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274B1 -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274B1
KR101414274B1 KR1020120105110A KR20120105110A KR101414274B1 KR 101414274 B1 KR101414274 B1 KR 101414274B1 KR 1020120105110 A KR1020120105110 A KR 1020120105110A KR 20120105110 A KR20120105110 A KR 20120105110A KR 101414274 B1 KR101414274 B1 KR 10141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storage device
unit
guide
device equi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8696A (ko
Inventor
김응국
Original Assignee
김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응국 filed Critical 김응국
Priority to KR1020120105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27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8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쌀 보관장치는 쌀이 저장된 저장부와 저장부로부터 전달된 쌀을 도정하는 도정부를 포함한다. 도정부는 도정실과 도정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형판 형태의 연마부재와 연마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쌀 보관장치는 2차 도정을 위한 서브도정부를 구비하고, 도정이 완료된 쌀에 대하여 상부로 이송하여 인출하기 위한 상부이송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는 정부 비축쌀 또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묵은쌀을 도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언제나 양질의 쌀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RICE BIN WITH MILLING FUNCTION}
본 발명은 쌀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시아에 속하는 국가의 국민들은 대부분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고, 실질적으로 세계인구 대비 그 비율은 매우 높다. 그만큼 쌀은 인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식량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쌀은 보통 일년에 한 번 내지 두 번 수확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일 년 내내 저장상태로 있기 마련이다. 더구나 각국의 정부에서는 쌀을 일정량 비축하여 비상시기에 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언제나 상당량의 묵은쌀이 발생되고 있다.
이렇게 저장기간이 긴 쌀들은 자연스럽게 표면이 산화되고 습기가 스며들어서 밥을 지은 후에도 색상은 물론이거니와 묵은 냄새를 풍기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일단 도정되어 저장된 쌀에 대하여는 아무런 후속 과정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묵은쌀에 대해서 그저 대량 소비처에 공급하여 처리하는 정도일 뿐인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4155호에는 쌀을 즉석에서 도정하여 판매하는 장치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특허기술은 도정되지 않은 쌀을 도장하는 장치일 뿐만 아니라 즉석 판매용으로 개발되었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141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미 도정된 쌀을 재차로 도정할 수 있는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를 제공하며, 이 쌀 보관장치는: 쌀이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전달된 쌀을 도정하는 도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정부는: 도정실과, 상기 도정실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형판 형태의 연마부재와, 상기 연마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정실은: 상기 연마부재의 둘레를 감싸면서 연마부재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측벽과, 상기 측벽의 안쪽으로 삽입가능하며 쌀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덮개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쌀 보관장치는 상기 도정부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저장부를 상기 도정부로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쌀이 중력에 의해 상기 도정실로 투입된다.
상기 저장부와 상기 도정부의 투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구비되어, 상기 저장부의 쌀이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도정실로 투입된다.
상기 덮개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메커니즘이 더 구비되어, 상기 도정실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높이조절 메커니즘은: 상기 덮개부와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링크부재 각각을 탄성적으로 상향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지지부재와, 상기 연결관의 둘레에 각각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접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링부재로서, 한쌍의 링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관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관의 둘레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각각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면접하도록 상호 대응되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상기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재를 돌리면 상기 덮개부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도정부는 상기 측벽의 일측에 배출구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배출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라인의 타단에는 서브도정부가 연결된다.
상기 서브도정부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쌀을 상부로 이송하는 상부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이송부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도정부와 상기 상부이송부는 상기 동력부의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도정된 쌀을 다시 도정하기에 적합한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가 제공된다. 저장부의 아래에 도정부를 설치함으로써 전체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적게 든다.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최종적으로 배출되는 도정된 쌀이 상부에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몸을 굽히거나 숙이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쌀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다면, 특별한 제약없이 쌀을 사용하는 곳에서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불가피하게 비축량이 있어야 하는 국가에서도 매우 효율적으로 비축쌀을 양질의 쌀로 가공하여 소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저장부와 도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는 도 1에 채용된 덮개부의 높이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채용된 서브도정부와 상부이송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분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는, 쌀이 저장되는 저장부(10)와, 저장부로부터 전달된 쌀을 도정하는 도정부(20)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정부(20)는 저장부(10)의 아래에 배치되어 저장부(10)로부터 전달되는 쌀을 도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쌀 보관장치는 저장부(10)의 쌀이 중력에 의해 도정부(20)로 전달된다.
