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797B1 -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797B1
KR101408797B1 KR1020120130926A KR20120130926A KR101408797B1 KR 101408797 B1 KR101408797 B1 KR 101408797B1 KR 1020120130926 A KR1020120130926 A KR 1020120130926A KR 20120130926 A KR20120130926 A KR 20120130926A KR 101408797 B1 KR101408797 B1 KR 101408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capsule endoscope
human body
endoscope according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4043A (ko
Inventor
서영대
김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12013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797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5Hydrogels or hydrocollo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은 촬영부와 제어부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체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제 1다공성 하이드로 젤(porous hydrogels)과 상기 제 1하이드로 젤보다 늦게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제 2하이드로 젤을 포함하는 팽창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은 소장에서 일차적인 팽창에 의한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장에서의 병변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대장에서는 이차적으로 팽창부의 팽창이 이루어져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대장 내부의 병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대장 내시경을 사용하지 않고 소장과 대장에 대한 연속적인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Capsule endoscop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 내부의 소장과 대장에 대한 병변 촬영을 가능하도록 하는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장치는 인체 내부의 질병 유무를 직접 촬영하기 위한 의료장치이다. 그리고 캡슐 내시경은 환자가 구강을 통하여 삼키면 인체 내부의 식도, 위장, 소장 그리고 대장을 차례로 순항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은 RF 통신 및 인체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외부의 수신기로 촬영한 영상을 전송하는 것이다.
캡슐 내시경은 제한적인 직경으로 인하여 식도, 위장 및 대장에 대한 촬영에는 정밀한 영상 제공이 어렵고, 주로 소장에서의 병변 확인을 위한 영상 촬영에 주로 사용된다. 캡슐 내시경의 활용성의 제한은 캡슐 내시경이 대장에서의 촬영 자세 유지가 곤란하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캡슐 내시경의 직경이 대장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이다.
반면에 캡슐 내시경의 직경을 크게 제조하게 되면 구강을 통한 삽입에도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장에서의 이동에도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캡슐 내시경은 소장의 연동 운동에 의한 이동에 적당한 크기 이상으로 직경을 확장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한편, 캡슐 내시경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풍선을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의 자세를 유지시키는 기술이 공개되었다. 이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6-0013918", "다목적 캡슐형 내시경"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에서는 직경이 큰 장기 내부를 이동하는 경우, 캡슐 내시경이 장기의 일부면에 치우쳐 이동하지 않고, 중심 부분에 위치하여 효율적인 촬영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풍선을 구비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국공개특허는 풍선을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함께 팽창한 풍선이 인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풍선 수축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캡슐 내시경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번호 "10-2006-0013918", 다목적 캡슐형 내시경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장기 내부에서 자동적으로 2단 팽창하여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소장 및 대장에서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고, 촬영 후에 자동적으로 수축하도록 하는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은 촬영부와 제어부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체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제 1하이드로 젤(porous hydrogels)과 상기 제 1하이드로 젤보다 늦게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제 2하이드로 젤을 포함하는 팽창부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제 2하이드로 젤이 섞여서 저장되는 팽창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백은 가교가 분리된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백은 상기 몸체에 인접하는 젤라틴 캡슐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 캡슐의 외면은 유드라짓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 젤의 가교는 알긴산(Alginate)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제 1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팽창부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이 접촉하도록 된 축형태의 제 2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은 촬영부와 제어부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체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 가교가 분리되는 제 1하이드로 젤과 제 2하이드로 젤을 포함하는 팽창부를 구비하고, 인체의 경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인체 내부의 수분을 제 1하이드로 젤과 제 2하이드로 젤이 흡수하여 팽창하되,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은 시간차를 두고 팽창하여 촬영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인체 내부에서 상기 가교가 분리되어 상기 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팽창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하이드로 젤이 저장되는 팽창백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백은 수분이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로 흡수되도록 하고, 가교가 분리된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백은 상기 몸체에 인접하는 젤라틴 캡슐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젤라틴 캡슐의 외면은 유드라짓 코팅되어 상기 인체의 소장에서 상기 유드라짓 코팅이 제거되어 수분이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 젤의 가교는 알긴산(Alginate)일 수 있다.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제 1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팽창부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들이 접촉하도록 된 축형태의 제 2전극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은 소장에서 일차적인 팽창에 의한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소장에서의 병변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대장에서는 이차적으로 팽창부의 팽창이 이루어져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대장 내부의 병변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대장 내시경을 사용하지 않고 소장과 대장에 대한 연속적인 내시경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 ~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팽창부의 팽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은 몸체(100)와 팽창부(200)로 구비된다. 몸체(100)의 전단부에는 투명돔(110)이 위치한다. 투명돔(110)의 내측에는 촬영부(120)가 위치한다.
