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61B1 -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 Google Patents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61B1
KR101409861B1 KR1020120013333A KR20120013333A KR101409861B1 KR 101409861 B1 KR101409861 B1 KR 101409861B1 KR 1020120013333 A KR1020120013333 A KR 1020120013333A KR 20120013333 A KR20120013333 A KR 20120013333A KR 101409861 B1 KR101409861 B1 KR 10140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deposit
small
account
savings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955A (ko
Inventor
이상은
정문호
유장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은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은행
Priority to KR1020120013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61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행이 제공하는 소액저축상품에 관한 것이다.
은행서버가,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일일 단위로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하고,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하며, 적립기간의 만기일에 소액저축계좌에 적립된 저축액 전부를 자동 출금하여 모계좌로 이체 입금하는 은행서버의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Method and apparatus for bank's providing saving account for small saver, method and apparatus for client's utilizing saving account for small saver}
본 발명은, 은행이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고 고객이 은행의 소액저축상품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은행 금융상품 중 가장 보편적인 상품은 저축상품이며, 저축상품이 제공하는 저축계좌를 통해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다. 경제활동에 대한 개인 고객들의 관심이 커지고 경제지식이 풍부해짐에 따라, 은행은 다양한 취향의 고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객이 저축하여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적금상품, 고객의 자산을 예치할 수 있는 예금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물가가 상승하고 신용카드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소액의 현금 또는 자투리 금액의 중요성이 작아지고 있다. 고객이 소액 단위로 저금을 하고 싶더라도 소액의 현금을 저축하기 위해 은행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한다. 저금통을 이용해 잔돈을 모으는 경우, 현재의 적립금액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다시 안이하게 탕진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은행이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고, 은행의 소액저축상품에 가입한 고객이, 개설된 계좌를 이용하여 고객들이 소액 단위의 금액을 수시로 저금하는 경제활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일일 단위로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상기 입금요청의 수신시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하는 단계; 및 상기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 전부를 자동 출금하여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는,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이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자동 출금되어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되고, 상기 만기일이 경과하면 상기 적립기간이 반복하여 재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입금요청이 최소 1회 발생하는 최소 입금주기, 상기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 및 상기 적립기간의 상기 만기일 중 적어도 하나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고객의 단말기가 소액저축상품의 은행 입출금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은, 일일 단위로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로 입력된 상기 고객의 입금요청에 기초하여, 은행서버에게 상기 입금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상기 입금요청의 발생시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이 출금되어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입금되어 적립된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서버의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는,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이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자동 출금되어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되고, 상기 만기일이 경과하면 상기 적립기간이 반복하여 재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액저축상품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는, 고객의 모계좌 정보, 소액저축계좌 정보 및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일일 단위로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축계좌에 대한 거래처리결과를 상기 단말기에게 출력하는 소액저축송수신부;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상기 입금요청의 수신시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하는 소액저축처리부; 및 상기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 전부를 자동 출금하여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하고 상기 만기일이 경과하면 상기 적립기간을 반복하여 재개하는 만기일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기 위한 단말기는, 일일 단위로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로 입력된 상기 고객의 입금요청에 기초하여, 은행서버에게 상기 입금요청을 전송하는 입금요청전송부;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상기 입금요청의 발생시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이 출금되어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입금되어 적립된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수신부; 및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요청 및 상기 은행서버의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의 도식화를 위한 소액저축계좌 거래화면을 도시하기 위한 화면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의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전산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의 입출금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을 전산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이 제공한 소액저축계좌를 이용하는 고객은, 고객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뱅킹 시스템에 접속하여, 일일 단위로 절약한 금액 또는 자투리 금액을 소액저축계좌에 자동입금할 수 있다. 또한 적립기간 동안 계좌에 적립된 금액은 만기일에 고객의 모계좌로 반환되고, 다시 새로운 적립기간이 재개되므로, 고객은 계속하여 소액을 적립하고 다시 도래한 만기일에 또다시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금액을 반환받을 수 있으므로, 고객의 꾸준한 소액저축습관이 도모될 수 있다. 은행은, 만기일마다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금액을 고객의 모계좌로 자동으로 반환하면서, 고객에게 타 금융상품을 소개할 기회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 동안의 입금내역을 도시한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반복되는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 추이를 도시한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화면의 메인화면을 예시한다.
도 6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금통을 도시한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금통을 도시한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화면에 도시되는 달력을 예시한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화면을 도시한다.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의 입출금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11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은행 입출금서비스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라 은행서버(100)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은행서버(100)의 구조와, 고객의 단말기(200)가 은행서버(100)의 소액저축상품을 처리하는 방법 및 단말기의 구조가 상술된다.
