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728B1 - 카테터 - Google Patents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728B1
KR101416728B1 KR1020120124400A KR20120124400A KR101416728B1 KR 101416728 B1 KR101416728 B1 KR 101416728B1 KR 1020120124400 A KR1020120124400 A KR 1020120124400A KR 20120124400 A KR20120124400 A KR 20120124400A KR 101416728 B1 KR101416728 B1 KR 101416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il
tip
head
neck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7981A (ko
Inventor
홍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인
Priority to KR102012012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72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5/0054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with regions for increas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05Materials having antiseptic or antimicrobial properties, e.g. silver compounds, rubber with sterilising ag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측으로 튜브가 삽입 형성되고 주입되는 액상치료제를 토출하는 스프링코일의 최선단에 일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와 타측이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넥크로 형성되는 팁을 삽입 용접하되, 상기 스프링코일의 내측으로 팁의 넥크를 삽입한 후 상기 헤드를 스프링코일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으로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용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팁의 용접 완료 후, 상기 팁의 표면을 둥굴게 갈아주어야 하는 별도의 수작업을 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 능률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카테터{EPIDURAL CATHETER}
본 발명은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의 경막외(Epidural)에 시술하여 액상 치료제를 주입하는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인체 내의 병변을 관찰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거나, 협착 된 내강들을 확장시키는 데 사용되는 의료용 도관이다.
이러한 카테터는 심장, 위장, 십이지장, 척추 등 다양한 부위의 질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정맥이나 동맥 등의 혈관 내부의 질병 치료에 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카테터는 인체의 시술부위 및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형성되어 말초신경차단(peripheral nerve block), 경막내 주입(intrathecal infusion), 표피내 주입(epidermal infusion), 및 혈관내 주입(intravascular infusion), 동맥내 주입(intraarterial infusion) 및 관절내 주입(intraarticular infusion) 등에 사용된다.
이 중에서 척추나 관절 내에 주로 사용되는 경막외 카테터(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으로 약물을 토출하는 스프링코일(1)과, 상기 스프링코일(1)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코일(1)의 탄성력을 유지하는 와이어(2)와, 상기 스프링코일(1)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유동성을 지지하고 시술 부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튜브(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코일(1)은 금속(스텐레스) 재질의 관체로 형성하여 유연성을 갖게 하고, 상기 스프링코일(1)의 최선단 인접부위에 주입된 약물이 토출되는 토출부(1-1)가 형성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코일(1)의 최선단에 좁은 경막외강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팁(4)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카테터(10)는 시술시, 튜브(3)에 삽입된 스프링코일(1)의 팁(4)이 와이어(2)에 의해 지지를 받으면서 시술위치로 삽입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프링코일(1)은 서단에 형성된 토출부(1-1)에 의해 상기 스프링코일(1)의 팁(4)이 적절히 구부러지면서 유연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팁(4)은 둥글게 형성되어 삽입 도중에 시술부위에 걸리거나 자극을 주지 않게 하면서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시술되는 카테터(10)의 스프링코일(2)의 최선단에 형성되는 팁(4)은 동(cu) 재질로 용접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동(cu)은 항균작용이 있고, 인체 독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팁(4)은 동(cu) 재질이고, 스프링코일(1)은 스테인레스 재질이므로 용접이 서로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상기 스프링코일(1)에 팁(4)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용접제로 플럭스(FLUX)를 사용하여 용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럭스(FLUX)는 접합부위를 깨끗이 하고 산화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사용하여 용접을 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팁(4)는 스프링코일(1)의 최선단과 용접하기가 쉽지 않아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예 상기 스프링코일(1)의 최선단과 스프링코일(1)을 지지하는 와이어(2)에 플럭스와 함께 동(cu)재질의 팁(4)을 용융시켜 삽입 용접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코일(2)의 최선단에 용접된 팁(4)은 용융상태 그대로 용접되는 관계로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는 매끄럽지 못하여, 상기 팁(4)의 용접 완료 후에는 반듯이 용접시 발생한 플럭스를 제거하는 세척작업과 함께 상기 팁(4)의 표면에 형성된 울퉁불퉁하거나 어느 한쪽으로 돌출면을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둥굴게 갈아서 매끄럽게 다듬어주는 즉, 시술시 인체의 내부 시술부위에 걸리거나, 이로 인하여 상처를 주지 않도록 별도의 수작업을 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카테터(10)는 스프링코일(1)의 최선단에 결합되는 팁(4)을 복잡한 과정으로 결합 형성하고, 또한 용접 및 형성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팁(4)의 표면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매끄럽게 다듬어 주어야 하는 번거로운 