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318B1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318B1
KR101725318B1 KR1020150123733A KR20150123733A KR101725318B1 KR 101725318 B1 KR101725318 B1 KR 101725318B1 KR 1020150123733 A KR1020150123733 A KR 1020150123733A KR 20150123733 A KR20150123733 A KR 20150123733A KR 101725318 B1 KR101725318 B1 KR 101725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attern
pattern
generated
image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7154A (ko
Inventor
구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크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크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크래스
Priority to KR102015012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3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송신 단말기에 의해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거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한편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푸시 서버에 의해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 단말기에 의해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성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송신자가 보낸 특정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어, 촉감 및 감성에 기반하는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using vibration pattern or manual input generated by user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성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상대방(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송신자)이 보낸 특정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 단말기로서 사용되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및 웨어러블 기기들은 음성 통화와 문자 송수신을 기본 기능으로 구현하고 있다. 진동은 이러한 기본 기능의 알림 기능으로서 벨 소리와 함께 제공되는 형태이다. 진동 및 벨 소리는 휴대 단말기의 제조사에서 기본적인 몇 가지 패턴을 단말기의 제조시에 단말기에 미리 저장해 놓게 되며, 사용자는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정해진 패턴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패턴(예컨대, 벨 소리)을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 기술은 단말기 출고시점에서 각 제조사에 의해 미리 저장해 놓은 몇 가지 정해진 벨 소리 및 진동 패턴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저장된 진동 패턴 중 몇 가지를 선택하여 전화, 문자 등의 알림 기능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진동 패턴이나 수기입력을 상대방(수신자)에게 전달할 수 없고, 단말기 제조사에 의해 지정해 놓은 진동 패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9356호(특허문헌 1)에는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상대 통화자와 음성 통화 중에 상대 통화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 및 디지털 음성 신호 중 어느 하나와 단말기에 기저장된 음성 정보 테이블을 비교하여 특정 음성 정보가 발견되면, 해당 음성 정보에 해당하는 특정 진동 패턴에 따라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로 하여금 음성 통화 중인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1599호(특허문헌 2)에는 "신체 중재 디지털 콘텐츠 전송 및 햅틱 피드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통신, 전자 환경 및/또는 물리적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벤트, 디지털 콘텐츠의 전송 및/또는 다른 이벤트 등의 이벤트에 응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디지털 콘텐츠를 전송/저장하고, 착용가능 장치를 통해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807738호(특허문헌 3)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생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리듬 악보에 진동 시간이 지정된 음표를 입력받고, 음표가 입력된 리듬 악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리듬 악보에 진동 이벤트를 지정하고, 진동 이벤트 발생 시 리듬 악보에 대응하는 진동 패턴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특허문헌 1,2,3에서의 "감정 전달"이나 "햅틱 피드백", "리듬 악보 대응 진동 발생"의 경우는 기존의 시스템에서 정해진 값에 해당하는 진동 패턴을 표현하는 방식이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 패턴이나 수기입력(제스처 패턴) 등을 생성하지 못하고, 시스템에서 특정 정보에 매칭되어 예약된 패턴들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29356호(2010.03.17.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1599호(2015.06.04.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0807738호(2008.02.20. 등록)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성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상대방(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송신자)이 보낸 특정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송신 단말기, 수신 단말기, 서비스 서버 및 푸시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거나,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 (text)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한편 상기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푸시 서버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 (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진동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값으로서의 패턴 아이템(pattern item)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진동 패턴 어레이(pattern array, 진동 패턴값들의 배열)를 포팅(porting)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진동 패턴 어레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진동 패턴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패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는,
진동 패턴 생성시 첫 번째 진동이 울린 후 다음 진동이 울릴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 및
진동 패턴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패턴 저장단위 (patter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를 생성하는 과정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 (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수기입력정보 어레이(Gpen array, 수기입력/제스처 패턴값들의 배열)를 포팅(porting)하고,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화소(pixel)를 dp(dip:Density-independent Pixels)로 변환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해상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Gesture array)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또한 상기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시 첫 번째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된 후 다음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 및
이미지 또는 텍스트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Gpe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는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단위로 x, y 좌표와 생성시간, 이전 좌표에 이어 그리는지, 새로 그리는지를 구분하는 정보로 구성된 저장 구조이다.