저장부(10)는 외함(11)과 내함(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함(11)에는 저장부(10)의 환기를 위한 환기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부(10)의 내함(12) 내에는 저장된 쌀을 교반하기 위한 스크류(112)가 상부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크류(112)는 모터와 같은 제1동력부(113)에 의해 회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동력부(113)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의 연결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저장부(10)와 도정부(20)를 지지하기 위해서 제1프레임부(30)와 제2프레임부(4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부(30)는 베이스(5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러(31)와, 다수개의 필러(31)에 의해 지지되는 제1데크(3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데크(32)의 상면에 도정부(20)가 배치된다. 저장부(10)의 쌀은 연결관(60)에 의해 도정부(20)로 전달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제2프레임부(40)는 제1데크(32)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러(41)와, 다수개의 필러(41)에 의해 지지되는 제2데크(4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데크(42)의 상면에 저장부(10)가 배치된다.
제2데크(42)에는 저장부(10)의 쌀이 통과되는 제1통구(421)가 형성된다. 제1통구(421)에는 나비밸브(43)이 배치되어 쌀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나비밸브(43)는 손잡이(431)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판형 밸브몸체(432)가 회전하여 통과되는 쌀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제1데크(32)에도, 후술되는 바와 같이, 도정부(20)의 연마부재(22)의 회전축(221)이 통과하는 제2통구(321)이 제공된다.
이들 제1프레임부(30)와 제2프레임부(40)의 구성요소들의 결합과 제1, 2데크(32, 42)와 도정부(20), 저장부(10)의 결합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결합요소인 볼트(B)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찬가지로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들이 요소들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정부(20)는 실린더형의 측벽(21)과,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형판 형태의 연마부재(22)와, 연마부재(22)를 회전시키는 메인동력부(23)와, 덮개부(24)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벽(21), 연마부재(22) 및 덮개부(24)에 의해 도정이 이루어지는 도정실(25)이 제공된다. 도정될 쌀이 낙하되면서 회전하는 연마부재(22)에 부딪혀서 쌀의 표면이 미세하게 깎이게 된다. 연마부재(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이 연마면으로서, 쌀알들이 상면에 부딪히면서 표면이 깎이게 된다. 따라서, 연마부재(22)의 상면은 거친면이다. 도정부(20)는 또한 연마부재(22)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안내부(27)를 포함한다.
연마부재(22)를 회전시키는 메인동력부(2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데크(32)의 아래에서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모터(231)와 모터(231)의 동력을 연마부재(22)의 회전축(221)에 전달하는 베벨기어 형태의 기어연결구조(232)를 포함한다. 후술되지만, 모터(231)가 수평상태로 배치되는 것은 모터(231)의 회전 동력을 서브도정부(80)와 상부이송부(90)의 동력으로도 겸용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데크(42)에는 연마부재(22)의 회전축(221)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통구(321)이 제공된다. 따라서 모터(231)가 가동되면 기어연결구조(232)를 통해 모터축과 연결된 연마부재(22)의 회전축(221)이 회전하여 연마부재(22)가 회전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정부(20)의 측벽(21)은 연마부재(22)의 상면(연마면)보다 높게 설치됨으로써 도정실(25)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덮개부(24)는 측벽(21)의 안쪽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원판형이며, 저장부(10)로부터 전달되는 쌀을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241)가 구비된다.
도정부(20)는 또한 측벽(21)의 일측에 배출구(26)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출구(26)는, 도시한 바와 같이, 측벽(21)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틈(261)과 측벽(21)의 바깥쪽에 덧대어지는 커버부재(262)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연마부재(22)가 회전할 때 도정된 쌀들이 원심력에 의해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마부재(22)는 실질적으로 도정실의 바닥면의 중앙부위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는 도우넛 형상의 안내부(27)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27)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핀형태의 가이드(271)이 배치되어 바깥쪽의 쌀을 연마부재(22) 쪽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마부재(22)의 상면과 안내부(27)의 상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가짐으로써 쌀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27)는 연마부재(22)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바깥쪽의 쌀들을 연마부재(22) 쪽으로 모아주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안내부(27)의 몸체를 연마부재(22)의 하부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제작하여 모터와 같은 제2동력부(271)와 체인(272)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저장부(10)와 덮개부(24)의 투입구(24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관(60)이 구비된다. 따라서 저장부(10)의 쌀이 연결관(60)을 통해 도정실(25)로 투입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관(60)의 연결을 편리하게 하고,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은 높이 조절 메커니즘의 구성을 위해, 덮개부(24)의 투입구(241)와 제2데크(42)의 제1통구(421)가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관(60)은 제1통구(421)와 투입구(241)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채용된 덮개부의 높이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는 덮개부(24)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이러한 높이조절 메커니즘은 도정실(25)의 용적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덮개부(24)의 상면에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71)와, 다수개의 링크부재(71) 각각을 탄성적으로 상향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지지부재(72)와, 연결관(60)의 둘레에 각각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접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링부재(73a, 73b)를 포함한다. 한쌍의 링부재(73a, 73b)는 그 중 어느 하나(73b)가 연결관(6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73b)는 연결관(60)의 둘레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한쌍의 링부재(73a, 73b) 각각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면접하도록 상호 대응되는 경사를 가진다. 결과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재(73b)를 돌리면 한쌍의 링부재(73a, 73b)의 하단면과 상단면에 형성된 경사에 의해 회전된 링부재(73b)가 연결관(60) 상에서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탄성지지부재(72)에 의해 상향지지를 받고 있는 덮개부(24)는 링부재(73b)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상하이동하게 된다. 탄성지지부재(72)의 설치위치는 제1데크(32)일 수 있고, 이 경우 제1데크(32)의 테두리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채용된 서브도정부와 상부이송부의 단면도이다.
