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3092B1 - 상품 진열 선반 - Google Patents

상품 진열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3092B1
KR101413092B1 KR1020120135889A KR20120135889A KR101413092B1 KR 101413092 B1 KR101413092 B1 KR 101413092B1 KR 1020120135889 A KR1020120135889 A KR 1020120135889A KR 20120135889 A KR20120135889 A KR 20120135889A KR 101413092 B1 KR101413092 B1 KR 10141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cap
unit
shelf
shaped fixing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8425A (ko
Inventor
김덕래
Original Assignee
세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3092B1/ko
Publication of KR20140068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8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8Show cases or show cabinets with arrangements for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moving the merchand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00Racks for dispensing merchandis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rchandise
    • A47F1/04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 A47F1/12Racks or containers with arrangements for dispensing articles, e.g. by means of gravity or springs dispensing from the side of an approximately horizontal st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14Display trays or containers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열된 상품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으로 선입선출이 가능하도록 한 상품 진열 선반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선반은 롤러단위체를 수용하는 ㅡ, L, T자형 고정틀에 형성된 걸림구멍으로 이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제1, 제2 앤드캡에 형성된 걸림편이 걸려 견고하게 결합되는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을 구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의 선단 및 말단에 고정된 제1, 제2 앤드캡에 형성된 요철홈이 전후방으로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에 형성된 요철홈으로 끼워져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가격 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선반은 선입선출되는 상품이 선단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때 이탈방지판에 접촉되어 발생하는 충격음을 최소화시키도록 경사진 마찰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품 진열 선반{Display of good shelf}
본 발명은 상품 진열 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이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으로 선입선출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단위체를 수용한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장착되는 앤드캡이 상호 편리한 조립을 통해 단위선반을 용이하게 구성하도록 하고, 상기 단위선반의 선단 및 말단과 결합된 앤드캡과 전후방 지지프레임이 상호 끼워맞춤에 의한 편리한 조립으로 진열 상품의 크기 및 그 접촉면의 형태에 적합한 단위선반의 간격 조절 및 위치변경이 용이하도록 그 구조를 개선한 상품 진열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의점 등에 설치된 상품 진열 선반은 구매자가 상품의 식별 및 선택이 편리하도록 선반의 선단에 항상 상품을 진열시키게 된다. 상기 선반의 선단에 진열된 상품을 구매자가 꺼내게 되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선반의 기울기에 의해 차기에 진열된 상품이 미끄러지면서 선반의 선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은 상품이 원활하게 미끄러져 선출(先出)된 상품의 빈 공간에 진열된 차기 상품이 이동되도록 상품의 바닥 접촉면을 다수의 롤러로 장착하고 다수의 상품이 열을 이루면서 진열되도록 가이드부재를 설치하여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8730호 "쇼케이스용 선반"은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단위체를 용이하게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다수 연결 가능하므로 설치공간의 변화에 구애받지 않으며, 사출 성형한 제품을 후 가공 없이 바로 조립하여 사용함으로 공정의 최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향상한 쇼케이스 선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단위체와 앤드캡의 저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을 갖는 날개부로 차기 롤러단위체와 앤드캡의 저면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갖는 끼움부가 얹히면서 고정핀과 고정홈이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과, 진열상품의 열을 맞추기 위하여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직벽은 앤드캡의 상부에 형성된 수직 고정편으로 삽입되면서 수직벽의 양단에 형성된 홈이 걸림돌기에 끼워져 결합됨과 동시에 그 주변이 고정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종래의 쇼케이스 선반은 롤러단위체 및 앤드캡의 저면 및 날개부에 형성된 고정홈과 고정핀이 상호 끼워져 조립되고 이들이 좌우로 연속으로만 조립되는 구성이므로 롤러단위체와 차기 롤러단위체가 이격될 경우 조립이 불가능하며 맞대어 조립하여야 하므로 많은 부품이 소요되어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품의 크기별 간격 조절은 단순한 별도의 가이드부재의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상품의 접촉 면적이 커 상품의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선반 자체의 기울기를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쇼케이스 선반은 롤러단위체와 차기 롤러단위체가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맞대어 상호 연결 조립되는 구성이므로 결합 후 하중의 발생하면 분리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에 