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450B1 -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450B1
KR101416450B1 KR1020120058960A KR20120058960A KR101416450B1 KR 101416450 B1 KR101416450 B1 KR 101416450B1 KR 1020120058960 A KR1020120058960 A KR 1020120058960A KR 20120058960 A KR20120058960 A KR 20120058960A KR 101416450 B1 KR101416450 B1 KR 10141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assium
triazol
group
borate
org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424A (ko
Inventor
함정엽
김태정
이정애
송중호
정봉철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5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450B1/ko
Priority to PCT/KR2013/004341 priority patent/WO2013180415A1/ko
Publication of KR20130135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6Halogens; Compounds thereof
    • B01J27/128Halogens; Compounds thereof with iron group metals or platinum group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 C07D249/06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with ar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는, 스즈키-미야우라 결합반응 (Suzuki-Miyaura Coupling Reaction)과 같은 금속촉매를 활용한 일반적인 탄소-탄소 결합반응을 통한 다양한 종류의 오가노 1,2,3-트리아졸의 제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합성 반응, 광학유기소재 제조, 의약품 제조, 의료용 진단소재, 생체접합소재 및 생리활성 천연물의 전합성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안정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단일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제조과정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며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Description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NOVEL POTASSIUM ORGANO-1H-1,2,3-TRIAZOL-4-YLTRIFLUOROBORATE DERIVATIV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단일 반응을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오가노 1,2,3-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화학, 의약화학 및 생체재료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가노 1,2,3-트리아졸 (Organo-1,2,3-Triazole) 화합물은 반응 속도가 빠르고, 온화한 반응조건과 높은 제조수율, 입체적 선택성이 강하여 조합화학 (Combinatorial Chemistry) 및 다양성추구 조합화학 (Diversity-Oriented Synthesis) 을 통한 의약품 개발, 의료용 진단소재 및 안정성이 강한 생체접합 신소재 개발연구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화합물이다.
하지만, 그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1,2,3-트리아졸 유도체의 다양성은 사용되는 아자이드 화합물 및 말단 알카인의 화학적 제조 또는 판매 되는 종류에 커다란 제한을 받아왔다.
한편, 최근 화학 분야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팔라듐 (Pd) 촉매를 이용한 탄소-탄소 결합 방법이 유기화학, 의약화학 및 화학소재 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기붕소 (Boron) 화합물을 이용한 탄소-탄소 결합반응은, 기존에 이용된 유기아연 (Organozinc), 유기주석 (Organotin) 또는 유기마그네슘 (Grignard reagent) 화합물에 비해 독성이 낮아 자연 친화성이 큰 화합물로써 인체에 덜 위험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응조건에 물을 사용하는 등 기존에 사용되었던 반응보다 안정적이며, 다양한 분야 (천연물 전합성, 의약화학, 재료화학 등)에서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유기붕소 화합물의 일종인 포타슘 오가노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Potassium Organotrifluoroborate)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오가노 1,2,3-트리아졸 화합물을 다양하게 제조하는데 있어서 말단 알카인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이 충분히 개발되지 않아 어려운 점이 있어왔다.
등록특허 제10-107351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Potassium Organo-1H-1,2,3-triazol-4-yltrifluoroborate)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단 알카인 (Terminal Alkyne)의 종류에 제한을 받지 않고,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Potassium Ethynyltrifluoroborate)를 다양한 아자이드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이용하여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는 탄소-탄소 결합반응을 통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오가노 1,2,3-트리아졸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2
기 (Ar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펜옥시페닐, 피리딜, 퓨라닐 및 티오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3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및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4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소듐 아자이드 및 할라이드 화합물을 촉매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5
(상기 반응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6
기 (Ar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펜옥시페닐, 피리딜, 퓨라닐 및 티오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7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8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X는 할로겐 원소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리간드, 첨가제 및 무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께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커퍼할라이드(Copper halide) 촉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퍼할라이드 촉매는 커퍼아이오다이드 (CuI), 커퍼브로마이드 (CuBr), 커퍼브로마이드 디메틸설파이드 착물(CuBr·DMS), 커퍼옥사이드 (Cu2O), 커퍼설페이트 (Cu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2당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할라이드 화합물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에 대하여 1.0 내지 1.5당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N,N' -디메틸에틸렌디아민 및 N,N'-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5당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듐 아스코베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5당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은 탄산칼륨 (K2CO3), 탄산나트륨 (Na2CO3) 및 탄산세슘 (Cs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1 내지 2.0당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설폭시드 (DMSO), 메탄올 (MeOH), 물 또는 이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48시간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출발물질로 하여 탄소-탄소 결합 반응, 치환 반응 또는 부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가노 1,2,3-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탄소 결합 반응은 팔라듐 촉매 하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치환 반응 또는 부가 반응은 로듐 촉매 하 진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는, 스즈키-미야우라 결합반응 (Suzuki-Miyaura Coupling Reaction)과 같은 금속촉매를 활용한 일반적인 탄소-탄소 결합반응을 통한 다양한 종류의 오가노 1,2,3-트리아졸의 제조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합성 반응, 광학유기소재 제조, 의약품 제조, 의료용 진단소재, 생체접합소재 및 생리활성 천연물의 전합성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안정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단일 반응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바, 제조과정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며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용어 "C1-C8 알킬기"는, 1 내지 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지쇄,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를 의미한다. 