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804B1 -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804B1
KR101408804B1 KR1020130123724A KR20130123724A KR101408804B1 KR 101408804 B1 KR101408804 B1 KR 101408804B1 KR 1020130123724 A KR1020130123724 A KR 1020130123724A KR 20130123724 A KR20130123724 A KR 20130123724A KR 101408804 B1 KR101408804 B1 KR 101408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device
user
specif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준
Original Assignee
원성준
인포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성준, 인포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원성준
Priority to KR1020130123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는,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은 후 상기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 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다이알러와, 상기 서버 장치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와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다이알러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실행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다이알러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전세계에 폭넓게 보급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은 퍼스널컴퓨터와 같이 범용 OS를 내장하고 그 기능이 고성능화된 휴대전화로 정의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전화 기능이 있는 소형 컴퓨터로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용하거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는 점 등과 같이 기존 피쳐폰이 갖지 못한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세계의 사람들과 함께 다양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공유하거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함으로써 그 기능을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앱 다운로드 URL을 통해 앱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앱 다운로드 URL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촬영하여 앱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하거나, 다양한 앱을 제공하는 앱스토어에 접속후 검색하는 과정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은 그 절차가 복잡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모해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시각 장애인의 경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의 사용자의 사용환경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보통 스마트폰에는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사용할 애플리케이션을 찾기 불편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를 수차례 터치하거나 실행 아이콘이 나열된 페이지를 수차례 패닝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특히, 시각 장애인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를 받아 설치를 했다고 하더라도 시각이 불편한 사용자가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에서 찾아서 실행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특정 화면 또는 특정 페이지)의 경우에도,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마다 단말기 설치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 중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시킨 후 기존에 하던 일련의 입력 동작들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바, 시각 장애인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훨씬 더 어려운 과정을 거쳐야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원하는 화면 또는 페이지를 찾아 들어갈 수 있는 불편함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스마트폰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스마트폰 이외에 휴대폰, 가전기기, 텔레메틱스, 태블릿PC, 컴퓨터 등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장치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에 대한 인식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인식을 기반으로 선행기술들과 대비한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아니 됨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으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와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후,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여, 다이알러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시,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고,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다이알러를 이용한 간단한 조작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다이알러 상에 상기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제각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여,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처리함으로서,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다이알러를 통해 보다 빠르고 쉽게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나 화면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 장치, 방법과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는,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은 후 상기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 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다이알러와, 상기 서버 장치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와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다이알러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는 등록부와,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등록부를 통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실행부를 구비한다.
일측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설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등록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다이알러 상에 상기 설정부가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제각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확인부의 확인결과,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며, 상기 실행부는,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의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식별정보가 통신망 상의 애플리케이션 처리 서버 장치를 통해 제3자의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제3자의 단말장치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설정부는,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거나, 또는 순번 또는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식별정보별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확인부는, 상기 단말장치 내 메모리 상에 기 저장 또는 설정된 장애인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 고유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등록부는, 상기 서버 장치로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다이알러를 통해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되면,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 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단계와,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서버 장치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와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다이알러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확인결과,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처리 방법은,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단계와,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단말장치에 구비된 다이알러 상에 상기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제각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단말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처리모듈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각각의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다이알러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의 편리성을 크게 증대시키는 한편 애플리케이션 유통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익숙한 다이알러 조작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실행할 애플리케이션을 검색 및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의 다이얼러에서 제공하는 최근기록 표시 기능과 즐겨찾기 기능을 통해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했던 애플리케이션 또는 즐겨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확인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익숙한 다이알러 조작을 통해 단말장치에 기 설치된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실행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을 보다 쉽고 빠르게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저장매체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에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등록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또 다른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또 다른 일실시예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면 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1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1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면 1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실행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등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3자 공유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서버 장치(100)가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복수개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110) 및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 통신망 또는 네트워크 또는 직접 연결되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다이알러(21)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110)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울로드 서버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구성은 서버 장치(100)가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 상에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상에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서버 