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475B1 -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475B1
KR101414475B1 KR1020140060359A KR20140060359A KR101414475B1 KR 101414475 B1 KR101414475 B1 KR 101414475B1 KR 1020140060359 A KR1020140060359 A KR 1020140060359A KR 20140060359 A KR20140060359 A KR 20140060359A KR 101414475 B1 KR101414475 B1 KR 10141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blood sample
container
blood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윤
Original Assignee
신진메딕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메딕스(주) filed Critical 신진메딕스(주)
Priority to KR1020140060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8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for use in medical treatment or therap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2009/0003Use of RFID lab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검체 혈액샘플에 수작업으로 라벨을 부착하던 종래 방식을 자동 방식으로 진행되도록하여 라벨 부착시간 단축과 함께 혈액샘플이 뒤바뀌지 않도록 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는 리니어모터부; 상기 리니어모터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니어모터부의 축방으로 이송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에 결합되는 바코드리더; 외면에 바코드가 부착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수용하는 샘플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샘플수용홀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모검체 수용체; 상기 샘플수용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샘플수용홀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바;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수용하는 실장홀이 형성되는 자검체 수용체;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결착시켜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용기이동체; 및, 상기 용기이동체에 의해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접착제가 형성된 라벨을 근접시키는 라벨부착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리더는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가 상기 리프트바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경우, 상기 바코드를 리딩하여 상기 바코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라벨부착체는 상기 바코드리더와 연동하여 상기 바코드리더가 리딩한 상기 바코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코드정보와 대응하는 라벨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이동체에 밀착시키며, 상기 용기이동체는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가 상기 라벨의 접착제와 밀착되는 경우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회전시켜,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상기 라벨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BLOOD SAMPLE FRACTIONATOR}
본 발명은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진단면역 검사실에서 운영되는 장치로써, 모검체 혈액샘플의 바코드 라벨을 자동으로 리딩한 후, 리딩한 라벨을 복사하여 자검체 혈액샘플의 용기에 자동적으로 부착되도록 하고, 복사된 라벨을 부착하기 이전에 모검체 샘플량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의 모검체 혈액샘플을 채취하여 샘플용기에 수용하고, 샘플용기에 환자의 신원을 알 수 있도록 바코드 라벨을 부착하게 된다.
이 경우, 샘플용기에는 바코드 라벨과 함께 혈액샘플 채취자가 수기로 환자의 신상정보를 기록하여 검사자가 샘플의 신상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한 샘플용기는 의료기관의 진단면역 검사실로 옮겨진 후, 각종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검사항목마다 혈액샘플이 필요하기 때문에, 모검체의 혈액샘플을 자검체의 혈액샘플용기 각각에 나누어 수용하게 된다.
이 경우, 모검체 혈액 샘플용기에서 자검체 혈액 샘플용기로 혈액 샘플을 나누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자검체 혈액 샘플용기에도 모검체 혈액 샘플용기의 바코드 라벨과 대응하는 바코드 라벨을 부착한 후, 혈액을 나누어야 하는데, 이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검사 시간을 늘어나는 문제점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모검체 혈액 샘플을 자검체 혈액 샘플로 나누는 과정은 한명이 아닌 여러 명의 혈액샘플을 동시에 나누어야 하기 때문에, 혈액 샘플이 뒤바뀌는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환자들의 건강 상태를 분석한 자료가 뒤바뀌게 되어 환자 진료시에 의사가 잘못된 진단을 내리게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49172(2001. 06. 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검체 혈액샘플에 수작업으로 라벨을 부착하던 종래 방식을 자동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라벨 부착시간 단축과 함께 혈액샘플이 뒤바뀌지 않도록 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검체의 라벨을 리딩하여 복사한 후, 자검체의 혈액샘플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모검체의 샘플량을 분석함으로써, 모검체의 혈액샘플양이 검사에 충분한 정도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는 리니어모터부; 상기 리니어모터부에 설치되며, 상기 리니어모터부의 축방으로 이송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에 결합되는 바코드리더; 외면에 바코드가 부착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수용하는 샘플수용홀이 형성되며, 상기 샘플수용홀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모검체 수용체; 상기 샘플수용홀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샘플수용홀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바;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수용하는 