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769B1 -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769B1
KR101407769B1 KR1020110086918A KR20110086918A KR101407769B1 KR 101407769 B1 KR101407769 B1 KR 101407769B1 KR 1020110086918 A KR1020110086918 A KR 1020110086918A KR 20110086918 A KR20110086918 A KR 20110086918A KR 101407769 B1 KR101407769 B1 KR 101407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scrim
para
aramid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6515A (ko
Inventor
한인식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769B1/ko
Publication of KR2013002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04H1/4342Aromatic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entanglement by fluid je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nsolida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생산성 향상 및 비용 절감을 이룰 수 있는 아라미드 펄프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아라미드 펄프 제조방법은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사도프를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extruding)시키는 단계; 멀티필라멘트 형성을 위하여 상기 토출된 방사도프를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멀티필라멘트를 수세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멀티필라멘트를 반건조(semi-drying)시키는 단계; 상기 반건조된 멀티필라멘트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단계; 단섬유들의 형성을 위해 상기 크랙을 갖는 멀티필라멘트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섬유들을 고해(refin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Heat-Resistant Stacked Composite and System for Conveying Extruded Produc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가지며 고온의 압출 성형 제품의 형태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성 복합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압출 성형 공정에 있어서 고온의 압출 성형 제품을 받아 이를 운반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설비에 사용되는 내열성 패드는 (1) 약 500℃ 이상의 고온을 견딜 수 있는 높은 내열성을 가져야 하고, (2) 압출 성형 제품의 표면에 흠집을 내지 말아야 하고, (3) 압출 성형 제품에 의해 자국이 형성되지 않도록 높은 치수안정성을 가져야 하고, (4) 압출 성형 제품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당한 마찰계수를 가져야 하고, (5) 낮은 열전도성을 가져야 하고, (6) 낮은 흡수성(hydroscopic property)을 가져야 하며, (7) 충분한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내열성 패드의 한 종류로서 석면 또는 유리섬유로 형성된 직물이 금속재와 결합된 복합체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합체는 유연성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성형 제품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 복합체는 성형 제품의 가장자리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기 쉽고 미분을 발생시켜 작업 환경을 열악하게 만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테프론 수지로 제조된 패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테프론 수지로 제조된 패드는 낮은 내마모성을 갖기 때문에 성형 제품에 의해 손상될 위험이 크고, 상기 패드의 낮은 마찰계수는 성형 제품의 운반을 곤란하게 만든다. 더욱이, 테프론 수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융점을 갖기 때문에 고온의 성형 제품에 의해 녹아 그것에 달라붙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미국특허 제4,529,644호는 탄소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가 혼합되어 형성된 층 여러 개를 적층한 후 니들 펀칭을 통해 서로 결합시킨 내열성 패드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니들 펀칭 공정 중에 무기 섬유인 탄소 섬유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탄소 섬유의 고강도로 인해 니들의 마모가 쉽게 야기되어 잦은 설비의 교체 및 수리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특허출원번호 평6-124673호는 세라믹 섬유와 아라미드 섬유의 복합체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것도 복수 개의 층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니들 펀칭 공정이 수행될 때 무기 섬유인 세라믹 섬유가 부서지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갖는 내열성 복합 적층체를 높은 수율로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우수한 내열성 및 치수안정성을 가지며 고온의 압출 성형 제품의 형태 왜곡을 방지할 수 있는 내열성 복합직물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될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그러한 기술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학습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은 물론이고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된 구조에 의해 실현되고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으로서, 제1 유기섬유를 포함하는 제1 웹, 제2 유기섬유를 포함하는 제2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웹들과 결합되어 있는 스크림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림은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성형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수송 시스템으로서,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을 받는 제1 수송 부재 및 상기 제1 수송 부재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을 전달받는 제2 수송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송 부재는, 상기 성형 제품과 직접 접촉하며, 폴리벤즈옥사졸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1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2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1 스크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는 유기 섬유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수율로 제조될 수 있으며, 고온의 압출 성형 제품과 직접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품을 운반하기에 충분히 높은 내열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는 2개의 웹들 사이에 스크림을 갖기 때문에 높은 치수안정성을 가지며, 특히 필라멘트사에 비해 낮은 신도를 갖는 방적사로 상기 스크림이 제직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는 더욱 높은 치수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의 경우,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성형 제품의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들이 사용되기 때문에, 압출 성형 제품을 위한 설비가 경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들은 그와 관련된 기술적 구성과 함께 이하에서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는 제1 웹(110), 제2 웹(120), 및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 사이의 스크림(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은 제1 및 제2 유기섬유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유기섬유들 각각은 폴리벤즈옥사졸, 파라-아라미드 및 메타-아라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은 동일한 종류의 유기섬유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종류의 유기섬유들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유기섬유들은 0.5 내지 15 데니어의 선밀도, 4 내지 15 개/인치의 권축수, 및 30 내지 120 mm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들이다.
