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256B1 -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256B1
KR101409256B1 KR1020120113715A KR20120113715A KR101409256B1 KR 101409256 B1 KR101409256 B1 KR 101409256B1 KR 1020120113715 A KR1020120113715 A KR 1020120113715A KR 20120113715 A KR20120113715 A KR 20120113715A KR 101409256 B1 KR101409256 B1 KR 101409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oy
user
sensor
touch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7423A (ko
Inventor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주)제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우스 filed Critical (주)제우스
Priority to KR102012011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256B1/ko
Publication of KR2014004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268Musical toy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 A63H17/32Acoustical or optical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가 사용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완구의 본체에 수납틀을 내장하고, 그 수납틀에 캐릭터 장식구가 장착되어진 작동체를 삽입하면서 작동체가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고정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버튼식으로 캐릭터가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하측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캐릭터 디자인을 자동차 완구로 형상화한 것의 외관의 변형이 없이 흥미유발 요소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흥미유발 요소의 작동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음향이나 조명 등 다양한 작동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흥미유발 요소를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완구의 외관 형태가 변형됨이 없이 캐릭터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가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a car toy which accommodates character ornament}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가 사용하는 자동차 완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본체의 외관형상이 캐릭터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자동차 본체로부터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완구는 바퀴가 달려있어 유아나 어린이가 주행을 시키면서 놀이를 하는 것으로, 대부분 경우 자동차 완구는 단순 주행기능만 있어 유아나 어린이가 놀이를 할 때 흥미를 쉽게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완구에 대한 친밀감을 높이도록 하기 위하여 대부분 경우 캐릭터를 자동차로 형상화한 것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것은 단순히 주행기능만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인 유아나 어린이가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자동차 완구에 음향수단을 장착하여 자동차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버튼의 누름에 의하여 음향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으나, 소리로 인한 청각적인 자극만으로는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지속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자동차 완구는 애니메이션에서 등장하는 캐릭터가 주로 적용되어 제작되는데, 캐릭터 자체가 자동차인 경우에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자동차 본체에 음향수단이나 기타 부가 기능을 추가하면, 스위치 조작을 위한 버튼이나 작동 레버 등에 의하여 캐릭터의 외관 형상이 일부 변형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캐릭터의 외관 형상 자체가 심미감이 달라져서 유아나 어린이의 시각에서는 캐릭터가 동일하지 않다는 느낌을 주게 되므로 캐릭터에 대한 친밀감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에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하여 작동하게 되는 흥미유발 요소를 부가하고, 이러한 흥미유발 요소의 작동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다양한 작동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함은 물론, 자동차 완구에 흥미유발 요소를 부가함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완구의 외관 형태가 변형됨이 없이 캐릭터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유아나 어린이가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의 본체에 수납틀을 내장하고, 그 수납틀에 캐릭터 장식구가 장착되어진 작동체를 삽입하면서 작동체가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고정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버튼식으로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도록 하여 캐릭터 디자인을 자동차 완구로 형상화한 것의 외관의 변형이 없이 흥미유발 요소를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체를 탄성요소에 의하여 탄성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에 의하여 경로가 유도되도록 하여 슬라이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자동차 완구의 외관형태를 변형하지 않으면서도 협소한 공간에 흥미유발 요소를 여러 개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틀과 작동체에 근접센서로 작동하는 음향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작동체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러한 작동체의 구조를 투명으로 형성하면서 수납틀의 내측으로 조명수단을 장착하여 작동체의 작동여부에 따라서 조명수단에서 빛이 발산되면서 시각적인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의 간단한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 장식구가 돌출되면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음향발생 및 조명수단에 의한 조명효과가 발생됨으로 자동차 완구 하나로 촉각, 청각, 시각적인 다양한 효과가 발생되므로 쉽게 질리지 않고 장기간 흥미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작동구조가 자동차 완구의 외관 형상의 변형이 