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486B1 -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486B1
KR101416486B1 KR1020130039001A KR20130039001A KR101416486B1 KR 101416486 B1 KR101416486 B1 KR 101416486B1 KR 1020130039001 A KR1020130039001 A KR 1020130039001A KR 20130039001 A KR20130039001 A KR 20130039001A KR 101416486 B1 KR101416486 B1 KR 101416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material
electrode
oxide film
aluminum
count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철
신명선
이희관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주식회사 우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주식회사 우존 filed Critical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to KR102013003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0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lytic conversion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22Anodisation on selected surface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무광의 특정한 패턴을 간편하게 형성하거나, 인쇄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하여 양극산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PATTERN FORMATION OF THE ALUMINUM OXIDE FILM DEVICES}
본 발명은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무광의 특정한 패턴을 간편하게 형성하거나, 인쇄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하여 양극산화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해질용액 중에서 금속을 양극으로 전해한 경우 금속의 종류, 전해질의 종류, 전류의 밀도, 액의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피막이 생성된다.
이와 같은 처리를 양극산화처리, 생성된 피막을 양극산화피막이라고 한다. 알루미늄을 양극으로 하여 일정한 전해액에서 적정조건으로 분극을 시킬 경우 자연 피막보다 두꺼운 양극 산화피막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공정을 양극산화피막처리라고 한다.(일본 특허공보 특공평6-76679 참조.)
알루미늄을 공기 중에 방치하면 알루미늄이 양성이기 때문에 대단히 엷은층의 보호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현상을 자연 산화 피막이라 한다.
알루미늄 표면처리 중에서 어느 공정도 소홀히 하면 제품에 영향을 받지만 특히 이 피막 공정은 대단히 중요한 공정이다.
왜냐하면, 전처리에서 처리가 잘되어도 이 피막에서 부주위나 편차가 생기면 제품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또한 피막 공정이 소홀히 다루어진 제품은 그 다음 공정인 염료나 봉공처리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광택을 요구하는 제품을 피막두께를 두껍게 한다든가 피막액에 이물질이 많으면 광택을 잃게된다.
또 흑색염료같은 것은 피막 두께를 두껍게 요구하는 제품에 두께가 얇으면 흑색은 되지 않는다.
그래서 피막에는 액관리도 중요하고 피막시간에 따라 제품은 아주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6-76679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무광의 특정한 패턴을 간편하게 형성하거나, 인쇄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하여 양극산화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해액이 수용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침지된 알루미늄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작업전극과, 상기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알루미늄재의 표면을 양극산화시키는 상대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대전극은 상기 알루미늄재의 표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상호 절연되도록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전극핀에 전류를 각각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서 상기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산화피막패턴을 형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극핀의 하단부가 노출된 상태로 내부에 상기 복수의 전극핀이 상호 절연되도록 구비되는 헤드부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복수의 전극핀이 1개 이상의 행과 2개 이상의 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헤드부의 가로폭은 상기 알루미늄재의 가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 또는 상기 알루미늄재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의 가로폭은 상기 알루미늄재의 가로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방향 이동부재와,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 또는 상기 알루미늄재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대전극은 상기 알루미늄재의 상측에 구비되거나, 상기 알루미늄재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는 알루미늄재의 표면에 무광의 특정한 패턴을 간편하게 형성하거나, 인쇄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하여 양극산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일예의 헤드부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헤드부의 하부방향에 알루미늄재가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헤드부가 전해조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헤드부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알루미늄재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헤드부가 전해조의 내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다른예의 헤드부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가로방향 이동부재 및 세로방향 이동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가로방향 이동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알루미늄재의 하측에 상대전극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높낮이조절부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는 높낮이조절부재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상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해액(5)이 수용된 전해조(10)와; 상기 전해조(10)에 침지된 알루미늄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작업전극(30)과;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을 양극산화시키는 상대전극(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해조(10)의 내부에는 황산, 인산, 질산, 옥살산, 구연산 및 기타 유기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해액(5)이 수용된다.
상기 작업전극(30)은 작업이 되어지는 전극으로서, 알루미늄소재 및 알루미늄합금 등, 다른산화피막을 형성 할 경우 그에 대한 소재 예를 들면 티타늄 경우 티타늄옥사이드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원재료인 티타늄과 그 합금전극을 의미한다.