상기 스크림(130)은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과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림(130)은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직물이다.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 및 스크림(130)이 모두 유기 섬유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위에 놓이는 압출 성형 제품의 표면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부드러운 표면을 갖는다. 또한, 니들 펀칭시 부서짐 등으로 인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무기 섬유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는 높은 수율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웹들(110, 120) 사이에 스크림(130)이 삽입되기 때문에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가 높은 치수안정성을 갖게 된다. 더욱이, 방적사로 제직된 직물인 본 발명의 스크림(130)은 필라멘트사로 제직된 직물에 비하여 그 치수안정성이 더욱 우수한데, 이것은 필라멘트사에 비해 방적사가 더 낮은 신도를 갖기 때문이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웹들(110, 120) 사이에 방적사로 제직된 스크림(130)을 삽입함으로써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의 치수안정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웹(110), 스크림(130), 및 제2 웹(120)은 니들펀칭(need punching)을 통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즉, 제1 웹(110) 및 제2 웹(120)의 단섬유들 중 일부가 스크림(130) 내로 도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웹들(110, 120)과 스크림(130)이 기계적으로 강하게 엉키게 되고, 그 결과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는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갖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웹들(110, 120) 및 스크림(130)은 모두 유기 섬유로 형성되기 때문에, 니들펀칭을 통해 제1 웹(110), 스크림(130), 및 제2 웹(120)을 기계적으로 결합시킬 때 무기섬유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부서짐 현상은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니들펀칭시 스크림(130)에 어느 정도의 미약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까지는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니들펀칭시 스크림(130)에 발생할 수 있는 미약한 손상까지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웹(110), 스크림(130), 및 제2 웹(120)이 수류교락(spunlacing)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수류교락을 통해 제1 웹(110) 및 제2 웹(120)의 단섬유들 중 일부가 스크림(130) 내로 도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웹들(110, 120)과 스크림(130)이 기계적으로 엉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크림(130)은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직물이기 때문에 수류교락 과정에서 파라-아라미드 방적사가 피브릴화된다. 수류교락에 의한 피브릴화는 메타-아라미드 섬유에서는 볼 수 없는 파라-아라미드 섬유만의 독특한 현상이다. 파라-아라미드 방적사의 피브릴화로 발생되는 피브릴들이 제1 및 제2 웹들(110, 120)과 추가적으로 엉키게 됨으로써 제1 웹(110), 스크림(130), 및 제2 웹(120)이 더욱 강화된 기계적 결합을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웹(110), 스크림(130), 및 제2 웹(120)의 결합을 위해 니들펀칭과 더불어 수류교락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은 통상의 웹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 베일(bale)을 타면기(picker)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개섬한다. 상기 섬유는 0.5 내지 15 데니어의 선밀도, 4 내지 15 개/인치의 권축수, 및 30 내지 120 mm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staple fiber)이다.