도 1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은행서버(100)는, 거래송신부(110), 소액거래처리부(120), 만기일처리부(13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4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거래송신부(110), 소액거래처리부(120), 만기일처리부(13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4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거래송신부(110), 소액거래처리부(120), 만기일처리부(13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40)가 각각의 자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프로세서(미도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은행서버(100)가 전체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의 외부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거래송신부(110), 소액거래처리부(120), 만기일처리부(130) 및 고객 데이터베이스(14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거래송신부(110), 소액거래처리부(120), 만기일처리부(130)가 소액계좌의 자금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할하는 메모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네트워크 망(150)을 거쳐 고객의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망(150)은, 개방형 인터넷, 폐쇄형 인트라넷을 포함한 유선 인터넷망, 이동 통신망과 연동된 무선 인터넷 통신망 뿐만 아니라, 각종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 네트워크 등의 가능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고객의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할 수 있는 소액저축상품의 개설 요청을 수신한다. 은행서버(100)는, 은행서버(100)에 대해 이미 개설된 수시 입출금이 가능한 저축계좌를 보유한 고객에게 소액저축계좌의 개설을 허용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고객이 이미 개설한 저축계좌를 보유하였는지 확인하고, 기 개설된 저축계좌의 보유여부가 확인된 고객에게 소액저축계좌을 개설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기 개설된 저축계좌를 신규 개설하는 소액저축계좌의 근거계좌로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의 연결계좌 또는 근거계좌가 되는 기 개설된 저축계좌를 '모계좌'라 지칭한다. 은행서버(100)는, 고객의 모계좌에 입금액 중에서 소액 단위의 금액을 소액저축계좌로 이체하여 적립할 수 있다.
고객 데이터베이스(140)는, 고객의 개인정보, 모계좌 정보 및 소액저축계좌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객 데이터베이스(140)는, 고객의 신상정보, 사용자 인증을 위한 공인인증서 정보 및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보안매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데이터베이스(140)는, 소액저축계좌와 연결된 모계좌의 계좌번호 및 거래비밀번호 등을 포함하는 모계좌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데이터베이스(140)는, 소액저축계좌의 계좌번호, 거래비밀번호, 최소 입금주기, 적립기간, 만기일 등을 포함하는 소액저축계좌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로 입금가능한 최소 입금주기는 1일, 2일, 5일, 7일 등의 소정 일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최소 입금주기마다 최소 1회 입금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은, 1개월, 2개월, 3개월, 6개월 등의 소정 월수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만기일은, 적립기간이 만료하는 날짜이며, 적립기간 중 특정 일자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의 만기일은, 1개월의 적립기간 중 5일, 15일, 25일, 2개월의 적립기간 중 2개월차 10일, 20일, 30일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경과하면, 다음날부터 적립기간이 반복적으로 재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입금요청이 최소 1회 발생하는 소정 일수 단위의 최소 입금주기,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 및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금을 자동이체하는 만기일 등을 임의 설정하기 위한 설정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의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최소 입금주기, 적립기간, 만기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된 최소 입금주기, 적립기간, 만기일 등은 고객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되며, 소액저축계좌 정보가 갱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송신부(110)는, 고객의 단말기(200)으로부터 소액저축계좌와 관련된 거래요청을 수신하고, 거래요청에 대한 은행서버(100)의 처리결과를 고객의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거래송신부(110)는, 고객의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일수 단위인 입금주기별로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처리부(120)는, 거래송신부(110)를 통해 입금요청을 수신하면,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한다.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소액저축처리부(120)는, 고객으로부터 소액의 저축요청을 수신할 때마다, 요청된 소액 단위의 금액을 모계좌로부터 소액저축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만기일처리부(130)는,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소액저축계좌에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 전부를 자동 출금하여, 모계좌로 이체 입금할 수 있다. 만기일처리부(130)는, 만기일이 경과하면 적립기간을 새로 재개시킬 수 있다.
또한 거래송신부(11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거래의 처리결과, 즉 소액 저축요청일마다 소액저축계좌에 저축된 금액에 대한 정보와 소액저축계좌의 현재잔금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송수신부(110)는, 인터넷 뱅킹에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기(200)로부터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수신하고, 고객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정보와 수신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가 부합되면 사용자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거래 송수신부(110)는, 소액저축계좌로의 입금요청을 위해 단말기(100)로부터 모계좌 및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이체를 위한 거래비밀번호와 입금요청된 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모계좌 및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이체를 위한 거래비밀번호는, 모계좌에 대한 거래비밀번호일 수 있다. 또한, 모계좌 및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이체를 위한 거래비밀번호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축을 위해 별도로 설정된 소액저금용 거래비밀번호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고객이 소액저축을 위한 인터넷 뱅킹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단말기(200)에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래송수신부(11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단말기(200)의 소액저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소액저축계좌에 대하여 단말기(200)로부터 요청된 거래 요청에 대응하여 은행서버(100)가 처리한 결과를 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기 위한 저금통을 도시할 수 있다.