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캐릭터에 대한 묘사를 더욱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의 완구에 대한 친밀감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의 작동 상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틀과 작동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의 작동체가 수납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의 작동체가 인출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체가 탄성수단에 의하여 승하강 작동하는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작동체의 승하강 작동에 따른 걸림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은 도 8의 작동체의 걸림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차 완구에 음향발생부와 조명수단이 내장된 상태의 측면 구조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 완구 본체(100)에 수납틀(10)을 내장하고, 그 수납틀(10)에 캐릭터 장식구(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체(20)가 삽입되도록 하면서 작동체(20)가 수납틀(10)에서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한 것으로, 작동체(20)는 탄성수단(40)으로 탄성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간단하게 인출되거나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자동차 완구의 외관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고 수납되어진 캐릭터 장식구(30)가 노출되거나 숨겨지면서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작동체(2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자동차의 외관형태에서 돌출되는 부분이 없이 제작할 수 있는 것이고, 작동체(20) 자체가 작동체의 승,하강 작동을 위한 버튼으로 사용됨으로써 캐릭터를 형상화한 자동차 완구의 외관형태를 변형하지 않고도 흥미유발 요소를 구현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작동체(20)의 작동 구조가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하는 구조이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여러 개를 수납할 수 있고, 작동체(20)의 작동경로 상에서 다른 작동체와 간섭되지 않으므로 절첩식 작동하는 구조보다 상대적으로 복수로 구현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캐릭터 장식구를 내장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체(2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이드브라켓(21)이 조립되도록 하고 그 가이드브라켓(21)이 수납틀(10)의 축샤프트(11)에 고정되도록 하면 가이드브라켓(21)이 축샤프트(11)를 타고 상,하로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그 축샤프트(11)에 탄성수단(40)을 장착하면 가이드브라켓(21)이 승,하강 작동할 때 탄성수단(40)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작동체(20)가 수직으로 승,하강되도록 슬라이드 작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동체(20)와 가이드브라켓(21)의 조립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작동체(20)에 조립돌기(22)를 형성하여 가이드브라켓(21)과 조립되도록 하고, 그 가이드브라켓(21)과 조립돌기(22)의 조립이 수납틀(10)에 상,하 수직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슬롯홀(12)을 관통하여 조립되도록 하면 작동체(20)의 수직 승,하강을 유도함은 물론, 작동체(20)가 승,하강 작동되는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체(20)의 상단에는 누름판(25)을 형성하여 자동차 완구 본체(100)의 케이싱과 일체감을 이루도록 하면서도 작동체(20)의 누름 작동이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고, 이러한 작동체(20)에 내입되게 장착면(26)을 형성함으로써 캐릭터 장식구(30)가 돌출되지 않게 작동체(20)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캐릭터 장식구(30)가 조립되는 작동체(20)의 타측면에 가이드레일(23)을 형성하고, 수납틀(10)에는 그 가이드레일(23)에 끼워지는 후크핀(13)을 형성하여 후크핀(13)이 가이드레일(23)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면 작동체(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고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작동체(20)의 하단부가 탄성수단(40)에 의하여 항상 탄성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가이드레일(23)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요입홈(23a)에 후크핀(13)이 위치하게 되면 작동체(2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지 않게 임시 고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그 요입홈(23a)의 상측에 유도경사면(23b)을 형성하면 요입홈(23a)에 걸려 고정되어진 후크핀(13)이 요입홈(23a)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작동체(2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동체(2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는 탄성수단(40)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작동체(2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레일(23)과 후크핀(13)이 걸림 고정되면서 작동체(20)가 삽입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동차 완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음향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음향발생부(60)를 내장하고, 수납틀(10) 또는 작동체(20)에 센서(50)를 장착하여 작동체(20)의 작동여부를 센서(50)가 감지하도록 하면서 센서(50)의 신호를 받아 음향발생부(60)가 동작하도록 하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될 때 작동체(20)의 작동상태에 따라서 녹음되어 있는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캐릭터 돌출에 따른 각각의 캐릭터 소개음향 또는 애니메이션 주제가나 동요, 학습을 위한 다양한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작동체(20)가 들어올려져 캐릭터 장식구(30)가 노출되어질 때 해당 캐릭터의 소개 음성이나 주제가 등, 다양한 음향효과를 발생시킴으로써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더욱 유발할 수 있는 것이고,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서(50)의 작동구조는 수납틀(10) 또는 작동체(20)에 리미트 스위치를 장착하여 작동체(20)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거나, 또는 수납틀(10)과 작동체(20)에 각각 근접센서의 송,수신부를 장착함으로써 작동체(2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하여 센서(50)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틀(10)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조명수단(70)이 장착하면 작동체(20)가 상측으로 인출될 때 조명수단(60)에 의한 발광효과를 더욱 부가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작동체(20)는 일부 또는 전체를 투명재로 형성하면 빛 투과가 가능케 되어 작동체(20)의 작동 여부에 의하여 센서(50)가 작동하면서 조명수단(70)에 의한 조명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어 유아나 어린이에게 시각적인 놀이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수납틀 11: 축샤프트
