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382B1 -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382B1
KR101410382B1 KR1020100064819A KR20100064819A KR101410382B1 KR 101410382 B1 KR101410382 B1 KR 101410382B1 KR 1020100064819 A KR1020100064819 A KR 1020100064819A KR 20100064819 A KR20100064819 A KR 20100064819A KR 101410382 B1 KR101410382 B1 KR 10141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lt
battery pack
inclination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29A (ko
Inventor
이상훈
김도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6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3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382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배터리팩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기울기 측정부;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2 기울기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와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고, 상기 기울기 각도 차(差)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 기울기 각도를 토대로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배터리팩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전압, 전류 누수에 따른 탑승자의 2차 사고(예컨대, 화재, 감전 등)를 예방한다.

Description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attery power}
본 발명은 사고 차량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기울기와 배터리팩 기울기를 토대로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지구 온난화, 자원 고갈 등의 문제로 인하여, 대체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대기오염의 주범으로 지적되는 자동차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이러한 연구 중에서, 대표적인 것은 자동차 에너지원인 화석원료를 전기 에너지로 대체하는 전기 자동차 연구 분야이다. 전기 자동차는 화석원료 대신에 2차 전지의 전원을 동력으로 공급받아 주행하는 차량으로서, 주행거리가 점점 늘어가고 속력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화석연료 고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부각되고 있으며,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더불어, 화석원료와 2차 전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car)가 출시되었다.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주입된 화석원료가 부족하면 2차 전지의 전원을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주행하고, 또는 2차 전지가 방전된 경우 화석원료를 동력원으로 이용하여 주행한다.
그런데 2차 전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가 전복되거나 충돌된 경우, 충돌에 의한 1차 인명사고 외에 2차 전지의 누전으로 인하여 2차 인명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교통사고로 인하여 전복된 경우, 상기 2차 전지를 통해 누전되는 고전압 또는 고전류에 의하여 탑승자가 감전 사고를 당할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전복되어 2차 전지 팩이 손상된 경우, 상기 2차 전지의 쇼트와 화석연료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2차 전지를 동력원으로서 이용하는 차량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상기 차량의 2차 전지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추가적인 사고(예컨대, 감전, 화재)를 예방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의 기울기와 배터리팩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사고 발생한 차량 내의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는, 배터리팩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기울기 측정부;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2 기울기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와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고, 상기 기울기 각도 차(差)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기울기 측정부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차량 부위별 기울기와 상기 배터리팩 기울기를 각각 비교하여 복수의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울기 각도 차(差)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에서 차량 기울기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 기울기가 수집되지 않는 제 2 기울기 측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는 버튼 조작에 따라 전원 공급 재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재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팩으로터 상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가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에서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은, 제 1 기울기 측정부로부터 배터리팩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 2 기울기 측정부로부터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와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각도 차(差)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 기울기 각도를 토대로 차량의 사고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배터리팩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의 전압, 전류 누수에 따른 탑승자의 2차 사고(예컨대, 화재, 감전 등)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부위별로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여, 차량 전복 사고뿐만 아니라 측면 충돌, 정면 충돌 등의 여러 형태의 차량 사고를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차량 사고에 의해 배터리팩 전원이 차단되어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터리팩의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에서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는 전원 분배부(110), 스위치(120), 배터리팩(130), 제 1 기울기 측정부(14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 입력부(160), 경보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전원 분배부(110)는 배터리팩(130)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차량에 탑재된 차량 구동용 모터에 인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원 분배부(110)는 배터리팩(130)으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차량의 각종 구성 부품, 예컨대, 오디오 디바이스, 에어컨 기기, 전조등으로 분배한다.
스위치(120)는 배터리팩(130)과 전원 분배부(110)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개방되거나 단락된다. 즉, 스위치(120)가 개방되어 있은 경우 전원 분배부(110)로 배터리팩(130)의 전원이 전달되지 않는다. 반면에, 스위치(120)가 단락되어 있는 경우, 배터리팩(130)의 전원이 전원 분배부(110)로 인가된다.