촬영부(120)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로 실시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 주변에는 조명(130)이 설치된다. 조명(130)은 발광소자로 실시될 수 있다.
몸체(100) 내부 일측에는 제어부(140)가 구비된다. 제어부(140)에는 이미지 센서와 발광소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와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과 통신 회로로 구성된 무선 통신부가 집적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100) 내부의 타측에는 배터리(150)가 설치된다. 배터리(150)는 촬영부(120)와 조명(130) 그리고 제어부(140)로 전력을 공급한다.
무선 통신을 위하여 몸체(100)의 외면에는 외부로 노출된 제 1전극(160)(또는 제 1안테나)이 구비되고, 몸체(100)의 후단 중앙부에는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축 형태의 제 2전극(170)(또는 제 2안테나)이 구비된다. 이 제 1전극(160)과 제 2전극(170)은 몸체(100) 내부의 무선 통신부에 연결된다.
제 1전극(160)과 제 2전극(170) 중의 어느 하나의 전극은 송신부로 동작을 하여 배터리(150)에서 제공된 전기신호를 제어부(140)의 무선 통신부에서 변조하여 인체를 따라 전송하면 인체 외부에 구비된 수신기에서 이 변조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전극은 인체를 통하여 전기신호가 전송되도록 폐루프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제 1전극(160)과 제 2전극(170)은 무선 주파수 통신으로 인체 외부의 수신기와 원격 통신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팽창부(200)는 몸체(100)의 후방에 설치된다. 팽창부(200)의 전체적인 외형은 몸체(100)의 외경과 균일한 타원형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전극(170)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팽창부(200)는 제 2전극(170)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개의 미립자 형태로 배치된 제 1하이드로 젤(210)과 제 2하이드로 젤(211)을 구비하고, 이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이 내부에 담겨지도록 하며 몸체(100)의 후단에 결합된 팽창백(220)과, 팽창백(220)의 외면에 팽창부(200)의 외형을 이루도록 된 젤라틴 캡슐(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젤라틴 캡슐(230)의 외면에는 유드라짓(Eudragit) 코팅층(240)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팽창부(200)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은 알긴산(Alginate)을 가교제(cross-linking agent)로 하여 형성된 것이 실시될 수 있다.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은 다양한 크기의 다공성 공극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느린 팽윤 거동(Swelling behavior)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고분자 매트릭스를 통하여 물 분자가 확산되어 장시간의 팽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비공극 구조(non-porous)의 하이드로 젤(210)로 실시될 수 있다.
반면에 빠른 팽윤 거동이 선택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팽윤 거동 시간에 따라 공극의 크기를 다르게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공극의 크기는 10 ∼100 nm 크기의 공극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 공극구조(microporous), 100∼1000 nm의 메조 공극 구조(mesoporous), 1∼100 μm의 매크로 공극구조(macroporous) 등이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온도에 반응하여 팽윤 거동이 이루어지는 온도 응답성 하이드로 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하이드로 젤(210)은 제 2하이드로 젤(211)에 비하여 빠른 팽윤 거동이 가능하게 제조된 것으로 실시하여 제 1하이드로 젤(210)과 제 2하이드로 젤(211)의 팽윤거동 시점이 서로 다르게 구현한다.