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는, 현재 적립금액, 또는 적립 최대한도에 대비한 현재 적립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저금통에 표시되는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금통의 전체 색상의 변환, 일부 색상의 변화, 저금통 내부에 투시되는 동전의 적재량의 변화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소액저축계좌로 최소금액을 입금하기 위한 저금버튼을 저금통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거래송수신부(100)는, 저금버튼 및 저금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횟수에 비례하여 결정되는 저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각각 다른 종류의 단위금액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금액버튼들을 저금통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거래송수신부(100)는, 복수 개의 금액버튼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액버튼과 선택된 금액버튼의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저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고객의 달력표시 선택에 기초하여, 이전 만기일로부터 현재 만기일까지의 현재 적립기간을 나타내는 달력을 도시할 수 있다.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은, 달력 상에, 입금요청이 수신되어 처리된 일자와 일자별 입금액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고객의 소액저금 거래 뿐만 아니라, 수시 입출금거래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임의 계좌로부터의 수시입금 또는 임의 계좌에게로의 수시출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단말기(200)로부터 수시입금 또는 수시출금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은행서버(1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거래를 위한 거래비밀번호 및 수시입금 또는 수시출금 요청된 금액에 대한 정보에 추가적으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보안매체 정보를 단말기(200)로부터 더 수신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수시입금 또는 수시출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고객 데이터베이스(140)에 수록된 고객의 개인정보 중 고객의 공인인증서 정보와 보안카드 식별정보 및 보안코드표를 이용할 수 있다. 단말기(200)로부터 소액저축계좌로의 소액저금 요청이 수신된 경우와는 달리, 은행서버(1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수시입금 또는 수시출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단말기(200)로부터 수시입출금 요청이 수신될 때 함께 수신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보안코드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된 보안코드가, 고객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된 고객의 개인정보와 부합하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입금요청전송부(210), 처리결과수신부(220) 및 화면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입금요청전송부(210), 처리결과수신부(220) 및 화면처리부(230)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입금요청전송부(210), 처리결과수신부(220) 및 화면처리부(230)가 각각의 자체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해 작동되며, 프로세서(미도시)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단말기(200)가 전체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외부 프로세서(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입금요청전송부(210), 처리결과수신부(220) 및 화면처리부(23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입금요청전송부(210), 처리결과수신부(220) 및 화면처리부(230)가 소액계좌의 자금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입출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데이터 저장부(미도시)의 데이터 입출력을 관할하는 메모리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망(150)을 거쳐 은행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네트워크 망(150)을 거쳐 은행서버(100)에 대한 인터넷 뱅킹 모듈을 실행하는 은행입출금서비스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은행입출금서비스 처리 장치를 구동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를 위한 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인터넷 뱅킹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망(150)을 접속하여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 고객이 보유하는 가정용 컴퓨터 뿐만 아니라, 노트북, PDA(Personnel Digital Assistants), 태블릿 기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와 같은 휴대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에게, 기 개설된 저축계좌와 연결되는 소액저축계좌의 개설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상품은 비대면 채널용 금융상품일 수 있으므로,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에게 인터넷 뱅킹을 통해 소액저축계좌의 개설을 요청하고, 인터넷 뱅킹을 통해서만 소액저금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소액저축계좌의 해지신청은, 인터넷 뱅킹 뿐만 아니라 영업점을 통해서도 은행서버(100)에 접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소액저축계좌와 관련하여, 최소 입금주기, 적립기간 및 만기일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금요청전송부(210)는, 고객으로부터, 소정 일수 단위인 최소 입금주기별로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한다. 입금요청전송부(210)는, 단말기(200)로 입력된 고객의 입금요청에 기초하여, 은행서버(100)에게 입금요청을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입금주기는 고객이 소액저축계좌로 입금요청할 수 있는 시기가 반복적으로 도래하는 최소주기를 의미한다. 입금요청전송부(210)는, 최소주기에 따라 입금요청이 가능한 시기에 고객의 입금요청이 입력되면, 은행서버(200)에게 고객의 입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최소주기에 따라 입금요청이 가능한 시기가 도래할 때마다 반드시 입금요청이 발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최소 입금주기가 1일이라면, 입금요청전송부(210)는 1일에 1번씩 입금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매1일마다 입금요청이 발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반복되는 매1일 중에서, 고객이 소액저축계좌로 저금하기 위해 단말기(200)에 소액저축계좌로의 입금요청을 입력한 날에, 입금요청전송부(210)는 고객의 입금요청을 은행서버(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결과수신부(220)는, 은행서버(100)로부터,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입금요청의 발생시 소액저축계좌로 적립된 처리결과를 수신한다. 