간부를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후면판의 결합홈에 대응한 대응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장력조절용 스프로킷은 그 기어부가 상기 인입공간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후면판은 상기 동력원에 설치된 것으로서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된 베이스판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이륜운송수단은 전기자전거이고 상기 동력원은 모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동력원의 스프로켓과 동력원의 스프로켓과 연결된 동력연결스프로켓에 대하여 체인을 헐겁게 장착하고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를 사용하여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체인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단순히 체인장착기구를 체인에 대하여 회전하고 결합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매우 용이하게 체인을 장력을 유지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체인장착기구의 사시도;
도 2에서 도 4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체인장착기구를 사용하여 전기자전거에서 체인을 장력을 유지하면서 설치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체인장착기구가 체인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전기자전거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체인장착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8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체인장착기구를 사용하여 체인을 장착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기자전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이외 스쿠터 등의 이륜운송수단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체인장착기구(1000)를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1000)는 전면판(100)을 가지며 또한 상기 전면판(100)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후면판(200)을 가진다.
상기 후면판(200)은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208)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모터(50)의 스프로킷(55)이 인입되는 개방부(8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후면판(200)은 상기 전면판(100)으로부터 후방 으로이격되어, 이들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에 내부공간부(880)가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부(880)에는 상기 후면판의 개방부(800)를 통하여 인입된 모터(50)의 스프로킷(55)이 놓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의 측부에는 모터(50)의 스프로킷(55)과 모터의 동력을 받는 모터연결스프로킷(45)을 연결하는 체인(90)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4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외주를 따라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40)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은 결합되고 상기 측면(40)에 상기 인입공간(48)이 형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후면판(200)의 결합홈(208)을 통과하여 볼트(6)와 같은 고정수단이 상기 모터(50)에 형성된 대응결합부(56)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100)은 상기 후면판(200)의 결합홈(208)에 대응한 대응결합홈(108)이 형성되고 있으며, 볼트(6)와 같은 고정수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면판(100)의 대응결합홈(108)과 후면판(200)의 결합홈(208)을 통과하여 상기 모터(50)에 형성된 대응결합부(56)에 결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중심의 바깥쪽에는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은 그 기어부(84)가 상기 인입공간부(48)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면판(100)과 상기 후면판(2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모터(50)에 설치된 스프로킷(55)과 모터의 동력을 받는 모터연결스프로킷(45)을 연결하는 체인(90)을 이들에 대하여 일단 헐겁게 설치하고, 이렇게 헐겁게 설치된 체인(90)을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체인장착기구(1000)의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에 건 다음, 체인장착기구(1000)를 회전시켜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이 상기 체인(90)을 당겨 장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108)(208)을 통과하여 이들과 대응되는 모터의 대응결합부(56)에 볼트 등의 고정수단(6)으로 체인장착기구(1000)를 전기자전거에 고정설치한다.
이에 따라서 체인(90)은 상기 모터(50)의 스포로킷(55)과 모터연결스프로킷(45)사이에서 장력을 유지하면서 매우 용이하게 장착된다.
도 2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의 체인장착기구(1000)를 사용하여 체인(90)을 손쉽게 장력을 유지하면서 설치하는 것을 보인다.
먼저,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체인(90)을 모터(50)의 출력축(57)에 설치된 스프로킷(55)과 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는 모터연결스프로킷(45)의 사이에 헐겁게 걸어 설치한다.
도시부호 4는 페달을 도시부로 450은 상기 모터연결스프로킷(45)과 연결되고 또한 페달(4)과 연결된 구동스프로킷을 보이며, 상기 모터(50)의 동력은 모터연결스프로킷(45)을 통하여 구동스프로킷(450)으로 전달되고 이후 후륜에 설치된 후륜스프로킷(470)으로 전달되어 후륜을 구동하게 된다. (도 6 참조)
이와 같이 체인(90)이 헐겁게 설치된 상황에서, 도 3과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1000)의 후면판(200)의 개방부(800)를 통하여 상기 모터(50)의 스프로킷(55)을 인입시켜 내부공간부(880)로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체인(90)이 상기 측면의 인입공간부(48)를 통과하도록 하면서, 상기 장력 조절용 스프로킷(80)의 기어부(84)가 상기 체인(90)에 걸리도록 한다. 도시부호 107은 전면판(100)의 중앙의 개구로서 여기에 상기 모터(50)의 출력축(57)이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1000)를 회전시켜 상기 장력 조절용 스프로킷(80)이 체인(90)을 밀어 장력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고, 이후 원주를 따라 형성된 상기 체인장착기구의 결합홈(108)(208)이 전기자전거의 대응결합부(56)와 대응되고, 상기 결합홈(108)(208)을 관통하여 볼트 등의 고정수단(6)을 통과시켜 대응결합부(56)에 결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1000)는 체인(90)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전기자전거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1000)가 체인(90)의 장력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면서 전기자전거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우선 모터(50)의 스프로킷(55)과 모터(50)의 동력을 전달받는 모터연결스프로킷(45)의 사이에 체인(90)을 헐겁게 걸어 설치하고 이후 체인장착기구(1000)를 사용하여 체인(90)을 장력을 유지하면서 팽팽하게 설치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결합홈(208)은 원주의 형태를 가져 고정수단(6)을 결합한 후에 탈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장시간의 사용으로 체인(90)이 늘어나는 경우, 상기 고정수단인 볼트(6)를 풀고, 체인장착기구(1000)를 회전하면 상기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이 회전을 이루면서 체인(90)을 밀어 장력을 강화시키고, 이 상태에서 다시 고정수단인 볼트(6)를 조이면 된다. 이에 따라 정비의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도 7부터 도 10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체인장착기구(2000)를 보인다.