상기 상대전극(40)은 전위를 인가하는 전극을 말하며 그 재료로는 노블메탈이 주로 사용되며 백금, 금, 팔라듐, 이리듐 등과 그 합금등이 사용되며 또한 각성이 강한 금속에 도금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금속이외에 흑연(카본), 글래시(유리)카본, 카본 파이버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대전극(40)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상호 절연되도록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에 전류를 각각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서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산화피막패턴을 형성시키는 제어부(도 2의 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 중 산화피막패턴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일부 표면부위에 대향되는 일부 상기 전극핀(410)으로만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 중 원하는 표면부위만을 양극산화시켜 산화피막패턴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직류전류, 교류전류, 펄스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펄스 전류의 종류로는 정현파(sine wave), 구형파(square wave), 삼각파(triangular wave), 톱니파(sawtooth)등이 있으며 주기와 듀티비(파형의 간격)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전기화학적 신호를 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의 세기(amplitude)를 조절하여 산화피막의 두께를 조절할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를 통해 상기 상대전극(40)을 이루는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이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산화피막패턴을 오차없이 보다 더욱 정밀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의 하단부는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제어부(10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으로의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는 구동드라이브(2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드라이브(2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 모두에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드라이브(2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전류를 개별공급 및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일예의 헤드부(50)의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헤드부(50)의 하부방향에 알루미늄재(20)가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헤드부(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의 하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헤드부(50)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이 상호절연되도록 수직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으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은 비절연재질(도 4의 NI)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으로 공급된 전류가 상기 헤드부(50)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50)는 절연재질(도 4의 I)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 중 원하는 표면부위에 산화피막패턴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0)에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전류가 각각 공급되는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이 1개 이상의 행(도 3의 실선화살표참조.)과 2개 이상의 열(도 3의 점선화살표참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0)의 가로폭(D1) 즉, 상기 헤드부(50)의 좌우폭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가로폭(D2) 즉,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예의 헤드부(50)가 전해조(10)의 내부에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헤드부(5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0)를 세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는 리드스크류(710), 구동모터(720) 및 가이드부재(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710)는 상기 전해조(10)의 내부 일측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의 일측 중간을 전후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부(50)의 일측 중간에 나사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710)의 전측은 상기 전해조(10)의 전측 상부 일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20)는 상기 전해조(10)의 후측면 상부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20)의 구동축(721)은 상기 전해조(10)의 후측 상부 일측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전해조(10)의 후측 상부 일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20)의 구동축(721)은 상기 리드스크류(710)의 후측과 결합되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710)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30)는 상기 전해조(10)의 내부 타측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의 타측 중간을 전후관통한 상태인 상기 가이드부재(73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해조(10)의 전측 내주면 타측 상부와 상기 전해조(10)의 후측 내주면 타측 상부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30)는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봉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710)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헤드부(50)가 세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가 반드시 상기 리드스크류(710), 구동모터(720) 및 가이드부재(730)로 구성되어 상기 헤드부(5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모터(720)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와이어, 벨트, 체인 등을 이용하여 상기 헤드부(5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알루미늄재(2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재(20)를 세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부(50)가 전후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헤드부(5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해조(10)의 일측 내주면 상측과 상기 전해조(10)의 타측 내주면 상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재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전롤러(740)와 구동모터(미도시) 및 회전력전달부재(750)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롤러(740)는 상기 전해조(10)의 전측에서 상기 전해조(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롤러(74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해조(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회전롤러(740)는 상측회전롤러(741)와 하측회전롤러(7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회전롤러(741)는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표면과 접하도록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방향에 구비된 상태에서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하측회전롤러(742)는 상기 