가공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시술 위치로 삽입되고 액상치료제를 주입하는 스프링코일의 최선단에 팁을 용접만으로 간편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선단으로 약물을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된 스프링코일; 상기 스프링코일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코일의 탄성력을 유지하는 와이어; 상기 스프링코일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유동성을 지지하고 시술 부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튜브;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에 팁으로 형성되는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팁은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와, 타측에 상기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용접 결합되는 넥크를 포함하고, 상기 넥크는 외주면에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 내경과 나사 결합되는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팁의 헤드는 유선형 또는 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팁은 서스(SUS)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단에서 상기 팁의 넥크는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과 레이져 용접으로 접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과제의 해결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외측으로 튜브가 삽입 형성되고 주입되는 액상치료제를 토출하는 스프링코일의 최선단에 일측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헤드와 타측이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넥크로 형성되는 팁을 삽입 용접하되, 상기 스프링코일의 내측으로 팁의 넥크를 삽입한 후 상기 헤드를 스프링코일과 레이저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으로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용접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간편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팁의 용접 완료 후, 상기 팁의 표면을 둥굴게 갈아주어야 하는 별도의 수작업을 하지 않게 되므로, 작업 능률 향상과 더불어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카테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카테터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카테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카테터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카테터의 결합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카테터의 분해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 카테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테터(30)는 선단으로 약물을 토출하는 토출부(31-1)가 형성된 스프링코일(31); 상기 스프링코일(31)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코일(31)의 탄성력을 유지하는 와이어(32);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유동성을 지지하고 시술 부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튜브(33);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에 팁(34)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카테터(3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튜브(33)가 삽입되고, 내측으로 와이어(32)가 결합되며, 최선단에 팁(34)이 형성된 스프링코일(31)은 시술하고자 하는 인체의 내부 시술위치에 상기 튜브(33)와 와이어(32)에 의해 탄성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튜브(33)와 함께 스프링코일(31) 및 팁(34)이 삽입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카테터의 결합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코일(31)은 내부로 액상치료제가 전달하는 공간이 형성된 중공 관체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코일(31)은 내부로 액상치료제가 원활하게 전달되는 내경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경은 0.7mm로 형성하고, 내경은 0.5mm로 형성하고, 길이는 300mm ~ 610mm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코일(31)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코일(31)은 최선단으로 가면서 일부 구간을 길이방향으로 신장시켜 개방되게 형성하여 주입되는 액상치료제가 시술부위로 토출하는 토출부(31-1)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코일(31)로 주입되는 액상치료제는 신장되고 개방되어 있는 토출부(31-1)를 통해 방사상으로 토출되면서 시술 부위에 주입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32)는 상기 스프링코일(31)의 내일측으로 삽입 결합되게 되며,상기 와이어(32)는 일단이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으로 돌출하여 상향 결합되고, 타단은 스프링코일(31)의 최후단의 외측으로 말아서 결합하여 상기 스프링코일(31)의 내측을 전체적으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코일(31)의 토출부(31-1)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32)는 단선 금속 와이어로 형성하되, 강성을 갖는 서스(SUS)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어(32)는 시술시 시술위치에 상기 스프링코일(31)이 굽힘 및 휨 없이 곧게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시술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을 유도하게 된다.
상기 튜브(33)는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는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33)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하게 되며, 상기 튜브(33)는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외측을 삽입하되, 상기 스프링코일(31)의 토출부(31-1)를 덮지 않는 선단 부위 인접 위치까지 삽입하게 된다.
상기 튜브(33)는 외경 1.15 ~ 1.3mm, 내경 0.8mm ~ 1.1mm로 형성하고, 길이는 300mm ~ 610mm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튜브(33)는 시술 부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시술 위치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팁(34)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2)에 의해 안내되는 튜브(33)와 스프링코일(31)이 원활하게 시술위치로 안내되게 유도하게 된다.
