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53B1 -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53B1
KR101409853B1 KR1020120154219A KR20120154219A KR101409853B1 KR 101409853 B1 KR101409853 B1 KR 101409853B1 KR 1020120154219 A KR1020120154219 A KR 1020120154219A KR 20120154219 A KR20120154219 A KR 20120154219A KR 101409853 B1 KR101409853 B1 KR 10140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high heat
mixture
magne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성
박성대
유명재
임호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5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러에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부가하여 열전도성, 성형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시트는, 두께가 얇은 판재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방열 절연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방열 절연 조성물은, 폴리머수지와; 상기 폴리머수지에 혼합되는 열전도성 분말의 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러는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INSULATION SHEET HAVING HIGH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러에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부가하여 열전도성, 성형성 및 접착성이 우수한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휴대용 개인단말기, 통신기, LED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닛 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 부품 또는 제품은 그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지 못해 기기의 성능저하 및 반도체의 안정성에 심각한 우려를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열은 전자 부품 또는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기기의 고장, 오작동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에는 폭발 및 화재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따라서, 부품 또는 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자체 냉각시키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히트싱크(Heat sink), 써멀비아(thermal via) 등의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고, 회로와 방열을 구성하기 위해서 절연성을 지닌 메탈피씨비(Metal PCB)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고방열 절연소재는 세라믹 소재와 에폭시를 결합하여 고방열 특성을 부여한다.
에폭시는 열전도도가 0.1~0.2W/mK로 그 값이 매우 낮아 열전도도를 높이기 위해서 고방열의 알루미나와 AlN 등의 세라믹 소재를 전체 부피의 60% 이상 충전한 복합체 소재 기술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세라믹 충전제가 많아지게 되면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생선된 구리전극과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신뢰성이 저감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0964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3086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적은 양의 필러를 충전하여도 높은 열전도도와 우수한 성형성 및 부착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시트는, 두께가 얇은 판재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방열 절연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방열 절연 조성물은, 폴리머수지와; 상기 폴리머수지에 혼합되는 열전도성 분말의 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필러는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러는 판상 혹은 침상 형태의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필러는 세라믹소재에 자성체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세라믹소재는 BN(Boron Nitride)분말 또는 산화알루미늄(Al203)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성체물질은 사산화삼철(Fe3O4)임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은,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배향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분말의 필러와, 용매와, 폴리머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필름형상으로 전개하는 전개단계와; 필름형상으로 전개된 상기 혼합물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필러에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부가하는 배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향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켜 상기 용매를 제거한다.
상기 전개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구리판 또는 PET의 표면에 도포한다.
상기 필러는, BN(Boron Nitride)분말 또는 산화알루미늄(Al203)의 세라믹소재 표면에 자성체물질이 코팅되어 제조된다.
이때, 2가 염화철(FeCl2)과 3가 염화철(FeCl3)을 중량비 1:2로 혼합하고, 환원제를 넣어 환원시켜, 상기 세라믹소재의 표면에 사산화삼철(Fe3O4)의 자성체물질을 생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필러가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가지고 있어 적은 양의 필러를 충전하여도 높은 열전도도와 우수한 성형성 및 부착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절연 조성물의 단면도와 본 발명의 절연 조성물의 단면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절연 시트의 배향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종래의 절연 필름의 단면사진과 본 발명의 절연필름의 단면사진.