망 형태의 별도로 제작된 지지틀이 꼭 필요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출원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8966호 "쇼케이스 선반"은 종래 케이싱의 구조를 분리형성한 고정틀 및 연결틀 구조를 개선하여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는 롤러단위체를 용이하게 단일 또는 다수 연결 가능하도록 하고, 제조 금형비용의 절감과 재료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으며, 가공 및 조립공정의 최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이루면서 상품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롤러단위체의 롤러판 바닥 양측 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며, 롤러판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수직리브를 바닥부에 형성하고 롤러판의 외측을 감싸는 수직벽의 상부에는 상기 롤러판의 끼움홈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는 수평리브를 갖는 고정틀을 마련하여 롤러단위체의 롤러판 양측에 한 조를 이루면서 각각 대응하도록 고정틀을 장착하고, 상기 각각의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 수직벽에 천공된 나사 체결구멍과 상기 앤드캡 양 측벽에 형성된 나사공을 일치시켜 체결나사로 결합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종래의 쇼케이스 선반은 롤러단위부재를 수용하는 고정틀 선단 및 말단 수직벽에 천공된 나사체결 구멍과 상기 앤드캡 양 측벽에 형성된 나사공을 일치시켜 체결나사로 체결하는 구성으로서, 고정틀의 나사공 형성 및 체결을 나사 조립 공정이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되며, 앤드캡은 롤러단위체 결합 수량에 적합한 다양한 크기로 여러 개 성형하여야 하므로 금형비의 투자 비용이 과다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롤러단위부재를 수용하는 고정틀을 연속하여 맞대어지도록 배열하는 구조로서 상품의 크기별 간격 조절은 단순한 칸막이 역할을 하는 가이드부재의 이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역시 상품의 접촉 면적이 커 원활한 이동을 위해서는 기울기를 크게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롤러단위체, 앤드캡, 가이드부재 및 지지부재 등으로 이루어진 쇼케이스 선반으로는, 본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85호, 제20-0311612호, 제20-0327237호가 게시되었다. 상기 쇼케이스 선반 역시 상호 조립하여 연결하는 구성이지만 그 결합 구성이 복합하고 결합을 위한 체결나사 등이 필요하여 조립 공정 및 부품 수가 증대되어 제조 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고, 대부분 가이드부재의 이동으로 상품의 크기별 간격을 조정하는 구조이므로 내구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8730호(2012.08.3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28966호(2008.05.1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2985호(2002.10.2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1612호(2003.05.01.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7237호(2003.09.19.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단위체를 수용하는 L, T, ㅡ자형 고정틀에 걸림구멍을 형성하고 이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제1, 제2 앤드캡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견고하게 결합되어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가공 및 조립공정의 최소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고, 상기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된 제1, 제2 앤드캡과 이들을 지지하는 전후방 지지프레임이 상호 끼워 맞춤되도록 요철홈를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어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함은 물론 진열 상품의 크기 및 그 접촉면의 형태에 적합한 각 단위선반의 간격 조절 및 위치변경이 용이하여 부품 감소에 의한 재료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고, 냉장용으로 사용할 경우 냉기순환이 더욱 원활하여 저온 상품의 진열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상품 진열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입선출되는 상품이 선단으로 이동하여 정지할 때 이탈방지판에 부딪칠 때 발생하는 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품 진열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선반은 다수의 롤러를 회전되도록 끼운 롤러단위체와, 상기 롤러단위체가 끼워진 후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앤드캡과, 상기 앤드캡이 끼워져 결합되며 이탈방지판이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된 전후방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상품 진열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가이드판이 없는 ㅡ자형 고정틀과, 가이드판이 일측 또는 중앙에 일체로 돌출된 L자형 고정틀 및 T자형 고정틀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L, T, ㅡ자형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의 내측 바닥에 각각 걸림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앤드캡은 L, ㅡ자형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제1 앤드캡과, T자형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제2 앤드캡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L, T, ㅡ자형 고정틀의 걸림구멍에 끼워져 걸리도록 제1 앤드캡 및 제2 앤드캡에 각각 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L, ㅡ자형 고정틀의 걸림구멍으로 제1 앤드캡의 걸림편을 끼워 고정하여 제1 단위선반 및 제3 단위선반으로 구성하고; 상기 T자형 고정틀의 걸림구멍으로 제2 앤드캡의 걸림편을 끼워 고정하여 제2 단위선반으로 구성하며; 상기 제1, 2, 3 단위선반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되는 제1 앤드캡 및 제2 앤드캡 중앙부분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 상측에 요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앤드캡 및 제2 앤드캡에 형성된 요철홈이 끼워져 맞물려 고정되도록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의 수직벽에 