즉 처리결과수신부(220)는, 은행서버(100)가 단말기(200)의 입금요청이 발생하면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소액저축계좌로 적립한 처리결과를, 은행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결과수신부(220)는,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소액저축계좌로부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이 자동 출금되어 모계좌로 이체 입금된 결과를 은행 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기일이 경과하면 적립기간이 반복하여 재개되므로 입금요청전송부(210)는, 재개된 적립기간 동안 또다시 소액저금 요청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입금요청전송부(210)는, 인터넷 뱅킹 접속을 위해 은행서버(100)에게 사용자 인증을 위한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로부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입금요청전송부(210)는, 은행서버(100)에게 입금요청을 위해, 모계좌 및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이체를 위한 거래비밀번호와, 고객으로부터 입금요청된 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면처리부(230)는,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화면처리부(230)는, 입금요청전송부(210)의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요청을 위한 화면과, 처리결과수신부(220)로 수신된 은행서버(100)의 처리결과에 따라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화면 등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그래픽 처리하여 도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가 소액저축상품을 위해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고객의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뱅킹에 접속하여,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축 요청을 전송하거나, 은행서버(100)의 처리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기(200)가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뱅킹에 접속한 후, 화면처리부(23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처리부(23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 요청에 대응하는 은행서버(100)의 처리결과에 따라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기 위한 저금통을 도시할 수 있다. 화면처리부(23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상태를 도식화하도록 저금통의 전체 색상, 일부 색상 및 저금통 내부에 투시되는 동전의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도록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처리부(23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소액저축계좌로 최소금액을 입금하기 위한 저금버튼을 도시할 수 있다. 입금요청전송부(210)는, 저금버튼 및 저금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1회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횟수에 비례하여 저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처리부(23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각각 다른 종류의 단위금액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금액버튼들을 도시할 수 있다. 입금요청전송부(210)는, 복수 개의 금액버튼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선택 입력된 하나 이상의 금액버튼 및 선택된 금액버튼의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저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입금요청전송부(210)는, 저금통, 저금버튼 또는 금액버튼에 대한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된 저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은행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으로부터 달력표시버튼의 선택이 입력되면, 화면처리부(23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이전 만기일로부터 현재 만기일까지의 현재 적립기간을 포함하는 달력을 도시할 수 있다. 화면처리부(230)는, 달력 상에 입금요청의 수신/처리일자 및 처리 입금액을 표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임의채널로부터의 수시입금 또는 임의채널에게로의 수시출금을 요청할 수 있다. 다만 단말기(200)는, 수시입금 또는 수시출금을 위해 은행서버(100)에게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비밀번호 및 거래요청금액에 대한 금액정보과 함께,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보안매체 정보를 더 전송하여야 한다. 소액저축계좌로의 소액저금을 요청하는 경우와는 달리, 단말기(200)로부터 소액저축계좌로 수시입출금을 요청하기 위해, 은행서버(100)에게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와 보안매체의 보안코드들 중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된 보안코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3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 동안의 입금내역(300)을 도시한다.
도 3에 예시된 입금내역(3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이 1개월로 설정되고, 1일 단위로 소액저금 요청이 가능하도록 최소 입금주기가 1일로 설정된 경우에, 1회 적립기간 동안의 거래내역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이전 만기일로부터 현재 만기일까지의 1개월의 적립기간 동안 일일 단위로, 단말기(200)로부터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의 저금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최소 입금주기가 1일이므로,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저금요청을 1일 단위로 수신할 수 있지만, 반드시 매 1일마다 수신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예로 들어, 단말기(200)로부터의 입금요청들(321, 323, 325, 327, 329, 331, 333, 335, 337, 339, 341) 중에서, 1일자 및 2일자 입금요청들(321 및 323), 16일자 및 17일자 입금요청들(333 및 335), 27일자 및 28일자 입금요청들(339 및 341)과 같이 연일 입금요청이 발생할 수 있지만, 그외의 입금요청들(325, 327, 329, 331, 337)과 같이 간헐적으로 입금요청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현재 만기일이 경과하면, 다음날로부터 다시 새로운 적립기간이 진행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가 해지되기 전까지는 만기일이 주기적으로 도래하고, 매회차 적립기간마다 적립되는 금액이 다르므로, 은행서버(100)는, 매회차 적립기간의 만기일마다 일정하지 않은 금액을, 소액저축계좌로부터 모계좌로 자동이체할 수 있다.
도 4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반복되는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 추이(400)를 도시한다.
도 4에 예시된 적립 추이(4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이 1개월, 최소 입금주기가 1일, 만기일이 매월 30일로 설정된 경우에, 적립기간이 3회 반복되는 동안의 저금액의 변화 추이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는, 1회 소액저금시 입금 가능한 최대저금한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은행서버(100)는, 1회 적립기간 동안 적립가능한 최대적립한도(405)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저금한도는 3만원, 최대적립한도는 30만원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를 통한 고객 설정에 기초하여, 최대저금한도 및 최대적립한도(405)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의 소액저축계좌 개설 요청(s410)에 기초하여 소액저축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계좌개설일로부터 1회차 적립기간(s420)이 개시되며 1회차 적립기간(s420) 동안 1일 단위로 금액이 소액저축계좌에 적립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1회차 적립기간(s420)의 만기일(s430)이 도래하면 1회차 적립기간(s420) 동안 소액저축계좌에 적립된 저금액을 모두 인출하여 모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1회차 적립기간(s420)의 만기일(s430)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2회차 적립기간(s440)이 개시되며, 2회차 적립기간(s440) 동안 1일 단위로 금액이 소액저축계좌에 적립될 수 있다. 2회차 적립기간(s440)의 만기일(s450)이 도래하면 2회차 적립기간(s440) 동안 소액저축계좌에 적립된 저금액이 모두 자동으로 모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회차 적립기간(s440)의 만기일(s450)의 경과 후, 3회차 적립기간(s460)이 개시되어 3회차 적립기간(s460) 동안 저금액이 적립되고, 3회차 적립기간(s460)의 만기일(s470)에 3회차 적립기간 동안 소액저축계좌의 적립된 저금액이 모두 모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매회차 만기일(s430, s450, s470)마다 소액저축계좌의 잔금이 0이 될 수 있다(s430, s450, s470).