도 1은 종래의 절연 조성물의 단면도와 본 발명의 절연 조성물의 단면도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방열 절연 시트의 배향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4는 종래의 절연 필름의 단면사진과 본 발명의 절연필름의 단면사진이다.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조성물(10)은, 폴리머수지(12)와, 필러(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폴리머수지(12)는 에폭시 레진, 아크릴 수지, 시클로올레핀(Cyclo-oiefin)수지, PPS, PVC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러(11)는 상기 폴리머수지(12)에 혼합되는 열전도성 분말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필러(11)는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제작 완료된 절연시트에서 상기 필러(11)가 Z축방향 즉 절연시트의 수직방향으로 배향성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필러(11)는 판상 혹은 침상 형태의 자성체로 이루어지거나, 세라믹소재에 자성체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세라믹소재는 BN(Boron Nitride)분말 또는 산화알루미늄(Al203)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성체물질은 사산화삼철(Fe3O4)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시트는, 두께가 얇은 판재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 상술한 상기 고방열 절연 조성물(10)이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판재는 구리판, PET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a)는 종래의 절연 조성물의 단면도로써, 필러(1)가 배향성이 없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절연 조성물을 테입 캐스팅, 사출, 압출 등으로 고방열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절연 조성물은 구형의 세라믹 필러(1)가 다량 충전되어 있는바 세라믹 충전량이 증가하게 되어 열전도도가 증가하나, 폴리머수지(2)가 가진 성형성 및 접착성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도 1(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절연 조성물(10)은 필러(11)가 Z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이방성을 부여하는바, 적은양의 필러(11)가 충진되어도 높은 열전도도를 가지게 되어 고열전도성 절연 시트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BN분말은 XY축으로 3W/mK, Z축으로 110~150W/mK의 열전도도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Z방향으로 배향을 하게 되면 매우 높은 열전도도 값을 지닌 특성을 유도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BN분말을 폴리머수지(12)에서 배향하고자 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BN분말은 성형중에 누워서 XY축 방향으로 배향할 뿐 Z축으로 배향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BN분말에 이방성을 주기 위해서는 양쪽에 설치한 전극 사이에 수천 KV의 고전압을 걸거나, 3-10T(Tesla)의 높은 자기장을 주어 필러를 배향하여야 가능하나, 위와 같은 방법 고전압 또는 고자기장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약 100㎛의 박판의 필름을 양산화시키기에는 적합한 방법이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필러(11)가 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백 mT의 약한 자기장에서도 상기 필러(11)가 배향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바, 배향성을 갖는 절연 시트의 양산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단계(S1)와, 전개단계(S2)와, 배향단계(S3)로 이루어진다.
상기 혼합단계(S1)는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배향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분말의 필러(11)와, 용매와, 폴리머수지(12)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필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판상 혹은 침상 형태의 자성체로 이루어지거나, BN(Boron Nitride)분말 또는 산화알루미늄(Al203)로 이루어진 세라믹소재에, 사산화삼철(Fe3O4)로 이루어진 자성체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가 염화철(FeCl2)과 3가 염화철(FeCl3)을 중량비 1:2로 혼합하고, 환원제를 넣어 환원시켜, 상기 세라믹소재의 표면에 사산화삼철(Fe3O4)의 자성체물질을 생성시킨다.
위와 같이 제작된 상기 필러(11)를 폴리머수지(12) 및 용매와 함께 혼합하여 상기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용매는 필요에 따라 선정되며 주로 건조가 잘 되는 톨루엔, 에탄올, 메틸 에틸 케톤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은 볼밀링, 플래니터리믹서(Planetary mixer) 등에 의한 혼합 공정을 통해서 필러(11)가 잘 분산되도록 하며, 분산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분산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전개단계(S2)는 상기 혼합단계(S1)에서 의해 생성된 상기 혼합물을 얇은 필름형상으로 전개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일정한 캐리어필름이나 치구를 통해 약 100㎛ 정도의 두께를 갖는 필름형태로 전개된다.
일예로, 상기 혼합물은 구리판 또는 PET의 표면에 전개되어 도포되며, 구리판에 코팅되어 CCL(Copper Clad Laminate)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배향단계(S3)는 상기 전개단계(S2)에 의해 전개된 상기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필러(11)에 배향성을 부가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개단계(S2)에 의해 필름형상으로 전개된 상기 혼합물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필러(11)에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부가한다.
이때, 상기 배향단계(S3)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켜 상기 용매를 제거한다.
위와 같은 상기 배향단계(S3)를 완료하게 되면 고방열 절연 시트가 제작된다.
한편, 메탈피씨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건조된 CCL의 구리판과 알루미늄기판을 적층 장비에 올려놓고 가열하여 접착시킴으로써 메탈피씨비를 제조한다.
