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2211B1 -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 Google Patents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211B1
KR101412211B1 KR1020140023646A KR20140023646A KR101412211B1 KR 101412211 B1 KR101412211 B1 KR 101412211B1 KR 1020140023646 A KR1020140023646 A KR 1020140023646A KR 20140023646 A KR20140023646 A KR 20140023646A KR 101412211 B1 KR101412211 B1 KR 10141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veranda
safety
bar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6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계숙
정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Priority to KR1020140023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2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safety railing for facilitating an evacuation from an apartment house, comprising a railing main body (100) installed at the edge of a veranda (1)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connected to an indoor residential space of an apartment house; and an evacuation railing (200)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veranda to come out from the railing main body. The building safety railing for facilitating an evacuation from an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ieves anxiety of residents of a surrounding area 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fire leaping towards the veranda and enabling residents to be safely evacuated in their residential spaces without moving to a different floor by extending the veranda and providing an evacuation space on both sides of the veranda, which is blocked by walls of the apartment house.

Description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rail for a building,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다른 층의 거주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거주공간인 베란다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rail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a apartment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curity rail for a building that does not move to a residential space of another floor when a fire occurs, so that it can be safely escaped from a flame and toxic gas This paper deals with architectural safety rail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one apartment house.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계단이 형성된 비상구는 화염과 연기가 통하는 통로를 제공하므로 이를 통해 외부로 대피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 화재 시 유일한 피난처는 창가 또는 베란다가 될 수밖에 없다.Generally, when a fire occurs in a multi-family house, the escape that forms the stairway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flames and smoke can pass, making it virtually impossible to escape to the outside. As a result, the only shelter in the case of a house fire is a window or porch.

하지만, 창가 또는 베란다 역시 탈출을 위한 완강기가 비치된 곳을 제외하고는 마땅한 피난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구조용 사다리차가 도착하기 전까지는 화염과 발생하는 유독가스로부터 거의 무방비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However, windows or verandas are not exposed to escape routes except for the escort for escape, so they are exposed to flames and toxic gases which are almost defenseless until the rescue ladder arrives.

이를 위해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장착하여 비상시 탈출로를 제공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역으로 강도의 침입 경로를 제공하므로 각종 범죄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For this purpose, a ladder is installed on a porch railing to provide an escape route in an emergency. However, in this case, the intruder may be exposed to various crimes by providing an intrusion path of the strength.

따라서, 최근에는 베란다 난간에 사다리를 절첩식으로 마련하여 평상시 안전을 위한 난간으로 활용하다가 비상상황 시 사다리를 펴서 외부와 연결되는 탈출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구조의 베란다 겸용 사다리가 다수의 공개 문헌을 통해 알려진 바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ladder-type ladder having a variety of structures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ladder is folded on a verandah railing to utilize the ladder as a safety railing for an ordinary situation, and to provide an escape route connected to the outside by opening a ladder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s known from the literature.

그 중,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에는 난간대의 일측에 비상 사다리를 구비하여 비상 상황 발생 시 사다리를 아래 방향으로 펴서 비상계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49394호는 난간대 일측에 비상 사다리가 절첩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mong the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9394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mergency ladder is provided at one side of a handrail, so that the ladder can be folded downwar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nd utilized as an emergency staircase.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9394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mergency ladd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balustrade.

하지만, 위와 같은 선행기술의 경우, 사다리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극도의 심리적 불안감과 공포감으로 인하여 잡고 있던 사다리를 놓쳤을 경우 탈출자를 보호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추락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re is no means to protect the escapee when the escape ladder is lost due to extreme psychological anxiety and fear during escape through the ladder, There is a problem exposed.

또한, 난간을 사다리로 변형시 변형된 사다리를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이동시에도 흔들림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Also, since the deformed ladder can not be firmly supported when the railing is deformed by the lad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dder is exposed to various safety accidents due to the shaking motion.