배터리팩(130)은 하나 이상의 개별 셀 전지가 직렬로 연결된 모듈로서, 차량 내부에 물리적으로 창작된다. 상기 배터리팩(130)은 스위치(120)를 통해 전원 분배부(110)로 연결되고, 상기 전원 분배부(110)를 통해 차량의 구성부품으로 전원을 인가한다.
제 1 기울기 측정부(140)는 배터리팩(130)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배터리팩(130)의 외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기울기 측정부(140)는 수평 상태(즉, 0도)를 기준으로 배터리팩(130)이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측정한다.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는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이 수평 상태에서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측정한다. 상기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는 하나 또는 복수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는 다수의 출입문, 차량의 범퍼 등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해당 설치 부위에서 차량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한다.
상기 제 1 기울기 측정부(140)와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는 자이로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과 같이 기울기 각도 측정이 가능한 센서로서, 수평 상태(즉, 0도)를 기준으로 배터리팩(130) 또는 차량이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는지를 측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설치된 다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는 정면 범퍼, 후면 범퍼, 4개의 출입문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렇게 설치된 제 2 기울기 측정부(150-1, 150-2, 150-3, 150-4, 150-5, 150-6)는 해당 지점에서 차량의 기울기 각도를 개별적으로 측정한다.
입력부(160)는 버튼 형태로 운전자의 좌석 근처에 설치되고, 탑승자로부터 전원공급 재개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8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보부(170)는 전원공급이 중단되거나 전원공급이 재개되면, 전원공급 재개 정보 또는 전원공급 중단 정보를 표시부(예컨대, 계기판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 형태로 출력한다.
제어부(180)는 스위치(120)를 제어하여 배터리팩(130)과 전원 분배부(110)의 연결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일정 주기 간격으로 제 1 기울기 측정부(140)와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를 이용하여 차량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 기울기 각도를 수집하고, 차량 기울기 각도와 상기 배터리팩 기울기 각도의 차(差)를 확인한다.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가 복수의 개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차량 기울기 각도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배터리팩 기울기와 각각의 차량 기울기를 대비하여 각도 차가 임계값을 넘는 경우가 발생하면 경보부(170)를 통해 전원공급 중단 정보를 출력하고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배터리팩(130)에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팩 기울기의 각도가 사전에 설정된 전복 임계값(예컨대, 80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하면 경보부(170)를 통해 전원공급 중단 정보를 출력하고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배터리팩(130)에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가 복수의 개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 중 어느 한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로부터 차량 기울기 각도가 수집되지 않으면, 경보부(170)를 통해 전원공급 중단 정보를 출력하고 스위치(12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각각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작동이 불안정한 경우에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도 2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충돌로 인하여 운전석 출입문에 장착된 제 2 기울기 측정부(150-2)가 파손된 경우,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기울기 측정부(150-2)로부터 차량 기울기 각도를 수신할 수 없다. 이렇게 특정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로부터 차량 기울기 각도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80)는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배터리팩(130)에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180)는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전원공급을 차단한 후에, 입력부(160)로부터 전원공급 재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스위치(120)를 단락하여 차량 구성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즉, 경미한 교통사고로 인하여 차량 전원공급이 차단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60)에 구비된 전원공급 재개 버튼을 조작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스위치(120)를 단락하여 차량 구성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에서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80)는 각도 수집 주기가 도래하면, 제 1 기울기 측정부(14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를 이용하여 배터리팩의 기울기 각도와 차량 기울기 각도를 수집한다(S301, S303). 이어서, 제어부(180)는 상기 수집한 배터리팩의 기울기 각도가 사전에 설정된 전복 임계값(예컨대, 80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5).
제어부(180)는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 각도가 전복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충돌로 인하여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배터리팩(130)에서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313, S315). 즉, 제어부(180)는 수집된 배터리팩의 기울기 각도가 사전에 설정된 전복 입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지면에 정상적으로 지지된 상태가 아닌 전복된 상태로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복 임계 각도가 80도로 설정되고 제 1 기울기 측정부(140)에 의해 측정된 배터리팩의 기울기 각도가 80도를 초과한 경우, 제어부(180)는 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180도 전복된 상태, 90 각도로 측면으로 전복된 상태 등과 같이 비정상적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S305 단계에서 배터리팩의 기울기 각도가 전복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를 통해 수집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차량 부위(예컨대, 범퍼, 출입문)별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 기울기 각도의 차(差)를 산출한다(S307).