요철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선반은 전후방 지지프레임의 요철홈과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한된 제1, 제2 앤드캡의 요철홈을 이용하여 상호 끼워 맞춤될 때 간격 조절 및 위치변경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품 진열 선반은 선입선출되는 상품이 선단으로 이동할 때 이탈방지판에서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 앤드캡 및 제2 앤드캡에 경사진 접촉면을 형성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단위체를 수용하는 L, T , ㅡ자형 고정틀에 천공된 걸림구멍으로 제1, 제2 앤드캡에 형성된 걸림편이 간편하게 끼워져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을 구성하는 것으로 별도의 체결볼트가 필요 없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제2, 제3 단위선반에 고정된 제1, 제2 앤드캡 및 전후방 지지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요철홈이 상호 맞물려 끼워지면 안정적으로 고정됨은 물론 이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이 각각 상품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그 간격 조절 및 위치변경이 용이하고, 제1, 제2, 제3 단위선반이 상품에 적합한 이격 거리로 배치되면 최소한의 접촉면 제공으로 상품 이동을 위한 슬라이딩이 원활하여 지고, 이격된 공간으로는 냉장용의 경우 냉기 순환이 용이하여 저온 상품 진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앤드캡에 형성된 경사진 접촉면은 선단으로 이동하는 상품의 하단이 접촉되어 가속력을 감소시키므로 이탈방지판에 부딪혀 발생하였던 충격음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일부를 생략하고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제1 앤드캡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제2 앤드캡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 및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전후방 지지프레임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제1, 2 앤드캡과 지지프레임이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제1, 2, 3 단위선반들이 전후방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2가지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제1, 2, 3 단위선반들이 전후방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4가지의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을 일부를 생략하고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진열 선반의 제1, 2, 3 단위선반들이 전후방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반은 롤러를 다수 결합하는 롤러단위체(2)와, 이 롤러단위체(2)가 끼워진 후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하는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과, 이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선단 및 말단에 고정되는 제1, 2 앤드캡(4a, 4b) 그리고 상기 롤러단위체(2)와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 및 제1, 2 앤드캡(4a, 4b)을 상호 결합하여 제1, 2, 3 단위선반(1a, 1b,1c)으로 구분되도록 구성한 후 이들 제1, 2, 3 단위선반(1a, 1b,1c)을 전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5)에 각각 적정 위치에 선택하여 끼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도 5(B)에서와 같이 진열된 상품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지지프레임(5)의 끼움홈(53)에 고정된 이탈방지판(6)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 핵심 기술은 상기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선단 및 말단의 내측 바닥에 각각 걸림구멍(32)을 형성하고, 상기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걸림구멍(32)에 끼워져 걸리도록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걸림편(41)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선단 및 말단으로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이 끼워질 때 돌출된 걸림편(41)의 하단이 탄성력에 의해 후방으로 휘어져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 바닥면에 접하면서 이동하다가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에 천공된 걸림구멍(32)에 도달하면 탄성력의 복원으로 원상태인 직립상태가 되면서 도 5(A)에서와 같이 걸려 견고한 고정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걸림편(41)에 탄성력에 의해 가변작동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상부 수평면 내측으로 이어지게 절개부(44)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제1 앤드캡(4a)은 롤러단위체(2) 하나를 수용시키는 L, ㅡ자형 고정틀(3a, 3c)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공동 부품이고, 제 2 앤드캡(4b)은 롤러단위체(2) 2개를 나란히 수용시키는 T자형 고정틀(3b)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L, T자형 고정틀(3a, 3b)은 가이드판(31)이 일측 또는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므로 내구성을 증대시키면서 상품의 이탈 방지 및 상품을 구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수직형 가이드판(31)을 일측에 돌출시킨 L자형 고정틀(3a)을 포함하는 제1 단위선반(1a)은 도 7(A ~ D)에서와 같이 쇼케이스 선반의 양측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품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T자형 고정틀(3b)을 포함하는 제2 단위선반(1b)은 도 7(A ~ D)에서와 같이 쇼케이스 선반의 중앙부분에 배치되어 상품을 양측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고, ㅡ자형 고정틀(3c)을 포함하는 제3 단위선반(1b)은 도 7(C, D)에서와 같이 쇼케이스 선반의 중앙부분 중 제1, 2 단위선반(1a, 1b) 사이에 배치되어 접촉 마찰력을 최소화시키면서 상품의 원활한 이동과 냉장용으로 사용할 경우 냉기의 원활한 이동을 위한 보조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핵심 기술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되는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 