그리고, 대피를 위한 사다리는 단순히 아래층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시각적으로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for evacuation simply performs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user to evacuate to the lower level,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isually uncomfortable at a normal time.

이들 또한 사다리를 이용하여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침입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현실적이지 못하며, 따라서 화재시 다른 층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구급대원을 안전하게 기다릴 수 있도록 피신처를 제공하는 것이 현실적이며 이에 대한 기술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Since they also move downstairs using ladders, it is not practical to provide an intrusion path, so it is practical to provide shelter to safely wait for paramedics rather than to move to another floor in case of fire. .

등록실용신안 제20-0349394호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349394 등록실용신안 제20-0349394호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349394 등록특허 제10-0909447호Registration No. 10-0909447 등록특허 제10-1080809호Patent No. 10-1080809 등록특허 제10-0936889호Patent No. 10-0936889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다른 층의 거주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거주공간인 베란다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evacuation function of a multi-family house so as to safely avoid flames and toxic gases from the veranda,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ty rail for a building.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베란다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끝에 각각 상기 난간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본체는, 상기 베란다의 전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 및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난간 본체,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 및 상기 측면부 수직바와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에 의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측면부 수평바로 이루어진 측면부 난간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 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 상기 대피 발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 상기 다수의 안전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 상기 안전 수평바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전면부 수평바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 상기 안전 수평바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상기 대피 발판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 난간 본체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a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rapet main body installed at an edge portion of a veranda communicating with an indoor residential space in a communal house; The balustrade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vertical bars set on the front of the veranda and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bars connected to each other, A vertical bar on th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railing main body, and a vertical bar on the side of the front and rear side railing main bodies, And a side railing body having horizontal side bars forming an entrance by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vertical bars at the edges of the veranda. The shelf rails are open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anda, And is inserted into the formed footstool insertion portion A plurality of safety vertical bar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dges of the escape scaffold, a safety horizontal bar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afety vertical bars, and a plurality of safety vertical bar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side of the safety horizontal bars A safety horizontal connection bar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bar of the front part of the front part railing body such that the horizontal horizontal bar can be projected and retracted; A slider, and a firewall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escape scaffold through a hinge and standing between the side railing main body.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베란다의 좌우 양측이면서 공동주택의 벽체로 막힌 곳에 베란다의 확장에 의한 대피 공간을 마련하여 베란다를 향하는 화염에 의한 사고를 막을 수 있고 다른 층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주거 공간에서 안전하게 대피함으로써 주변 거주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afety rail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occurs, a fire escape to the veranda is carried out by providing an evacuation space by expansion of the veranda in both sides of the veranda, It is possible to block the anxiety of the surrounding residents by safely evacuating from their own residential space without moving to another floo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대피 난간이 대피 위치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대피 난간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안전 수평연결바와 손잡이를 보이기 위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에 적용된 방화벽의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elter rail applied to a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which has improved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to a shelter posi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helter rail applied to a safety rail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 safety horizontal connection bar and a handle applied to a safety rail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emplary view of a firewall applied to a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which improves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전면부 난간 본체(110), 좌우측의 측면부 난간 본체(120)로 구성되며,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란다(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100) 그리고 베란다(1)의 좌우 양측에 확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2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safety railing for a building improved the evacuation function of the apartment ho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ont rail railing body 110, left and right side rail railing bodies 120, A parapet 100 installed on the edge of a veranda 1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a residential space and a shelter railing 200 which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veranda 1 in a manner expandable.

난간 본체(100)의 전면부 난간 본체(110)와 측면부 난간 본체(1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 construction of the front side railing body 110 and the side side railing body 120 of the handrail body 100 are as follows.

전면부 난간 본체(110)는 베란다(1)의 전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111) 및 전면부 수직바(1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112)로 이루어진다.The front rail main body 110 includes a plurality of front vertical bars 111 and a front horizontal bar 112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ont vertical bars 111.