상측회전롤러(741)의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하부표면과 접한 상태에서 정역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상측회전롤러(741) 또는 하측회전롤러(74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알루미늄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작업전극(30)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미도시)는 복수의 상기 상측회전롤러(741)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하측회전롤러(742)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전해조(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전해조(10)의 일측 또는 상기 전해조(10)의 타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복수의 상기 상측회전롤러(741)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하측회전롤러(742) 중 어느 하나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750)는 회전체(751)와; 상기 회전체(751)를 경유한 상태로 상기 회전체(751)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감김부재(7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751)는 복수의 상기 상측회전롤러(741)의 일측 또는 타측 또는 복수의 상기 하측회전롤러(742)의 일측 또는 타측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751)는, 풀리, 스프로켓, 타이밍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752)는 상기 회전체(751)의 외주면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어느 하나의 상측회전롤러(741) 또는 어느 하나의 하측회전롤러(742)의 정역회전력을 다른 나머지 상측회전롤러(741) 또는 다른 나머지 하측회전롤러(742)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감김부재(752)는 벨트, 체인, 타이밍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체(751)가 풀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752)는 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751)가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752)는 체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체(751)가 타이밍기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752)는 타임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다른예의 헤드부(50)가 전해조(10)의 내부에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다른예의 헤드부(50)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가로방향 이동부재(60) 및 세로방향 이동부재(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달리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0)의 가로폭(D1)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가로폭(D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와 상기 세로방향이동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는 상기 헤드부(50)를 가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리드스크류(601), 가이드부재(602), 일측몸체(603), 타측몸체(604) 및 구동모터(6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01)는 상기 헤드부(50)의 상측을 좌우방향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부(50)의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02)는 상기 헤드부(50)의 하측을 좌우방향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리드스크류(601)의 하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02)는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 등으로 형성되는 봉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일측몸체(603)는 상기 리드스크류(601)의 일측방향 및 상기 가이드부재(602)의 일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전해조(10)의 내부 일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몸체(604)는 상기 리드스크류(601)의 타측방향 및 상기 가이드부재(602)의 타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전해조(10)의 내부 타측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601)의 타측은 상기 타측몸체(604)의 상측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602)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일측몸체(603)의 하부 내주면과 상기 타측몸체(604)의 하부 내주면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605)는 상기 일측몸체(603)의 내주면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605)의 구동축(605a)은 상기 리드스크류(601)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605)의 구동축(605a)이 상기 리드스크류(601)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헤드부(50)가 좌우이동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는 다른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가이드부재(602), 상기 일측몸체(603), 상기 타측몸체(604), 상기 구동모터(605), 일측회전체(606), 타측회전체(607) 및 감김부재(608)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가이드부재(602)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평구비되어 상기 헤드부(50)의 중간과 하측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605)는 상기 일측몸체(603)의 내주면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체(606)는 상기 구동모터(605)의 구동축(605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회전체(607)는 상기 타측몸체(604)의 내주면 상측에 일체형성되는 지지판(604a)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회전체(606)와 상기 타측회전체(607)는 각각 풀리, 스프로켓, 타이밍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608)는 상기 일측회전체(606)와 상기 타측회전체(607)를 경유한 상태로 상기 일측회전체(606)와 상기 타측회전체(607)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608)의 하부 일측과 상기 감김부재(608)의 하부 타측은 각각 상기 헤드부(50)의 일측면 상측과 상기 헤드부(50)의 타측면 상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608)는 와이어, 벨트, 체인, 타이밍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일측회전체(606) 및 타측회전체(607)가 풀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608)는 와이어 또는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측회전체(606) 및 타측회전체(607)가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608)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측회전체(606) 및 타측회전체(607)가 타이밍기어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감김부재(608)는 타이밍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605)의 구동축(605a)이 상기 일측회전체(606)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헤드부(50)가 좌우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는 일예로,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를 세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는 상기 리드스크류(710), 상기 구동모터(720) 및 상기 가이드부재(730)로 구성되되,