상기 알킬기는 메틸, 에틸, 에테닐, 에티닐,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부틸, 부테닐, 이소부테닐, 부티닐, n-펜틸, n-헥실, n-헵틸, n-옥틸 등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 n-펜틸 또는 이소프로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C1-C4 알킬옥시기"는 알킬-O-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알킬은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C1-C4 알킬옥시기는 메톡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치환 알킬기를 포함하는 알킬옥시기는, 불소 치환 메톡시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OCF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C6-C12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헥실, 시클로펜틸, 시클로프로필을 가지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알킬은 1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6-C12 시클로알킬기는 시클로헥실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C6-C15 아릴알킬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 C6-C15 방향족 탄화수소를 나타내고, 예를 들어 페닐, 나프틸, 안트라세닐, 페난트레닐 및 플루오레닐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어 "C2-C9 알킬에테르기"는 2 내지 9개의 탄소 원자 및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또는 불포화, 치환 또는 비치환 알킬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43909451-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0
기 (Ar은 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1
), 바이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2
), 나프틸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3
), 펜옥시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4
), 피리딜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5
), 퓨라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6
) 및 티오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7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8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19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상기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는, 포타슘 1-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시아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5-디플루오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2,6-디플루오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에톡시카보닐메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벤질옥시카보닐메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메톡시카보닐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1'-(1,4-페닐렌비스(메틸렌))비스(1H-1,2,3-트리아졸)-4,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브로모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니트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알릴-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2-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아미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하이드록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하이드록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소듐 아자이드 및 할라이드 화합물을 촉매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출발물질인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와 할라이드((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0
) 화합물을 용매에 녹이고 소듐 아자이드 (NaN3), 촉매, 리간드, 첨가제와 무기염 하에서 반응 후, 용매를 제거하고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1
(상기 반응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2
기 (Ar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펜옥시페닐, 피리딜, 퓨라닐 및 티오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3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4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X는 할로겐 원소이다.)
상기 할로겐 원소는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리간드, 첨가제 및 무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께 반응시키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5
(상기 반응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6
기 (Ar은 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7
), 바이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8
), 나프틸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29
), 펜옥시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0
), 피리딜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1
), 퓨라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2
) 및 티오페닐 (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4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5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X는 요오드, 브롬 또는 염소이다.)
본 발명에서의 할라이드 화합물(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6
)은 요오드, 브롬 또는 염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할라이드 화합물의 사용량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에 대하여, 1.0 내지 1.5당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당량일 수 있다. 상기 할라이드 화합물의 사용량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와의 반응 효율을 고려한 것이다. 알켄 화합물이 1.0당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반응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가 잔류될 수 있고, 1.5당량 초과시에는 할라이드 화합물이 과다하게 남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결과물의 수율 및 순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커퍼할라이드(Copper halide) 촉매일 수 있다.