측면부 난간 본체(120)는 베란다(1)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전면부 난간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121) 및 측면부 수직바(121)와 전면부 난간 본체(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122)로 구성되어, 사각형의 출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출입구는 대피 난간으로 대피하기 위한 통로이다.The side railing body 120 includes side walls 121 and side walls 120 which are erected at left and right side edges of the veranda 1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side vertical bars 111 located at the edge of the front side railing body 110, And a horizontal bar 122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front vertical bar 111 located at the edge of the front barrel main body 110 to form a rectangular entrance. The entrance is a passage for evacuating to a shelter railing.

전면부 난간 본체(110)와 측면부 난간 본체(120)는 원형관, 각관 등으로 구성되며 베란다(1)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세워짐에 따라 베란다(1)를 안전한 공간으로 조성한다.
The front rail main body 110 and the side rail main body 120 are constituted by a circular pipe, a square pipe and the like, and the veranda 1 is formed as a safe space as it is rai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veranda 1.

대피 난간(200)은 베란다(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확장형으로 설치되어,실내 주거공간과 통하지 않고 공동주택의 벽체를 통해 화재의 발원지와 차단된 대피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거주자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고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하도록 한다.
The shelter railing 2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randa 1 in an enlarged manner so as to provide a sheltered escape space with the source of fire through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residence space, You can evacuate quickly and avoid the fire and toxic gases safely.

대피 난간(200)은, 베란다(1)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210), 대피 발판(210)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230), 안전 수평바(230)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전면 수평바(1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전면부 난간 본체(110)의 전면부 수평바(1120)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 안전 수평바(230)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3)에 형성되는 레일(4)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50), 대피 발판(210)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측면부 난간 본체(120)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260)으로 구성된다.The shelter railing 200 includes a shelf stepping plate 210 of a concave-convex section that is inserted into and demounted by the foot insertion unit 2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anda 1, A safety horizontal bar 23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afety vertical bars 220 and a plurality of safety vertical bars 220 vertically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side of the safety horizontal bar 230 A safety horizontal connection bar 240 which is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ar 112 and which is inserted into and withdrawn into the front horizontal bar 1120 of the front side railing body 110, A slider 250 installed on the rail 3 formed on the wall 3 of the apartment house so as to be 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slider 250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escape scaffold 210 so as to be rotatable through a hinge, And a firewall 260 erected between the main body 120 and the main body 120.

대피 발판(210)은 철판과 빔(또는 앵글)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하중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도록 요철 구조의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발판 삽입부(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여유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scape scaffold 210 is composed of an assembly of an iron plate and a beam (or an angle) and has a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a concavo-convex structure so as not to be deformed by a load, Do.

안전 수직바(220)와 안전 수평바(230)는 대피 발판(210)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대피 발판(210) 위로 대피한 대피자들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원형관, 각관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The safety vertical bar 220 and the safe horizontal bar 230 are provided outside the escape scaffold 210 to prevent the escape of the escaped escape pods on the escape scaffold 210 and the use of a circular pipe, It is possible.

안전 수평연결바(240)는 대피 난간(200)을 난간 본체(100)에 연결하여 대피 난간(200)이 베란다(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대피 발판(210)으로 이동한 대피자들이 바깥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며, 전면부 수평바(112)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on bar 240 connects the shelter railing 200 to the railing main body 100 to prevent the shelter railing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veranda 1 and also the large piles moved to the escape scaffold 210, And is inserted into the front part horizontal bar 112 so as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베란다(1) 위에서 대피 난간(200)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면부 수평바(112)에는 내부와 외부가 연통하는 손잡이 장홀(112a)이 형성되고, 전면부 수평바(112) 안에 인출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에는 손잡이 장홀(112a)을 따라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241)가 구성되며, 즉 손잡이(241)를 잡고 안전 수평연결바(240)를 밀어 확장시킬 수 있다.In order to extend the shelter railing 200 from the veranda 1, as shown in FIG. 4, the front horizontal bar 112 has a handle hole 112a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ng bar 240 is connected to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ng bar 240 by a handle 241 and a handle 241 projecting outward along the handle holding hole 112a. Can be extended by pushing.