예를 들어,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가 도 2와 같은 복수의 차량 부위 설치된 경우, 제어부(180)는 정면 범퍼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의 차, 후면 범퍼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 기울기 각도의 차, 운전석 출입문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의 차, 조수석 출입문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의 차, 왼쪽 뒷좌석 출입문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의 차 및 오른쪽 뒷좌석 출입문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의 차를 각각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산출된 각각의 기울기 각도 차(差)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9). 이어서, 제어부(180)는 산출한 각각의 기울기 각도 차(差) 모두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차량 상태를 정상으로 판단한다(S311). 이어서, 제어부(180)는 다음 각도 수집 주기가 도래하면, 도 3의 순서에 따른 프로세스를 다시 진행한다.
반면에, 제어부(180)는 산출된 각각의 기울기 각도 차(差)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스위치(120)를 개방하여 배터리팩(130)에서 차량 구성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한다(S313, S315). 이후, 제어부(180)는 전원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입력부(160)로부터 전원 공급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치(120)를 단락하여 차량으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즉, 제어부(180)는 교통사고로 인하여 차량에 전원을 차단시켰지만 차량을 이동시키기 원하는 탑승자로부터 전원공급을 재개하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스위치(120)를 단락하여 차량 구성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재개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같이 6개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가 설치된 차량이 평평한 도로(즉, 기울기 각도가 0도인 도로)에서 충돌 사고로 인하여 정면 범퍼가 파손되었다고 가정하여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제 1 기울기 측정부(140), 네 개의 출입문과 후면 범퍼에 설치된 각각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2, 150-3, 150-4, 150-5, 150-6)에서 측정되는 기울기 각도는 각각 0도이다. 그러나 상기 차량의 정면 범퍼에 설치된 제 2 기울기 측정부(150-1)는 외부 충격 때문에 최초 설치 상태가 변형되어 0도와는 다른 기울기 각도를 측정한다. 즉, 후면 범퍼와 네 개의 출입문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는 일치하지만, 파손으로 인하여 정면 범퍼의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130)의 기울기 각도는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S307 단계 내지 S315 단계에 따라, 상기 정면 범퍼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1)에서 측정된 차량 기울기 각도와 배터리팩 기울기 각도 차(差)가 임계값(예컨대, 10도)을 초과하는지 확인하여 초과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치(120)를 개방한다.
또는, 상기 차량의 정면 범퍼에 설치된 제 2 기울기 측정부(150-1)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완전히 파손되어 제어부(180)와의 통신이 단절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제 2 기울기 측정부(150-1)에서 차량 기울기 각도가 수집되지 않음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스위치(120)를 개방하고 차량 구성부품으로의 전원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1 기울기 측정부(14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를 이용하여 차량의 사고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배터리팩(13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터리팩(130)의 전압, 전류 누수에 따른 탑승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150-N)를 이용하여 차량의 여러 부위에서 차량 기울기 각도를 측정하여, 차량 전복 교통사고뿐 아니라 측면 충돌, 정면 충돌 등의 여러 가지 형태의 차량 충돌 사고를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차량 사고에 의해 배터리팩 전원이 차단되어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배터리팩의 전원공급을 재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 : 전원 분배부 120 : 스위치
130 : 배터리팩 140 : 제 1 기울기 측정부
150-N : 제 2 기울기 측정부 160 : 입력부
170 : 경보부 180 : 제어부

Claims (11)

  1.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배터리팩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1 기울기 측정부;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 2 기울기 측정부; 및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와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고, 상기 기울기 각도 차(差)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울기 측정부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차량 부위별 기울기와 상기 배터리팩 기울기를 각각 비교하여 복수의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울기 각도 차(差)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에서 차량 기울기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 기울기가 수집되지 않는 제 2 기울기 측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튼 조작에 따라 전원 공급 재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 공급 재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전원 공급 중단 상태 또는 전원 공급 재개 상태를 표시 장치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 형태로 출력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가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초과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7. 차량 전원 제어 장치에서 차량 배터리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기울기 측정부로부터 배터리팩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제 2 기울기 측정부로부터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와 상기 차량의 기울기를 비교하여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각도 차(差)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초과한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기울기 측정 단계는,