장치(100)와 저장매체(110)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 간 연결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 장치(100)와 저장매체(110) 간 연결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저장매체(110)가 상기 서버 장치(100)의 일 구성으로 직접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100)와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 간 연결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가 상기 서버 장치(100)의 일 구성으로 직접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장치(200) 간 연결되는 통신망은 데이터 통신망과 기지국 및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장치(100)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 단말장치(200)와 정보 내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망 상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서버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다이알러(21)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가 통신망을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저장매체(110)를 통해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 상에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상에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서버 장치(100)는,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시,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가 연결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식별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는,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중 하나 이상의 번호로 시작되는 번호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명칭, 애플리케이션 고유 번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 정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서버의 접속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가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상기 단말장치(200)로 전송해주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 장치(100)는 상기 단말장치(200)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시점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전송해주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저장매체(110)는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복수개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저장매체(110)는 상기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더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매체(110)는 상기 서버 장치(100)에 포함되거나, 또는 통신망 내지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이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 등록 및 관리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는 상기 서버 장치(100)에 포함되거나, 또는 통신망 내지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단말장치에 구비된 다이알러(21)를 통해 전화번호가 선택 또는 입력되면, 상기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서버 장치(100)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는,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중 하나 이상의 번호로 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시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고,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며,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시, 상기 단말장치(200) 내 메모리 상에 기 저장 또는 설정된 장애인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 고유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통신서 서버 등)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서버 장치(100)로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1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및 등록시, 상기 다이알러(21) 상의 즐겨찾기 영역과 연락처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가 좌측 영역에 위치하고, 전화번호 또는 애플리케이션 명칭이 중앙 부근 영역에 위치하도록 저장,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부가정보가 더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더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역할을 더 수행하며, 상기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제각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며,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또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시,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설정할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거나, 또는 순번 또는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부터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이 표시되기까지의 구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순차적인 입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 애플리케이션 명칭, 애플리케이션 고유 번호, 특정 페이지 설명 또는 특징 정보, 특정 페이지 식별정보, 화면 설명 또는 특징 정보, 화면 식별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 특정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 화면 썸네일 이미지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은 현재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업데이트된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티브이 등 가전기기, 텔레메틱스, 태블릿PC, 컴퓨터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에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상기 서버 장치(100)로 상기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전화번호 발급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또는 유통하는 기업이나 개인이 보유한 단말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 상의 서버 장치(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일 뿐, 본 발명은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버 장치(100)는, 등록부(11)와, 통신부(12)와, 확인부(13)와, 처리부(14)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 장치(100)는 실시예 설명을 위해 도면 상에는 단일 장치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각각의 구성부가 각각 하나 이상의 장치 또는 서버 또는 단말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등록부(11)는,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복수개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매체(110) 상에 저장,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등록부(11)는,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 상에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상에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 등록한다.
또한, 상기 등록부(11)는,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일 경우 요구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더 등록받은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부(11)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부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부가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연결하여 저장,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는, 020, 030, 040, 050, 060, 070, 080, 090 중 하나 이상의 번호로 시작되는 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는, 애플리케이션 명칭, 애플리케이션 고유 번호,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 정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위한 서버의 접속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정보와, 버전 정보와, 애플리케이션 특징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면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저장매체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등록부(11)에서 상기 저장매체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 등록한 사례를 보여준다.
도 3에 따르면, "지도"라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인 명칭과, 고유번호, 아이콘 이미지 등이 "060-1234-5678"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연결되고, "메시지통"이라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인 명칭과, 고유번호, 아이콘 이미지 등이 "090-2345-6789"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연결되고, "바로바로"라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인 명칭과, 고유번호, 아이콘 이미지 등이 "060-3456-7890"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와 연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통해 다이알러(21)에서 "060-1234-5678"을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060-1234-5678"과 연결된 "지도"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장치(200)에서 다운로드 받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다운받기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저장매체(110)는 “지도”라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시각 장애인에게 요구되는 사운드나 음성 또는 진동 등을 하나 이상 더 저장하여,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단말장치를 통해 다이알러(21)에서 "060-1234-5678"을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상기 "060-1234-5678"과 연결된 "지도"라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장치(200)에 다운로드시, 상기 “지도”와 연결된 사운드 “지도”를 같이 전송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시각 장애인 사용자가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단말장치(200) 상에 등록시 “지도”라는 사운드가 같이 등록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부(12)는, 사용자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다이알러(21)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12)는 데이터 통신망과 기지국 및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을 통해 전화번호를 수신하며, 상기 전화번호는 데이터 형태이거나, 신호 형태이거나, 압축 내지 암호화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2)는,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확인부(13)는, 상기 저장매체(110)를 통해 상기 통신부(12)를 통해 수신된 전화번호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확인부(1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 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확인부(13)는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에 대한 접속정보 등을 더 확인한다.
