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236B1 - 벽면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벽면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236B1
KR101410236B1 KR1020120086354A KR20120086354A KR101410236B1 KR 101410236 B1 KR101410236 B1 KR 101410236B1 KR 1020120086354 A KR1020120086354 A KR 1020120086354A KR 20120086354 A KR20120086354 A KR 20120086354A KR 101410236 B1 KR101410236 B1 KR 10141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getation bag
planting
ba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021A (ko
Inventor
장대희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8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2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녹화를 조성하기 위한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재(410)의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재공간(200a)이 형성된 식생백(200) 및 상기 식생백(200)을 지지하는 유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백(200)의 식재공간(200a)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백(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식재공간(200a)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0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벽면녹화시스템{Wall greening system}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에 녹화를 조성하기 위한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의 바닥, 실내,외벽, 칸막이 등의 벽체에 녹지를 조성하는 공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일본특허 특개2008-29322호에 개시된 도 1로서 이를 참조하면, 식재패널(16)에 개구부(16)가 형성된 포켓(14)이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식재가 상측으로만 심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식재패널(16)이 전체적으로 식생으로 조성되지 않고 포켓(14)이 그대로 노출되어 벽면녹화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식생토가 공중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비산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식생 불량은 물론 주변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식생 초기시 또는 보수, 교체시 등에 작업자가 벽면을 타고 올라고 직접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위험성이 높고 작업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수라인을 통한 급수가 어려워 수시로 관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식생토 대신 고형화된 식생블록을 이용한 방식이 있는데, 이 경우 식생 가능한 식재가 제한되며, 중력의 영향 때문에 식생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식생토를 이용하여 벽면 전체에 걸쳐 벽면 녹화를 조성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생토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생의 단위별 착탈이 용이한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수를 이용한 급수공급이 가능한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외벽과의 일체화를 통한 건물외피의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재(410)의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재공간(200a)이 형성된 식생백(200) 및 상기 식생백(200)을 지지하는 유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백(200)의 식재공간(200a)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백(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식재공간(200a)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0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식재공간(200a)에 식생토(400)를 채울 수 있고 상기 식재(410)에 의해 상기 절개부(200c)가 벌어질 수 있도록 섬유를 직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식재공간(200a)을 형성하는 본체부(202) 및, 상기 식재공간(200a)에 식생수를 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2)로부터 라인 형태로 연장된 급수라인(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은 상기 식생백(200)의 본체부(202)의 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식생백(200)은 코코넛 섬유, 삼베, 황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니트(150)는 상기 식생백(200)이 상하 끼워져 거치되며 하측면에 상기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을 뺄 수 있는 급수홀(150b)이 형성된 식생백 거치부(150a) 및,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을 통해 빼낸 상기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이 삽입되며 식생수가 담수되는 담수부(15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니트(150)는 상하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볼록한 볼록부(152a)를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152a)에 상기 식생백(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전면판(152)과, 상기 전면판(152)의 볼록부(152a)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된 배면판(154)과, 상기 전면판(152)과 상기 배면판(154) 사이의 공간의 좌,우측면을 복개하는 좌,우측판(156,157)과, 상기 전면판(152) 및 배면판(154), 좌,우측판(156,157)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상하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와 상기 담수부(150c)로 구획하는 구획판(1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우측 판의 상단에는 관수라인(16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관수라인 거치홈(156a,157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158)은 상기 전면판(152) 및 상기 좌,우측판(156,157)과 결합되며,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을 형성토록 상기 배면판(154)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유니트(150)는 하나의 식생백(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150) 복수개가 거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각 유니트(150)가 착탈 가능토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면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끼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유니트(150) 중 상하 배치된 유니트(150)와 유니트(150) 사이에 상기 유니트(150)와 착탈 가능토록 결합된 넝쿨식재(410)를 위한 등반 보조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반 보조재(250)는 사다리 구조의 보조철물 또는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식생토를 이용하여 벽면 전체에 걸쳐 벽면 녹화를 조성하고 이에 따라 건물의 외벽과의 일체화를 통한 건물외피의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생토 비산을 방지할 수 있고, 식생의 단위별 착탈이 용이하며, 관수를 이용한 급수공급이 가능한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벽면녹화시스템의 사시도.