도 7을 참고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후면판(200)의 중앙에는 모터(50)의 스프로킷(55)이 인입되는 개방부(800)가 형성되고 그 주위를 원주를 따라 결합홈(208)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후면판(200)의 전방에는 이격되어 전면판(100)이 배치되는데,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은 이들을 상호간에 이격시키는 이격부재(44)에 의하여 상호간에 이격되어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의 워셔(washer)가 이격부재(44)(44)(44)로서 제공되고, 이러한 워셔(44)를 관통하여 고정수단으로서 볼트(12)가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은 상호간에 전후방 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된다.
도면에서, 상기 전면판(100)에는 상기 후면판(200)의 결합홈(208)에 대응하여 대응결합홈(108)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 보이는데, 이들 대응결합홈(108)은 본 실시예에서 기능적으로 의미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면판(200)에는 돌출부(240)가 형성되고 있으며, 또한 대응하여 상기 전면판(100)에도 돌출된 돌출부(140)가 형성되고 있다. 이들 돌출부(240)(140)의 사이에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원주를 둘러 다수개의 설치공(328)이 형성된 베이스판(300)이 제공되며, 이러한 베이스판(300)이 상기 모터(50)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판(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를 둘러 다수개의 설치공(328)을 가지며, 이들 설치공(328)의 사이에서 결합공(358)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358)을 관통하여 고정수단인 볼트(35)가 모터(50)의 대응결합부(56)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판(300)은 모터(50)에 설치된다. 이렇게 모터(50)에 결합된 베이스판(300)에 상기 후면판(200)이 결합된다.
도 8을 참고로, 우선 베이스판(300)을 모터(50)에 설치한다. 즉 베이스판(300)의 결합공(358)과 모터(50)의 대응결합부(56)를 대응시키고 이들을 관통하여 볼트(35)를 결합하여 베이스판(300)은 모터(50)에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판(300)은 중앙에 개방부(8)가 형성되어 이를 통하여 모터(50)에 설치된 스프로킷(55)이 통과된다.
다음, 후면판(200)의 개방부(800)를 통하여 상기 모터의 스프로킷(55)을 관통시킨다.
다음, 도 9를 참고로, 체인(90)을 모터의 스프로킷(55)과 모터연결스프로킷(45)의 사이에서 헐겁게 설치한다. 그리고 후면판(200)의 돌출부(240)에 설치된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을 상기 체인(90)에 걸고 회전시켜 체인(90)에 장력을 주게 된다.
다음, 상기 후면판(200)의 결합홈(280)을 통과하여 대응되는 베이스판(300)의 설치공(328)에 고정수단인 볼트(23)를 결합하여 상기 후면판(200)을 고정설치한다.