선택적으로, 개섬된 섬유를 공기 수송(air conveying)을 이용하여 더욱 균일하게 만들 수 있다.
이어서, 카딩(carding) 또는 에어-레잉(air-laying) 공정을 통해 상기 개섬된 섬유를 50 내지 500 g/m2의 평량(basis weight)을 갖는 웹으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폴리벤즈옥사졸 섬유로는 일본 도요보(Toyobo)사가 제조한 것으로서 자일론(Zylon)? PBO-AS 또는 자일론(Zylon)? PBO-HM의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 섬유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파라-아라미드 섬유로는 대한민국 코오롱인더스트리사가 제조한 것으로서 헤라크론(Heracron)?의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웹들(110, 120)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메타-아라미드 섬유로는 미국 듀폰(Dupont)사가 제조한 것으로서 노멕스(Nomex)?의 제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가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림(130)은 0.8 내지 15 데니어의 선밀도를 갖는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를 직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림(130)은 50 내지 300 g/m2의 평량(basis weight)을 가지며,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1cm당 1 내지 15 개의 가닥들(ends)을 갖는다.
위와 같이 제조된 제1 및 제2 웹들(110, 120) 사이에 상기 스크림(130)을 삽입한 후 니들펀칭 공정, 수류교락 공정, 또는 이들 공정 모두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수류교락 공정은 10 내지 350 bar의 수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10 내지 150 bar의 수압 및 70 내지 350 bar의 수압을 순차적으로 적층 구조에 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수압을 증가시킴으로써, 높은 수압이 갑자기 가해짐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제1 웹(110) 또는 제2 웹(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스크림(130)을 형성하는 파라-아라미드 방적사의 피브릴화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수송 시스템(300)은, 압출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성형 제품(10)을 받는 제1 수송 부재(310)와 상기 제1 수송 부재(320)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10)을 전달받는 제2 수송 부재(32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송 시스템(300)은 상기 제2 수송 부재(320)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10)을 전달받는 제3 수송 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송 부재(310, 320, 330)들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다만, 압출기(20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성형 제품(10)을 직접 받는 제1 수송 부재(310)는 제2 및 제3 수송 부재들(320, 330)에 비해 더 높은 내열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제1 수송 부재(310)의 적층 구조 중에서 압출 성형 제품(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제1 웹은 앞에서 예시한 유기 물질 중 가장 높은 내열성을 갖는 폴리벤즈옥사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수송 부재(310)는, 성형 제품(10)과 직접 접촉하며 폴리벤즈옥사졸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1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2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1 스크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수송 부재(320)는, 상기 제1 수송 부재(310)에 의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열을 빼앗긴 압출 성형 제품(10)을 전달받기 때문에 상기 제1 수송 부재(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내열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2 수송 부재(320)의 적층 구조 중에서 압출 성형 제품(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제1 웹은 앞에서 예시한 유기 물질 중 폴리벤즈옥사졸 다음으로 높은 내열성을 갖는 파라-아라미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수송 부재(320)는, 성형 제품(10)과 직접 접촉하며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3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4 웹, 및 상기 제3 및 제4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2 스크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수송 부재(330)는, 상기 제2 수송 부재(320)에 의해 운반되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의 열을 더 빼앗긴 성형 제품(10)을 전달받기 때문에 상기 제2 수송 부재(3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내열성을 가져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3 수송 