중앙부분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42) 상측에 요철홈(43)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형성된 요철홈(43)이 끼워져 맞물려 고정되도록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5)의 수직벽(51)에 요철홈(52)을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전후방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5)의 수직벽(51)에 형성되는 요철홈(52)은 도 4에서와 같이 홈과 돌기의 간격을 일정하게 형성하여 내구성을 유지시키게 되고, 상기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형성된 요철홈(43)은 홈과 돌기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면 너무 조밀하여 사출성형할 때 수축 변화 등으로 불량률이 높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홈 간격을 크게 하되 상호 결합된 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최소한 4개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된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의 요철홈(43)이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전후방 지지프레임(5)의 요철홈(52)에 끼워지면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의 끼움홈(42)이 지지프레임(5)의 수직벽(51)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더욱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은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의 요철홈(43)의 도움으로 지지프레임(5)의 요철홈(52)에 끼워져 고정되는 구성이므로 도 6(A, B) 및 도 7(B ~ D)에서와 같이 상품의 진열에 적합한 다양한 이격 거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조립 및 분리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B)에서와 같이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형성된 걸림편(41) 반대 방향인 상부면은 선단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진 접촉면(4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경사진 접촉면(45)은 선단으로 이동하는 상품의 하단이 접촉되어 가속력을 감소시키므로 이탈방지판(6)에 부딪혀 발생하였던 충격음 발생을 최소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선단 및 말단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 걸림구멍(32)으로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형성된 걸림편(41)이 간편하게 끼워져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은 결합되어 있는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형성된 요철홈(43)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5)의 요철홈(52)에 간편하게 끼워진 후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즉,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을 이용하여 도 7(A)에와 같이 기존 쇼케이스 선반의 배열구조로 조립함은 물론 도 7(B)와 같이 상품의 마찰면적을 줄이고 냉기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제1, 2 단위선반(1a, 1b)을 이격시킬 수 있고, 도 7(C)와 같이 상품의 마찰면적을 줄이고 냉기 순환의 원활함과 동일 상품을 2열로 진열가능하도록 제3 단위선반(1c)을 추가하여 이격시킬 수 있으며, 도 7(D)와 같이 접촉되는 상품의 바닥이 요철면의 경우에도 제3 단위선반(1c)을 추가 배치하면 안정적인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면서 상품의 마찰면적을 줄일 수 있고 이격 공간을 통해 냉장용의 경우 냉기 순환이 원활하여 저온 상품 진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진 접촉면(45)은 선단으로 이동하는 상품의 하단이 접촉되어 가속력을 감소시키므로 이탈방지판(6)에 직접 부딪혀 발생하였던 충격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a: 제1 단위선반 1b: 제2 단위선반
1c: 제3 단위선반 2: 롤러단위체
3a: L자형 고정틀 3b: T자형 고정틀
3c: ㅡ자형 고정틀 31: 가이드판
32: 걸림구멍 4a: 제1 앤드캡
4b: 제2 앤드캡 41: 걸림편
42: 끼움홈 43: 요철홈
44: 절개부 45: 접촉면
5: 지지프레임 51: 수직벽
52: 요철홈 53: 끼움홈
6: 이탈방지판

Claims (4)

  1. 다수의 롤러를 회전되도록 끼운 롤러단위체(2)와, 상기 롤러단위체(2)가 끼워진 후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앤드캡과, 상기 앤드캡이 끼워져 결합되며 이탈방지판(6)이 고정되는 끼움홈(53)이 형성된 전후방 지지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상품 진열 선반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가이드판(31)이 없는 ㅡ자형 고정틀(3c)과, 가이드판(31)이 일측 또는 중앙에 일체로 돌출된 L자형 고정틀(3a) 및 T자형 고정틀(3b)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선단 및 말단의 내측 바닥에 각각 걸림구멍(32)을 형성하고;
    상기 앤드캡은 L, ㅡ자형 고정틀(3a, 3c)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제1 앤드캡(4a)과, T자형 고정틀(3b)의 선단 및 말단에 끼워지는 제2 앤드캡(4b)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L, T, ㅡ자형 고정틀(3a, 3b, 3c)의 걸림구멍(32)에 끼워져 걸리도록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걸림편(41)을 형성하며;
    상기 L, ㅡ자형 고정틀(3a, 3c)의 걸림구멍(32)으로 제1 앤드캡(4a)의 걸림편(41)을 끼워 고정하여 제1 단위선반(1a) 및 제3 단위선반(1c)로 구성하고;
    상기 T자형 고정틀(3b)의 걸림구멍(32)으로 제2 앤드캡(4b)의 걸림편(41)을 끼워 고정하여 제2 단위선반(1b)로 구성하며;
    상기 제1, 2, 3 단위선반(1a, 1b, 1c)의 선단 및 말단에 결합되는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 중앙부분 폭 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42) 상측에 요철홈(43)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형성된 요철홈(43)이 끼워져 맞물려 고정되도록 상기 전후방 지지프레임(5)의 수직벽(51)에 요철홈(5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형성된 걸림편(41)은 탄성력에 의해 가변작동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상부 수평면 내측으로 이어지게 절개부(4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선반.