상기 커퍼할라이드 촉매는 구리(Cu, 커퍼)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커퍼아이오다이드 (CuI), 커퍼브로마이드 (CuBr), 커퍼브로마이드 디메틸설파이드 착물(CuBr·DMS), 커퍼옥사이드 (Cu2O), 커퍼설페이트 (CuSO4)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2당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당량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사용량 범위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와의 반응효율을 고려한 것이다. 촉매량이 0.01당량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시간이 길고, 미반응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가 결과물에 잔류될 수 있으며, 0.2당량 초과시에는 반응은 빨리 진행되나 값비싼 촉매의 과다 사용으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리간드(Ligand)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7
) 및 N,N’-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8
) 중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리간드의 사용량은, 사용되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내지 0.5당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내지 0.2당량일 수 있다. 상기 리간드의 사용량 범위는 촉매의 종류와 반응 효율을 고려한 것이다. 리간드의 사용량이 0.01 미만인 경우에는 촉매의 활성을 충분히 도울 수 없어 반응시간이 길어지고 수율이 저하되며, 0.5당량을 초과 시에는 반응은 빨리 진행되나 리간드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최종 결과물의 순도와 경제성이 저하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무기염은 염기(Base)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탄산칼륨 (K2CO3), 탄산나트륨 (Na2CO3) 및 탄산세슘 (Cs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의 사용량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1 내지 2.0당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2당량일 수 있다. 무기염의 사용량이 1.0당량 미만인 경우에는 반응 종결시간이 길어지고 수율이 떨어지며, 2.0당량 초과시에는 상대적인 용매 사용량이 증가하고 강한 염기 조건으로 출발물질이 불안정하게 되어 수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 (Additive)는 반응 속도 향상제로서, 소듐 아스코베이트 (Na-ascrobate)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첨가제 (Additive)는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첨가제의 사용량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5당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당량일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사용량 범위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반응 효율을 고려한 것이다. 사용하는 첨가제의 사용량이 0.01미만인 경우에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가 완전히 반응하지 않고 최종 결과물에 섞이게 되어 순도 및 수율이 저하되고, 0.5당량을 초과 시에는 첨가물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최종 결과물의 순도가 저하된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설폭시드 (DMSO), 메탄올 (MeOH), 증류수 (H2O)와 같은 단일 용매, 또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메탄올 또는 증류수의 혼합용매, 디메틸설폭시드와 메탄올 또는 증류수의 혼합용매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디메틸설폭시드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의 반응온도는 반응물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20℃ 내지 150℃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일 수 있다. 반응온도가 20℃보다 낮으면 반응속도가 크게 저하되어 반응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온도가 150℃ 이상으로 올라가면 부생성물 또는 최종 결과물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어 순도 및 수율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의 반응시간은 반응온도와 반응물질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0분 내지 48시간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12시간일 수 있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는 오가노 1,2,3-트리아졸 유도체 제조의 출발물질로서 유용하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출발물질로 하여 탄소-탄소 결합 반응, 치환 반응 또는 부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가노 1,2,3-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탄소-탄소 결합 반응은 팔라듐 촉매 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팔라듐 촉매를 이용한 자연친화적이며 안정한 탄소-탄소 결합반응인 스즈키-미야우라 탄소-탄소 결합반응(Suzuki-Miyaura carbon-carbon coupling reaction)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는 연결시약(Coupling reagent)으로 역할할 수 있다.
상기 치환 반응 또는 부가 반응은 로듐(Rh) 촉매 하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로듐(Rh) 촉매를 이용한 부가반응 또는 할로겐 치환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기존에 알려진 알카인 (Alkyne) 화합물과 아자이드 (Azide) 화합물의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오가노 1,2,3-트리아졸이 값비싸고 다양한 알카인 화합물을 필요로 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알카인 화합물을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로 대체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경제적으로 새로운 오가노 1,2,3-트리아졸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서, 본 발명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다양한 유기합성 반응과 광학 유기소재, 의약품 제조 및 생리활성 천연물의 전합성에서 요구되는 오가노 1,2,3-트리아졸의 도입 반응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반응물질로 활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방법은 단일 반응이므로 제조과정이 매우 빠르고 편리하며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또한, 포타슘 오가노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가 유기붕소산 (organoboronic acid) 또는 유기붕소에스터 (organoboronate ester)에 비하여 공기와 수분에 안정하고, 취급이 편한 고체상으로써 정량적인 반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유기붕소산 또는 유기붕소에스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포타슘하이드로겐플로라이드 (KHF2)를 첨가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반응성 측면에서도 기존의 유기붕소산 또는 유기붕소에스터와 거의 유사하므로 탄소-탄소 결합반응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타슘 1-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39
벤질 브로마이드 102.6 mg (0.6 mmol), 소듐 아자이드 48.7 mg (0.75 mmol), CuI 9.6 mg (10 mol %), 탄산세슘 163 mg (0.5 mmol),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8.8 mg (20 mol %), 소듐 아스코베이트 (Na-ascrobate) 9.9 mg (20 mol %),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66.0 mg (0.5 mmol)를 디메틸설폭시드 (DMSO) 3 ml와 증류수 (H2O) 1 ml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40 oC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0.5시간 후, 셀라이트와 활성탄소를 사용하여 녹지 않은 염을 제거하였다. 여과된 아세톤 용매를 농축하고 남은 잔류물에 디에틸에테르 5 mL를 부가하여 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여과 후, 건조하여 표제화합물 119 mg (수율 = 93%)을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47 (s, 1H), 7.32 (m, 5H), 5.53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38.1, 129.5, 128.7, 128.6, 53.2.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8.9.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16.