1회차 적립기간(s420)과 같이, 단말기(200)로부터 소액저금요청만이 발생하여, 소액저축계좌의 저금액이 상승만 하는 구간(425)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수시출금도 가능하므로, 고객 요청에 기초하여 소액저축계좌로부터 출금이 발생하는 경우 저금액이 감소하는 구간(442, 444, 462)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은행서버(100)는, 수 차례의 적립기간과 만기일이 경과한 후, 고객의 해지요청에 기초하여 소액저축계좌를 해지할 수 있다(s480).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화면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개시된다.
도 5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화면(500)의 메인화면(550)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화면(500)은,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오늘의 적립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투데이 버튼(502), 현재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내역을 도시하기 위한 한달스탬프 버튼(504),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각종 계좌정보를 도시하기 위한 계좌정보 버튼(506)을 포함할 수 있다.
투데이 버튼(502)이 선택되면, 단말기(200)는 메인화면(550)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550)은,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오늘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기 위해 돼지저금통 형상의 저금통(520)을 도시한다. 특히 소액저축계좌에 적립된 적립금액이 있으면, 저금통(520)이 차 있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저금통(520)의 상단부분(527)보다 하단부분(525)에 진한 색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저금통(520)의 상단부분(527)과 하단부분(525)이 구분되는 상하경계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로부터 소액저축계좌의 현재까지의 적립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수신하고, 적립금액에 기초하여 저금통(520)의 상하경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적립금액, 최대한도 대비 현재적립률 등을 포함하는 오늘의 적립상태가 저금통(520)의 색상 변화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메인화면(550)은, 저금통(520) 이외에도, 최소 입금금액을 입금하기 위한 저금버튼(510)과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금액을 표시하는 잔액표시란(530), 적립기간동안의 적립금액이 모계좌로 자동이체되는 만기일을 표시하는 만기일표시란(54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저금버튼(510)의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저금액을 결정하여, 저금액의 입금요청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저금통(520)을 직접 선택하여 저금액이 입력될 수 있는 경우에, 단말기(200)는 저금통(520)의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저금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적립금액 정보에 기초하여 잔액표시란(530)에 현재까지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금액, 즉 현재 잔액을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현재 입금요청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한 후 은행서버(100)로부터 처리결과를 수신하면, 현재 입금요청액이 새로이 적립되어 갱신된 적립금액을 잔액표시란(530)에 표시할 수 있다.
계좌정보 버튼(506)이 선택되면 단말기(200)에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각종정보, 예를 들어 소액저축계좌의 계좌번호, 모계좌의 계좌번호, 소액저축계좌의 최소입금주기, 적립기간, 만기일 등을 도시하는 계좌정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한달스탬프 버튼(504)이 선택되면, 단말기(200)는 현재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내역을 도시하는 달력화면(800)을 도시할 수 있다. 달력화면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금통(610, 620, 630)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금통(610, 620, 630)에는, 적립상태에 따라 저금통(610, 620, 630) 내부에 적재되는 동전이 도시된다. 저금통(610, 620, 630) 내부에 동전이 적재되지 않으면 저금통(610, 620, 630)의 표면이 투명하여 내부가 투시되지만, 저금통(610, 620, 630) 내부에 동전이 적재된 부분은, 저금통(610, 620, 630)의 표면이 불투명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저금버튼(510) 또는 저금통(610, 620, 630)을 선택하는 고객의 저금액 입금요청을 수신하면, 저금통(610, 620, 630)으로 동전이 떨어지는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잔액표시란(615, 625, 635)에 표시된 현재 잔액에 따라, 저금통(610, 620, 630) 내부에 적재된 동전의 양이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금통(610, 620, 630)은 각각 제1 적립일자 저금통(610), 제2 적립일자 저금통(620), 제3 적립일자 저금통(630)을 나타낸다. 제1 적립일자 잔액표시란(615)으로부터 제2 적립일자 잔액표시란(625), 제3 적립일자 잔액표시란(635)로 갈수록 잔액이 커지므로, 제1 적립일자 저금통(610), 제2 적립일자 저금통(620), 제2 적립일자 저금통(630)로 갈수록 동전의 적재량이 많아지고, 동전 적재층이 높아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도 7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금통(700, 730, 750, 770, 790)을 도시한다.