상기 팁(34)은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341)와, 타측에 상기 헤드(34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용접 결합되는 넥크(342)로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팁(34)은 서스(SUS) 재질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헤드(341)는 유선형 또는 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넥크(342)는 상기 스프링코일(32)의 최선단 내경에 가능한 한 밀결합되는 직경의 봉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팁(34)의 헤드(341)는 시술위치로 삽입되는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이 시술부위의 내에서 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원활한 삽입을 유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봉 형태의 넥크(342)를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에 삽입 결합하여 용접시, 상기 스프링코일(31)로부터 이탈이나 분리되지 않게 접합한 상태로 용접할 수 있게 되므로 접합 즉 용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코일(31)과 팁(34)은 스테인리스 재질에 서스(SUS) 재질을 접합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용접제를 사용하지 않고 레이저용접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스프링코일(31)에 용접되는 상기 팁(34)의 헤드(341)는 유선형 또는 볼 형태로 형성되어 용접되므로 용접 완료 후, 상기 헤드(341)의 표면을 갈아서 다듬어야 하는 번거롭고 어려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간편 용이하게 스프링코일(32)에 팁(34)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카테터의 다른 실시예도이다.
도 6에서 상기 팁(34)에 형성되는 넥크(342)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피치(pitch)로 구비되는 나선(343)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 내경에 삽입 결합되는 팁(34)의 넥크(342)은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343)에 의해 상기 스프링코일(31)의 내경에 나사 결합되어 쉽게 이탈이나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용접시 상기 스프링코일(31)의 최선단에 팁(34)을 간편 용이하게 용접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0; 카테터 31; 코일스프링
31-1; 토출부 32; 와이어
33; 튜브 34; 팁
341; 헤드 342; 넥크
343; 나선

Claims (6)

  1. 선단으로 약물을 토출하는 토출부가 형성된 스프링코일; 상기 스프링코일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코일의 탄성력을 유지하는 와이어; 상기 스프링코일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유동성을 지지하고 시술 부위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는 튜브;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에 팁으로 형성되는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팁은 일측에 형성되는 헤드와, 타측에 상기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 내측으로 삽입되어 용접 결합되는 넥크를 포함하고,
    상기 넥크는 외주면에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 내경과 나사 결합되는 나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헤드는 유선형 또는 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서스(SUS)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팁의 넥크는 상기 스프링코일의 최선단과 레이져 용접으로 접합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6. 삭제
KR1020120124400A 2012-11-05 2012-11-05 카테터 KR101416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00A KR101416728B1 (ko) 2012-11-05 2012-11-05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400A KR101416728B1 (ko) 2012-11-05 2012-11-05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981A KR20140057981A (ko) 2014-05-14
KR101416728B1 true KR101416728B1 (ko) 2014-07-09

Family

ID=5088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400A KR101416728B1 (ko) 2012-11-05 2012-11-05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7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467A (en) * 1984-08-22 1987-03-17 Sarcem S.A. Remote control catheter
KR20110033892A (ko) * 2009-12-23 2011-04-01 신현순 카데터 및 카데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467A (en) * 1984-08-22 1987-03-17 Sarcem S.A. Remote control catheter
KR20110033892A (ko) * 2009-12-23 2011-04-01 신현순 카데터 및 카데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981A (ko) 201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9919B2 (ja) 薬液注入装置
JP2007503952A (ja) 共通の管腔の輪郭外形を有する偏向可能な医学療法提供装置を使用する方法
EP1622668B9 (en) Infusion device
JP5599307B2 (ja) 閉塞性病変を開く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11224726B2 (en) High-torque guidewir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JP5775689B2 (ja) 超音波誘導エコー源性カテーテル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2008539031A5 (ko)
CN110035791B (zh) 操纵工具
KR20140026957A (ko)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JP2004267333A (ja) 薬液注入装置
JP2006115949A (ja) 薬液注入装置
JP2007503920A (ja) 共通の管腔輪郭外形を有する偏向可能な医学療法提供装置
CN102949775A (zh) 导线
AU2003300335A1 (en) Delivering cooled fluid to sites inside the body
JP2011120739A (ja) ガイドワイヤ
JP2016101194A (ja) カテーテル
KR101416728B1 (ko) 카테터
JP2009529372A (ja) カテーテル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41267B1 (ko) 가이드와이어 안내 장치
JP5019723B2 (ja) 切開鉗子
JP5888755B2 (ja) カテーテル
JP2018130313A (ja) 医療用カテーテルおよび医療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
CN203802565U (zh) 医用导丝
US7914481B1 (en) Epidural needle for electrode epidural cathe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226728B1 (ko) 튜브를 포함하는 올리브 형상의 터널링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