FT-IR (ATR): 3148, 2084, 1640, 1519, 1456, 1203, 1131, 981, 924, 817, 716 cm-1.
ESI-MS: m/z calcd for C9H8BF3N3 [M-K+]- 226.07, found 226.1.
[실시예 2] 포타슘 1-(3-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0
출발물질을 3-브로모프로필벤젠 119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7 mg (수율 = 80%)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 δ 7.97 (s, 1H), 7.23 (m, 5H), 4.34 (t, 2H, J = 14.0 Hz), 2.61 (t, 2H, J = 15.6 Hz), 2.22 (m,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42.1, 129.3, 129.2, 126.8, 33.4, 32.8.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0.7.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3.16.
FT-IR (ATR): 3026, 2945, 2360, 1736, 1602, 1453, 946, 796, 748, 699 cm-1.
ESI-MS: m/z calcd for C11H12BF3N3 [M-K+]- 254.11, found 254.1.
[실시예 3] 포타슘 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1
출발물질을 4-메톡시벤질 브로마이드 120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37 mg (수율 = 93%)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71 (s, 1H), 7.33 (d, 2H, J = 8.4 Hz), 7.00 (d, 2H, J = 8.8 Hz), 5.52 (s, 2H), 3.87 (s, 3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59.2, 129.1, 113.7, 54.6.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0.7.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34.
FT-IR (ATR): 3103, 2940, 2843, 2363, 2085, 1610, 1516, 1457, 1245, 1024, 948 cm-1.
ESI-MS: m/z calcd for C10H10BF3N3O [M-K+]- 256.09, found 256.1.
[실시예 4] 포타슘 1-(4-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2
출발물질을 4-메틸벤질 브로마이드 110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7 mg (수율 = 8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47 (s, 1H), 7.32 (m, 5H), 5.53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38.1, 129.5, 128.7, 128.6, 53.2.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8.9.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16.
FT-IR (ATR): 3148, 2084, 1640, 1519, 1456, 1203, 1131, 981, 924, 817, 716 cm-1.
ESI-MS: m/z calcd for C9H8BF3N3 [M-K+]- 226.07, found 226.1.
[실시예 5] 포타슘 1-(4-시아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3
출발물질을 4-시아노벤질 브로마이드 118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6 mg (수율 = 87%)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77 (d, 2H, J = 8.4 Hz), 7.61 (s, 1H), 7.47 (d, 2H, J = 8.0 Hz), 5.70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43.4, 133.3, 129.5, 119.1, 112.5, 52.7.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1.1.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36.
FT-IR (ATR): 3117, 3039, 2229, 1610, 1418, 1258, 1218, 1119, 1000, 863 cm-1.
ESI-MS: m/z calcd for C10H7BF3N4 [M-K+]- 251.07, found 251.1.
[실시예 6] 포타슘 1-(3,5-디플루오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4
출발물질을 3,5-디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124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7 mg (수율 = 78%)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60 (s, 1H), 6.93 (m, 3H), 5.65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5.1, 162.7, 142.5, 111.6, 103.8, 52.2.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10.9, -140.1.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86.
FT-IR (ATR): 3088, 2959, 1624, 1596, 1452, 1317, 1257, 998, 930 cm-1.
ESI-MS: m/z calcd for C9H6BF5N3 [M-K+]- 262.06, found 262.0.
[실시예 7] 포타슘 1-(2,6-디플루오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5
출발물질을 2,6-디플루오로벤질 브로마이드 124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4 mg (수율 = 76%)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49 (m, 2H), 7.10 (d, 1H, J= 8.0 Hz), 7.08 (d, 1H, J = 8.0 Hz), 5.63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200.5, 144.3, 133.2, 132.3, 127.3, 134.6, 34.0, 8.6.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16.1, -141.6.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13.
FT-IR (ATR): 2981, 2943, 1659, 1683, 1608, 1357, 1203, 1125, 952, 819 cm-1.
ESI-MS: m/z calcd for C9H6BF5N3 [M-K+]- 262.06, found 262.0.
[실시예 8] 포타슘 1-에톡시카보닐메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6
출발물질을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100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08 mg (수율 = 83%)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70 (s, 1H), 5.26 (s, 2H), 4.20 (q, 2H, J = 6.8 Hz), 1.25 (t, 3H, J = 7.2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8.3, 62.1, 14.4.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9.2.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53.
FT-IR (ATR): 3107, 2992, 2360, 2127, 1748, 1624, 1597, 1452, 1214, 1119, 997 cm-1.
ESI-MS: m/z calcd for C6H8BF3N3O2 [M-K+]- 222.07, found 222.1 .