도 4(a)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없이 성형된 종래의 절연 시트의 단면사진이고, 도 4(b)는 140mT자기장을 이용하여 성형된 본 발명의 절연 시트의 단면사진이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b)에는 도 4(a)에 비해, Z축방향으로 적은양의 필러(11)가 배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본 발명은 종래의 절연시트와 비교하여, 필러(11)가 20vol%로 그 양이 매우 적지만, 열용량(Cp) 1.1J/gK, 열확산도(Thermal diffusivity) 3.47(mm2/s), 밀도 1.15로서 열전달계수(thermal conductivity)는 4.3W/mK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값들은 종래의 소재에 비해서 매우 낮은 필러(11)의 충진양에서도 높은 열전도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Cp는 DSC를 활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열확산계수는 LFA 장비를 활용하였고,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필러(11)의 충진량이 적기 때문에 상기 폴리머수지(12)의 양이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많아 성형성 및 접착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인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고방열 절연 조성물,
11 : 필러, 12 : 폴리머수지,
S1 : 혼합단계, S2 : 전개단계, S3 : 배향단계,

Claims (11)

  1. 두께가 얇은 판재와;
    상기 판재의 상면에 적층되는 고방열 절연 조성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방열 절연 조성물은,
    폴리머수지와;
    상기 폴리머수지에 혼합되는 열전도성 분말의 필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필러는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판상 혹은 침상 형태의 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세라믹소재에 자성체물질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소재는 BN(Boron Nitride)분말 또는 산화알루미늄(Al2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
  5. 청구항3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물질은 사산화삼철(Fe3O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
  6. 삭제
  7. 자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져 배향성을 가지는 열전도성 분말의 필러와, 용매와, 폴리머수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혼합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필름형상으로 전개하는 전개단계와;
    필름형상으로 전개된 상기 혼합물에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인가하여 상기 필러에 Z축방향으로 배향성을 부가하는 배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
  8.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배향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건조시켜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
  9. 청구항7 또는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전개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구리판 또는 PET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
  10.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BN(Boron Nitride)분말 또는 산화알루미늄(Al203)의 세라믹소재 표면에 자성체물질이 코팅되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
  11. 청구항10에 있어서,
    2가 염화철(FeCl2)과 3가 염화철(FeCl3)을 중량비 1:2로 혼합하고, 환원제를 넣어 환원시켜, 상기 세라믹소재의 표면에 사산화삼철(Fe3O4)의 자성체물질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방열 절연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20154219A 2012-12-27 2012-12-27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19A KR101409853B1 (ko) 2012-12-27 2012-12-27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219A KR101409853B1 (ko) 2012-12-27 2012-12-27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853B1 true KR101409853B1 (ko) 2014-06-19

Family

ID=51133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219A KR101409853B1 (ko) 2012-12-27 2012-12-27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44A (ja) 2000-05-01 2001-11-13 Jsr Corp 熱伝導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熱伝導性シートを用いた放熱構造
KR20100012583A (ko) * 2008-07-29 2010-02-08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폴리머 나노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절연체
JP2011228670A (ja)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20120021102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44A (ja) 2000-05-01 2001-11-13 Jsr Corp 熱伝導性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熱伝導性シートを用いた放熱構造
KR20100012583A (ko) * 2008-07-29 2010-02-08 전남도립대학산학협력단 폴리머 나노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절연체
JP2011228670A (ja) 2010-03-31 2011-11-10 Sumitomo Chemical Co Ltd 液晶ポリマー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20120021102A (ko) * 2010-08-31 2012-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방열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229B1 (ko) 전자파 차폐 및 방열 기능 일체형 다층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1184899A2 (en) Heat conductive adhesive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component
US7608315B2 (en) Insulator with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023474B2 (ja) 熱伝導性絶縁シート、金属ベース基板及び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TW201800365A (zh) 陶瓷樹脂複合體
KR101523144B1 (ko) 방열특성이 개선된 에폭시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열 구조물
JP2009010296A (ja) 熱伝導性接着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81995A (ja) 熱伝導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半導体装置
JP2012253167A (ja) 熱伝導性絶縁シート、金属ベース基板及び回路基板
KR102011078B1 (ko) 열전도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72709A (zh) 高散热吸波复合膜及其制造方法
JP2007153969A (ja) 高熱伝導性樹脂組成物および配線用基板
JP2000191987A (ja) 熱伝導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半導体装置
KR20150140125A (ko) 알루미늄 분말과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방열구조물.
KR101703558B1 (ko) 알루미나와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방열구조물
KR101409853B1 (ko) 고방열 절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20814A (ja) 放熱構造体
CN108864979A (zh) 一种芯片封装用导电胶水及其制备方法
KR20160089891A (ko) 알루미늄 분말과 흑연을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수지 조성물의 제조 및 이를 사용한 방열구조물.
Yung et al. Prerequisite for maximizing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 laminate using filler
KR101967856B1 (ko) 고열전도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N108074821B (zh) 电磁波屏蔽及散热复合片用石墨片、包括其的电磁波屏蔽及散热复合片及其制备方法
JP2001081418A (ja) 熱伝導性接着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部品
KR101550445B1 (ko) 팽창흑연을 이용한 엘이디 방열판의 제조방법
JP2007084704A (ja) 樹脂組成物とこれを用いた回路基板および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