상기 리드스크류(710)는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일측몸체(603)의 중간을 전후관통한 상태로 상기 일측몸체(603)의 중간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730)는 상기 타측몸체(604)의 중간을 전후관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20)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710)를 정역회전시킬 시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와 함께 상기 헤드부(50)가 세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는 다른예로, 상기 알루미늄재(20)를 세로방향 즉, 상기 전해조(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이경우 상기 세로방향 이동부재(70)는 상기 복수의 회전롤러(740)와 상기 구동모터(미도시) 및 상기 회전력전달부재(75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알루미늄재(20)의 하측에 상대전극(40)이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도 4, 도 5,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알루미늄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작업전극(30)은 상기 상대전극(4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 또는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에는 상기 알루미늄재(20)를 지지하는 지지대(9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대전극(4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00)에는 전류세기조절버튼(미도시)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전류세기조절버튼(미도시)을 조작하여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강', '중' '약' 으로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으로 강한 세기의 전류가 공급될 경우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상하깊이가 깊으면서 어두운 산화피막패턴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으로 약한 세기의 전류가 공급될 경우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상하깊이가 얕으면서 밝은 산화피막패턴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높낮이조절부재(80)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는, 상기 상대전극(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부(50)의 가로폭(D1)이 상기 알루미늄재(20)의 가로폭(D2)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더 크게 형성된 경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50)는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일측몸체(603)와 타측몸체(604)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낮이조절부재(80)는 일예로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810)와 리드스크류(8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810)는 상기 일측몸체(603)와 상기 타측몸체(604)의 상부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수평연장형성되는 판부재(609)의 상부 중간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810)의 구동축(811)은 상기 판부재(609)의 중간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820)는 상기 구동모터(810)의 구동축(811)의 하측에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820)는 상기 헤드부(50)의 중간부에 상하연장형성된 홈(501)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홈(501)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810)가 상기 리드스크류(82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헤드부(5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부(50)가 하강하여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표면과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의 하측 사이의 상하간격이 점차 줄어들수록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표면에 상대적으로 상하깊이가 깊으면서 어두운 무광의 산화피막패턴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0)가 상승하여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표면과 복수의 상기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대전극(40)의 하측 사이의 상하간격이 점차 늘어날수록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부표면에 상대적으로 상하깊이가 얕으면서 밝은 무광의 산화피막패턴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높낮이조절부재(8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헤드부(50)의 가로폭(D1)이 상기 알루미늄재(20)의 가로폭(D2)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는 이동몸체(6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의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리드스크류(601)는 가로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동몸체(600)의 상측을 좌우방향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부(50)의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가이드부재(602)는 상기 헤드부(50)의 하측 또는 상기 헤드부(50)의 중간과 하측을 각각 좌우방향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의 감김부재(608)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은 각각 상기 이동몸체(600)의 일측면 상측과 타측면 상측에 각각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600)의 전측면 상측과 전측면 하측에는 상기 이동몸체(600)의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판부재(610)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판부재(610)는 상측연장판부재(611)와 하측연장판부재(6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연장판부재(611)는 상기 이동몸체(600)의 전측면 상측에서 상기 이동몸체(600)의 전방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연장판부재(612)는 상기 이동몸체(600)의 전측면 하측에서 상기 이동몸체(600)의 전방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낮이조절부재(80)는 다른예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830), 리드스크류(840) 및 가이드부재(8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830)는 상기 상측연장판부재(611)의 상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830)의 구동축(831)은 상기 상측연장판부재(611)의 중간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상측연장판부재(611)의 중간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840)는 상기 헤드부(50)의 후측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헤드부(50)의 후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840)의 상측은 상기 구동모터(830)의 구동축(831)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840)의 하측은 상기 하측연장판부재(612)의 중간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하측연장판부재(612)의 중간에 베어링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850)는 상기 리드스크류(840)의 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측연장판부재(611)의 전측 하부와 상기 하측연장판부재(612)의 전측 상부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850)는 상기 헤드부(50)의 후측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830)가 상기 리드스크류(840)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헤드부(5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무광의 특정한 패턴을 간편하게 형성하거나, 인쇄하고자 하는 부분에 한하여 양극산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전해조, 20; 알루미늄 판재,
30; 작업전극, 40; 상대전극.