실장홀이 형성되는 자검체 수용체;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결착시켜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용기이동체; 및, 상기 용기이동체에 의해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접착제가 형성된 라벨을 근접시키는 라벨부착체;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리더는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가 상기 리프트바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경우, 상기 바코드를 리딩하여 상기 바코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라벨부착체는 상기 바코드리더와 연동하여 상기 바코드리더가 리딩한 상기 바코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코드정보와 대응하는 라벨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이동체에 밀착시키며, 상기 용기이동체는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가 상기 라벨의 접착제와 밀착되는 경우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회전시켜,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상기 라벨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는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 내 혈액 높이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검출하는 거리검출센서; 상기 거리검출센서가 결합되는 이동바; 상기 이동바를 이송시키는 이송부; 및, 상기 거리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거리데이타가 기설정된 값이상인 경우,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의 혈액양이 부족한 것을 판단하여 혈액부족 알림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리프트바는 상기 샘플수용홀에 삽입되어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리는 봉; 상기 봉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언더바; 및, 상기 봉의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봉을 회전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수작업으로 라벨을 부착하던 방식을 자동 방식으로 진행되도록하기 때문에, 라벨 부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자동방식에 의해 혈액샘플이 뒤바뀌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검체의 혈액샘플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모검체의 샘플양을 분석함으로써, 모검체의 혈액샘플양이 검사에 충분한 정도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리프트바가 구동되어 모검체 수용체의 상부상에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린 후 모검체 혈액샘플 용기의 바코드를 읽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바가 구동되어 모검체 수용체의 상부상에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되, 도 2와는 다른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리검출센서가 모검체 혈액샘플용기의 샘플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모검체 혈액샘플용기의 상부공간상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이동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집어 들어올린 상태에서 라벨부착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근접하여 라벨을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이동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집어 들어올린 상태에서 라벨부착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근접하여 라벨을 부착시키되 도 5와는 다른 용기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라벨부착체의 라벨이 자검검체 혈액샘플용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이동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회전시켜 자검체 혈액샘츨용기의 외주연에 라벨을 부착하는 상태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리프트바가 구동되어 모검체 수용체의 상부상에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린 후 모검체 혈액샘플 용기의 바코드를 읽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리프트바가 구동되어 모검체 수용체의 상부상에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되, 도 2와는 다른 모검체 혈액샘플용기를 들어올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거리검출센서가 모검체 혈액샘플용기의 샘플양을 검출하기 위하여 모검체 혈액샘플용기의 상부공간상에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이동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집어 들어올린 상태에서 라벨부착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근접하여 라벨을 부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용기이동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집어 들어올린 상태에서 라벨부착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에 근접하여 라벨을 부착시키되, 도 5와는 다른 용기를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라벨부착체의 라벨이 자검검체 혈액샘플용기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기이동체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를 회전시켜 자검체 혈액샘츨용기의 외주연에 라벨을 부착하는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는 리니어모터부(10), 이송체(20), 바코드리더(30), 모검체 수용체(40), 리프트바(50), 자검체 수용체(60), 용기이동체(70) 및, 라벨부착체(80)를 포함한다.
상기 리니어모터부(10)는 기계식 밸트 혹은 볼스크류형 리니어모터나 전자식 리니어모터로써, 구동시에 후술하는 이송체(20)를 축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이송체(20)는 리니어모터부(10)의 축단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바코드리더(30)가 안착될 공간을 제공하는 장치로써, 리니어모터부(10)의 구동에 의해 리니어모터부(10)의 축방으로 이송되어 바코드리더(30)를 일정 구간 이동시킨다.