또한, 상기 단계 e)에서의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e-1) 수신 단말기에 의해 푸시를 수신하여 푸시의 형태(type)가 진동 패턴인지 제스처 패턴인지 판별하는 단계;
e-2) 상기 판별에서 진동 패턴이면, 알림 액세스로서의 "notification"을 생성하고 진동 패턴을 파싱(parsing)하는 단계;
e-3) 상기 파싱 완료 후, 수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슬립 모드(sleep mode)인지를 판별하여 는 단계;
e-4) 판별결과 슬립 모드가 아니면, 진동 패턴을 진동 어레이(vibration array)로 변환하고, 그 진동 어레이를 표출하는 단계;
e-5) 상기 단계 e-1)의 판별에서 제스처 패턴이면, 정보 조회용 고유키 (search key)를 추출하는 단계;
e-6) 상기 정보 조회용 고유키를 이용하여 제스처 패턴을 조회하고, 그를 바탕으로 제스처 패턴을 파싱(parsing)한 후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로 변환하는 단계;
e-7) 상기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dp를 픽셀(pixel)로 변환하는 단계; 및
e-8) 상기 픽셀로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e-8)에서의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다음 프레임을 갖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다음 프레임을 가지면, 그림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그림이면 경로(path)를 추가하고, 그림이 아니면 포인트를 이동하여 경로를 그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성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상대방(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송신자)이 보낸 특정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어, 촉감 및 감성에 기반하는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고, 웨어러블 등과 같이 입력장치가 제한된 기기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기에서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기에서 수기입력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기에서 진동 및 수기입력 패턴을 수신 및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말아야 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구현을 위해 채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채용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0)은 송신 단말기(Sender)(110),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120), 푸시 서버(Push Server)(130) 및 수신 단말기(Receiver)(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송신 단말기(110)는 터치(touch)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 (vibration)을 생성하거나,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무선 통신(예를 들면, 3G/LTE, WiFi)을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송신 단말기 (110)는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아이폰, 아이 패드 및 기타 웨어러블(wearable)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송신 단말기(110)에는 후술하는 서비스 서버(120)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특정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사용자가 생성한 대로 전송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인 클라이언트 앱(client application)이 탑재된다. 즉, 이와 같은 클라이언트 앱은 단말기 제조시에 처음부터 단말기에 탑재되거나, 사용자가 단말기 구매 이후에 서비스 제공업체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의 앱스 (app store)를 통해 클라이언트 앱을 다운로드받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함으로써 탑재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송신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한편 하위 계층, 즉 후술하는 푸시 서버 (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서비스 서버(120)는 상기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수신 단말기(140)에 의해 재생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후 수신 단말기(140)로 연계해주는 복수의 서비스 서버(120a, 120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120)를 복수로 구성하는 것은 미러링(mirroring) 등의 형태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푸시 서버(130)는 상기 서비스 서버(120)로부터 상기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전달받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푸시 서버(130)는 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GCM(Google Cloud Messaging) 기능과,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수신 단말기(140)는 상기 푸시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송신 단말기 (110)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이와 같은 수신 단말기(140)에도 송신 단말기(11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특정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사용자가 생성한 대로 전송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인 클라이언트 앱(client application)이 탑재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이상과 같은 데이터 송수신 시슨템(100)은 상기 복수의 서비스 서버(120a, 120b)를 통해 수신된 상기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 및 관리하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단말기(110)와 상기 서비스 서버(120)의 사이와, 상기 수신 단말기(140)와 상기 서비스 서버(120)의 사이에는 트래픽 (traffic)에 의한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장비(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150)로는 포트별 웹 서버 선정(연결) 설정이 가능한 L4 스위치 장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송신 단말기(110), 수신 단말기(140), 서비스 서버(120) 및 푸시 서버(130)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100)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먼저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거나, 드로잉 (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를 생성한다(단계 S201).
이때,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송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기에 앞서 먼저 수신 대상의 친구/그룹 리스트를 선택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송신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앱(client application)을 실행했을 때, 클라이언트 앱 프로그램에 의해 먼저 수신 대상의 친구/그룹 리스트를 선택하도록 요청되는 것에 의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탭(tap)하여 진동 패턴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탭하는 위치는 단말기의 화면이 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외부 하우징의 어느 위치가 될 수도 있다. 즉, 단말기의 어느 위치를 탭하여도 단말기에 내장된 진동 모듈이 울리게 되어 단말기의 제어부는 그 진동 패턴 생성 값을 인지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되면,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서비스 서버 (120)로 전송한다(단계 S202). 이때, 송신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20)에 패턴(진동 패턴,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모두 포함) 전송을 요청한다.