또한, 상기 확인부(13)는 상기 통신부(12)를 통해서 상기 단말장치(200)로부터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장애인 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기 연결되어 저장된 사운드 또는 음성 또는 진동을 하나 이상 확인 및 추출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처리부(14)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14)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간 통신망을 연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에 접속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직접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식별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하도록 처리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방식들 외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는 다른 방식들 또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확인부(13)에서 상기 저장매체(110)로부터 추출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기 연결되어 저장된 사운드 또는 음성 또는 진동을 하나 이상 상기 단말장치(200)로 더 전송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버 장치(100)의 각각의 구성부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 셋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도면 4에서는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단말장치(200)는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외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현재 또는 향후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200)의 기능과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장치(200)가 스마트폰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스마트폰 상에 구비된 모든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 구성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가전기기, 텔레메틱스, 태블릿PC, 컴퓨터 등 통신이 가능한 단말장치(200)들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하드웨어적인 특성을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200)의 주요 기능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알러(21)와, 통신부(22)와, 확인부(23)와, 등록부(24)와, 실행부(25)와, 설정부(26)와 상기 각각의 구성부와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단말장치(200)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상기 각 구성부는 추가 또는 제외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 내 상기 각 구성부 전체가 포함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도식일 뿐,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상기 구성부의 전체가 아니라 구성부들 중 일개 구성만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에 포함되고, 나머지 구성부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과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다이알러(21)는,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은 후 상기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다이알러(21)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위해 다이알러(21)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다이알러(21)와 유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통신연결 요청이 가능한 주소록 애플리케이션이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도 다이알러(21)에 포함될 수 있음을 명기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부(22)는, 상기 서버 장치(100)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22)는, 상기 서버 장치(1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 장치(100)를 통해 직접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 장치(100)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상기 방식들 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통신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22)는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의 장애인 여부 식별을 위하여 상기 단말장치(200) 고유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통신서 서버 등)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장애인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확인부(23)는,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시점 또는 그 이후에,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인부(23)는 상기 단말장치(200) 내 메모리 상에 기 저장 또는 설정된 장애인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 고유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통신사 서버 등)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등록부(24)는,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면,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확인부(23)의 확인결과,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다이알러(21) 상의 즐겨찾기 영역과 연락처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함으로서, 사용자가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수많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원하는 아이콘을 찾아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했던 불편함 없이, 단말장치(200) 상의 다이알러(21)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서버 장치(100)로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1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입력받아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운드 또는 음성 또는 진동을 하나 이상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실행부(25)를 통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및 등록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가 좌측 영역에 위치하고, 전화번호 또는 애플리케이션 명칭이 중앙 부근 영역에 위치하도록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통신부(22)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부가정보를 더 수신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더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도면 5는 상기 등록부(24)에서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기 위해 기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좌측 상단에 출력되고 우측 상단에 사운드 또는 진동 설정 버튼을 출력하는 페이지가 화면상에 출력되고, 출력된 화면에서 사운드 설정 버튼이 선택되면, 최상단에 전화번호가 위치하고, 전화번호 하단에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와 애플리케이션 명칭 또는 식별자와 설정된 사운드가 출력되고, 이하 연결번호와 부가정보 등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면 6 내지 도면 7은 상기 도면5에서의 과정을 통해 등록부(24)에서 다이알러(21) 상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6에서 보는바와 같이, 등록부(24)가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 상에 등록한 경우, "홍길동"이라는 지인의 연락처 밑에 다운로드 받은 "지도"와"메시지통"과 "바로바로"라는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
"지도"와 "메시지통"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으로 등록되었고, "바로바로"의 경우, 전화번호로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두가지 경우 모두 가능하다.