슬라이더(250)는 안전 수평연결바(240)가 설치되지 않는 곳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공동주택의 벽체(4)에는 횡방향[대피 난간(200)의 확장 이동 방향]의 레일(4)이 앵커링을 통해 설치되고 슬라이더(250)는 안전 수평바(230)의 단부에 고정되면서 레일(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슬라이더(250)는 슬라이딩을 안내함과 더불어 대피 난간(200)이 베란다(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4)과 함께 더브테일(dovetail)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ider 250 is provided to stably support a place where the safe horizontal connecting bar 240 is not installed. To this end, the wall 4 of the apartment house is provided with a rail 251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shelter railing 200) (4) is installed through anchoring and the slider (250) is slidably connected to the rail (4) while being fixed to the end of the safety horizontal bar (230). The slider 25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dovetail form together with the rail 4 so as to guide the sliding and to prevent the shelter railing 200 from detaching from the veranda 1.

안전 수직바(220)와 안전 수평바(230)와 안전 수평연결바(240)에 의해 대피 발판(210)의 상부에는 대피공간이 마련되며, 이때, 공동주택(3)의 벽체(4)를 향하는 면은 벽체(4)로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대피공간 안의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할 수 있지만 상기 대피공간의 앞쪽[벽체(4)의 반대쪽]은 대피 발판(210)과 안전 수평바(230)와 안전 수직바(220) 및 전면부 수직바(111)로만 이루어져 넓은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대피자가 상기 대피공간의 밖으로 추락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개폐바(270)가 구성될 수 있다.The safe vertical bar 220, the safe horizontal bar 230 and the safe horizontal connection bar 240 provide an escape space at the upper part of the escape scaffold 210. 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evacuation space (opposite to the wall body 4) can be separated from the escape scaffold 210, the safe horizontal bar 230, A vertical opening bar 270 may be formed in order to prevent the escape person from falling out of the escape space through the space formed by the safety vertical bar 220 and the front vertical bar 111, have.

수직 개폐바(270)는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대피공간의 대피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함은 물론 대피자가 사다리차 등으로 옮길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안전 수평연결바(240)와 대피 발판(210)의 마주하는 부분에는 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수직 개폐바(270)는 상하 양단부가 안전 수평연결바(240)와 대피 발판(210)의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대피 난간(200)이 확장되지 않은 상태는 도 1에서처럼 안전 수직바(220)에 붙어 있으며 대피 난간(200)이 확장된 상태에서는 도 2에서처럼 중앙으로 이동되어 대피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하고 또한 대피자가 사다리차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일측으로 이동되어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opening / closing bar 270 not only prevents the escape of the escape space from falling through the space, but also provides a spacious space for the escape person to move to a ladder or the lik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bar 270 are slidably connected to the rails of the safe horizontal connecting bar 240 and the escape scaffold 210,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shelter railing 200 is not extended, it is attached to the safety vertical bar 220 as shown in FIG. 1. In a state where the shelter railing 200 is extended, the shelter railing 200 is moved to the center as shown in FIG. Also, when the escapee moves to the ladder, it is moved to one side to provide a wide space.

방화벽(260)은 화염에 의해 타지 않은 불연재로서 대피 난간(200)을 막는 크기의 판재로 구성되어 대피 발판(210)의 바닥부에 깔린 상태로 설치되며 대피 난간(200)의 사용시 베란다(1)쪽으로 세워져 베란다(1)를 향하는 화염이 대피 난간(200)으로 번지지 않도록 한다.The fire wall 260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size that prevents the escape railing 200 from being unburned as a nonburned material by the flame and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escape scaffold 210. When the escape railing 200 is used, So that the flame toward the veranda 1 is prevented from spreading to the shelter railing 200.