한편,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 입자들의 가교를 위한 가교제로 사용되는 알긴산은 생체 내부의 분해효소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다. 알긴산은 자연산 다당류로써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고 독성이 매우 낮으며, 매우 쉽게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을 생성시킬 수 있다. 알긴산은 소정 시간 동안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의 가교 상태를 유지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는 가교가 분리되어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이 분해되도록 한다. 이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은 인체에 무해하므로 분해되어 체내의 소화기관에 일정 시간 체류하더라도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알긴산을 가교제로 하는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의 제조 방법은 알긴산 수용액과 2가 양이온 수용액을 혼합하여 형성하는 이온 가교(ion cross-linking)로 실시될 수 이으며, 그 외에 다른 실시예로 공유 가교(covalent cross-linking), 광 가교(photo cross-linking), 세포 가교(cell cross-linking) 등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은 가교의 방법에 따른 분해시간의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제 1하이드로 젤(210)이 제 2하이드로 젤(211)에 비하여 보다 늦게 가교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대장에서는 제 1, 2하이드로 젤(210)(211)가 모두 팽창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넓은 직경의 인체 장기 내부에서의 캡슐 내시경의 자세 유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백(220)은 다공성(220a) 섬유질 재질로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의료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거즈(gauze)를 개량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팽창백(220)의 가장자리 부분은 몸체(100)의 후단 외주 부분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하이드로 젤(210)이 팽창백(220)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젤라틴 캡슐(230) 내부에 구겨 넣어진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팽창백(220)은 자체 신축성을 가지는 다공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팽창백(220)에 형성되는 다공(220a)은 가교가 분해된 하이드로 젤(210)들이 팽창백(22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팽창부(200)의 수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유드라짓으로 외면이 코팅된 젤라틴 캡슐(230)은 팽창백(220)의 외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캡슐 내시경이 경구를 통하여 투입되어 위장을 거쳐 소장에 이르게 되면 유드라짓 코팅층(240)은 소장의 수소 이온화 농도(pH)에 의하여 분해되어 젤라틴 캡슐(230)의 표면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젤라틴 캡슐(230)은 물에 노출되어 녹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팽창백(220)의 외면을 노출시킨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의 소장의 수소 이온화 농도는 pH5 ~pH7 정도이고, 소장 이전의 소화기관인 위장의 수소 이온화 농도는 pH 1 ~ pH3.5 정도이다. 따라서 유드라짓 코팅층(240)은 pH 5 이상에서 용해되도록 한다. 이러한 pH 의존형 유드라짓 계열 고분자의 제조는 아크릴레이트(acrylate)와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공중합체의 중합물질의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유드라짓 코팅층(240)을 반복적으로 코팅하여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팽창백(220)이 노출되는 시간을 사전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동작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의 팽창부의 팽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캡슐 내시경은 조명(130)과 카메라의 동작이 시작된 상태에서 경구를 통하여 인체 내부로 투입된다. 인체 내부로 투입된 캡슐 내시경은 그 순간부터 촬영을 시작하여 영상 이미지를 제 1전극(160) 또는 제 2전극(170)을 통하여 인체 외부로 전송한다. 캡슐 내시경의 통신 방법은 인체 통신 또는 RF 통신 등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경구를 통하여 투입된 캡슐 내시경은 위장을 거쳐 소장으로 순항한다. 소장은 십이지장과 공장 그리고 화장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캡슐 내시경은 연동운동에 의하여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화장을 차례로 순항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소장의 각 장기들을 구분하지 않고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내시경이 소장(300)으로 진입하면 소장(300)의 연동운동으로 이동하면서 소장(300)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캡슐 내시경의 외경은 팽창부(200)의 팽창 없이도 소장(300)에서 연동운동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캡슐 내시경의 몸체(100)는 소장(300)에서 안정적인 촬영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캡슐 내시경은 소장(300)에서 팽창부(200)의 동작 없이도 양호한 병변 촬영이 가능하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내시경이 소장(300)에서 이동하면서 캡슐 내시경의 팽창부(200)의 최외각에 코팅된 유드라짓 코팅층(240)은 서서히 용해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유드라짓 코팅층(240)은 pH 5 이상에서 용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소장(300)에 캡슐 내시경이 진입하면 이때부터 용해가 시작된다.