도 6은 일반 전화번호 등록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등록영역이 섞여 있는 반면, 도 7은 일반 전화번호 등록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등록영역을 분리하여 출력해 주는 것을 보여준다.
도면 8 내지 도면 9는 상기 등록부(24)를 통해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등록부(24)에서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는 일실시예도를 보여준다.
즉, 사용자가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된 "메시지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고, 홍길동과 통화를 하고,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고, 강동원과 통화를 한 경우, 등록부(24)는 도 8과 같이 최근기록 영역 상에 "강동원"-"지도"-"홍길동"-"메시지통" 순으로 저장, 등록한다.
도 9는 도 8에서와 같은 순으로 다이알러(21)를 이용한 경우, 일반 통화와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각각 분리하여 저장, 등록하는 일실시예도로서, 사용자가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된 "메시지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고, 홍길동과 통화를 하고,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고, 강동원과 통화를 한 경우, 등록부(24)는 도 9와 같이 최근기록 영역 상에 일반 통화인 "강동원"-"홍길동" 순으로 저장, 등록하고, 애플리케이션 실행인 "지도"-"메시지통" 순으로 저장, 등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실행부(25)는,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등록부(24)를 통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홍길동"이 선택되면, "홍길동"과 전화통화를 연결하지만, 상기 실행부(25)는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지도” 음성 또는 사운드를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설정부(26)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부(26)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시,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거나, 또는 순번 또는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식별정보별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실행부(25)를 통해 “지도”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화면 또는 페이지의 경우, 상기 설정부(26)를 통해 해당 화면 또는 페이지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전화번호 입력 또는 선택만으로 원하는 화면 또는 페이지까지 자동으로 연결할 수 있어,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해당 화면 또는 페이지까지 여러단계를 거쳐 도달하는데 까지의 불편함을 해결해 줄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6을 통해 상기 설정부(26)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5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도면 1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다이알러(21) 상에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장치(200)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 장치(100)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00)에 설치된 지도 애플리케이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Mail 애플리케이션, "A" 애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들에 각각 대응되는 아이콘들(301 내지 306, 350)이 단말장치(200)의 화면(220) 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지도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제1 아이콘(301)을 선택하면,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애플리케이션 초기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경우, 다이알러(21)를 통해서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 애플리케이션 초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상기 두가지 방식 모두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상기 단말장치(200)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미리 등록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는 검색 버튼(410)을 선택하여 검색어 입력창(420)에 검색하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하거나, 길찾기 버튼(411)을 선택하여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해 이동 경로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초기 화면에는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지도(400)가 표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말장치(200)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음성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위치를 입력하거나, 길찾기 버튼(411)을 선택시, 출발지와 도착지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다운로드 받는 동시에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상기 단말장치(200)에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은 기본적으로 음성 입/출력 기능과 진동 입/출력 및 특정 점자 자판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사용자에 의해 길찾기 버튼(411)이 선택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 입력창(421)과 도착지 입력창(422)이 화면(220)에 표시되고, 입력창들(421, 422)에 사용자가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창(430)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키입력창(430)을 이용해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고 이동 수단들을 나타내는 버튼들(440, 441, 4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길찾기를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입력들이 순차적으로 완료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된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이동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401)가 화면(22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재검색 버튼(443)을 선택하여 상기 출발지 및 도착지에 따른 이동 경로를 재검색할 수도 있다.
도 15는 사용자의 순차적인 입력들에 의해 표시되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에 해당 화면을 캡쳐하여 다이알러(21) 상에 전화번호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450)이 표시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버튼(450)을 선택하면, 도 15에 도시된 화면이 캡쳐된 후, 갭쳐된 화면은 지도 애플리케이션(301)에 대한 특정 화면의 식별정보로 이용되며, 상기 캡쳐된 화면은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301)에서의 사용자 입력정보(즉, 해당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의 사용자의 순차적인 입력들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지도 애플리케이션(301)을 추후 실행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도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애플리케이션 서버 주소 및 제작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부터 상기 캡쳐된 화면이 표시될 때까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일련의 동작들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여, 도 8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는 길찾기 버튼(411)의 선택, 키패드(430)를 이용한 도착지 입력창(422)에의 "우리집"의 입력, 도보 버튼(442)의 선택 순서의 순차적인 입력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는 설명의 편의 상 별개로 구분하였으나, 상기 식별정보에 포함된다.