단말기(200)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돼지저금통 형상의 저금통(700, 730, 750, 770, 790)의 표면의 투명도 변화 및 색상 변화에 따라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금통(700, 730, 750, 770, 790)은 각각 개시일자 저금통(700), 제1 적립일자 저금통(730), 제2 적립일자 저금통(750), 제3 적립일자 저금통(770), 제4 적립일자 저금통(790)을 나타낸다.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의 개시일에는 현재 적립금액이 없으므로, 개시일자 저금통(700)의 표면은 투명하며 연한 색상으로 표시된다.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금액이 발생하면 제1 적립일자 저금통(730), 제2 적립일자 저금통(750), 제3 적립일자 저금통(770), 제4 적립일자 저금통(790)과 같이 표면 하단이 불투명하고 진한 색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2, 3, 4 적립일자가 경과함에 따라 적립금액이 증가하므로, 제1 적립일자 저금통(730), 제2 적립일자 저금통(750), 제3 적립일자 저금통(770), 제4 적립일자 저금통(790)의 표면 하단에 진한 색상의 불투명한 부분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도시된 저금통에서, 저금통 표면의 상단 색상 및 하단 색상이 구분되는 상하경계의 높이 또는 동전의 적재높이로,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가 도식화될 수 있음은, 도 5 내지 7에서 개시된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인 예로, 소액저축계좌의 최대한도금액에 대비한 현재적립금액의 비율을,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저금통에 표시될 수 있다. 소액저축계좌의 최대한도금액에 대비한 현재적립금액의 비율이, 저금통 높이에 대비한 상하경계 높이(또는 동전 적재높이)의 비율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200)는 소액저축계좌의 최대한도금액에 대비한 현재적립금액의 비율이 변동할 때마다, 그 비율에 비례하여 저금통 높이에 대비한 상하경계 높이의 비율이 변동될 수 있도록, 상하경계 높이(또는 동전 적재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상태를 최대한도금액에 대비하여 다수 단계로 구분하고 저금통 높이도 다수 계층으로 분할하여, 단계별 적립금액에 따라 저금통의 상하경계의 높낮이(또는 동전 적재높이)도 계층별로 조절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회 적립기간 동안의 최대한도금액이 30만원인 경우, 현재 적립상태를 6단계로, 즉, 적립금액이 5만원 이하인 제1 단계, 적립금액이 5만원 초과 10만원 이하인 제2 단계, 적립금액이 10만원 초과 15만원 이하인 제3 단계, 적립금액이 15만원 초과 20만원 이하인 제4 단계, 적립금액이 20만원 초과 25만원 이하인 제5 단계, 적립금액이 25만원 초과 30만원 이하인 제6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의 저금통을 6등분하여, 상하경계 높이(또는 동전 적재높이)를 6 계층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은행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적립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적립금액이 16만원인 경우에, 단말기(200)는 현재 적립상태가 제4 단계이므로 저금통의 상하경계 높이(또는 동전 적재높이)도 제4계층의 높이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화면(500)에 도시되는 달력화면(800)을 예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화면(500) 중 한달스탬프 버튼(504)이 선택되면, 단말기(200)는 현재 적립기간 동안의 적립내역을 도시하는 달력화면(800)을 도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달력화면(800)은 현재 적립기간인 "2011.10.25~2011.11.25"을 표시하고, 현재 적립기간의 달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달력화면(800)의 달력 상에, 적립기간 동안 소액저금이 요청되어 입금처리된 일자, 즉 10월 25일, 29일 30일, 31일, 11월 3일, 4일 5일, 12일에 저금이 처리되었음을 나타내는 저금스탬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달력 상에 만기일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 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화면(900)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에 접속한 단말기(200)는 인터페이스화면(900)을 도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화면(900)은, 소액저축계좌의 계좌번호를 표시하는 계좌번호표시란(910), 만기일을 표시하는 만기일표시란(920), 현재 적립기간 동안 입금요청이 처리된 횟수를 나타내는 입금건수표시란(9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화면(900)은, 현재 적립기간 동안의 입금내역을 일일 단위로 표시하는 달력(940)을 포함할 수 있다. 입금표시된 입금일자에 커서를 올려놓거나 입금일자칸을 선택하면, 해당 입금액(945)이 도시된다.
또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화면(900)은,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상태를 도식화하는 저금통(950)과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금액을 표시하는 적립금액표시란(960)을 포함할 수 있다. 색상변경 버튼(955)의 입력에 기초하여, 저금통(950)의 색상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웹사이트의 인터페이스화면(900)은, 소액저축계좌에 입금할 저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저금액입력란(970)를 포함할 수 있다. 저금액입력란(970)은 여러 종류의 단위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금액버튼들(972, 973, 974)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저금액입력란(970) 중 금액버튼들(972, 973, 974) 중에서 선택된 버튼 및 버튼이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현재 입력된 금액을 결정하고, 현재 입력된 금액을 입력금액란(971)에 표시할 수 있다.
저금액입력란(970)은, 현재 입력된 금액을 입금요청하기 전에 삭제하기 위한 삭제버튼(975)과, 현재 입력된 금액의 입금요청을 위한 입금요청버튼(976)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입금요청버튼(976)이 선택되면, 은행서버(100)에게 현재 입력된 금액의 소액저금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수신된 소액저금 요청에 따라 모계좌로부터 저금액을 인출하여 소액저축계좌로 입금하고, 처리결과를 단말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처리결과에 기초하여, 입금건수표시란(930)의 입금건수를 상향조정하고, 달력(940)에 오늘 일자에 입금표시를 추가하고, 저금통(950)의 색상을 변경하고, 적립금액표시란(960)에 증가한 현재 적립금액을 표시하도록, 인터페이스화면(900)을 갱신할 수 있다.
도 10 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은행서버(100)의 입출금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010에서, 은행서버(100)는, 고객의 단말기(200)로부터, 일일 단위인 입금주기에,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한다. 은행서버(1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축을 위해 은행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 및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단말기(200)의 소액저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인터넷 뱅킹을 위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고객의 단말기(200)로부터, 인터넷 뱅킹을 통해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금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은행서버(100)는, 소액저금 요청을 위해 단말기(200)로부터, 모계좌 및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자금이체를 위한 거래비밀번호와 입금요청된 저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020에서, 은행서버(100)는,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입금요청을 수신하면,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한다.