그런 다음, 서비스 서버(120)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한편 푸시 서버(130)로 전달한다(단계 S203). 이때, 서비스 서버(120)는 정보 조회용 고유키(search key)를 생성하고, DBMS(122)에 패턴 저장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DBMS(122)는 패턴을 저장하고, 저장 결과를 서비스 서버(120)로 통보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120)는 푸시 서버(130)에 푸시 전송을 요청한다.
이후, 푸시 서버(130)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 단말기(140)로 전송한다(단계 S204). 이때, 푸시 서버(130)는 푸시 전송 방식으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 단말기(140)는 상기 푸시 서버(130)로부터 전송된 상기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단계 S205). 이때, 수신 단말기(140)는 푸시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20)로 패턴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120)는 DBMS(122)에 패턴 정보 조회를 요청하고, DBMS(122)는 패턴 정보를 찾아 서비스 서버(1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서비스 서버(120)는 패턴 정보 결과를 수신 단말기(140)로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140)는 이를 수신하여 패턴을 재생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송신 단말기에서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 송신 단말기에서 수기입력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 및 수신 단말기에서 진동 및 수기입력 패턴을 수신 및 재생하는 과정에 대해 각각 부연 설명을 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기에서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전술한 도 2의 단계 S201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 (110)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01,S402). 여기서, 이벤트는 진동 패턴 생성 화면에서의 이벤트로서 화면 터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벤트 판별에서 "Up"은 터치가 끝났을 때, "Down"은 터치되었을 때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 (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Send Timer)의 작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403). 여기서, 송신 타이머(Send Timer)는 진동 패턴을 자동으로 발송하기 위해 사용자가 터치를 안할 경우 소정 시간(예를 들면, 3초) 이후에 전송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타이머이며, 사용자가 다시 터치를 할 경우 리셋(reset)되어 이후 시간부터 일정 시간(예를 들면, 3초)을 카운팅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에 의해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한다(단계 S404).
그런 후, 진동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값으로서의 패턴 아이템(pattern item)을 추가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패턴 아이템은 최초의 저장일 경우에는 "0", 최초가 아닐 경우에는 이전의 이벤트와의 차이를 일정 시간 단위로(예를 들면, 밀리초(msec) 단위로) 계산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패턴 아이템을 추가하는 과정은, 진동 패턴 생성시 첫 번째 진동이 울린 후 다음 진동이 울릴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S405)와, 그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S406)와, 진동 패턴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패턴 엔터티(patter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S4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연 시간(delay time)은 진동 패턴 생성시 첫 번째 진동과 두 번째 진동 사이의 시간을 일정 시간 단위로(예를 들면, 밀리초(msec) 단위로) 체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또한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과정은, 진동 패턴 어레이(pattern array, 진동 패턴값들의 배열)를 포팅(porting)하는 단계(S411)와, 송신 단말기 (110) 및 수신 단말기(140)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412)와, 진동 패턴 어레이를 전송하는 단계(S413) 및 전송된 진동 패턴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S4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기에서 수기입력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도 2의 단계 S201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를 생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 (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501,S502). 여기서, 이벤트는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 생성 화면에서의 이벤트로서, 상기 진동 패턴 생성시와 마찬가지로 화면 터치를 의미한다. 또한, 이벤트 판별에서 "Up"은 터치가 끝났을 때, "Down"은 터치되었을 때, 그리고 "Move"는 그림을 그리는 중이거나 텍스트를 쓰는 중과 같이 어떠한 동작이 연속되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 (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Send Timer)의 작동을 정지시킨다(단계 S503).
그리고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에 의해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한다(단계 S504).
그런 다음,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한다.
이때, 상기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과정은,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시 첫 번째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된 후 다음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S505)와, 그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S506) 및 이미지 또는 텍스트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Gpe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S5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는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단위로 x, y 좌표와 생성시간, 이전 좌표에 이어 그리는지, 새로 그리는지를 구분하는 정보로 구성된 저장 구조이다.