[실시예 9] 포타슘 1-벤질옥시카보닐메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7
출발물질을 벤질 2-브로모아세테이트 137 mg (0.6 mmol)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39 mg (수율 = 86%)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62 (s, 1H), 7.38 (m, 5H), 5.33 (s, 2H), 5.22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8.3, 136.7, 129.4, 129.1, 129.0, 67.7, 50.7.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0.9.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34.
FT-IR (ATR): 3134, 2948, 2110, 1746, 1621, 1388, 1211, 1143, 926 cm-1.
ESI-MS: m/z calcd for C11H10BF3N3 O2[M-K+]- 284.08, found 284.1.
[실시예 10] 포타슘 1-(3-메톡시카보닐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8
출발물질을 메틸 3-(브로모메틸)벤조에이트 137 mg (0.6 mmol)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6 mg (수율 = 78%)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8.04 (d, 1H, J = 8.4 Hz), 7.97 (s, 1H), 7.69 (m, 3H), 5.66 (s, 2H), 3.97 (s, 3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6.0, 137.3, 132.0, 130.4, 128.8, 128.5, 128.1, 51.8, 51.5.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8.7.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22.
FT-IR (ATR): 3117, 2954, 1722, 1521, 1434, 1282, 1203, 1103, 1044, 948 cm-1.
ESI-MS: m/z calcd for C11H10BF3N3O [M-K+]- 284.08, found 284.1.
[실시예 11] 포타슘 1,1'-(1,4-페닐렌비스(메틸렌))비스(1H-1,2,3-트리아졸)-4,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49
출발물질을 1,4-비스(브로모메틸)벤젠 157 mg (0.6 mmol)으로 대체하고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132.0 mg (1.0 m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50 mg (수율 = 80%)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 6) δ 7.46 (s, 2H), 7.21 (s, 4H), 5.45 (s, 4H).
13C NMR (100 MHz, DMSO-d 6) δ 137.08, 128.4, 126.4, 51.9, 31.2.
19F NMR (376 MHz, DMSO-d 6) δ -135.5.
11B NMR (128 MHz, DMSO-d 6) δ 2.06.
FT-IR (ATR): 2954, 2040, 1721, 1522, 1435, 1127, 931 cm-1.
ESI-MS: m/z calcd for C12H10B2F6N6 [M-K+]- 374.11, found.
[실시예 12] 포타슘 1-(4-브로모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0
출발물질을 4-브로모벤질 브로마이드 149 mg (0.6 mmol)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46 mg (수율 = 85%)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54 (d, 2H, J= 8.0 Hz), 7.50 (s, 1H), 7.20 (d, 2H, J = 8.0 Hz), 5.47 (s, 1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36.5, 131.4, 129.9, 126.0, 120.8, 50.9.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7.3.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06.
FT-IR (ATR): 3138, 3101, 2061, 1489, 1127, 926 cm-1.
ESI-MS: m/z calcd for C9H7BBrF3N3 [M-K+]- 303.99, found 304.0, 306.0.
[실시예 13] 포타슘 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1
출발물질을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브로마이드 144 mg (0.6 mmol)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35 mg (수율 = 81%)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71 (d, 2H, J = 8.0 Hz), 7.63 (s, 1H), 7.50 (d, 2H, J = 8.0 Hz), 5.69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7.5, 146.9, 133.1, 132.1, 127.2, 116.3, 60.5, 14.7.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63.1, 140.5.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56.
FT-IR (ATR): 3344, 2977, 1694, 1628, 1362, 1321, 1305, 1210, 1175, 1039, 944, 814, 722, 631cm-1.
ESI-MS: m/z calcd for C10H7BF6N3 [M-K+]- 294.06, found 294.1.
[실시예 14] 포타슘 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2
출발물질을 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 브로마이드 144 mg (0.6 mmol)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35 mg (수율 = 81%)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64 (m, 5H), 5.67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7.1, 143.9, 133.2, 133.0, 126.9, 116.3, 37.3, 35.6.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63.1, -138.6.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68.
FT-IR (ATR): 3373, 1644, 1584, 1492, 1397, 1368, 1334, 1156, 1083, 1042, 1011, 960, 814, 735, 627 cm-1.
ESI-MS: m/z calcd for C10H7BF6N3 [M-K+]- 294.06, found 294.1.
[실시예 15] 포타슘 1-(4-니트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3
출발물질을 4-니트로벤질 브로마이드 129 mg (0.6 mmol)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6 mg (수율 = 81%)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8.20 (d, 2H, J = 8.8 Hz), 7.66 (s, 1H), 7.52 (d, 1H, J = 8.4 Hz), 5.75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48.5, 145.4, 129.7, 127.0, 124.6, 52.5.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9.6.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49.