즉,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부터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이 표시되기까지의 구간동안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순차적인 입력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 애플리케이션 명칭, 애플리케이션 고유 번호, 특정 페이지 설명 또는 특징 정보, 특정 페이지 식별정보, 화면 설명 또는 특징 정보, 화면 식별정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 특정 페이지 썸네일 이미지, 화면 썸네일 이미지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도 10 내지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설정부(26)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이 표시되기까지의 사용자 입력정보와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를 상기 단말장치(200) 상의 저장영역에 저장하되, 상기 식별정보와 사용자 입력정보 상에 특정 전화번호를 설정하여 저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방법에 따르며,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설정부(26)가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제각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 상기 확인부(23)의 확인결과,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즉, 상기 등록부(24)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설정된 전화번로를 다이알러(21) 상에 등록함으로서, 사용자가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수많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원하는 아이콘을 찾아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했던 불편함 없이, 단말장치(200) 상의 다이알러(21)를 통해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화면 또는 페이지까지의 사용자 입력과정 없이 자동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화면 또는 페이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다이알러(21) 상의 즐겨찾기 영역과 연락처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실행부(25)를 통해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 또는 상기 특정 화면 또는 페이지의 썸네일 이미지 또는 화면의 썸네일 이미지가 좌측 영역에 위치하고, 전화번호 또는 애플리케이션 명칭이 중앙 부근 영역에 위치하도록 저장,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더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도면 16은 상기 등록부(24)에서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의 특정 화면 또는 페이지가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특정 화면 또는 페이지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설정부(26)가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특정 화면 또는 페이지에 대한 식별정보 중 하나인 화면 이미지 썸네일이 좌측 상단에 출력되고 우측 상단에 사운드 설정 또는 진동 설정 버튼을 출력하는 페이지가 화면상에 출력되고, 출력된 화면에서 사운드 설정 버튼이 선택되면, 최상단에 전화번호가 위치하고, 전화번호 하단에 화면 이미지 썸네일과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 명칭 또는 식별자와 설정한 사운드가 출력되고, 이하 연결번호와 부가정보 등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방법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도면 17 내지 도면 18은 상기 등록부(24)에서 다이알러(21) 상에 등록한 화면을 보여주는 일실시예도이다.
도 17에서 보는바와 같이, 등록부(24)가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 상에 등록한 경우, "홍길동"이라는 지인의 연락처 밑에 "우리집가는길"과 "메시지통"과 "바로바로"라는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다.
"우리집 가는길"과 "메시지통"의 경우, 각각 특정화면과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으로 등록되었고, "바로바로"의 경우, 전화번호로 등록된 것을 볼 수 있는데, 두가지 경우 모두 가능하다.
도 17은 일반 전화번호 등록영역과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록영역이 섞여 있으나, 일반 전화번호 등록영역과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록영역을 분리하여 출력해 줄 수도 있다.
도면 18은 상기 등록부(24)를 통해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된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되면, 상기 등록부(24)에서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특정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는 일실시예도를 보여준다.
즉, 사용자가 다이알러(21)의 연락처 영역에 등록된 "메시지통"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했고, 홍길동과 통화를 하고, "우리집가는길" 특정 화면을 실행했고, 강동원과 통화를 한 경우, 등록부(24)는 도 18과 같이 최근기록 영역 상에 "강동원"-"우리집가는길"-"홍길동"-"메시지통" 순으로 저장, 등록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실행부(25)는,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즉,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홍길동"이 선택되면, "홍길동"과 전화통화를 연결하지만, 상기 실행부(25)는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우리집가는길"이 선택되면, "우리집가는길" 화면 출력을 위해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지도 애플리케이션으로 “우리집가는길”화면 까지 이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지도애플리케이션이 “우리집가는길” 화면을 출력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화면에 출력되는 “우리집가는길” 화면은 현재 시점에서의 교통상황을 반영하는 업데이트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통신부(22)는,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식별정보가 통신망 상의 하나 이상의 장치를 통해 제3자의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제3자의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 후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상응하는 페이지 또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즉, 상기 통신부(22)는 사용자가 “우리집가는길” 전화번호를 제3의 단말장치(200)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우리집가는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식별정보가 제3의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제3의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에서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알러(21) 상에 저장하고, 전화번호 선택시 상기 식별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입력정보를 이용하여 “우리집가는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7)와, 다이알러(21)와, 통신부(22)와, 확인부(23)와, 등록부(24)와, 실행부(25)와, 설정부(26)의 기능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단말장치(200)에 구비되는 프로그램의 일종인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처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서버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 상에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등록 요청을 수신한다(S1910).