그리고 유드라짓 코팅층(240)이 용해되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젤라틴 캡슐(230)이 소장(300) 내부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젤라틴 캡슐(230)이 용해되기 시작한다. 유드라짓 코팅층(240)과 젤라틴 캡슐(230)은 소장(300) 내부에서 완전한 용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젤라틴 캡슐(230)이 용해되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장(300)에서 제 1하이드로 젤(210)이 수분 흡수를 시작하여 팽창한다.
이후 도 3e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 내시경이 대장(400)에 도달하게 되면 캡슐 내시경의 이동은 대장(400)의 내면에 밀착된 팽창부(200)가 대장의 연동운동으로 이동함에 따라 진행된다. 그리고 소장(300)에서 캡슐 내시경의 팽창부(200)에 구비된 제 1하이드로 젤(210)은 소장(300)에서 대부분의 수분을 흡수하여 이미 팽윤한 상태로 대장(400)에 진입할 수 있고, 제 2하이드로 젤(211)은 대장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2차적으로 팽창한다.
캡슐 내시경의 촬영부(120)는 캡슐 내시경의 몸체(100)가 대장(400) 내부에서 촬영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대장(400) 내부에 대한 연속적이고, 안정적인 영상 쵤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대장(400)에서 촬영부(120)의 촬영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팽창부(200)가 팽창하여 대장(400) 내벽에 팽창부(200)가 지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팽윤한 제 1, 제 2하이드로 젤(210)(211)들에 감싸여진 제 2전극(170)이 몸체(100)를 받쳐 지지하는 축으로 기능하여 몸체(100)의 촬영 자세 유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보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3f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윤한 제 1, 제 2하이드로 젤(210)(211)은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점차 가교가 분리되면서 작은 입자 형태로 분해된다. 그리고 이 분해된 입자들은 팽창백(220)의 다공(220a)을 통하여 팽창백(220)의 외부로 배출되고, 팽창백(220)의 외부로 배출된 하이드로 젤 입자들은 대장(400) 내부로 방출된 후 인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팽창부(200)가 수축된 캡슐 내시경은 인체 외부로 배변과 함께 배출된다.
한편, 캡슐 내시경의 팽창부(200)가 직장이나 항문관 인근에서 수축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인체 외부로 배출이 지체되거나 또는 다른 원인으로 신속하게 캡슐 내시경이 대장에서 배출되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캡슐 내시경의 제 2전극(170)에 배터리(150)에 잔존하는 전력을 방전시켜 제 2전극(170)을 소정온도로 히팅하여 하이드로 젤(210)의 가교 분리를 촉진시킴으로써 팽창부(200)의 수축을 가속화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에 부가적인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에 구비되는 전력 제어 회로를 일부 변경함으로써 이러한 방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은 소장(300)에서 1차적인 팽창으로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촬영을 수행하고, 또한 대장(400)에서는 팽창부(200)의 이차적인 팽창에 의하여 촬영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대장 내시경을 사용하지 않고 소장과 대장에 대한 연속적인 내시경 검사가 가능하여 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내시경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을 설명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며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00...몸체
110...투명돔
120...촬영부
130...조명
140...제어부
150...배터리
160...제 1전극
170...제 2전극
200...팽창부
210...하이드로 젤
220...팽창백
230...젤라틴 캡슐
240...유드라짓 코팅층

Claims (12)

  1. 촬영부와 제어부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체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제 1 하이드로 젤(porous hydrogels)과 상기 제 1하이드로 젤보다 늦게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제 2하이드로 젤을 포함하는 팽창부를 구비하는 캡슐 내시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제 2하이드로 젤이 섞여서 저장되는 팽창백을 포함하는 캡슐 내시경.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백은 가교가 분리된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되는 캡슐 내시경.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백은 상기 몸체에 인접하는 젤라틴 캡슐의 내부에 위치하는 캡슐 내시경.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젤라틴 캡슐의 외면은 유드라짓 코팅된 캡슐 내시경.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의 가교는 알긴산(Alginate)인 캡슐 내시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제 1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팽창부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이 접촉하도록 된 축형태의 제 2전극이 구비되는 캡슐 내시경.