이러한 방화벽(260)은 부피를 줄이면서도 넓은 크기의 방화벽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제1단 방화벽(261)과 제2단 방화벽(2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방화벽(260)은 반드시 2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단 이상의 신축형도 가능하다.The firewall 260 may include a first end firewall 261 and a second end firewall 262 to reduce the volume and configure a wide-sized firewall. That is, the firewall 26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wo-tiered configuration, but may be a three or more-tiered expansion type.

제1단 방화벽(261)은 일측이 대피 발판(210)의 바닥부에 힌지(261a) 연결되고, 제2단 방화벽(262)은 제1단 방화벽(261)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또는 신축 가능하도록 겹침]되며 제1단 방화벽(261) 위에 세워짐으로써 제1단 방화벽(261)보다 높은 방화벽을 형성한다.One end of the first end wall 261 is connected to the hinge 261a at the bottom of the escape scoop 210 and the second end wall 262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d wall 261 (Or stretched so as to be stretchable) and forms a firewall higher than the first end firewall 261 by standing on the first end firewall 261.

제2단 방화벽(262)이 제1단 방화벽(261)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적용된다. 고정수단(263)은 제1단 및 제2단 방화벽(261,262)에 함께 체결되는 고정볼트, 고정핀 등이 가능하다. 또한, 고정수단(263)은 제1단 및 제2단 방화벽(261,262)을 함께 고정하면서 측면부 수평바(122)에 체결됨으로써 방화벽(260)의 견고성을 증대할 수도 있다.A fixing means is applied so that the second end firewall 262 can be kept drawn out from the first end firewall 261. The fixing means 263 may be a fixing bolt, a fixing pin, or the like fastened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end walls 261 and 262. The fastening means 263 may also secure the fire wall 260 by fastening the side walls to the horizontal bar 122 while fastening the first and second end walls 261 and 262 together.

또한, 방화벽(260)은 벽체(4)와 방화벽(260) 사이의 틈을 통해 화염이 침투하지 못하고 유독가스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ewall 260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so that the flame can not penetrat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wall 4 and the firewall 260, and the toxic gas can not penetrate through the gap.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제2단 방화벽(262)에는 횡방향[벽체(4)를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3단 방화벽(264)이 연결될 수 있다. 제3단 방화벽(264)은 제2단 방화벽(262)과 동일한 높이이면서 벽체(4)와 제2단 방화벽(262) 사이를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차단한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end firewall 26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end firewall 264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toward the wall 4). The third stage firewall 264 is flush with the second stage firewall 262 and blocks between the wall 4 and the second stage firewall 262 from flames and toxic gases.

방화벽(260)은 대피자가 대피 발판(210) 위에서 세워야하는 것이므로 대피 발판(210)보다는 작게 형성된다.The firewall 26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escape scaffold 210 because the escenter has to stand on the escape scaffold 210.

방화벽(260)은 베란다(1)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도 가능하고 물론 불투명도 가능하다.Firewall 260 may be transparent and of course opaque so that veranda 1 can be identified.

또한, 제1단 방화벽(261)은 세워진 상태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대피자가 대피 공간으로 피신할 수 있도록 개폐 방화벽(265)이 구성될 수 있다. 제1단 방화벽(261)은 통로가 구비되고 개폐 방화벽(265)은 상기 통로에 배치되면서 상부가 제1단 방화벽(261)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식에 의해 상기 통로를 개폐한다. 제2단 방화벽(262)이 제1단 방화벽(261) 안에 삽입되어도 제2단 방화벽(262)이 제1단 방화벽(261)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개폐 방화벽(265)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irewall 261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ewall 265 so that the evacuator who has not yet evacuated can escape into the evacuation space. The first end firewall 261 is provided with a passage and the opening / closing firewall 265 is disposed in the passage, and the upper portion thereof is hinged to the first end firewall 261 to open / close the passage by a rotary type. Even when the second end firewall 262 is inserted into the first end firewall 261 and the second end firewall 262 is drawn out of the first end firewall 261, the open / close firewall 265 can be opened Lt; / RTI >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은 평상시 도 1과 같이 대피 난간(200)의 대피 발판(210)이 베란다(1) 안에 삽입되고 안전 수직바(220) 등이 난간 본체(100)에 근접되어 있으므로 난간 본체(100)와 일체감을 주게 된다.1, the escape scaffold 210 of the escape railing 200 is inserted into the veranda 1, and the safety vertical bar 220 and the like are fixed to the railing main body 200. [ (100) so that it gives a feeling of integration with the railing body (100).