또한,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과정은, 수기입력정보 어레이(Gpen array, 수기입력/제스처 패턴값들의 배열)를 포팅(porting)하고,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픽셀(pixel)을 dp(dip:Density-independent Pixels)로 변환하는 단계(S511)와, 송신 단말기(110) 및 수신 단말기(140)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S512)와, 송신 단말기(110)와 수신 단말기(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해상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Gesture array)로 변환하는 단계(S513) 및 변환된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는 단계(S5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dp는 안드로이드에서 다양한 해상도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면표시 단위로서, 픽셀(pixel)을 dp로 변환하여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 정보가 재생되는 단말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생성한 대로 재생하기 위해 공용의 단위로 변환 후 전송한다.
여기서, 또한 상기 단계 S513에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이유는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해상도 차이 때문이며, 따라서 단말기 간의 해상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송될 수 있도록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기에서 진동 및 수기입력 패턴을 수신 및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는 상기 도 2의 단계 S205에서의 수신 단말기(140)에 의해 송신 단말기(110)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수신 단말기(140)에 의해 푸시를 수신하여 푸시의 형태(type)가 진동 패턴인지 제스처 패턴인지 판별한다(단계 S601,S602).
상기 판별에서 진동 패턴이면, 알림 액세스로서의 "notification"을 생성하고 진동 패턴 정보를 파싱(parsing)한다(단계 S603,S604). 그리고 파싱 완료 후, 수신 단말기(110)의 현재 상태가 슬립 모드(sleep mode)인지를 판별한다(단계 S605).
상기 판별결과 슬립 모드이면, 팝업(popup) 화면을 생성한다(단계 S606).
그리고 상기 판별결과 슬립 모드가 아니면, 진동 패턴 정보를 휴대폰 등 스마트 디바이스 진동 정보로 변환하고(단계 S607), 그 진동 정보에 따른 진동 어레이를 표출한다(단계 S608). 여기서, 진동 패턴은 하나의 진동 형태를 의미하고, 진동 어레이는 그와 같은 진동 패턴이 열을 지어 배열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단계 S602의 판별에서 제스처 패턴이면, 정보 조회용 고유키(Search key)를 추출한다(단계 S609). 여기서, 이와 같은 "정보 조회용 고유키"는 사용자가 생성한 정보를 서비스 서버(120)에서 조회 가능하도록 패턴과 1:1로 매칭되는 고유의(unique) 조회용 정보이다.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 정보수신시 특정 신호의 고유한 정보를 구분하기 위해 서버에서 저장하는 임의의 고유키로서, 정보 조회용 고유키를 추출한다는 것은 push(서버로부터의 알람)를 수신한 이후 해당 고유키를 가지고 서버에 정보 조회 요청을 위해, 받은 정보 중에 해당 값을 찾는 과정을 나타낸다.
정보 조회용 고유키의 추출이 완료되면, 그 정보 조회용 고유키를 이용하여 제스처 패턴을 조회하고(단계 S610), 그를 바탕으로 제스처 패턴을 파싱 (parsing)한 후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로 다시 변환(복원)한다(단계 S611).
이후 상기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dp를 다시 픽셀(pixel)로 변환(복원)한다(단계 S612).
그런 다음, 상기 픽셀로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한다(단계 S613).
여기서, 상기 단계 S613에서의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과정은, 다음 프레임을 갖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621)와, 다음 프레임을 가지면, 그림인지를 판별하는 단계(S622) 및 그림이면 경로(path)를 추가하고(단계 S623), 그림이 아니면 포인트를 이동하여 경로를 그리는 단계(S624,S6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성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상대방(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송신자)이 보낸 특정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어, 촉감 및 감성에 기반하는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고, 웨어러블 등과 같이 입력장치가 제한된 기기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송신 단말기에서 전달하는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사용자가 생성한 패턴대로 전송할 수 있어, 종래 서비스에서 단말이나 서비스에서 고정적으로 제공되는 형태에서 더 발전하여 고객 맞춤형의(customize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동일한 패턴이나 형태로 전송할 수 있어단말기에서의 파생 서비스(예를 들면, 음악의 비트에 맞춘 진동 알림 등)를 연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송신 단말기
120, 120a, 120b: 서비스 서버
122: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130: 푸시 서버
140: 수신 단말기
150: 네트워크 장비(L4 스위치 장비 등)

Claims (10)

  1. 송신 단말기, 수신 단말기, 서비스 서버 및 푸시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거나,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 (text)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한편 상기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푸시 서버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를 생성하는 과정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 (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포팅(porting)하고,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화소 (pixel)를 dp(dip:Density-independent Pixels)로 변환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해상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 (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진동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값으로서의 패턴 아이템(pattern item)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진동 패턴 어레이(pattern array, 진동 패턴값들의 배열)를 포팅(porting)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진동 패턴 어레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진동 패턴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는,
    진동 패턴 생성시 첫 번째 진동이 울린 후 다음 진동이 울릴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 및