도 2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벽면녹화 활용 예 모식도.
도 3은 벽체 베이스 사시도.
도 4는 벽체 베이스의 전방 프레임 분해 사시도.
도 5는 벽체 베이스의 후방 프레임 분해 사시도.
도 6은 벽체 베이스의 유니트 분해 사시도.
도 7은 식생백이 거치된 유니트의 단면도.
도 8은 식생백 사시도.
도 9는 식생백에 식재 조성 적용 예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면녹화시스템은 벽체 베이스(100)와, 식생백(2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체 베이스(100)는 내/외벽체를 형성하거나 내/외벽체에 결합되어 내/외벽체를 덮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식생백(200)이 거치되는 유니트(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유니트(150)가 결합되는 전방 프레임(120)과, 전방 프레임(120)의 후방에 겹쳐지는 후방 프레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120)은 유니트(150), 후방 프레임(130)과의 결합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다만 다음과 같이 전방 프레임(120)의 면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 결합될 수 있기 위해 슬라이드 끼움부가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니트(150)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전방 프레임(120)은 사각틀(122)과, 사각틀(122)에 상하 복수 설치되며 유니트(150)의 상,하단이 각각 슬라이드 끼움될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어 슬라이드 끼움부를 이루는 빔(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130)은 건물 등의 구조체(300)와 전방 프레임(120) 사이의 단열을 위해, 구조체(300)에서 전방프레임을 향해 제1단열재(132), 제2단열재(134), 구조프레임(136), 차수 보드(138)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앵커볼트(139)에 의해 일체로 구조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단열재(134)는 발포 단열충진재를 사용하여 기밀성을 지니도록 할 수 있다.
유니트(150)는 단위별 식생 조성이 가능토록, 하나의 베이스 프레임(110)에 복수개의 유니트(150)가 거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하나의 식생백(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유니트(150)는 식생백(200)이 상하 끼워져 거치되며 하측면에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을 뺄 수 있는 급수홀(150b)이 형성된 식생백 거치부(150a) 및, 식생백 거치부(150a) 하측에 구비되어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을 통해 빼낸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이 삽입되며 식생수가 담수되는 담수부(150c)를 포함토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자체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유니트(150)는 식생백 거치부(150a)와 담수부(150c)가 함께 구성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즉, 유니트(150)는 상하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볼록한 볼록부(152a)를 형성하며 볼록부(152a)에 식생백(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홀(152b)이 형성된 전면판(152)과, 전면판(152)의 볼록부(152a)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된 배면판(154)과, 전면판(152)과 배면판(154) 사이의 공간의 좌,우측면을 복개하는 좌,우측판(156,157)과, 전면판(152) 및 배면판(154), 좌,우측판(156,157)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상하 식생백 거치부(150a)와 담수부(150c)로 구획하는 구획판(158)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좌우측 판의 상단에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관수라인(160)이 구성되는 경우, 관수라인(16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관수라인 거치홈(156a,157a)이 형성됨으로써 관수라인(160)을 지지할 수 있다. 구획판(158)은 전면판(152) 및 좌,우측판(156,157)과 결합되며,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을 형성토록 배면판(154)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 형성을 위해 구획판(158)에 홀을 뚫을 필요가 없다. 유니트(150)는 내구성은 물론 겨울철 식재(410)의 관상가치가 떨어진 뒤에도 벽면녹화구간이 흉물스럽지 않도록 외관의 미관성을 좋게 하기 위해 아연도금철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식생백(200)은 식재(410)의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생토(400)가 채워지는 식재공간(200a)이 형성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식생백(200)의 식재공간(200a)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200b)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식생백(200)은 전면 식생이 가능토록, 둘레면 일측에 식재공간(200a)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0c)가 구비될 수 있다. 절개부(200c)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지기 전에는 식생토(400)가 틈새로 이탈되지 않도록 십자형 칼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식생백(200)은 식생토(400)를 채울 수 있되, 식재(410)에 의해 절개부(200c)가 벌어지기 용이토록 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식생백(200)을 이루는 섬유로는 천연이면서 어느 정도 견고함을 유지토록, 코코넛 섬유, 삼베, 황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리할 수 있다.
