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318B1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318B1 KR101725318B1 KR1020150123733A KR20150123733A KR101725318B1 KR 101725318 B1 KR101725318 B1 KR 101725318B1 KR 1020150123733 A KR1020150123733 A KR 1020150123733A KR 20150123733 A KR20150123733 A KR 20150123733A KR 101725318 B1 KR101725318 B1 KR 101725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pattern
- pattern
- generated
- image
- tex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41 sensory perception of touc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송신 단말기에 의해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거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에 의해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한편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푸시 서버에 의해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수신 단말기에 의해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생성한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수신자에게 전송하고, 수신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 송신자가 보낸 특정 진동 패턴이나 수기 입력을 그대로 표출할 수 있어, 촉감 및 감성에 기반하는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기에서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송신 단말기에서 수기입력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수신 단말기에서 진동 및 수기입력 패턴을 수신 및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20, 120a, 120b: 서비스 서버
122: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130: 푸시 서버
140: 수신 단말기
150: 네트워크 장비(L4 스위치 장비 등)
Claims (10)
- 송신 단말기, 수신 단말기, 서비스 서버 및 푸시 서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으로서,
a)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거나,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 (text)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한편 상기 푸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d) 상기 푸시 서버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상기 수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푸시 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드로잉(drawing) 기반의 수기입력으로 특정 이미지(image) 또는 텍스트(text)를 생성하는 과정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 (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포팅(porting)하고,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화소 (pixel)를 dp(dip:Density-independent Pixels)로 변환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와 수신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과정에서의 해상도 차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터치 기반의 동작으로 특정 진동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은,
화면 터치로서의 이벤트(event)를 처리하는 수신자로서의 이벤트 리스너 (listener)에 의해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이벤트가 발생했으면,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자동으로 발송하는 송신 타이머의 작동을 시작하고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및
진동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값으로서의 패턴 아이템(pattern item)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타이머 핸들러(handler)에 의해 전송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는,
진동 패턴 어레이(pattern array, 진동 패턴값들의 배열)를 포팅(porting)하는 단계;
송신 단말기 및 수신 단말기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진동 패턴 어레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전송된 진동 패턴 어레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는,
진동 패턴 생성시 첫 번째 진동이 울린 후 다음 진동이 울릴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 및
진동 패턴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패턴 저장단위 (patter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입력정보 아이템을 추가하는 단계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생성시 첫 번째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된 후 다음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생성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인 지연 시간(delay tim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지연 시간을 바탕으로 이벤트를 구분하는 단계; 및
이미지 또는 텍스트 생성시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구조로서의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Gpen Entity)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기입력정보 저장단위는 수기입력(라이브 드로우잉)을 표현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최소단위로 x, y 좌표와 생성시간, 이전 좌표에 이어 그리는지, 새로 그리는지를 구분하는 정보로 구성된 저장 구조인,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의 상기 수신 단말기에 의해 상기 송신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진동 패턴이나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는,
e-1) 수신 단말기에 의해 푸시를 수신하여 푸시의 형태(type)가 진동 패턴인지 제스처 패턴인지 판별하는 단계;
e-2) 상기 판별에서 진동 패턴이면, 알림 액세스로서의 "notification"을 생성하고 진동 패턴 정보를 파싱(parsing)하는 단계;