부재(330)의 적층 구조 중에서 성형 제품(1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제1 웹은 앞에서 예시한 유기 물질 중 파라-아라미드보다 낮은 내열성을 갖는 메타-아라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수송 부재(330)는, 성형 제품(10)과 직접 접촉하며 메타-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5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6 웹, 및 상기 제5 및 제6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3 스크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송 부재들(310, 320, 330)은 플레이트, 패드, 벨트, 튜브, 또는 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출기(200)로부터 배출되는 성형 제품(10)의 온도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내열성 적층 복합체들이 수송 부재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압출 성형 제품(10)을 위한 수송 시스템 설비가 경제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아래에서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 섬유[도요보(Toyobo), 자일론(Zylon)? PBO-AS]를 타면기(picker)를 이용하여 개섬한 후, 카딩(carding)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약 150 g/m2의 평량(basis weight)을 갖는 제1 웹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코오롱인더스트리, 헤라크론?]를 타면기를 이용하여 개섬한 후 카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약 150 g/m2의 평량을 갖는 제2 웹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방적사[코오롱인더스트리, 헤라크론?]를 직조함으로써, 약 100 g/m2의 평량을 가지며 경사 및 위사 방향 모두에서 1cm당 10개의 가닥들(ends)을 갖는 스크림을 제조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제1 및 제2 웹들 사이에 상기 스크림을 삽입한 후 니들펀칭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 섬유 대신에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코오롱인더스트리, 헤라크론?]가 상기 제1 웹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3
폴리(p-페닐렌-2,6-벤조비스옥사졸) 섬유 대신에 폴리(메타페닐렌이소프탈아미드) 섬유[듀폰, 노멕스?]가 상기 제1 웹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4
니들펀칭 대신에 수류교락 공정이 약 200 bar의 수압으로 수행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5
니들펀칭 후에 수류교락 공정이 약 200 bar의 수압으로 수행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6
수류교락 공정을 위하여 약 20 bar의 수압 및 약 200 bar의 수압이 순차적으로 적층 구조에 가해졌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내열성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탄소섬유[도레이(Toray), 도레이카(Torayca)?]와 파라-아라미드 섬유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섬유[코오롱인더스트리, 헤라크론?]를 1:1로 혼합하여 복수 개의 배트들(batts)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배트들을 서로 겹치게 한 후 니들펀칭을 수행함으로써 복수 개의 층을 갖는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상기 적층 복합체는 약 0.4 g/cm3의 밀도 및 약 350 g/m2의 평량을 가졌다.
비교예 2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방적사 대신에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 필라멘트사[코오롱인더스트리, 헤라크론?]가 상기 스크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 복합체를 완성하였다.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의해 제조된 적층 복합체들의 내열성, 강도, 및 치수안정성을 아래의 방법에 의해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내열성 측정
EN407을 따라서 접촉열에 따른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즉, 접촉온도가 100℃일 때 장갑의 반대쪽 온도가 15초 내에 변하면 Level 0이 할당되고, 접촉온도가 100℃일 때 장갑의 반대쪽 온도가 15초 동안 변화가 없으면 Level 1이 할당되고, 접촉온도가 250℃일 때 장갑의 반대쪽 온도가 15초 동안 변화가 없으면 Level 2가 할당되고, 접촉온도가 350℃일 때 장갑의 반대쪽 온도가 15초 동안 변화가 없으면 Level 3가 할당되며, 접촉온도가 500℃일 때 장갑의 반대쪽 온도가 15초 동안 변화가 없으면 Level 4가 할당된다.
강도 측정
KS K ISO 9073-3을 이용하여 적층체의 웹의 기계방향(Machine direction)에 대한 적층체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정속신장식(contant rate of extension type) 인장강도 시험기를 이용하였으며, 측정시 샘플의 폭은 50mm, 게이지 간격은 200mm, 인장속도는 100 mm/min이었다. 샘플을 신장하다가 상기 샘플이 절단될 때의 강도를 구하였다.
치수안정성 측정
KS K ISO 2552을 이용하여, 복합체의 열에 대한 치수안정성을 측정하였다. 250mm×250mm의 샘플을 250℃의 열풍건조기에 넣고 24시간 방치하였다. 복합체의 웹의 기계방향에 대한 복합체의 길이가 상기 건조 공전 전후에 각각 측정되었고, 그 측정값들을 아래의 식1에 대입함으로써 복합체의 치수변화율이 산출되었다.
