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377A - 캡슐형 내시경 - Google Patents

캡슐형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377A
KR20180094377A KR1020170020616A KR20170020616A KR20180094377A KR 20180094377 A KR20180094377 A KR 20180094377A KR 1020170020616 A KR1020170020616 A KR 1020170020616A KR 20170020616 A KR20170020616 A KR 20170020616A KR 20180094377 A KR20180094377 A KR 20180094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ge intestine
module
expansion
battery module
body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Original Assignee
김지훈
(주) 디오스파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훈, (주) 디오스파마 filed Critical 김지훈
Priority to KR1020170020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4377A/ko
Publication of KR20180094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1Manufacturing of endoscop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의 일 양태는,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결합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캡슐형 내시경{CAPSULE ENDOSCOPE}
본 발명은 캡슐형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주로 의학적 목적으로 위장, 대장이나 소장과 같은 인체의 소화계통을 촬영하기 위한 의료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검사자의 입이나 항문을 통하여 삽입되는 케이블의 선단에 장착되는 카메라가 위장이나 대장과 같은 소화계통을 촬영하므로, 촬영이 가능한 범위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삽입 과정에서 검사자의 고통을 초래하거나,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검사자를 마취한 후 내시경이 이루어지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의 소화계통을 따라서 이동하는 캡슐형 내시경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소장의 직경은 약 2~4cm인 반면에 대장의 직경은 최대 약 5~8cm이다 따라서 소장에서의 장운동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캡슐형 내시경을 설계하면, 대장에서는 캡슐형 내시경의 이동이 불가능한 단점이 발생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84542호(이하, '선행특허문헌'이라 칭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캡슐형 내시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선행특허문헌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상대적으로 pH가 높은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캡슐막(140)이 녹아서 제거되면, 부피팽창물질(131)이 팽창함으로써,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캡슐형 내시경이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먼저, 종래에는, 캡슐막(140)으로 젤라틴(141)을 사용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젤라틴은, 동물의 피부, 뼈 및 근육조직으로부터 추출된다. 따라서 질병 등에 의하여 오염된 동물의 피부 등으로부터 추출된 젤라틴을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위해가 가해질 우려가 있다. 특히, 최근에 우려되는 광우병(BSE,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에 감염된 소의 피부 등으로부터 추출된 젤라틴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의하여 전염성해면상뇌증(TSE ; 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등에 감염될 우려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에는, 부피팽창물질(131)로서 하이드로-젤(Hydro-Gel) 성분, 예를 들면, 에보닉(Econik)사의 Favor PAC 300 제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런데 Favor PAC 300 제품은, 고흡수성 폴리머로써,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과 폴리비닐아민(polyvinylamine, PVA)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고흡수성 폴리머의 경우에는, 특정 pH, 예를 들면, 알칼리성 pH 조건에서 팽창이 잘 이루어진다. 그런데 대장의 pH는 섭취한 음식물의 종류나 사람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으므로, 부피팽창물질(131)이 대장의 pH에 따라서 설계된 부피만큼 팽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부피팽창물질(131)이 내장되는 외피막(130)이 다공성의 종이 재질로 성형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대장이 아닌 다른 소화계통, 예를 들면, 소장 등에서 캡슐막(140)이 녹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도, 체액에 의한 부피팽창물질(131)의 일부 팽창에 의하여 외피막(130)이 제거됨으로써, 실질적으로 부피팽창물질(131)이 불필요하게 팽창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부피팽창물질(131)이 하우징(120)의 일단에만 구비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캡슐형 내시경이 대장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광학 돔(110) 부분이 부피팽창물질(131)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정확한 촬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우려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84542호(명칭: 캡슐 내시경)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유해성이 저감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캡슐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장 내에서의 정확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캡슐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장 이외의 소화계통에서의 팽창 부재의 팽창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캡슐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캡슐형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의 일 양태는,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결합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제1 및 제2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촬영 모듈 사이에 각각 결합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한쌍의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촬영 모듈 사이에 각각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촬영 모듈은, 상기 팽창 모듈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결합되는 더미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촬영 모듈 및 더미 모듈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한쌍의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촬영 모듈 및 더미 모듈 사이에 각각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각각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촬영 모듈 및 더미 모듈은, 상기 팽창 