FT-IR (ATR): 3015, 2955, 1672, 1615, 1438, 1346, 1280, 1204, 1178, 947, 931 cm-1.
ESI-MS: m/z calcd for C9H7BF3N3O2 [M-K+]- 271.06, found 271.1.
[실시예 16] 포타슘 1-알릴-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4
출발물질을 알릴 브로마이드 72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80 mg (수율 = 7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56 (s, 1H), 6.06 (m, 1H), 5.21 (d, 1H, J = 8.4 Hz), 5.19 (d, 1H, J = 14.0 Hz), 4.96 (d, 2H, J = 6.0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34.3, 118.4, 52.3.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9.6.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43.
FT-IR (ATR): 3134, 2046, 1645, 1519, 1417, 1143, 991, 927 cm-1.
ESI-MS: m/z calcd for C5H6BF3N3 [M-K+]- 176.06, found 176.1.
[실시예 17] 포타슘 1-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5
A. 아이오드벤젠 122 mg (0.6 mmol), 소듐 아자이드 48.7 mg (0.75 mmol), CuI 9.6 mg (10 mol %),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8.8 mg (20 mol %), 소듐 아스코베이트 (Na-ascrobate) 9.9 mg (20 mol %),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66.0 mg (0.5 mmol)를 디메틸설폭시드 (DMSO) 3 ml와 증류수 (H2O) 1 ml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30 oC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0.5시간 후, 셀라이트와 활성탄소를 사용하여 녹지 않은 염을 제거하였다. 여과된 아세톤 용매를 농축하고 남은 잔류물에 디에틸에테르 5 mL를 부가하여 결정을 얻었다. 얻어진 결정을 여과 후, 건조하여 표제화합물 107 mg (수율 = 84%)을 얻었다.
B. 출발물질을 브로포벤젠 93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7 mg (수율 = 93%)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8.05 (s, 1H), 7.87 (d, 2H, J = 8.0 Hz), 7.55 (q, 2H, J = 8.0 Hz), 7.41 (q, 1H, J = 7.6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30.5, 128.4, 120.8.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39.9 .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21.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8H6BF3N3 [M-K+]- 212.06, found 212.1.
[실시예 18] 포타슘 1-(4-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6
A. 출발물질을 4-아이오드아니솔 140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4 mg (수율 = 88%)를 얻었다.
B. 출발물질을 4-브로모아니솔 112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4 mg (수율 = 88%)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96 (s, 1H), 7.75 (d, 2H, J = 8.8 Hz), 7.08 (q, 2H, J = 9.2 Hz), 3.86 (s, 1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0.0, 122.4, 115.5, 56.0.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1.8.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04.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
ESI-MS: m/z calcd for C9H8BF3N3O [M-K+]- 242.07, found 242.0.
[실시예 19] 포타슘 1-(3-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7
출발물질을 3-아이오드아니솔 140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1 mg (수율 = 86%)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8.07 (s, 1H), 7.44 (s, 3H), 6.98 (s, 1H), 3.90 (s, 3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1.6, 139.9, 131.4, 124.3, 114.3, 112.9, 106.5, 55.9.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1.9.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33.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9H8BF3N3O [M-K+]- 242.07, found 242.0.
[실시예 20] 포타슘 1-(2-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8
출발물질을 3-아이오드아니솔 140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4 mg (수율 = 88%)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96 (s, 1H), 7.75 (d, 2H, J = 8.8 Hz), 7.08 (q, 2H, J = 9.2 Hz), 3.86 (s, 1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60.0, 122.4, 115.5, 56.0.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1.8.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04.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9H8BF3N3O [M-K+]- 242.07, found 242.0.
[실시예 21] 포타슘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59
출발물질을 4-아이오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163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36 mg (수율 = 85%)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8.21 (s, 1H), 8.17 (d, 2H, J = 8.4 Hz), 7.92 (d, 2H, J = 8.8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52.5, 130.3, 126.3, 121.7, 113.6, 56.4.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62.9, -141.2.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71.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8H6BF3N3 [M-K+]- 212.06, found 212.1.
[실시예 22] 포타슘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0
출발물질을 3-아이오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163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42 mg (수율 = 89%)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8.25 (m, 2H), 8.22 (d, 1H, J = 8.8 Hz), 7.82 (t, 1H, J = 15.6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52.5, 130.3, 126.3, 121.7, 113.6, 56.4.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6339, -141.3.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78.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8H6BF3N3 [M-K+]- 212.06, found 212.1.