  8. 촬영부와 제어부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인체 내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소정 시간 이후에 가교가 분리되는 제 1하이드로 젤과 제 2하이드로 젤을 포함하는 팽창부를 구비하는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체의 경구를 통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인체 내부의 수분을 제 1하이드로 젤과 제 2하이드로 젤이 흡수하여 팽창하되,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은 시간차를 두고 팽창하여 촬영 자세를 유지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이후에 상기 인체 내부에서 상기 가교가 분리되어 상기 인체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하이드로 젤이 저장되는 팽창백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백은 수분이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로 흡수되도록 하고, 가교가 분리된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되는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백은 상기 몸체에 인접하는 젤라틴 캡슐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젤라틴 캡슐의 외면은 유드라짓 코팅되어 상기 인체의 소장에서 상기 유드라짓 코팅이 제거되어 수분이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에 흡수되도록 하는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의 가교는 알긴산(Alginate)인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제 1전극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상기 팽창부 측으로 연장되어 외주에 상기 제 1하이드로 젤과 상기 제 2하이드로 젤들이 접촉하도록 된 축형태의 제 2전극이 구비되는 캡슐 내시경의 동작 방법.
KR1020120130926A 2012-11-19 2012-11-19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KR101408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926A KR101408797B1 (ko) 2012-11-19 2012-11-19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926A KR101408797B1 (ko) 2012-11-19 2012-11-19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43A KR20140064043A (ko) 2014-05-28
KR101408797B1 true KR101408797B1 (ko) 2014-06-19

Family

ID=5089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926A KR101408797B1 (ko) 2012-11-19 2012-11-19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3076B (zh) * 2018-05-11 2023-10-24 苏州市启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动胶囊胃镜及其控制方法
WO2020009253A1 (ko) * 2018-07-03 2020-01-09 (주) 디오스파마 캡슐형 내시경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9748B1 (ko) * 2020-07-13 2022-03-2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진단캡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361A (ja) * 2004-10-08 2006-04-20 Olympus Corp 体内医療装置
JP2010005442A (ja) * 2001-05-20 2010-01-14 Given Imaging Ltd 生体内画像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05442A (ja) * 2001-05-20 2010-01-14 Given Imaging Ltd 生体内画像化装置
JP2006102361A (ja) * 2004-10-08 2006-04-20 Olympus Corp 体内医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043A (ko) 2014-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63839B2 (ja) マイクロカプセル型ロボット及び内視鏡システム
CN101686797B (zh) 胶囊型医疗装置
JP4744026B2 (ja) カプセル内視鏡および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USRE48181E1 (en) Capsule device having variable specific gravity
US20030216622A1 (en) Device and method for orienting a device in vivo
US74850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vivo sensing
US8287902B2 (en) Enhanced-diffusion capsule
Gong et al. Wireless endoscopy
US8257257B2 (en) Capsule type medical device
US20070249900A1 (en) In vivo device with balloon stabilizer and valve
CN100594837C (zh) 囊型医疗装置
KR101408797B1 (ko)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ES2268612T3 (es) Dispositivo obturador con memoria de forma.
CN107296584B (zh) 可操控的新型胶囊内镜
CA2534118A1 (en) Pyloric valve obstructing devices and methods
JP4526253B2 (ja) 体内観察装置
US20110245611A1 (en) Expandable capsule endoscope and expandable capsule endoscopy system
WO2016088427A1 (ja) 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及びカプセル型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
WO2020035857A1 (en) Expandable drug delivery pill
CN113951808A (zh) 非磁控胶囊内窥镜胃部图像采集方法、装置和系统
JP2009095377A (ja) カプセル型医療機器の動作切替機構
Filip et al. Design, implementation, and testing of a miniature self-stabilizing capsule endoscope with wireless image transmission capabilities
KR100615882B1 (ko) 다목적 캡슐형 내시경
KR20180094377A (ko) 캡슐형 내시경
CN219962826U (zh) 一种气囊膨出式磁控胶囊内镜装置及内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