모듈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이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양태에서, 상기 외피 부재는, 대장의 체액의 pH에 대응하는 pH의 액체에 의하여 녹아서 제거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또는 무수인산칼슘(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ADCP)이 첨가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스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팽창 부재는, 다수개의 압축된 셀룰로스 펠릿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 양태에서, 상기 내피 부재는, 상기 팽창 부재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고, 상기 팽창 부재의 팽창에 의하여 기설정된 압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파쇄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재질의 매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장의 pH에 대응하는 pH의 수분에 의하여 녹는 외피 부재로 인체에 무해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또는 무수인산칼슘(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ADCP)이 첨가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장의 내부에서 외피 부재가 녹더라도 이에 의한 인체의 오염이나 질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장에서 팽창하는 팽창 부재로 다수개의 압축된 셀룰로스 펠릿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pH와 무관하게 외피 부재가 대장의 pH에 대응하는 pH에 의하여 녹아서 제거되면 설계된 부피만큼의 팽창 부재의 팽창이 이루어짐으로써, 실질적으로 대장 내에서의 캡슐형 내시경의 정확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팽창 부재가 내장되는 내피 부재가, 대장의 체액의 pH에 대응하는 pH의 액체에 의하여 팽창 부재가 팽창하여 기설정된 압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만 파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피 부재가 대장 이외의 소화계통에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팽창 모듈이 양단부, 즉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및 더미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팽창 모듈의 팽창에 의하여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 및 더미 모듈이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지점에서 대장과 접촉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대장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촬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대장으로 이동하게 전까지는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좁은 직경의 소장 등에서의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서 팽창 모듈의 팽창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서 팽창 모듈의 팽창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서 팽창 모듈의 팽창 과정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서 팽창 모듈의 팽창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1)은, 소화계통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소화계통을 촬영하는 것으로, 특히, 소장과 대장의 직경차를 고려하여, 소장 뿐만 아니라 대장에서도 장운동에 의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시경(1)은, 배터리 모듈(101), 카메라 모듈(201) 및 팽창 모듈(301)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터리 모듈(101)은, 상기 카메라 모듈(201)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01)은, 상기 카메라 모듈(201)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배터리 모듈(101)은, 배터리가 하우징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01)은, 상기 배터리 모듈(101)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 실질적으로 상기 캡슐형 내시경(1)이 이동하는 소화계통의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을 위한 조명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201)은, 예를 들면, 촬영을 위한 카메라 유닛 및 조명을 위한 조명 유닛이 실장되는 기판이 하우징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01)은, 상기 배터리 모듈(101)의 일단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팽창 모듈(301)은, 상기 캡슐형 내시경(1)이 소장에서 대장으로 이동하면,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여 대장의 내벽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캡슐형 내시경(1)이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팽창 모듈(301)은, 상기 배터리 모듈(101)의 타단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팽창 모듈(301)이, 외피 부재(310), 내피 부재(320) 및 팽창 부재(33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외피 부재(310)는, 상기 배터리 모듈(101)의 타단에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외피 부재(310)는, 대장의 체액의 pH에 대응하는 pH의 액체, 실질적으로는, 대장의 내부에서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녹아서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피 부재(310)가,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또는 무수인산칼슘(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ADCP)이 첨가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스로 형성된다. 따라서 동물의 피부, 뼈 및 근육조직으로부터 추출됨으로써, 동물의 질병 등에 의하여 오염 가능한 젤라틴을 사용함으로써 우려되는 인체에 대한 위해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피 부재(320)는, 상기 외피 부재(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내피 부재(320)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매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피 부재(320)가,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팽창하는 상기 팽창 부재(330)에 의하여 기설정된 압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파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대장이 아닌 다른 소화계통, 예를 들면, 대장의 체액이 아니라 소장의 체액 등에 의하여 상기 외피 부재(310)가 손상되거나 녹아서 상기 외피 부재(310)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제거되더라도, 팽창하는 상기 팽창 부재(300)에 의하여 기설정된 압력이 상기 내피 부재(320)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팽창 부재(330)가 기설정된 부피만큼 팽창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내피 부재(320)에 의하여 상기 팽창 부재(330)의 팽창이 제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피 부재(310)의 비정상적인 일부 제거가 발생하여 상기 팽창 부재(330)가 대장이 아닌 다른 소화계통에서 그 내부의 체액과 접촉하더라도, 상기 팽창 부재(330)의 팽창이 상기 내피 부재(320)에 의하여 방지된다.