이때, 상기 서버 장치(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 상에 등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서버 장치(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등록단말(300)로부터 상기 복수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서버 장치(100)는 등록부(11)를 통해 상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 상에 전화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 등록한다(S1915).
또한,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버 장치(100)는 등록부(11)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일대일로 매칭하여 저장,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장치(200)에서 다이알러(21)를 통해 전화번호가 선택 또는 입력되면(S1920), 상기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선택 또는 입력된 전화번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 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1925).
상기 서버 장치(100)는 통신부(12)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가 전송한 전화번호를 수신한 후(S1930), 확인부(13)를 통해 상기 저장매체(110) 상에 기 저장된 전화번호와 상기 통신부(12)에서 수신한 전화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통신부(12)에서 수신한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확인된 전화번호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1935).
한편,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서버 장치(100)는 확인부(13)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또는 음성 또는 진동 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
(S1935)과정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통신부(12)에서 수신한 전화번호와 매칭되는 전화번호가 없거나, 상기 전화번호와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없는 경우(S1940), 상기 서버 장치(100)는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1945).
만약, (S1935)과정에서의 확인결과, 상기 전화번호와 일대일로 매칭되어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가 확인되면(S1950), 서버 장치(100)는 처리부(14)를 통해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한다(S1955).
이 경우,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처리부(14)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간 통신망을 연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처리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에 접속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직접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딩 하는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 식별정보와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하도록 처리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다운로드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버 장치(100)는 처리부(14)를 통해 상기 확인부(13)가 확인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200)로 전송되도록 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통신부(22)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S1960).
이 경우,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통신부(22)는, 상기 서버 장치(1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의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받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 장치(100)를 통해 직접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상기 서버 장치(100)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120)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확인부(23)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한다(S1965).
여기서, 상기 (S1965)과정에서, 상기 확인부(23)는, 상기 단말장치(200) 내 메모리 상에 기 저장 또는 설정된 장애인 정보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 고유번호를 통신망 상의 서버(통신사 서버 등)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의 장애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등록부(24)를 통해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한다(S1970).
이때,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다이알러(21) 상의 즐겨찾기 영역과 연락처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이미지가 좌측 영역에 위치하고, 전화번호 또는 애플리케이션 명칭이 중앙 부근 영역에 위치하도록 저장, 등록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록 및 실행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상기 도 19에서의 (S1970)과정에 대한 상세 프로세스와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대한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우선,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등록부(24)를 통해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시, 상기 확인부(23)를 통한 확인결과,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S2010),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한다(S2020).
여기서, 도면 상에는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등록부(24)는, 상기 서버 장치(100)로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식별하기 위한 장애인 식별정보를 상기 통신부(22)를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1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로부터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 정보를 하나 이상 입력받아 시각 장애인을 위한 사운드 또는 음성 또는 진동을 저장,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S2030),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실행부(25)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S2040),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S2050), 상기 등록부(24)를 통해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한다(S2060).
이후,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070), 애플리케이션 종료가 확인되면(S2080), 등록부(24)를 통해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한다(S2090).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등록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의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설정부(26)를 통해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한다(S2110).
이때,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설정부(26)는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 상에 전화번호를 설정시,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로부터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거나, 또는 순번 또는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식별정보별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등록부(24)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에 구비된 다이알러(21) 상에 상기 설정부(26)가 설정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제각기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하되(S2115),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S2120),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을 식별하기 위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더 저장, 등록한다(S2125).