[실시예 23] 포타슘 1-(4-아미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1
출발물질을 4-아이오드아닐린 131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25 mg (수율 = 94%)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7.95 (s, 1H), 7.49 (d, 2H, J = 8.4 Hz), 7.78 (s, 2H, J = 8.4 Hz), 5.06 (s, 2H).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52.5, 130.3, 126.3, 121.7, 113.6, 56.4.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6339, -141.3.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78.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8H7BF3N4 [M-K+]- 227.07, found 212.1.
[실시예 24] 포타슘 1-(4-하이드록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2
출발물질을 4-아이오드페놀 132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3 mg (수율 = 85%)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9.46 (s, 1H), 7.93 (s, 1H), 7.64 (d, 2H, J = 9.2 Hz), 7.10 (d, J = 8.8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58.2, 131.2, 124.5, 122.7, 116.9.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141.3.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16.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8H6BF3N4O [M-K+]- 228.06, found 212.1.
[실시예 25] 포타슘 1-(3-하이드록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의 합성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3
출발물질을 3-아이오드페놀 132 mg (0.6 mmol)으로 대체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7A과 동일한 방법으로 0.5시간 반응 후 정제하여 표제화합물 115 mg (수율 = 86%)를 얻었다.
1H NMR (400 MHz, Acetone-d 6) δ 9.71 (s, 1H), 7.99 (s, 1H), 7.40 (s, 1H), 7.31(m, 2H), 6.86 (d, 1H, J = 11.2 Hz).
13C NMR (100 MHz, Acetone-d 6) δ 152.5, 130.3, 126.3, 121.7, 113.6, 56.4.
19F NMR (376 MHz, Acetone-d 6) δ -6339, -141.3.
11B NMR (128 MHz, Acetone-d 6) δ 2.78.
FT-IR (ATR): 3134, 3060, 2130, 2013, 1602, 1522, 1211, 970 cm-1.
ESI-MS: m/z calcd for C8H7BF3N4 [M-K+]- 228.06, found 212.1.

Claims (20)

  1.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5
    기 (Ar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펜옥시페닐, 피리딜, 퓨라닐 및 티오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6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및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7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는, 포타슘 1-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메톡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시아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5-디플루오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2,6-디플루오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에톡시카보닐메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벤질옥시카보닐메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메톡시카보닐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1'-(1,4-페닐렌비스(메틸렌))비스(1H-1,2,3-트리아졸)-4,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브로모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니트로벤질)-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알릴-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2-메톡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아미노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포타슘 1-(4-하이드록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및 포타슘 1-(3-하이드록시페닐)-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3.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소듐 아자이드 및 할라이드 화합물을 촉매 하에서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하기 반응식 1로 표현되는 것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8

    (상기 반응식 1에서,
    R1은 C1-C8 알킬기, C6-C12 시클로알킬기, C6-C15 아릴알킬기, C2-C9 알킬에테르기,
    Figure 112012043909451-pat00069
    기 (Ar은 페닐, 바이페닐, 나프틸, 펜옥시페닐, 피리딜, 퓨라닐 및 티오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R2는 C1-C8 알킬기, C1-C4 알킬옥시기, C1-C4 알킬티오옥시기, C6-C12 아릴옥시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기, 하나 이상의 할로겐이 치환된 C1-C4 알킬옥시기, 니트로기(-NO2), 시안기(-CN),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m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4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70
    기 (R3은 C1-C8 알킬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p는 1 내지 5의 정수임),
    Figure 112012043909451-pat00071
    기 (R4는 C1-C8 알킬기, 페닐기, 디메틸아민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q는 1 내지 5의 정수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X는 할로겐 원소이다.)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리간드, 첨가제 및 무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함께 반응시키는 것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커퍼할라이드(Copper halide) 촉매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커퍼할라이드 촉매는 커퍼아이오다이드 (CuI), 커퍼브로마이드 (CuBr), 커퍼브로마이드 디메틸설파이드 착물(CuBr·DMS), 커퍼옥사이드 (Cu2O), 커퍼설페이트 (CuSO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2당량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할라이드 화합물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에 대하여 1.0 내지 1.5당량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및 N,N’-디메틸시클로헥산-1,2-디아민 중 하나 이상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5당량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소듐 아스코베이트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01 내지 0.5당량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은 탄산칼륨 (K2CO3), 탄산나트륨 (Na2CO3) 및 탄산세슘 (Cs2CO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5.