e-3) 상기 파싱 완료 후, 수신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슬립 모드(sleep mode)인지를 판별하여 는 단계;
e-4) 판별결과 슬립 모드가 아니면, 진동 패턴 정보를 스마트 디바이스 진동 정보로 변환하고, 그 진동 정보에 따른 진동 어레이를 표출하는 단계;
e-5) 상기 단계 e-1)의 판별에서 제스처 패턴이면, 정보 조회용 고유키 (search key)를 추출하는 단계;
e-6) 상기 정보 조회용 고유키를 이용하여 제스처 패턴을 조회하고, 그를 바탕으로 제스처 패턴을 파싱(parsing)한 후 수기입력정보표기 어레이를 수기입력정보 어레이로 변환하는 단계;
e-7) 상기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의 dp를 픽셀(pixel)로 변환하는 단계; 및
e-8) 상기 픽셀로 변환된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8)에서의 수기입력정보 어레이 패턴을 플레이하는 단계는,
다음 프레임을 갖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다음 프레임을 가지면, 그림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그림이면 경로(path)를 추가하고, 그림이 아니면 포인트를 이동하여 경로를 그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3733A KR101725318B1 (ko) | 2015-09-01 | 2015-09-01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23733A KR101725318B1 (ko) | 2015-09-01 | 2015-09-01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7154A KR20170027154A (ko) | 2017-03-09 |
KR101725318B1 true KR101725318B1 (ko) | 2017-04-11 |
Family
ID=58402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23733A Active KR101725318B1 (ko) | 2015-09-01 | 2015-09-01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3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51504B (zh) * | 2017-12-20 | 2021-01-01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信息推送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7738B1 (ko) | 2007-05-02 | 2008-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진동 생성 방법 및 장치 |
KR100952698B1 (ko) * | 2008-03-10 | 2010-04-13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촉감 피드백장치를 이용한 촉감전달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294214B1 (ko) | 2008-09-08 | 2013-08-08 |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 상대 통화자의 감정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
KR101199701B1 (ko) * | 2009-10-13 | 2012-11-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필기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
US9383820B2 (en) * | 2011-06-03 | 2016-07-05 | Apple Inc. | Custom vibration patterns |
KR20140020641A (ko) * | 2012-08-10 | 2014-02-19 |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 터치이벤트 기반의 드로잉 채팅 방법, 그리고 터치이벤트 기반의 드로잉 채팅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US9671826B2 (en) | 2013-11-27 | 2017-06-06 | Immersion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of body-mediated digital content transfer and haptic feedback |
-
2015
- 2015-09-01 KR KR1020150123733A patent/KR101725318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7154A (ko) | 2017-03-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1363B1 (ko) |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들 및 시스템들의 음향 관리를 위한 기술들 | |
CN105230114B (zh) | 可穿戴装置和在可穿戴装置中设置通知消息的接收的方法 | |
US9727204B2 (en) | Rearranging chat messages | |
EP2961148B1 (en) | Method and device for obtaining voice service | |
JP6910300B2 (ja) | チャット履歴記録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チャット履歴記録を表示するための装置 | |
US20180309703A1 (en) | Communic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 |
JP6692558B2 (ja) | 情報を提示する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 |
CN108021642A (zh) | 应用程序推荐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 |
JP2016530818A (ja) | 通話方法、通話装置及び通話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 |
CN106293738B (zh) | 一种表情图像的更新方法及装置 | |
KR20160015825A (ko) | 통화 요청 시 콘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 |
WO2021017737A1 (zh) | 消息发送方法及终端设备 | |
CN110673770A (zh) | 消息展示方法及终端设备 | |
CN110493753B (zh) | 可穿戴装置和在可穿戴装置中设置通知消息的接收的方法 | |
CN108803961B (zh) | 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 |
KR101725318B1 (ko) |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생성 진동 패턴 또는 수기 입력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 |
KR101876394B1 (ko) | 단말기에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06330875B (zh) | 消息显示方法及装置 | |
US2015017310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a set of wireless interactive devices | |
CN107819938A (zh) | 角标配置方法、装置、移动终端及服务器 | |
US20130218997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age service in an electronic device | |
CN106210325B (zh) | 一种设置社交应用来电铃声的方法、装置及终端 | |
KR102263977B1 (ko) | 정보 제공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KR101939925B1 (ko) | 비디오 기반 체크인 방법, 단말, 서버 및 시스템 | |
CN107930126A (zh) | 游戏预约数据处理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