실내 주거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베란다(1)에서 대피 난간(200)을 밀어 확장하며, 손잡이(241)를 잡고 확장방향으로 밀면 안전 수평연결바(240)가 전면부 수평바(112)에서 인출되고 따라서 대피 발판(210)이 베란다(1)에서 인출되어 대피 난간(200)이 베란다(1)로부터 확장된다.When a fire occurs in the indoor residential space,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escape railing 200 is pushed and extended from the veranda 1, and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ng bar 240 And the escape scaffold 210 is drawn out of the veranda 1 so that the escape railing 200 extends from the veranda 1.

대피 난간(200)은 안전 수평연결바(240)와 슬라이더(250) 및 대피 발판(210)에 의해 베란다(1)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확장 이동한다.The shelter railing 200 is stably extended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veranda 1 by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ng bar 240, the slider 250 and the escape scaffold 210. [

대피자는 대피 발판(210)으로 이동한 후 방화벽(260)을 위로 올리고 제2단 방화벽(262)을 세워 제1단 방화벽(261)에 고정함으로써 화염으로부터 안전한 높이의 방화벽을 설치한다. 즉, 대피 난간(200)은 화염의 방향을 벗어난 곳에 위치하고 방화벽(260)이 화염을 막을 수 있는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대피 공간 안에 있는 대피자는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The escaper moves to the escape scaffold 210 and then raises the fire wall 260 and raises and secures the second end wall 262 to the first end wall 261 to install a fire wall of a safe height from the flame. That is, since the shelter railing 200 is located outside the direction of the flame and the fire wall 260 is install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lame can be blocked, the shelter in the escape space is safely protected from flames and toxic gases.

이와 함께 수직 개폐바(270)를 중앙으로 이동시켜 대피자가 대피 공간에서 밖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opening and closing bar 270 is moved to the center so as to prevent the escape person from falling out of the escape space.

이와 같이 안전한 대피 공간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하며, 구조대원에 의한 구조시 수직 개폐바(270)를 일측으로 밀어 여유 있는 출입공간을 확보한 후 이 출입공간을 통해 신속하게 구조차량으로 이동한다.In such a safe evacuation space, it is safely evacuated from flames and toxic gases. When rescuing by the rescue crew, the vertical opening / closing bar 270 is pushed to one side to secure a free access space, and then quickly moved to the rescue vehicle through the access space do.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면 대피 난간(200)을 도 1과 같이 베란다(1)쪽으로 이동시켜 베란다(1)와 일체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통상적인 베란다의 느낌과 동일한 느낌으로 베란다(1)를 사용하도록 하고, 대피 난간(200)은 실내 거주자의 시야를 간섭하지 않으므로 거부감을 일으키지 않는다.
When the fire suppression is completed, the shelter railing 200 is moved toward the veranda 1 as shown in Fig. 1 so as to have a sense of unity with the veranda 1, so that the veranda 1 is used with the same feeling as that of a normal veranda, The shelter railing 20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visibility of the resident of the residence and does not cause a sense of rejection.