    진동 패턴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패턴 저장단위 (patter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시 첫 번째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된 후 다음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 및
    이미지 또는 텍스트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Gpe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는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단위로 x, y 좌표와 생성시간, 이전 좌표에 이어 그리는지, 새로 그리는지를 구분하는 정보로 구성된 저장 구조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의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e-1) 수신 단말기에 의해 푸시를 수신하여 푸시의 형태(type)가 진동 패턴인지 제스처 패턴인지 판별하는 단계;
    e-2) 상기 판별에서 진동 패턴이면, 알림 액세스로서의 "notification"을 생성하고 진동 패턴 정보를 파싱(parsing)하는 단계;
    e-3) 상기 파싱 완료 후, 수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슬립 모드(sleep mode)인지를 판별하여 는 단계;
    e-4) 판별결과 슬립 모드가 아니면, 진동 패턴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 진동 정보로 변환하고, 그 진동 정보에 따른 진동 어레이를 표출하는 단계;
    e-5) 상기 단계 e-1)의 판별에서 제스처 패턴이면, 정보 조회용 고유키 (search key)를 추출하는 단계;
    e-6) 상기 정보 조회용 고유키를 이용하여 제스처 패턴을 조회하고, 그를 바탕으로 제스처 패턴을 파싱(parsing)한 후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로 변환하는 단계;
    e-7) 상기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dp를 픽셀(pixel)로 변환하는 단계; 및
    e-8) 상기 픽셀로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8)에서의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다음 프레임을 갖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다음 프레임을 가지면, 그림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그림이면 경로(path)를 추가하고, 그림이 아니면 포인트를 이동하여 경로를 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20150123733A 2015-09-01 2015-09-0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725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33A KR101725318B1 (ko) 2015-09-01 2015-09-0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733A KR101725318B1 (ko) 2015-09-01 2015-09-0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54A KR20170027154A (ko) 2017-03-09
KR101725318B1 true KR101725318B1 (ko) 2017-04-11

Family

ID=5840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733A KR101725318B1 (ko) 2015-09-01 2015-09-01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3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1504B (zh) * 2017-12-20 2021-01-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38B1 (ko) 2007-05-02 2008-0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0952698B1 (ko) * 2008-03-10 2010-04-1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감 피드백장치를 이용한 촉감전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94214B1 (ko) 2008-09-08 2013-08-0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199701B1 (ko) * 2009-10-13 2012-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US9383820B2 (en) * 2011-06-03 2016-07-05 Apple Inc. Custom vibration patterns
KR20140020641A (ko) * 2012-08-10 2014-02-19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터치이벤트 기반의 드로잉 채팅 방법, 그리고 터치이벤트 기반의 드로잉 채팅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9671826B2 (en) 2013-11-27 2017-06-06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body-mediated digital content transfer and haptic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154A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363B1 (ko)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의 음향 관리를 위한 기술들
US11003331B2 (en) Screen capturing method and terminal, and screenshot reading method and terminal
KR102040754B1 (ko) 추천 콘텐츠에 기초한 상호작용 방법, 단말기 및 서버
KR101975431B1 (ko) 콘텐츠 항목 표시 시스템, 방법 및 기기
US9727204B2 (en) Rearranging chat messages
CN104954149B (zh) 网络会议中进行数据共享的方法、装置及系统
EP29611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voice service
US10523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etwork failure
KR20160048018A (ko) 적응적으로 작업 수행의 주체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910300B2 (ja) チャット履歴記録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チャット履歴記録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
JP6692558B2 (ja) 情報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6293738B (zh) 一种表情图像的更新方法及装置
WO2021017737A1 (zh) 消息发送方法及终端设备
KR20160015825A (ko) 통화 요청 시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WO2019076250A1 (zh) 推送消息的管理方法及相关产品
KR20190117753A (ko) 메시지 통지 방법 및 단말기
KR101876394B1 (ko) 단말기에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25318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EP2947540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ception of notification message therein
US201501731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a set of wireless interactive devices
EP263218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US20200033995A1 (en) Surface Interface
KR102263977B1 (ko)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6210325B (zh) 一种设置社交应用来电铃声的方法、装置及终端
CN106330875B (zh) 消息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