한편 상기 팽창 부재(330)는, 상기 내피 부재(320)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310)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320)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팽창 부재(330)가, 다수개의 압축된 셀룰로스 펠릿을 포함한다. 그런데 압축된 셀룰로스 펠릿은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일단 상기 외피 부재(310)가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녹아서 제거되면, 대장의 체액의 pH와 무관하게 상기 팽창 부재(330)가 체액을 흡수하면 기설정된 부피로 팽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부재(330)의 팽창되는 부피는, 셀룰로스 펠릿의 압축 정도 또는/및 개수에 의하여 조절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피 부재(310)만 특정 pH의 액체, 즉 대장의 체액의 pH의 액체에 의하여 녹아서 제거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외피 부재(310)가 녹아서 제거되면, 상기 팽창 부재(330)가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팽창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서 팽창 모듈의 팽창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2)은, 배터리 모듈(102),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202A)(202B) 및 한쌍의 팽창 모듈(302)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102),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202A)(202B) 및 팽창 모듈(302)의 개별적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1), 카메라 모듈(201) 및 팽창 모듈(301)과 동일할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202A)(202B)이 상기 배터리 모듈(10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캡슐형 내시경(2)이 대장을 따라서 이동하는 과정에서, 양방향으로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팽창 모듈(302)은, 상기 배터리 모듈(102)과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202A)(202B) 사이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팽창 모듈(302)에 의하여 적어도 2개의 지점에서 대장의 내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캡슐형 내시경(2)의 보다 안정적인 이동 및 이에 따른 촬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기 제1 및 제2카메라 모듈(202A)(202B)이 상기 팽창 모듈(302)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02)에 대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팽창 모듈(302)이 팽창하기 전에는 상기 캡슐형 내시경(2)의 전체 길이를 최소화하면서, 상기 팽창 모듈(302)이 팽창하면 대장의 내벽과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대적으로 직경이 좁은 소장 등에서는, 길이가 상기 캡슐형 내시경(2)의 길이가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에서 팽창 모듈의 팽창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캡슐형 내시경(3)은, 배터리 모듈(103), 카메라 모듈(203A), 더미 모듈(203B) 및 한쌍의 팽창 모듈(303)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103), 카메라 모듈(203A) 및 팽창 모듈(303)의 개별적인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배터리 모듈(102), 제1카메라 모듈(202A) 및 팽창 모듈(302)과 동일할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카메라 모듈(202B)이 상기 더미 모듈(203B)로 치환된다. 다시 말하면, 제조 원가 등을 고려하여 대장에서의 이동 방향으로 후방으로의 촬영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카메라가 삭제되는 상기 더미 모듈(203B)이 상기 배터리 모듈(103)의 타단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203A) 및 더미 모듈(203B)이 상기 팽창 모듈(303)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103)에 대하여 이동한다. 도 3에는, 상기 더미 모듈(203B)이, 상기 배터리 모듈(103)과 동일한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배터리 모듈(103)과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배터리 모듈 201: 카메라 모듈
301: 팽창 모듈 310: 외피 부재
320: 내피 부재 330: 팽창 부재

Claims (8)

  1.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결합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포함하는 캡슐형 내시경.