Claims (9)

  1. 전해액(5)이 수용된 전해조(10)와, 상기 전해조(10)에 침지된 알루미늄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작업전극(30)과,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이격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을 양극산화시키는 상대전극(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대전극(40)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상호 절연되도록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전극핀(41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이 상호 절연되도록 1개 이상의 행과 2개 이상의 열로 구비되는 헤드부(50)와;
    상기 복수의 전극핀(410)에 전류를 각각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서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표면에 산화피막패턴을 형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50)의 가로폭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가로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50) 또는 상기 알루미늄재(2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50)의 가로폭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가로폭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50)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로방향 이동부재(60)와, 상기 가로방향 이동부재(60) 또는 상기 알루미늄재(2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세로방향 이동부재(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40)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40)은 상기 알루미늄재(2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대전극(4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전극(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30039001A 2013-04-10 2013-04-10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KR101416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01A KR101416486B1 (ko) 2013-04-10 2013-04-10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001A KR101416486B1 (ko) 2013-04-10 2013-04-10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486B1 true KR101416486B1 (ko) 2014-07-09

Family

ID=5174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001A KR101416486B1 (ko) 2013-04-10 2013-04-10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4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864A (ko) 2015-09-18 2017-04-03 주식회사 우존 입체감이 부여된 논슬립 인쇄표시판 제조방법
KR20170036863A (ko) 2015-09-18 2017-04-03 주식회사 우존 인쇄품질이 우수한 굴곡성형된 메탈산화미디어의 제조방법
KR101790522B1 (ko) * 2016-08-01 2017-10-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국부화 아노다이징 공정을 이용한 미세패턴 가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가공 방법
KR20180070173A (ko) * 2016-12-16 2018-06-26 (주)포인텍 양극 이동형 전해도금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290A (ja) * 2001-06-27 2003-01-15 Fuji Photo Film Co Ltd 金属板電解処理槽及び金属板電解処理装置
JP2003105592A (ja) * 2001-09-27 2003-04-09 Fuji Photo Film Co Ltd 金属ウエブの電解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290A (ja) * 2001-06-27 2003-01-15 Fuji Photo Film Co Ltd 金属板電解処理槽及び金属板電解処理装置
JP2003105592A (ja) * 2001-09-27 2003-04-09 Fuji Photo Film Co Ltd 金属ウエブの電解処理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864A (ko) 2015-09-18 2017-04-03 주식회사 우존 입체감이 부여된 논슬립 인쇄표시판 제조방법
KR20170036863A (ko) 2015-09-18 2017-04-03 주식회사 우존 인쇄품질이 우수한 굴곡성형된 메탈산화미디어의 제조방법
KR101727172B1 (ko) 2015-09-18 2017-04-17 주식회사 우존 인쇄품질이 우수한 굴곡성형된 메탈산화미디어의 제조방법
KR101790522B1 (ko) * 2016-08-01 2017-10-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국부화 아노다이징 공정을 이용한 미세패턴 가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미세패턴 가공 방법
KR20180070173A (ko) * 2016-12-16 2018-06-26 (주)포인텍 양극 이동형 전해도금 장치
KR101880601B1 (ko) * 2016-12-16 2018-08-17 (주)포인텍 양극 이동형 전해도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6486B1 (ko) 알루미늄의 산화피막패턴 형성장치
US10041185B2 (en) Cylinder plating apparatus and method
CN201292415Y (zh) 一种钛及其合金的阳极氧化装置
CN1247825C (zh) 拉链链齿排上阳极氧化膜的形成方法及其形成设备
JPS6452098A (en) Electrolytic treatment
CN1680631B (zh) 电解处理方法及装置
US8493561B2 (en) Device for on-site measurement of concentration of uranium in high temperature molten salts
KR101215478B1 (ko) 금속의 아노다이징 처리용 양극레일의 스파크 방지 시스템
KR101141053B1 (ko) 롤러 도금장치
CN209957914U (zh) 一种金属件阳极氧化处理装置
CA1072041A (en) Continuous electrolyte colouring of a pre-anodised aluminium foil or strip
KR101502042B1 (ko) 반사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CN214736157U (zh) 一种镀银铜线电镀用生产装置
DE241126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elektrolytischen faerben von aluminium
JP2004211116A (ja) アルミニウムまたはアルミニウム合金の陽極酸化処理装置
CN217266074U (zh) 钛合金阳极氧化着色设备
KR101565355B1 (ko) 도금장치 및 방법
CN111979575A (zh) 花辊电解装置及电解刻花方法
KR20030065693A (ko) 지퍼용 이빨 도금장치
KR20170056383A (ko) 배럴 도금 장치
KR20180049534A (ko) 귀금속의 다양한 색상 제조장치
KR101174988B1 (ko)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RU2585924C2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анодного перенапряжения при электролитическом получении алюминия
CN216852384U (zh) 一种石墨炉功率恒定装置
CN106591934A (zh) 一种新型电极丝电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