배출구(26)에는 배출라인(263)의 일단이 연결되어 배출구(26)를 통해 배출되는 1차 도정된 쌀을 아래로 유도한다. 배출라인(263)의 타단은 서브도정부(80)가 연결된다. 서브도정부(80)는 1차 도정된 쌀을 2차로 도정하는 요소이다. 서브도정부(80)는 메인동력부(23)의 회전축(233)을 이용하여 서브도정부(80)의 서브연마부재(81)를 회전시키고 서브연마부재(81)에 서브도정부(80)의 배출측에는 서브도정부(80)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상부로 이송하는 상부이송부(90)가 연결된다. 서브도정부(80)에는 내관(810)과 외관(820)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되어 있다. 외관(820)의 배출라인(263)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내관(810)에도 도정된 쌀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구비된다. 또한 내관(810)에는 다수개의 배출홀(812)이 형성되어 도정되면서 발생하는 이물질 가루가 배출된다. 배출홀(812)들은 쌀알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여 쌀을 제외하고 도정시에 발생하는 이물질 가루만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외관(820)의 하부 부위에는 내관(810)과 외관(820) 내부에 있는 이물질 가루의 배출을 돕기 위한 송풍기(821)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821)를 회전시켜서 이물질 가루를 배출한다.
상부이송부(90)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관(91)과, 이송관(91) 내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92)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브도정부(80)를 거치면서 재차 도정된 쌀이 상부로 이송된다. 이는 도정 완료된 쌀이 하부가 아닌 상부에서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 선자세에서 편리하게 쌀을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서브도정부(80)는 메인동력부(23)의 동력을 이용하여 동작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동력부(23)의 모터(231)를 수평방향으로 배치한다.
상부이송부(90)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도정될 쌀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이송부(90)는 모터와 같은 제3동력부(93)에 의해 이송스크류(92)가 회전될 수 있다.
이상한 같은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는 쌀의 도정을 실시하여 사용함으로써 묵은 쌀의 경우에도 햅쌀과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현재 정부 보관량이 많은 소위 정부미의 경우에도 개별적으로 도정을 실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는 전체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를 제작한다면 일반 가정, 음식점, 학교 급식 등은 물론이고, 대량의 쌀이 소비되는 군대와 같은 곳에서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저장부 11: 외함
12: 내함 20: 도정부
21: 측벽 22: 연마부재
23: 동력부 24: 덮개부
25: 도정실 26: 배출구
27: 안내부 30: 제1프레임부
31, 41: 필러 32: 제1데크
40: 제2프레임부 42: 제2데크
43: 나비밸브 50: 베이스
60: 연결관 71: 링크부재
72: 탄성지지부재 73a, 73b: 한쌍의 링부재
80: 서브도정부 90: 상부이송부
91: 이송관 92: 이송스크류
221: 회전축 231: 모터
232: 기어연결구조 261: 틈
262: 커버부재 263: 배출라인
271: 가이드 321: 제2통구
421: 제1통구

Claims (11)

  1.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로서:
    쌀이 저장된 저장부(10);
    상기 저장부(10)로부터 전달된 쌀을 도정하는 도정부(20);
    상기 저장부(10)와 상기 도정부(20)를 연결하여 상기 저장부(10)의 쌀을 상기 도정부(20)로 안내하게 되는 연결관(60);
    상기 도정부(20)를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제1프레임부(30); 및
    상기 저장부(10)를 상기 도정부(20)로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하여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쌀이 중력에 의해 상기 도정부(20)로 투입되도록 하는 제2프레임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도정부(20)는:
    도정실(25)과, 상기 도정실(25)의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형판 형태의 연마부재(22)와, 상기 연마부재(22)를 회전시키는 동력부(23)와, 상기 연마부재(22)의 둘레를 감싸면서 연마부재(22)의 상면보다 높게 형성된 측벽(21)과, 상기 측벽(21)의 안쪽으로 삽입가능하며 쌀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구비된 덮개부(24)로 구성되되,
    상기 도정실의 용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24)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메커니즘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 메커니즘은:
    상기 덮개부(24)와 연결된 다수개의 링크부재(71),
    상기 다수개의 링크부재(71) 각각을 탄성적으로 상향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탄성지지부재(72) 및,