  2.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제1 및 제2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촬영 모듈 사이에 각각 결합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한쌍의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촬영 모듈 사이에 각각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각각 포함하는 캡슐형 내시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촬영 모듈은, 상기 팽창 모듈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이동하는 캡슐형 내시경.
  4. 대장의 장운동에 의하여 대장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조직을 촬영하는 캡슐형 내시경에 있어서: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배터리 모듈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서 외부를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의 타단에 결합되는 더미 모듈;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촬영 모듈 및 더미 모듈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한쌍의 팽창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모듈은,
    상기 배터리 모듈과 상기 촬영 모듈 및 더미 모듈 사이에 각각 고정되고, 대장의 체액에 의하여 제거되는 외피 부재;
    상기 외피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는 내피 부재; 및
    상기 내피 부재에 내장되고, 상기 외피 부재가 제거되면 상기 내피 부재를 통하여 전달되는 대장의 체액을 흡수하여 그 부피가 팽창하는 셀룰로스 재질로 형성되는 팽창 부재; 를 각각 포함하는 캡슐형 내시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듈 및 더미 모듈은, 상기 팽창 모듈의 팽창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에 대하여 이동하는 캡슐형 내시경.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부재는, 대장의 체액의 pH에 대응하는 pH의 액체에 의하여 녹아서 제거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또는 무수인산칼슘(Anhydrous Dibasic Calcium Phosphate, ADCP)이 첨가된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루로스로 형성되는 캡슐형 내시경.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부재는, 다수개의 압축된 셀룰로스 펠릿을 포함하는 캡슐형 내시경.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 부재는, 상기 팽창 부재로 대장의 체액을 전달하고, 상기 팽창 부재의 팽창에 의하여 기설정된 압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파쇄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 재질의 매시 형상으로 형성되는 캡슐형 내시경.
KR1020170020616A 2017-02-15 2017-02-15 캡슐형 내시경 KR20180094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16A KR20180094377A (ko) 2017-02-15 2017-02-15 캡슐형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616A KR20180094377A (ko) 2017-02-15 2017-02-15 캡슐형 내시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377A true KR20180094377A (ko) 2018-08-23

Family

ID=6345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616A KR20180094377A (ko) 2017-02-15 2017-02-15 캡슐형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43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163A (ko) 2019-02-19 2020-08-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관 내 재구성이 가능한 모듈형 캡슐내시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42B1 (ko) 2014-05-15 2016-01-13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542B1 (ko) 2014-05-15 2016-01-13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캡슐 내시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163A (ko) 2019-02-19 2020-08-2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기관 내 재구성이 가능한 모듈형 캡슐내시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1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narrow body lumen
US748509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vivo sensing
US20030216622A1 (en) Device and method for orienting a device in vivo
JP4744026B2 (ja) カプセル内視鏡および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US20070249900A1 (en) In vivo device with balloon stabilizer and valve
CN101686797B (zh) 胶囊型医疗装置
US20080177141A1 (en) Memory-type two-section endoscopic system
US200702550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 vivo imager with stabilizer
CN100367904C (zh) 内视镜装置
JP2004329292A (ja) 小型撮影装置
JP2004000440A (ja) マイクロカプセル型ロボット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4526253B2 (ja) 体内観察装置
US10674899B2 (en) Capsule enteric coating for controlling balloon expansion start time
JP2007190361A (ja) カプセル型医療装置
EP1723896A1 (en) Device being introduced into subject body
CN109171618A (zh) 一种可释放药物的胶囊式内窥镜
KR20180094377A (ko) 캡슐형 내시경
US7727169B1 (en) Device for in vivo sensing
CN110448343A (zh) 上消化道细胞采集装置
US20080167521A1 (en) Method of in vivo monitoring using an imaging system including scanned beam imaging unit
CN107713967A (zh) 一种胶囊型内窥镜的封装体
US20200253462A1 (en) Capsule Enteric Coating for Controlling Balloon Expansion Start Time
US20090099419A1 (en) Switching mechanism for swallowable medical device
WO2020009253A1 (ko) 캡슐형 내시경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4043A (ko) 캡슐 내시경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