이후, 상기 다이알러(21)를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이 터치되면(S2130),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실행부(25)를 통해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21) 상에 등록된 특정 음성 또는 특정 사운드 또는 특정 진동을 하나 이상 출력한 후(S2135), 상기 단말장치(200) 사용자가 추가로 한번 더 같은 위치를 터치하거나 또는 일정시간 이상 길게 터치를 하면(S2140),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까지 자동으로 이동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2145).
이후,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150), 애플리케이션 종료가 확인되면(S2155), 등록부(24)를 통해 다이알러(21)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와 상기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한다(S2160).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제3자 공유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사용자의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전화번호의 제3자 단말장치 전송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S2210).
이후, 사용자의 단말장치(200) 또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210)은 통신부(22)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전송 요청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식별정보가 통신망 상의 하나 이상의 장치를 통해 제3자의 단말장치로 전송되도록 처리한다(S2220).
제3자 단말장치 또는 제3자 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와 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다이알러 상에 저장, 등록한다(S2230).
이후, 상기 다이알러 상에 등록된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의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 선택되면(S2240), 제3자 단말장치 또는 제3자 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은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까지 자동으로 이동하여 출력되도록 처리한다(S2250).
도면 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특정 페이지 또는 화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3자 단말장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제3자 단말장치 또는 제3자 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은 통신망 상의 하나 이상의 장치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이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되면(S2260), 상기 제3자 단말장치 또는 제3자 단말장치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은 상기 다이알러 상의 최근기록 영역에 상기 전화번호와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저장, 등록한다(S2270).
100 : 서버 장치 110 : 저장매체
120 :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 200 : 사용자 단말장치
210 : 애플리케이션 처리 모듈 21 : 다이알러
22 : 통신부 23 : 확인부
24 : 등록부 25 : 실행부
26 : 설정부 27 :제어부

Claims (14)

  1. 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지 확인하는 확인부;
    전화번호를 선택 또는 입력받은 후 상기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가 통신망 상의 서버 장치로 전송되도록 하고, 다운로드받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다이알러;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선택 또는 입력받은 전화번호를 상기 서버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 장치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통신부;
    상기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애플리케이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다이알러 상에 표시되도록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연결하여 등록하고, 상기 확인부의 확인 결과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한 음성, 사운드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 등록하는 등록부; 및
    상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인 경우, 상기 다이알러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전화번호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터치 입력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등록된 음성, 사운드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한 후, 특정 위치에 대한 추가 터치 또는 일정 시간 이상의 터치가 있을 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처리하는 실행부;를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23724A 2013-10-17 2013-10-17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40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724A KR101408804B1 (ko) 2013-10-17 2013-10-17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724A KR101408804B1 (ko) 2013-10-17 2013-10-17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804B1 true KR101408804B1 (ko) 2014-06-19

Family

ID=5113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724A KR101408804B1 (ko) 2013-10-17 2013-10-17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8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30B1 (ko) 2005-05-20 2006-1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숫자 키워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630B1 (ko) 2005-05-20 2006-1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숫자 키워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80155B (zh) 设备绑定方法及装置
KR102220945B1 (ko) 휴대 기기에서 연관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60048018A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138259A (zh) 操作执行方法及装置
JP6693632B2 (ja) 電話営業用ctiシステム
KR102052699B1 (ko) 전자 장치에서 컨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KR201501118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EP2632127B1 (en) Method and apparatus pertaining to presenting incoming-call identifiers
JP7151013B1 (ja) 受付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408812B1 (ko)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N106850556A (zh) 服务访问方法、装置及设备
KR102095666B1 (ko)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408804B1 (ko)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KR101408806B1 (ko) 애플리케이션 처리 시스템
KR101408813B1 (ko) 애플리케이션 처리 시스템
JP592358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5676306B2 (ja) 携帯端末および設定方法
JPWO2005101801A1 (ja) 通信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実行方法
KR101725318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509013B1 (ko)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말 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JP7228893B2 (ja) 電話営業用ctiシステム
KR101970356B1 (ko) Qr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공유 방법
KR101539506B1 (ko) 단말장치, 방법 및 기록매체
CN107885746A (zh) 页面分享的方法和装置
KR20070100011A (ko) 위치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