1 : 베란다,
100 : 난간 본체, 110 : 전면부 난간 본체
111 : 전면부 수직바, 112 : 전면부 수평바
120 : 측면부 난간 본체, 121 : 측면부 수직바
122 : 측면부 수평바, 200 : 대피 난간
210 : 대피 발판, 220 : 안전 수직바
230 : 안전 수평바, 240 : 안전 수평연결바
250 : 슬라이더, 260 : 방화벽
270 : 수직 개폐바,
1: porch,
100: railing body, 110: front railing body
111: front vertical bar, 112: front horizontal bar
120: side railing main body, 121: side vertical bar
122: side horizontal bar, 200: sheltered rail
210: Escape footrest, 220: Safety vertical bar
230: Safety horizontal bar, 240: Safety horizontal connection bar
250: Slider, 260: Firewall
270: vertical opening / closing bar,

Claims (5)

공동주택에 실내 주거공간과 서로 통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인 베란다(1)의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난간 본체(100)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끝에 각각 상기 난간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200)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본체는, 상기 베란다의 전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111) 및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112)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난간 본체(110),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111)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121) 및 상기 측면부 수직바와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에 의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측면부 수평바(122)로 이루어진 측면부 난간 본체(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 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2)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210), 상기 대피 발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220), 상기 다수의 안전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230), 상기 안전 수평바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전면부 수평바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240), 상기 안전 수평바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50), 상기 대피 발판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 난간 본체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2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A parapet body (100) installed at an edge of a veranda (1), which is a concrete structure formed in a communal house so as to communicate with an indoor residential space;
And a shelter railing (200) installed 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veranda to be able to protrude and retract from the railing body,
The parapet main body includes a front side railing body 110 having a plurality of front side vertical bars 111 standing on the front side of the veranda and a front side horizontal bar 112 connecting the top side of the front side vertical bars, A vertical bar 121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verand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vertical bar 111 located at the edge of the front barrel main body, And a side portion horizontal bar 122 that forms an entrance by a horizontal ba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secondary vertical bar.
The shelter railing includes a shelter step 210 of a concave-convex sec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foot insertion part 2, which is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randa, and which is opened laterally, A safety horizontal bar 230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safety vertical bars, a horizontal bar 230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side of the safety horizontal bar, A slider 250 installed at a rear side of the safe horizontal bar and installed to be movable laterally in a rail formed on the wall of the apartment house, And a fire wall (260) rotatably mounted on the floor of the footrest through a hinge and standing between the side railing body and the side wall railing body. Good construction safety rail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일측이 상기 대피 발판에 힌지 연결되는 제1단 방화벽(261), 상기 제1단 방화벽의 내부에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1단 방화벽 위에 세워지는 제2단 방화벽(262), 상기 제2단 방화벽이 상기 제1단 방화벽에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3]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firewall comprises: a first end firewall (261) hinged to one end of the escape scaffold; a second end (261) inserted into the first end firewall A firewall (262),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econd end wall to keep the state drawn from the first end wall.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단 방화벽에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겹쳐지며 상기 공동주택의 벽체와 상기 제2단 방화벽 사이를 화염으로부터 차단하는 제3단 방화벽(2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3] The apparatus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third end wall (264) overlapping the second end wall so as to be rotatable in a lateral direction, and blocking the flame between the wall of the communal house and the second end wall Safety railing for construction improving the evacuation function of apartment house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수평연결바와 상기 대피 발판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안전 수평연결바와 상기 대피 발판에 형성된 레일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직 개폐바(27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4]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1, wherein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ng bar and the escape scaffold are vertically arranged between the safety horizontal connecting bar and the escape scaffold, And a vertical opening / closing bar (270)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방화벽은 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통로에 배치되면서 상부가 상기 제1단 방화벽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방화벽(2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irst end wall includes a passageway and an open / close firewall (265) disposed in the passageway and having an upper portion hinged to the first end wall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way Safety rails for construction that improve the evacuation function of apartment houses.
KR1020140023646A 2014-02-27 2014-02-27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KR101412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646A KR101412211B1 (en) 2014-02-27 2014-02-27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646A KR101412211B1 (en) 2014-02-27 2014-02-27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211B1 true KR101412211B1 (en) 2014-06-25