상기 바코드리더(30)는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에 부착된 바코드(1a)를 리딩하는 장치로서, 이송체(20)에 결합되어 리니어모터부(10)의 구동시에 이송체(20)와 함께 구동된다. 이러한 바코드리더(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에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바코드(1a)를 동시에 리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검체 수용체(40)는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면에 바코드(1a)가 부착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수용하는 샘플수용홀(4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샘플수용홀(41)은 모검체 수용체(4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모검체 수용체(40)는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가 샘플수용홀(41)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상부 외주연 단턱이 샘플수용홀(41)의 상부 개구부 주변 영역에 결착되도록 하여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리프트바(50)는 다수의 봉(51)이 이격된 형상으로 형성되되 다수의 봉(51)이 언더바(52)에 의해 일체형으로 결합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봉(51)들이 각각의 샘플수용홀(41)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샘플수용홀(4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 리프트바(50)는 샘플수용홀(41) 가운데 특정 열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되어 샘플수용홀(41)에 삽입됨으로써, 특정 열의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동시에 들어올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프트바(50)는 리프트바(50)의 축단에 축방향구동 실린더나 축방향구동 리니어모터와 같은 수직이동장치(미도시)를 장착하여 리프트바(50)를 수직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바(50)는 전술한 샘플수용홀(41) 가운데 특정열의 샘플수용홀(41)만에 삽입되지 않고, 다른 열의 샘플수용홀(41)에도 삽입될 수 있도록 행방향 리니어모터(미도시)를 장착하여 리프트바(50)를 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른 열의 샘플수용홀(41)에도 리프트바(5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리프트바(50)는 언더바(52)에 결합된 봉들 각각이 언더바(52)와 베어링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봉(51)들 전체에는 벨트(53)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벨트(53)는 모터(미도시)의 벨트풀리(미도시)에 의해 회전하여 봉(51)들 각각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자검체 수용체(60)는 사각통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수용하는 실장홀(61)이 형성된다. 이 경우, 실장홀(61)은 자검체 수용체(6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자검체 수용체(60)는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실장홀(61)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의 상부 외주연 단턱이 실장홀(61)의 상부 개구부 주변 영역에 결착되도록 하여 자검체 혈액샘츨용기를 안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검체 수용체(60)는 전술한 모검체 수용체(40)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이동체(70)는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결착시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장치로써,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의 상부 외주연을 집게 방식으로 결착시키거나 또는 공기흡입방식으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상부에서 흡입하여 공기흡입에 의해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흡착시키는 결착부(71)와, 결착부(71)가 고정될 공간을 마련하는 결합바(72) 및, 결착부(71)와 결합바(72) 사이를 결합시키고 결착부(71)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와 같은 수직이동장치(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이동체(70)의 결합바(72)는 수평이송장치(74)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평이송장치(74)는 리니어모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자검체 수용체(60)의 실장홀(61) 가운데 특정 일렬의 실장홀(61) 전체에 결착부(71)가 배치될 수 있도록 결합바(72)를 이동시켜 결착부(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용기이동체(70)는 수직이동장치를 축방향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라벨부착체(80)는 용기이동체(70)에 의해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접착제가 형성된 라벨(3)을 근접시키게 된다. 여기서, 라벨부착체(80)는 라벨(3)을 흡입하여 라벨(3)을 임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공기흡입장치(81)와, 공기흡입장치(81)를 이동시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밀착시키기 위한 실린더 또는 리니어모터와 같은 엑추에이터인 구동체(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벨부착체(80)는 라벨(3)을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라벨(3)의 접착제가 혈액샘플용기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접착제가 형성되는 않은 면을 공기흡입방식으로 라벨(3)을 흡착함으로써, 라벨(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들에 이용되는 리니어모터나 실린더를 이용하는 구성들은 기설정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각 리니어모터와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중앙연산장치인 제어부(90)(일 예 ; PLC)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동되며, 그에 따른 연산 알고리즘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장치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진단면역 검사실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들 각각의 혈액이 채취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들을 모검체 수용체(40)의 샘플수용홀(41)에 삽입하여 안착시키고, 혈액이 분배될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들을 자검체 수용체(60)의 실장홀(61)에 삽입하여 안착시키게 된다.
다음, 리프트바(50)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어 리프트바(50)를 샘플수용홀(41)에 삽입하여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들 가운데 특정열에 배치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후, 제어부(90)가 리니어모터부(10)를 구동시키게 되면, 리니어모터부(10)는 이송체(20)를 축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게 되고, 이송체(20)와 결합된 바코드리더(30)가 혈액샘플용기의 외주연에 부착된 바코드(1a)를 리딩하여 바코드정보를 검출하게 되며, 이때, 바코드리더(30)는 검출된 바코드정보를 라벨부착체(8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리프트바(50)는 벨트(53)의 회전에 의해 각 봉(51)들이 회전하여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들의 하단을 회전시킴으로써,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하는 봉(51)들에 의해 회전하는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들 각각은 외주연에 부착된 바코드(1a)가 회전함으로써, 바코드(1a)가 바코드리더(30)의 인식범위내에 항상 위치하도록 하여 바코드(1a)가 인식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9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벨부착체(80)를 제어하여 바코드리더(30)에서 입력된 바코드정보와 대응하는 라벨(3)을 라벨부착체(80)에 흡착시키게 된다. 이 경우, 라벨부착체(80)에 의해 흡착된 라벨(3)은 바코드정보와 동일한 바코드가 인쇄된 형태이거나, 또는, 환자의 각 검사 항목(예, 간기능 검사, 면역체 검사)에 따른 검사정보 및 환자정보가 기록된 형태의 바코드가 인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90)는 용기이동체(70)를 제어하여 용기이동체(70)를 구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용기이동체(70)는 결착부(71)를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의 외주연에 맞도록 벌린 상태에서 수직이동장치(73)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가운데 어느 하나의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근접되도록 하방으로 수직이동시키고, 집게방식의 결착부(71)를 오므려 결착부(71)가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결착되도록 하거나 또는 흡입방식 결착부(71)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흡입하여 흡입력에 의해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결착부(71)에 흡착되도록 상태에서, 다시 수직이동장치(73)가 구동되어 상방으로 수직이동함으로써,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자검체 수용체(60)의 상부공간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다음, 라벨부착체(80)는 바코드정보와 대응하는 라벨(3)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착제 부분이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때, 용기이동체(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라벨(3)의 접착제와 밀착되는 경우 수직이동장치(73)를 축방향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5)가 구동되어 회전함으로써,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의 외주연에는 라벨부착체(80)에 흡착된 라벨(3)이 감기게 된다.