12: 슬롯홀 13: 후크핀
20: 작동체 21: 가이드브라켓
22: 조립돌기 23: 가이드레일
23a: 요입홈 23b: 유도경사면
25: 누름판 26: 장착면
30: 캐릭터 장식구
40: 탄성수단
50: 센서
60: 음향발생부
70: 조명수단
100: 자동차 완구 본체

Claims (7)

  1. 삭제
  2. 자동차 완구 본체(100)에 수납틀(10)이 내장되고, 수납틀(10)에 캐릭터 장식구(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작동체(2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되고, 그 작동체(20)는 탄성수단(40)으로 탄성 고정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돌출되거나 삽입되면서 유아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되기 위하여
    상기 작동체(20)는 가이드브라켓(21)이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21)이 수납틀(10)의 축샤프트(11)에 고정되어 슬라이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되고, 축샤프트(11)에 탄성수단(40)이 장착되어 가이드브라켓(21)이 탄성 고정되어 슬라이드 작동을 유도하게 되며,
    상기 작동체(20)는 조립돌기(22)가 형성되어 수납틀(10)에 형성된 슬롯홀(12)을 관통하여 가이드브라켓(21)과 조립되어 수직 승하강이 유도되면서 작동체(20)의 작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20)는 가이드레일(23)이 형성되고, 수납틀(10)에는 그 가이드레일(23)에 끼워지도록 후크핀(13)이 형성되어 후크핀(13)이 가이드레일(23)에 걸림 고정되면서 작동체(2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틀(10) 또는 작동체(20)에 작동체(2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50)가 장착되고, 그 센서(50)의 작동에 의하여 음향발생부(60)의 음향효과가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틀(10)과 작동체(20)는 서로 대응되게 센서(50)가 장착되고, 수납틀(10)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빛이 조사되도록 조명수단(70)이 장착되며, 작동체(20)는 일부 또는 전체가 투명체로 이루어져 빛 투과가 가능케 되어 작동체(20)의 작동 여부에 의하여 센서(50)가 작동하면서 조명수단(70)에 의한 조명효과를 발생시키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50)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고, 수납틀(10)과 작동체(20)에 각각 근접센서의 송,수신부가 장착되어 작동체(2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하여 센서(50) 감지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KR1020120113715A 2012-10-12 2012-10-12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KR101409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15A KR101409256B1 (ko) 2012-10-12 2012-10-12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715A KR101409256B1 (ko) 2012-10-12 2012-10-12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23A KR20140047423A (ko) 2014-04-22
KR101409256B1 true KR101409256B1 (ko) 2014-06-20

Family

ID=5065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715A KR101409256B1 (ko) 2012-10-12 2012-10-12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2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599U (ko) * 1975-09-20 1977-03-28
JPH09253341A (ja) * 1996-03-25 1997-09-30 Sente Creations:Kk 人形玩具
KR200189013Y1 (ko) * 1999-12-28 2000-07-15 김홍선 승용놀이구의 놀이장치
US20080166946A1 (en) 2007-01-10 2008-07-10 Frank Gallagher Dump truck to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3599U (ko) * 1975-09-20 1977-03-28
JPH09253341A (ja) * 1996-03-25 1997-09-30 Sente Creations:Kk 人形玩具
KR200189013Y1 (ko) * 1999-12-28 2000-07-15 김홍선 승용놀이구의 놀이장치
US20080166946A1 (en) 2007-01-10 2008-07-10 Frank Gallagher Dump truck to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7423A (ko) 201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14788A1 (en) Toy interactive entertainment devices
MX2008013964A (es) Juguete electronico con caracteristicas que pueden modificarse.
US20140220855A1 (en) Illumination display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US20150072589A1 (en) Illuminated doll
KR101409256B1 (ko)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의하여 캐릭터가 돌출되거나 삽입되는 자동차 완구
US9269238B2 (en) Door knocker with audio playback
US20100056021A1 (en) Ornament with modular design motion system
CN107019921A (zh) 具有两方向投射的婴儿娱乐设备和系统
JP3110565U (ja) 容器体に収納した吊下げ揺動玩具
CA2391919A1 (en) Interacting toy figure for computer users
KR200466086Y1 (ko) 인형이 부설된 전화완구
KR20180088038A (ko) 외관변형과 유희용 볼의 장착과 교환으로 다양한 발광과 소리를 발생하는 완구용 칼
JP2005185547A (ja) 玩具作動装置
CN212038998U (zh) 空气传导音乐玩具
JP3116131U (ja) 電車玩具
JP3102354U (ja) 遊戯玩具
CN219251643U (zh) 变脸玩具
US20110053454A1 (en) Decorative toy
KR200189013Y1 (ko) 승용놀이구의 놀이장치
JP2013223583A (ja) 玩具
JP3101920U (ja) 音声発生ボトルキャップ
CN206805810U (zh) 一种用于早教机的弧形出光装置及早教机
JP3111070U (ja) 訓練用玩具
CN205832600U (zh) 一种蜘蛛形态的玩具
KR200294526Y1 (ko) 피아노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