단계 1030에서, 은행서버(100)는,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을 소액저축계좌로부터 자동 출금하여 모계좌로 이체 입금한다.
은행서버(100)는, 단말기(200)로부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정 일수 단위의 최소 입금주기,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 및 만기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고,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소액저축계좌의 최소 입금주기, 적립기간 및 만기일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 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은행 입출금서비스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110에서, 고객의 단말기(200)는 일일 단위로 단말기(200)로 입력된 고객의 소액저금 요청에 기초하여,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한다.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에게, 인터넷 뱅킹 접속을 위해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를 전송하고, 공인인증서 비밀번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은행서버(100)에게 계좌거래를 위한 비밀번호와 입금요청된 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전송하며 소액저금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120에서,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로부터, 소정 월수 단위로 지정된 적립기간 동안 은행서버(100)의 처리결과를 수신한다. 고객의 단말기(200)는, 적립기간 동안 단말기(200)로부터 발생한 고객의 입금요청에 기초하여 은행서버(100)가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소액저축계좌로 입금요청된 금액을 이체처리한 결과를 은행서버(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1130에서, 단말기(200)는 은행서버(100)의 처리결과에 따라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에 도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저축계좌의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소액저축계좌에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이 은행서버(100)에 의해 자동 출금되어 모계좌로 이체 입금되고, 만기일이 경과하면 적립기간이 반복하여 재개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200)는,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축을 위해 입금요청을 전송하거나 처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은행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 또는 단말기(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뱅킹에 접속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소액저축계좌를 위한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기 위한 저금통을 도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저금통의 전체 색상, 저금통의 일부 색상 및 저금통 내부에 투시되는 동전의 적재량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도록 표시하여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상태를 도식화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소액저축계좌로 금액을 입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금액입력버튼을 도시할 수 있다. 단말기(200)는, 금액입력버튼 및 저금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횟수 및 선택된 금액입력버튼의 종류에 기초하여 입금요청된 저금액을 결정하여, 저금액과 함께 입금요청을 은행서버(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블록도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개념적으로 표현한 형태라고 당업자에게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임의의 흐름 차트, 흐름도, 상태 전이도, 의사코드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서 실질적으로 표현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든지 아니든지 간에 이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용어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의 명시적 이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비휘발성 저장장치를 묵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와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A와 B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서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첫 번째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양쪽 옵션들 (A와 B)의 선택을 포괄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적인 예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는, 첫 번째 열거된 옵션 (A)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 열거된 옵션 (B)의 선택만, 또는 세 번째 열거된 옵션 (C)의 선택만, 또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열거된 옵션들 (A와 B)의 선택만, 또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열거된 옵션 (B와 C)의 선택만, 또는 모든 3개의 옵션들의 선택(A와 B와 C)이 포괄할 수 있다. 더 많은 항목들이 열거되는 경우에도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은행서버가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일일 단위로 입금요청이 최소 1회 발생할 수 있는 최소 입금주기 및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 주기마다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적립기간 동안, 상기 입금요청의 수신시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하는 단계;
    상기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 전부를 자동 출금하여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하는 단계; 및
    상기 적립기간을 재개하여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 주기마다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금요청을 반복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축을 위해 상기 은행서버가 제공하는, 웹사이트 및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입금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웹사이트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 요청에 따른 상기 은행서버의 처리결과에 상응하도록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기 위한, 저금통을 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금요청 수신 단계는,
    상기 웹사이트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도시된 각각 다른 종류의 단위금액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단위금액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결정된 저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금액에 따라 상기 저금통의 일부 색상이 변화하도록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가 도식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의 입출금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고객의 단말기가 은행 입출금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일 단위로 입금요청이 최소 1회 발생할 수 있는 최소 입금주기 및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은행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 주기마다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로 입력된 상기 고객의 입금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입금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상기 입금요청의 발생시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이 출금되어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입금되어 적립된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서버의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이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자동 출금되어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되고, 상기 만기일이 경과하면 상기 적립기간이 반복하여 재개되어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 주기마다 상기 입금요청을 상기 은행서버에게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통한 은행 입출금서비스 처리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은행 입출금서비스 처리 방법은,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소액저축을 위해 상기 입금요청을 전송하거나 상기 처리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웹사이트 또는 상기 고객의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 뱅킹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립상태 도시 단계는,
    상기 웹사이트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 요청에 따른 상기 은행서버의 처리결과에 상응하도록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를 도식화하기 위한, 저금통을 도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은행 입출금서비스 처리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립상태 도시 단계는, 상기 웹사이트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각각 다른 종류의 단위금액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단위금액버튼들 중 적어도 하나를 도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금요청 전송 단계는,
    최소금액버튼, 상기 단위금액버튼들 및 상기 저금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1회 이상의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최소금액버튼, 상기 단위금액버튼들 및 상기 저금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횟수에 기초하여 저금액을 결정하여 상기 저금액에 대한 금액정보를 상기 은행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웹사이트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상기 저금에 따라 상기 저금통의 일부 색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현재 적립상태를 도식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은행 입출금서비스 처리 방법.