한편, 식생백(200)은 식재공간(200a)을 형성하는 본체부(202) 및, 식재공간(200a)에 식생수를 댈 수 있도록 본체부(202)로부터 라인 형태로 연장된 급수라인(204)을 포함할 수 있다.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은 유니트(150)의 담수부(150c)에 담수된 식생수를 본체부(202)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식생백(200)의 본체부(202)의 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넝쿨식재(410)의 조성이 용이토록, 복수의 유니트(150) 중 상하 배치된 유니트(150)와 유니트(150) 사이에 구비되는 등반 보조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반 보조재(250)는 사다리 구조의 보조철물 또는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반 보조재(250)는 후크 끼움 결합,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유니트(150)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벽체 베이스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전방 프레임 130; 후방 프레임
150; 유니트 160; 관수라인
200; 식생백

Claims (13)

  1. 식재(410)의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재공간(200a)이 형성된 식생백(200) 및 상기 식생백(200)을 지지하는 유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백(200)의 식재공간(200a)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백(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식재공간(200a)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0c)가 구비되고,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식재공간(200a)에 식생토(400)를 채울 수 있고 상기 식재(410)에 의해 상기 절개부(200c)가 벌어질 수 있도록 섬유를 직조하여 형성하며,
    상기 식생백(200)은 상기 식재공간(200a)을 형성하는 본체부(202) 및, 상기 식재공간(200a)에 식생수를 댈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202)로부터 라인 형태로 연장된 급수라인(204)을 포함하고,
    상기 유니트(150)는 상기 식생백(200)이 상하 끼워져 거치되며 하측면에 상기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을 뺄 수 있는 급수홀(150b)이 형성된 식생백 거치부(150a) 및,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을 통해 빼낸 상기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이 삽입되며 식생수가 담수되는 담수부(150c)를 포함하며,
    상기 유니트(150)는 상하 중앙부가 전방을 향해 볼록한 볼록부(152a)를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152a)에 상기 식생백(2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전면판(152)과, 상기 전면판(152)의 볼록부(152a)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결합된 배면판(154)과, 상기 전면판(152)과 상기 배면판(154) 사이의 공간의 좌,우측면을 복개하는 좌,우측판(156,157)과, 상기 전면판(152) 및 배면판(154), 좌,우측판(156,157)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상하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와 상기 담수부(150c)로 구획하는 구획판(15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백(200)의 급수라인(204)은 상기 식생백(200)의 본체부(202)의 후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식생백(200)은 코코넛 섬유, 삼베, 황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판의 상단에는 관수라인(16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관수라인 거치홈(156a,15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158)은 상기 전면판(152) 및 상기 좌,우측판(156,157)과 결합되며, 상기 식생백 거치부(150a)의 급수홀(150b)을 형성토록 상기 배면판(154)과 소정 간격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0. 식재(410)의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재공간(200a)이 형성된 식생백(200) 및 상기 식생백(200)을 지지하는 유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백(200)의 식재공간(200a)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백(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식재공간(200a)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0c)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150)는 하나의 식생백(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150) 복수개가 거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각 유니트(150)가 착탈 가능토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면을 따라 슬라이드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끼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니트(150) 중 상하 배치된 유니트(150)와 유니트(150) 사이에 상기 유니트(150)와 착탈 가능토록 결합된 넝쿨식재(410)를 위한 등반 보조재(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등반 보조재(250)는 사다리 구조의 보조철물 또는 와이어 메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3. 식재(410)의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재공간(200a)이 형성된 식생백(200) 및 상기 식생백(200)을 지지하는 유니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식생백(200)의 식재공간(200a)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며, 상기 식생백(200)의 둘레면에는 상기 식재공간(200a)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410)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200c)가 구비되고,