  3. 제1항에 있어서, 제1 앤드캡(4a) 및 제2 앤드캡(4b)에 각각 형성된 걸림편(41) 반대 방향인 상부면은 선단을 향해 높아지도록 경사진 접촉면(45)이 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진열 선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단위선반(1a, 1b)이 이격된 상태로 전후방 지지프레임(5)에 결합되어 구성되거나, 상기 제1, 2 단위선반(1a, 1b) 사이에 제3 단위선반(1c)이 배치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전후방 지지프레임(5)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품 진열 선반.
KR1020120135889A 2012-11-28 2012-11-28 상품 진열 선반 KR10141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889A KR101413092B1 (ko) 2012-11-28 2012-11-28 상품 진열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889A KR101413092B1 (ko) 2012-11-28 2012-11-28 상품 진열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425A KR20140068425A (ko) 2014-06-09
KR101413092B1 true KR101413092B1 (ko) 2014-07-01

Family

ID=5112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889A KR101413092B1 (ko) 2012-11-28 2012-11-28 상품 진열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30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5612B (zh) * 2019-04-30 2020-11-03 杭州斑材科技有限公司 安装部件材料智能感知展示架及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802A (ja) 1998-07-14 2000-01-25 Kawajun Kk 商品陳列ユニット
JP2001037600A (ja) 1999-07-27 2001-02-13 Kawajun Kk 商品陳列ユニット
KR200292985Y1 (ko) 2002-07-26 2002-10-25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KR200327237Y1 (ko) 2003-06-12 2003-09-19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3802A (ja) 1998-07-14 2000-01-25 Kawajun Kk 商品陳列ユニット
JP2001037600A (ja) 1999-07-27 2001-02-13 Kawajun Kk 商品陳列ユニット
KR200292985Y1 (ko) 2002-07-26 2002-10-25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KR200327237Y1 (ko) 2003-06-12 2003-09-19 세대산전 주식회사 쇼케이스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8425A (ko) 201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747B1 (ko) 상품 진열 선반
JP5266324B2 (ja) ショーケース用棚板
US10251493B2 (en) End cap for showcase roller shelf
JP2011115479A (ja) 商品陳列取出ユニット及びこのユニットを使用した商品陳列棚
KR101671462B1 (ko) 상품 진열 선반
KR101413092B1 (ko) 상품 진열 선반
KR200327237Y1 (ko) 쇼케이스용 선반
KR101178730B1 (ko) 쇼케이스용 선반
KR101832255B1 (ko) 쇼케이스용 선반
JP7107475B2 (ja) 陳列庫棚板
JP2009000459A (ja) 商品陳列販売什器
JP2002209684A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棚
KR101894129B1 (ko) 쇼케이스 및 쇼케이스용 선반
JP5611765B2 (ja) 棚装置
JP3854874B2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棚
KR200348221Y1 (ko) 진열대 및 그를 이용한 진열장
KR20090087389A (ko) 쇼케이스용 선반
JP2003135230A (ja) 商品陳列台および商品陳列棚
JP2001340180A (ja) 商品陳列取出ユニット
KR200302805Y1 (ko) 냉장고 선반
KR101572088B1 (ko) 상품 진열장치
JP4996396B2 (ja) ショーケースの棚構造
KR200302806Y1 (ko) 냉장고 선반
KR200338104Y1 (ko) 냉장고 선반구조
JP6529740B2 (ja) 商品陳列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