  14. 삭제
  15.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서버에 있어서,
    고객의 모계좌 정보, 소액저축계좌 정보 및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고객 데이터베이스;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일일 단위로 입금요청이 최소 1회 발생할 수 있는 최소 입금주기 및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하고,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 주기마다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한 입금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저축계좌에 대한 거래처리결과를 상기 고객의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소액저축송수신부;
    상기 적립기간 동안, 상기 입금요청의 수신시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을 출금하여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에 적립하는 소액저축처리부; 및
    상기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 전부를 자동 출금하여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하고 상기 만기일이 경과하면 상기 적립기간을 반복하여 재개하는 만기일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액저축송수신부는, 상기 적립기간이 재개하면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주기마다 상기 고객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입금요청을 반복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서버.
  16. 은행의 입출금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일일 단위로 입금요청이 최소 1회 발생할 수 있는 최소 입금주기 및 소정 월수 단위의 적립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요청을 은행서버에게 전송하고,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 주기마다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소정 금액 이하의 금액을 저축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로 입력된 상기 고객의 입금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은행서버에게 상기 입금요청을 전송하는 입금요청전송부;
    상기 은행서버로부터, 상기 입금요청의 발생시 상기 은행서버에 의해 상기 고객의 모계좌로부터 상기 입금요청된 금액이 출금되어 상기 고객의 소액저축계좌로 입금되어 적립된 처리결과를 수신하는 처리결과수신부; 및
    상기 소액저축계좌에 대한 거래요청 및 상기 은행서버의 처리결과에 따라 상기 소액저축계좌의 적립상태의 도식화를 위한 소액저축계좌 거래화면을 도시하기 위한 화면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립기간의 만기일이 도래하면, 상기 소액저축계좌로부터 상기 적립기간 동안 적립된 저축액이 자동 출금하여 상기 모계좌로 이체 입금되고, 상기 만기일이 경과하면 상기 적립기간이 반복하여 재개되어 상기 입금요청전송부는 적어도 상기 최소 입금주기마다 상기 입금요청을 상기 은행서버에게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20013333A 2012-02-09 2012-02-09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40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333A KR101409861B1 (ko) 2012-02-09 2012-02-09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333A KR101409861B1 (ko) 2012-02-09 2012-02-09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55A KR20130091955A (ko) 2013-08-20
KR101409861B1 true KR101409861B1 (ko) 2014-07-02

Family

ID=49216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333A KR101409861B1 (ko) 2012-02-09 2012-02-09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52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상품 운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1264B1 (ko) * 2019-11-28 2022-06-21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저금통 서비스 제공 방법
TR202018866A2 (tr) * 2020-11-24 2021-02-22 Tuerkiye Garanti Bankasi Anonim Sirketi Bir birikim hesabı yönetim sistemi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434A (ko) * 2000-06-19 2001-12-28 이수근 금융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90017714A (ko) * 2007-08-16 2009-02-19 서용하 잔돈 또는 소액의 적립식 통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적립방법
KR101040751B1 (ko) * 2010-10-22 2011-06-10 주식회사 국민은행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1187049B1 (ko) * 2009-11-20 2012-09-28 중소기업은행 은행 서버에서 적립금 예금 계좌의 운용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434A (ko) * 2000-06-19 2001-12-28 이수근 금융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90017714A (ko) * 2007-08-16 2009-02-19 서용하 잔돈 또는 소액의 적립식 통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적립방법
KR101187049B1 (ko) * 2009-11-20 2012-09-28 중소기업은행 은행 서버에서 적립금 예금 계좌의 운용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040751B1 (ko) * 2010-10-22 2011-06-10 주식회사 국민은행 스마트폰,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452A (ko) * 2014-07-24 2016-02-03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상품 운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101665761B1 (ko) * 2014-07-24 2016-10-12 주식회사 우리은행 금융 상품 운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955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517B1 (ja) 端数資金振替蓄積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100321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unds from a sender associated with a first country having a first currency to a recipient associated with a second country having a second currency
CN101826186A (zh) 综合支付集中器系统中管理支付处理的系统、方法和程序
US20120084205A1 (en) Disconnected person-to-person pay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independent payor and payee direction for value source and destination
CN101872465A (zh) 用于改进的链接金融机构账户管理的账户管理规则
CN101872464A (zh) 金融机构实现的账户管理系统
AU2021341692A1 (en) Application integration for contactless payments
KR20110048934A (ko) 개인자산관리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03323547A (ja) 口座情報提供方法及び口座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9074983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09861B1 (ko) 은행서버가 소액저축상품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은행서버, 단말기가 은행 소액저축상품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070454B1 (ko) 잔액 기반의 정기예금 운영방법
US201702065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pting to support user modification
JP6219311B2 (ja) ポイント付与システム、ポイント付与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262346B2 (ja) アカウントアグリ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ポイント付与方法
JP2005216097A (ja) 取引口座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提供方法
JP2017211996A (ja) 端数資金振替蓄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KR20120121616A (ko) 모바일 통신기기를 이용한 잔돈 적립 시스템 및 방법
JP7340049B2 (ja) 注文システム、注文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65761B1 (ko) 금융 상품 운영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JP724593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7153818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178945B1 (ja) 端数資金振替蓄積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692555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270823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