    상기 연결관(60)의 둘레에 각각의 상단면과 하단면이 접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링부재(73a)(73b)로서, 한쌍의 링부재(73a)(73b)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관(60)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연결관(60)의 둘레면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각각의 상단면과 하단면은 면접하도록 상호 대응되는 경사를 가짐으로써, 상기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링부재를 돌리면 상기 덮개부(24)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정부(20)는 상기 측벽(21)의 일측에 배출구(26)가 구비되는 것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26)에 일단이 연결되는 배출라인(26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라인(263)의 타단에는 서브도정부(80)가 연결되는 것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서브도정부(80)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배출되는 쌀을 상부로 이송하는 상부이송부(90)를 더 포함하는 것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상부이송부(90)는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이송관(91)과,
    상기 이송관(91) 내에 배치되는 이송스크류(92)를 포함하는 것인,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11. 삭제
KR1020120105110A 2012-09-21 2012-09-21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KR10141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10A KR101414274B1 (ko) 2012-09-21 2012-09-21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5110A KR101414274B1 (ko) 2012-09-21 2012-09-21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96A KR20140038696A (ko) 2014-03-31
KR101414274B1 true KR101414274B1 (ko) 2014-08-06

Family

ID=5064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5110A KR101414274B1 (ko) 2012-09-21 2012-09-21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2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7860B (zh) * 2019-11-06 2021-06-01 汉中福旺米业有限责任公司 一种大米及其加工系统与加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153A (ja) * 2006-12-25 2008-07-10 Minoru Industrial Co Ltd 精米装置
JP2009006252A (ja) 2007-06-27 2009-01-15 Nomura Sangyo Kk 糠玉除去装置
KR101021527B1 (ko) * 2009-05-08 2011-03-16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쌀보관실이 부설된 도정기
KR20110029623A (ko) * 2009-09-16 2011-03-23 장석연 도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153A (ja) * 2006-12-25 2008-07-10 Minoru Industrial Co Ltd 精米装置
JP2009006252A (ja) 2007-06-27 2009-01-15 Nomura Sangyo Kk 糠玉除去装置
KR101021527B1 (ko) * 2009-05-08 2011-03-16 주식회사 에취알에스 쌀보관실이 부설된 도정기
KR20110029623A (ko) * 2009-09-16 2011-03-23 장석연 도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696A (ko) 201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0846B2 (ja) 電動粉挽き機
JP5097005B2 (ja) 香料破砕グラインダー及びその自動開閉制御装置
CA2875405C (en) Coffee machine with a gravity-fed brewing chamber
CN201001652Y (zh) 研磨器
JP7016232B2 (ja) 飲料を形成するのに適した植物性製品、特にコーヒー焙煎豆のための粉砕装置の粉砕チャンバー
CN105013562A (zh) 一种小型家用磨面机
US9545174B2 (en) Directly falling powder type coffee grinding machine
WO2012120363A2 (en) Portable coffee mill-doser for moka coffee makers or coffee machines or similar
CN207970916U (zh) 一种干果粉碎装置
CN110394212B (zh) 一种调味品加工装置
KR101414274B1 (ko) 도정 기능이 구비된 쌀 보관장치
US7726595B2 (en) Pepper mill
KR20170050978A (ko) 커피분말 조절구를 구비한 휴대용 커피 빈 그라인더
KR101968520B1 (ko) 휴대용 커피 그라인더 조립체
US10471434B2 (en) Three-stage millstones
CN105433804A (zh) 咖啡机下豆组件及咖啡机
JP2002263012A (ja) 電動式薬味類碾砕器
KR101565243B1 (ko) 농산물 분쇄장치
KR101544308B1 (ko) 캐니스터 그라인더
CN212882837U (zh) 一种食品调料生产用原料磨粉装置
JP2021510118A (ja) ひき臼型粉砕機
AU2009202515A1 (en) Coffee-bean container for coffee grinder
CN218165011U (zh) 一种食品研磨装置
KR20170124414A (ko) 즉석조리용 맷돌
CN201631032U (zh) 胡椒研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