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은 포타슘 에티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에 대하여 0.1 내지 2.0당량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디메틸설폭시드 (DMSO), 메탄올 (MeOH), 물 또는 이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에서 이루어지는 것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2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48시간 진행되는 것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18. 제1항에 따른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를 출발물질로 하여 스즈키-미야우라(Suzuki-Miyaura) 탄소-탄소 결합 반응, 치환 반응 또는 부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가노 1,2,3-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즈키-미야우라(Suzuki-Miyaura) 탄소-탄소 결합 반응은 팔라듐 촉매 하 진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반응 또는 부가 반응은 로듐 촉매 하 진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20058960A 2012-06-01 2012-06-01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16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60A KR101416450B1 (ko) 2012-06-01 2012-06-01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3/004341 WO2013180415A1 (ko) 2012-06-01 2013-05-16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960A KR101416450B1 (ko) 2012-06-01 2012-06-01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424A KR20130135424A (ko) 2013-12-11
KR101416450B1 true KR101416450B1 (ko) 2014-07-10

Family

ID=4967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960A KR101416450B1 (ko) 2012-06-01 2012-06-01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16450B1 (ko)
WO (1) WO2013180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3502B (zh) * 2018-12-29 2020-05-05 山东师范大学 N-乙烯基-1,2,3-三氮唑类化合物的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ARY A. MOLANDER et al., ‘Organotrifluoroborates: Protected Boronic Acids That Expand the Versatility of the Suzuki Coupling Reaction’, Acc. Chem. Res. 2007, 40, 275-286
Gary A. Molander et al., ‘Synthesis of Functionalized Organotrifluoroborates via the 1,3-Dipolar Cycloaddition of Azides’, Org. Lett., 2006, 8 (13), pp 2767-2770
GARY A. MOLANDER et al., 'Organotrifluoroborates: Protected Boronic Acids That Expand the Versatility of the Suzuki Coupling Reaction', Acc. Chem. Res. 2007, 40, 275-286 *
Gary A. Molander et al., 'Synthesis of Functionalized Organotrifluoroborates via the 1,3-Dipolar Cycloaddition of Azides', Org. Lett., 2006, 8 (13), pp 2767-2770 *
Huanfeng Jiang et al., ‘Palladium-Catalyzed Alkenylation of 1,2,3-Trizoles with Terminal Conjugated Alkenes by Direct C-H Bond Functionalization‘,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ume 2010,
Huanfeng Jiang et al., 'Palladium-Catalyzed Alkenylation of 1,2,3-Trizoles with Terminal Conjugated Alkenes by Direct C-H Bond Functionalization', Europea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Volume 201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80415A1 (ko) 2013-12-05
KR20130135424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607424B1 (pt) Processo para preparar bifenilas substituídas
JP5106048B2 (ja) パーフルオ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ベンゼン類の製造方法
EP2569279B1 (en) Method of synthesis
CN101910140A (zh) (1h-1,2,4-三唑-1-基)芳基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08069994B (zh) 一类含硼化合物及其在催化氟化反应中的应用
KR101416450B1 (ko) 신규한 포타슘 오가노-1h-1,2,3-트리아졸-4-일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EP2394980B1 (en) Aromatic amino compound manufacturing method
KR101259708B1 (ko) 마이크로 플로우 리액터를 이용한 2차 아민 화합물을 제조하는 신규한 방법
CN112004796B (zh) N,n-二取代酰胺的制造方法及用于制造n,n-二取代酰胺的催化剂
CN103641674A (zh) 一种二芳基砜的制备方法
CN102675294A (zh) 一种合成氯沙坦及其中间体的方法
AU2018260727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deuterated ethanol from D2O
KR101303916B1 (ko) 포타슘 스티레닐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EP0189694B1 (fr) Procédé de synthèse d'isocyanates et de dérivés d'isocyanates
CN104860881A (zh) 8-(硝基甲基)喹啉类化合物和8-甲氨基四氢喹啉类化合物的合成方法
JP5306336B2 (ja) 置換ヘテロ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KR101113791B1 (ko) 신규한 포타슘 아지도아릴트리플루오로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8140985A (ja) 芳香族化合物の製造方法
CN111699172B (zh) 三氟甲硫基烷基化合物的制造方法和三氟甲硫基卤烷化合物的组合物
KR101974850B1 (ko) 아세트아미노펜의 신규한 제조방법
CN1974567B (zh) 抗真菌药硝酸舍他康唑的制备方法
JP2000159702A (ja) 1−(4−クロロフェニル)−ω−ブロモアルカンの製造方法
Wang Ring-opening and ring-expansion reactions of gem-difluorinated cyclopropanes and cyclopropenones
JP2011256158A (ja) ビアリ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ビアリール化合物を使用するカルバゾ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539725B1 (ko) 피롤의 새로운 알킬화 반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