Family

ID=51134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646A KR101412211B1 (en) 2014-02-27 2014-02-27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21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447B1 (en) * 2016-12-02 2017-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olding apparatus cradle of stubborn for fire-fighting in building
KR101725864B1 (en) * 2016-11-21 2017-04-12 (주)경진건축사사무소 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KR101793211B1 (en) 2017-04-28 2017-11-02 (주)선진전력기술단 Apparatus for descending for fire-fighting
KR102037262B1 (en) * 2019-06-24 2019-12-02 주식회사 이지건축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KR102102628B1 (en) * 2019-10-17 2020-04-21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Rreinforcement apparatus for handrail of appartment house
KR102504899B1 (en) * 2022-12-02 2023-03-02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Extension balcony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s
KR20230000673U (en) 2021-09-27 2023-04-04 오성피앤이(주) Tank lorry flatform for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795A (en) * 1995-01-27 1996-08-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Temporary scaffolding
KR20110062251A (en) * 2009-12-03 2011-06-10 강용학 Device for sheltering from fire in a building
KR20120021016A (en) * 2010-08-31 2012-03-08 진재효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 multistory struc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795A (en) * 1995-01-27 1996-08-06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Temporary scaffolding
KR20110062251A (en) * 2009-12-03 2011-06-10 강용학 Device for sheltering from fire in a building
KR20120021016A (en) * 2010-08-31 2012-03-08 진재효 Emergency escape apparatus in multistory structur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64B1 (en) * 2016-11-21 2017-04-12 (주)경진건축사사무소 Safty guardrail having refuge ability for building
KR101700447B1 (en) * 2016-12-02 2017-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olding apparatus cradle of stubborn for fire-fighting in building
KR101793211B1 (en) 2017-04-28 2017-11-02 (주)선진전력기술단 Apparatus for descending for fire-fighting
KR102037262B1 (en) * 2019-06-24 2019-12-02 주식회사 이지건축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KR102102628B1 (en) * 2019-10-17 2020-04-21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Rreinforcement apparatus for handrail of appartment house
KR20230000673U (en) 2021-09-27 2023-04-04 오성피앤이(주) Tank lorry flatform for loading and unloading station
KR102504899B1 (en) * 2022-12-02 2023-03-02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Extension balcony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211B1 (en)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KR101740261B1 (en) A safety de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1706609B1 (en) A safety dvice and emergency escape device for high-rise building
KR101055294B1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KR101607133B1 (en) Emergency evacuation railings for apartment houses
EP3639896A1 (en) Fire/disaster evacuation facility for building
KR101962656B1 (en) Disaster Escaping System Equipped with Gate for Skyscraper
KR101036763B1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CN102711922A (en) Fire evacuation shelter facilities
EP1666100A2 (en) Rescue cage
KR101082185B1 (en) A fire shelter for building construction
KR20090042692A (en) That have fire evacuation function veranda safety turning railing
KR101843842B1 (en) Fire and disaster escaping system combined using for balcony balustrade
KR20150102832A (en) The installation to evacuating from a fire
KR101191757B1 (en) NON-ELECTRIC MANY PEOPLE´s LIFE ESCAPING FACILITIES when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or an apartmentNON-ELECTRIC FOLDING ESCAPING DECK in storage
KR102085587B1 (en) Folding Evacuation Apparatus
KR102037262B1 (en) Safety rail for veranda in building
KR101922174B1 (en) Deployable Apparatus For Fire Evacuation
KR100725381B1 (en) A safe railing for apartment houses
KR20130047815A (en) A concealed evacuation-ladder with changeable bodyframe
KR200344310Y1 (en) Emergency escape device for building
KR20110084639A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230007700A (en) A downward tunnel type ladder for evacuation
KR100870141B1 (en) Gondola for escape from an unforeseen accident
KR20170106254A (en) Evacuation facilities for fire escape in high-rise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