이후, 용기이동체(70)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라벨(3)이 부착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실장홀(61)에 다시 안착시키게 된다.
다음, 용기이동체(70)는 수평이동장치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한 상태에서 라벨(3)이 부착되지 않은 다른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다시 집어 올린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라벨(3)부착과정을 진행하여 자검체 수용체(60)에 수용된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 각각에 라벨(3)을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혈액샘플 분류장치는 종래 수작업으로 라벨(3)을 부착하던 방식을 자동 방식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때문에, 라벨(3) 부착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자동방식에 의해 혈액샘플이 뒤바뀌지 않도록 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라벨(3)을 자동으로 부착하는 구동을 함에 있어, 모검체의 혈액샘플량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는 거리검출센서(101), 이동바(102), 이송부(103) 및, 제어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리검출센서(101)는 발신한 초음파의 반사파를 수신하여 거리츨 측정하는 초음파 거리 센서와 같은 센서로써,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상부에 배치되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 내 혈액 높이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검출하게 된다. 이 경우, 거리검출센서(10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102)는 거리검출센서(101)가 결합되며, 거리검출센서(101)가 이송체(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ㄱ'형상의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103)는 리니어모터와 같은 이송장치로써, 이동바(102)의 하단과 결합되어 이동바(102)와 결합된 거리검출센서(101)를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상부 공간상에서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90)는 거리검출센서(101)로부터 거리데이터를 입력받아, 거리데이타가 기설정된 값이상인 경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혈액양이 부족한 것을 판단하여 혈액부족 알림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거리검출센서(101), 이동바(102), 이송부(103) 및, 제어부(90)의 구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가 모검체 수용체(40)에 샘플수용홀(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진행되는데, 먼저, 제어부(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03)를 구동시켜 이동바(102)가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상부공간에서 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거리검출센서(101)는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데이타를 생성하고, 검출한 거리데이타를 제어부(90)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제어부(90)는 거리데이타가 기설정된 데이터 값 미만인 경우, 예를 들어,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에 검사하기 충분한 양의 혈액이 없는 경우에, 시각적 또는 청각적 알람등을 통해 혈액양이 부족하다는 것을 검사실의 검사자에게 알리게 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알람을 통해 모검체의 혈액샘플양이 불충분한 것을 알게 되고, 해당 환자로부터 혈액을 다시 채취하여 검사에 필요한 혈액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모검체 혈액샘플용기
2 ; 자검체 혈액샘플용기
3 ; 라벨
10 ; 리니어모터부 20 ; 이송체
30 ; 바코드리더 40 ; 모검체 수용체
50 ; 리프트바 60 ; 자검체 수용체
70 ; 용기이동체 80 ; 라벨부착체
90 ; 제어부 101 ; 거리검출센서
102 ; 이동바 103 ; 이송부

Claims (3)

  1. 리니어모터부(10);
    상기 리니어모터부(10)에 설치되며, 상기 리니어모터부(10)의 축방으로 이송되는 이송체(20);
    상기 이송체(20)에 결합되는 바코드리더(30);
    외면에 바코드가 부착된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수용하는 샘플수용홀(41)이 형성되며, 상기 샘플수용홀(41)을 상부에서 하방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모검체 수용체(40);
    상기 샘플수용홀(41)의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샘플수용홀(41)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바(50);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수용하는 실장홀(61)이 형성되는 자검체 수용체(60);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결착시켜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용기이동체(70); 및,
    상기 용기이동체(70)에 의해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경우,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접착제가 형성된 라벨(3)을 근접시키는 라벨부착체(80);를 포함하며,
    상기 바코드리더(30)는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가 상기 리프트바(50)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진 경우, 상기 바코드를 리딩하여 상기 바코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라벨부착체(80)는 상기 바코드리더(30)와 연동하여 상기 바코드리더(30)가 리딩한 상기 바코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바코드정보와 대응하는 라벨(3)을 흡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용기이동체(70)에 밀착시키며,