    차량의 복수 개소에 설치된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로터 차량 부위별로 기울기를 각각 측정하는 단계이고,
    상기 전원 공급 차단 단계는,
    상기 차량 부위별 기울기와 상기 배터리팩 기울기를 각각 비교하여 복수의 기울기 각도 차(差)를 산출하고, 상기 복수의 기울기 각도 차(差)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기울기 측정부에서 차량 기울기가 수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차량 기울기가 수집되지 않는 제 2 기울기 측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전원 공급 재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원 공급 재개 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가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팩의 기울기가 상기 제 2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차량에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팩으로부터 차량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KR1020100064819A 2010-07-06 2010-07-06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10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19A KR101410382B1 (ko) 2010-07-06 2010-07-06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819A KR101410382B1 (ko) 2010-07-06 2010-07-06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29A KR20120004129A (ko) 2012-01-12
KR101410382B1 true KR101410382B1 (ko) 2014-06-23

Family

ID=4561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819A KR101410382B1 (ko) 2010-07-06 2010-07-06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20494A (ja) 2013-12-24 2015-07-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バッテリー電源遮断装置および方法
KR102232067B1 (ko) * 2014-07-17 2021-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복수개의 차량 신호들을 이용한 차량 사고 구조 요청 장치 및 방법
KR20160144786A (ko) * 2015-06-09 2016-12-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2323029B1 (ko) 2017-08-18 2021-11-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자이로센서 및 수분감지센서를 이용한 배터리팩 내 누액 감지 장치 및 감지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172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충돌시 전원공급차단장치
KR19990043263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비상 작동회로
KR100254353B1 (ko) 1996-12-27 2000-06-01 정몽규 자동차용 자동전원차단장치
JP2007022147A (ja) 2005-07-12 2007-02-01 Mazda Motor Corp 車両異常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353B1 (ko) 1996-12-27 2000-06-01 정몽규 자동차용 자동전원차단장치
KR19980055172A (ko) * 1996-12-28 1998-09-25 김영귀 자동차의 충돌시 전원공급차단장치
KR19990043263A (ko) * 1997-11-29 1999-06-15 양재신 비상 작동회로
JP2007022147A (ja) 2005-07-12 2007-02-01 Mazda Motor Corp 車両異常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29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62B1 (ko)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KR100739080B1 (ko) 외부 충격에 대응하는 배터리 팩 안전장치 및 배터리 팩보호방법
EP1683698B1 (en) Vehicle collision safety system
EP069340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ployment signal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uring a side impact crash
CN102189933B (zh) 用于车辆的侧碰撞判定设备以及高压电源切断设备
US96499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vehicle
KR101410382B1 (ko) 차량 배터리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392017B1 (ko)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3991B1 (ko) 친환경 차량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1940A (ko) 배터리 스웰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US10166879B2 (en) Battery discharge preventing system for hybrid vehicle and battery discharge prevent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140309827A1 (en) Motor vehicle having traction motor
CN207328432U (zh) 一种车辆变道辅助系统
CN103448555A (zh) 一种电动汽车充电时碰撞控制方法及其系统
KR20080030753A (ko) 고전압 차량의 감전방지용 안전보호장치
CN103595086B (zh) 深度放电保护方法和机动车
KR2018006928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0783927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의 배터리 유해가스 및 분진 자동배출 장치
KR20130068993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CN112193196B (zh) 车辆
KR20130110386A (ko) 차량의 배터리시스템 보호장치
KR101480649B1 (ko) 차량 제어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7299933B2 (ja) 電動車両
CN205301582U (zh) 基于无线网络的汽车防撞雷达系统及具有其的汽车
KR102481210B1 (ko) 전기 자동차의 슬립 모드에서 고전압 배터리 상태확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