    상기 유니트(150)는 하나의 식생백(200)이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니트(150) 복수개가 거치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유니트(150)가 결합되는 전방 프레임(120)과, 전방 프레임(120)의 후방에 겹쳐지는 후방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130)은 구조체(300)에서 전방 프레임(120)을 향해 제1단열재(132), 제2단열재(134), 구조프레임(136) 및 차수 보드(138) 순으로 이루어지며, 제2단열재(134)는 발포 단열충진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KR1020120086354A 2012-08-07 2012-08-07 벽면녹화시스템 KR10141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54A KR101410236B1 (ko) 2012-08-07 2012-08-07 벽면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54A KR101410236B1 (ko) 2012-08-07 2012-08-07 벽면녹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21A KR20140020021A (ko) 2014-02-18
KR101410236B1 true KR101410236B1 (ko) 2014-06-20

Family

ID=50267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354A KR101410236B1 (ko) 2012-08-07 2012-08-07 벽면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2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682U (ko) 2017-06-19 2018-12-28 김창중 천정 녹화 시스템
KR101983016B1 (ko) * 2019-02-26 2019-05-31 주식회사 나인포조경 미세먼지 저감과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백 벽면녹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9353B1 (en) 2016-01-29 2020-04-14 Metal Sales & Service, Inc. Integrated wall assembly
KR101893025B1 (ko) 2017-03-23 2018-08-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저관리형 벽면 녹화 시스템
CN109258200A (zh) * 2018-11-16 2019-01-25 深圳海龙建筑科技有限公司 可种植植物的墙体及其制备方法
KR20210008214A (ko) 2019-07-11 2021-01-21 창조원 주식회사 벽면녹화용 화분케이스
KR102163153B1 (ko) 2020-05-20 2020-10-08 (주)비오시스 벽면 녹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벽면 녹화 시스템
KR20240043531A (ko) 2022-09-27 2024-04-03 (주)꿈제작소 실내 가드닝 장치
GB2627933A (en) * 2023-03-07 2024-09-11 Biotecture Products Ltd Support fr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138B2 (ja) 2003-07-11 2006-03-15 丸和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花卉植栽構造
JP3162718U (ja) * 2010-05-07 2010-09-16 孝安 張 植え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138B2 (ja) 2003-07-11 2006-03-15 丸和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花卉植栽構造
JP3162718U (ja) * 2010-05-07 2010-09-16 孝安 張 植え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682U (ko) 2017-06-19 2018-12-28 김창중 천정 녹화 시스템
KR101983016B1 (ko) * 2019-02-26 2019-05-31 주식회사 나인포조경 미세먼지 저감과 재활용이 가능한 에코백 벽면녹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021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236B1 (ko) 벽면녹화시스템
AU2010258104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KR101508736B1 (ko) 식생고정 프레임과 섬유질토양매트를 이용한 식생판 및 이를 이용한 입체녹화 구조물
CN111615952B (zh) 一种绿色建筑的绿化幕墙系统
KR101189260B1 (ko) 다벽면 및 베란다 녹화 시스템
CN206888259U (zh) 轻质隔间墙结构
KR101802351B1 (ko) 조립형 게비온 구조물
KR101250304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KR100808251B1 (ko) 벽체 녹화시스템
CN207453372U (zh) 地板覆盖层的模块装置和地板覆盖层模块的相关结构
CN211200832U (zh) 一种可拼接式结构稳定的建筑幕墙
CN208934175U (zh) 一种装饰墙体结构
CN210002627U (zh) 一种等层高装饰墙板
KR101366872B1 (ko) 지하 차수벽 건식벽체
CN208184011U (zh) 一种隔音吸音装饰模块及隔音吸音装饰墙
JP2011193766A (ja) 屋上緑化システム
CN202236987U (zh) 一种工地板房的消防装置
CN201943219U (zh) 干挂式龙骨系统
JP2007151519A (ja) 緑化ユニット
JP2005124437A (ja) ツル科植物育成装置
JP3164196U (ja) 立体壁庭
CN205558168U (zh) 一种地板支撑架
CN213127233U (zh) 一种景观生态墙
CN214850235U (zh) 一种抗静电电缆桥架
KR101261215B1 (ko) 친환경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