    상기 용기이동체(70)는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가 상기 라벨(3)의 접착제와 밀착되는 경우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를 회전시켜, 상기 자검체 혈액샘플용기(2)에 상기 라벨(3)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 내 혈액 높이에 대한 거리데이터를 검출하는 거리검출센서(101);
    상기 거리검출센서(101)가 결합되는 이동바(102);
    상기 이동바(102)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03); 및,
    상기 거리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거리데이타가 기설정된 값이상인 경우,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의 혈액양이 부족한 것을 판단하여 혈액부족 알림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90); 를 포함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바(50)는,
    상기 샘플수용홀(41)에 삽입되어 상기 모검체 혈액샘플용기(1)를 들어올리는 봉(51);
    상기 봉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언더바(52); 및,
    상기 봉(51)의 외주연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상기 봉(51)을 회전시키는 벨트(53); 를 포함하는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KR1020140060359A 2014-05-20 2014-05-20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KR10141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359A KR101414475B1 (ko) 2014-05-20 2014-05-20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359A KR101414475B1 (ko) 2014-05-20 2014-05-20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4475B1 true KR101414475B1 (ko) 2014-08-07

Family

ID=5174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359A KR101414475B1 (ko) 2014-05-20 2014-05-20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09A (ko) * 2020-09-23 2022-03-30 호산테크(주) 오토 샘플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46A (ko) * 1996-07-19 1998-04-30 사네요시 시게유키 시험관용 자동 바코드 라벨 부착 장치
KR20080026514A (ko) * 2006-09-20 2008-03-2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검체 전처리 및 반송 장치
KR20120048554A (ko) * 2009-06-05 2012-05-15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용 라벨링 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46A (ko) * 1996-07-19 1998-04-30 사네요시 시게유키 시험관용 자동 바코드 라벨 부착 장치
KR20080026514A (ko) * 2006-09-20 2008-03-25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디에스 검체 전처리 및 반송 장치
KR20120048554A (ko) * 2009-06-05 2012-05-15 테크노 메디카 캄파니 리미티드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용 라벨링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209A (ko) * 2020-09-23 2022-03-30 호산테크(주) 오토 샘플링 장치
KR102383871B1 (ko) * 2020-09-23 2022-04-07 호산테크 주식회사 오토 샘플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623B2 (ja) 検査サンプルにおける微生物増殖の自動評価装置に適した容器の転倒を検出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6937325B2 (ja) 標本容器内の泡の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998325B2 (ja) 検出機器間で標本容器を運搬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745546B (zh) 具有后面可进入轨道系统的自动化诊断分析仪及相关方法
EP2053410B1 (en) Sample handling device for automatic testing system
RU2559909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микробов
WO2013002216A1 (ja) 栓体開閉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分析システム
EP2020263A1 (en) Orientation identification label, reagent container carrier structure and analyser device
JP2015118091A (ja) 容器ホルダの保管および供給
US20100303331A1 (en) Specimen processing apparatus and specimen processing method
EP2728362A1 (en) Automatic analysis system
JP2009180607A (ja) 自動分析装置
JP2014173952A (ja) 検体処理装置、検体ラックセットおよび検体処理方法
CN206450598U (zh) 胶体金荧光定量分析一体机
EP3173793B1 (en) Laboratory instrum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a laboratory instrument
US8945662B2 (en) Rotary slide stainer
KR101414475B1 (ko) 혈액샘플 분류 전처리 장치
JP6494914B2 (ja) 自動分析装置
CN109564232A (zh) 实验室样品分配系统和实验室自动化系统
US11061044B2 (en) Plug processing device and specimen test automation system including same
JP2012247392A (ja) 自動分析装置
CA30170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at least one property related to an object
JP2017173064A (ja) 自動分析装置
JP5458963B2 (ja) カルーセ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