다음, 이격부재(44)를 개재하여 상기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을 상호간에 이격하여 설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2)가 이격부재인 워셔(44)를 관통하여 상기 후면판(200)에 결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전면판(100)의 돌출부(140)와 상기 후면판(200)의 돌출부(240)가 대응되며 이들의 사이에서 상기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서 도 10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인장착기구(2000)가 전기자전거에 설치된 모터(50)에 장착이 되며, 이때, 체인(90)은 팽팽하게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격부재(44)사이의 공간으로 체인(90)이 인입되어, 이들 사이의 공간이 체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48)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이격부재(44)에 의하여 이격된 전면판(100)과 후면판(200)의 사이의 내부공간부(880)에 상기 모터(50)의 스프로킷(55)이 놓이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은 동력전달의 힘을 받지 않고 아이들러(idler)로서 제공되고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만일 힘을 받는 경우, 장력조절용 스프로킷(80)에는 베어링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체인장착기구(1000)(2000)를 제공하며 이를 통하여 동력원의 스프로킷과 동력원연결스프로킷사이에 설치되는 체인을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면서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100: 전면판
200: 후면판
40: 측면
48: 인입공간부
80: 장력조절용 스프로킷
50: 모터
55: 모터 스프로킷
45: 모터연결스프로킷
300: 베이스판
30: 이격부재
208: 결합홈
108: 대응결합홈
80: 장력조절용 스프로킷
800: 개방부
880: 내부공간부

Claims (7)

  1. 스프로킷이 장착된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의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된 동력원연결스프로킷을 가져, 상기 동력원의 동력을 상기 동력원연결스프로킷을 통하여 전달받아 바퀴를 구동하는 상기 동력원이 장착된 이륜운송수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a) 전면판과;
    (b) 상기 전면판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어 결합된 것으로서,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동력원의 스프로킷이 인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후면판과;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내부공간부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인입된 동력원의 스프로킷이 놓이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의 측부에는 상기 체인이 인입되는 인입공간부가 형성되고,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홈을 통과하여 상기 동력원에 결합되어 상기 후면판은 상기 동력원에 결합되며,
    (c)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중심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장력조절용 스프로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외주를 따라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에 의하여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결합되고, 상기 측면에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은 다수개의 이격부재를 개재하여 상호간에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다수개의 이격부재는 상호간에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의 측부를 따라 이격되어 그 사이의 공간부가 상기 인입공간부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동수단의 체인장착기구.
  4. 제1항부터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에는 상기 후면판의 결합홈에 대응한 대응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동수단의 체인장착기구.
  5. 제1항부터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용 스프로킷은 그 기어부가 상기 인입공간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상기 동력원에 설치된 것으로서 원주를 따라 다수개의 설치공이 형성된 베이스판을 개재하여 상기 동력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7. 제1항부터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륜운송수단은 전기자전거이고 상기 동력원은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KR1020120061399A 2012-03-08 2012-06-08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KR1014172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97 2012-03-08
KR20120023897 2012-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269A KR20130103269A (ko) 2013-09-23
KR101417284B1 true KR101417284B1 (ko) 2014-07-09

Family

ID=4945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399A KR101417284B1 (ko) 2012-03-08 2012-06-08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2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689B1 (ko) * 2021-08-18 2023-09-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용 파워 트레인
US20230213087A1 (en) * 2021-12-31 2023-07-06 Zwift, Inc. Single-sprocket system for a bicycle trai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8492U (ko) * 1979-06-09 1980-12-22
JP4693512B2 (ja) 2005-06-10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イド装置
WO2011155113A1 (ja) 2010-06-10 2011-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自転車のテンショナー
WO2012127782A1 (ja) 2011-03-24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自転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8492U (ko) * 1979-06-09 1980-12-22
JP4693512B2 (ja) 2005-06-10 2011-06-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ガイド装置
WO2011155113A1 (ja) 2010-06-10 2011-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自転車のテンショナー
WO2012127782A1 (ja) 2011-03-24 2012-09-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動自転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269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98540B (zh) 链锯
RU174341U1 (ru) Передаточ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тренажера или велосипеда
US8757311B2 (en) Motorized driving device
US8220578B2 (en) Construction kit and method for converting a bicycle, and bicycle
US11345190B2 (en) Freewheel hub for a bicycle
US20090255774A1 (en) Ratchet gear device for a bicycle rear wheel
US10793001B2 (en) Transmission and drive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KR101592092B1 (ko) 자전거의 전기자전거 변환용 키트
CN102295142A (zh) 输送机链条张紧装置
KR101417284B1 (ko) 이륜운송수단의 체인장착기구
US20070021249A1 (en) Cushioning mechanism for a sprocket of all terrain vehicles
US9802674B2 (en) Power unit attachable to a bicycle
US9103410B2 (en) Preassembled traction mechanism drive
US8047956B2 (en) Bicycle multi-speed hub
KR101018104B1 (ko) 자전거용 전동유닛
US20100212985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a cycle
KR20190026300A (ko) 전동 자전거용 드라이브 모터의 결합구조
KR101757607B1 (ko) 자전거 전동 구동장치
KR101050295B1 (ko) 무체인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의 연결프레임
JP3188905U (ja) ダブル駆動のハブ装置
US20120133199A1 (en) Bicycle hub assembly with two transmission directions
TW201210889A (en) Bicycle having hub capable of power transmission on both sides
CN219790017U (zh) 车用紧绳装置
KR20180013240A (ko) 등속 조인트 모듈 장치
KR20130142856A (ko) 지렛대 방식의 일방향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