식 1: (lm - l0)/l0 × 100
(lm : 건조 후의 길이, l0 : 건조 전의 길이)
내열성 (level) 강도 (kgf) 치수안정성 (%)
실시예 1 3 80 -2
실시예 2 2 78 -5
실시예 3 1 67 -15
실시예 4 3 84 -2
실시예 5 3 93 -1
실시예 6 3 95 -0.5
비교예 1 3 85 -0.5
비교예 2 3 75 -7
10 : 압출 성형 제품
100 : 내열성 적층 복합체 110 : 제1 웹
120 : 제2 웹 200 : 압출기
300 : 수송 시스템 310 : 재1 수송 부재
320 : 제2 수송부재 330 : 제3 수송 부재

Claims (10)

  1. 제1 유기섬유를 포함하는 제1 웹;
    제2 유기섬유를 포함하는 제2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웹들과 결합되어 있는 스크림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림은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되며,
    상기 제1 및 제2 유기섬유들은 0.5 내지 15 데니어의 선밀도, 4 내지 15 개/인치의 권축수, 및 30 내지 120 mm의 길이를 갖는 단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기섬유들 각각은 폴리벤즈옥사졸, 파라-아라미드 및 메타-아라미드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 스크림, 및 제2 웹은 니들펀칭을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 스크림, 및 제2 웹은 수류교락을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 스크림, 및 제2 웹은 니들펀칭 및 수류교락을 통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성 적층 복합체.
  7. 압출기로부터 배출되는 성형 제품을 운반하기 위한 수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출기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을 받는 제1 수송 부재; 및
    상기 제1 수송 부재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을 전달받는 제2 수송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송 부재는,
    상기 성형 제품과 직접 접촉하며, 폴리벤즈옥사졸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1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2 웹; 및
    상기 제1 및 제2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1 스크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송 부재는,
    상기 성형 제품과 직접 접촉하며,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3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4 웹; 및
    상기 제3 및 제4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2 스크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송 부재로부터 상기 성형 제품을 전달받는 제3 수송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수송 부재는,
    상기 성형 제품과 직접 접촉하며, 메타-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5 웹;
    파라-아라미드 단섬유를 포함하는 제6 웹; 및
    상기 제5 및 제6 웹들 사이에 위치하며 파라-아라미드 방적사로 제직된 제3 스크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수송 부재들은 플레이트, 패드, 벨트, 튜브, 또는 롤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KR1020110086918A 2011-08-30 2011-08-30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KR101407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918A KR101407769B1 (ko) 2011-08-30 2011-08-30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6918A KR101407769B1 (ko) 2011-08-30 2011-08-30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515A KR20130026515A (ko) 2013-03-13
KR101407769B1 true KR101407769B1 (ko) 2014-06-20

Family

ID=4817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918A KR101407769B1 (ko) 2011-08-30 2011-08-30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7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495A (en) 1987-02-17 1988-05-10 Amatex Corporation Seat cushion fire blocking fabric
US5429864A (en) * 1993-10-06 1995-07-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efficiency filter fabric for hot gas filtration
KR20070092311A (ko) * 2004-12-27 2007-09-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방화용 불투액성 강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에의해 방화된 물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495A (en) 1987-02-17 1988-05-10 Amatex Corporation Seat cushion fire blocking fabric
US5429864A (en) * 1993-10-06 1995-07-0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 efficiency filter fabric for hot gas filtration
KR100229835B1 (ko) 1993-10-06 1999-11-15 미리암디. 메코너헤이 고온 가스 여과용 고효율 필터 직물
KR20070092311A (ko) * 2004-12-27 2007-09-12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방화용 불투액성 강화 부직포,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에의해 방화된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6515A (ko) 2013-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429B1 (ko) 스티치된 다축 직조형 직물
US2020006190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JP4934151B2 (ja) ヘテロ環含有芳香族ポリアミド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繊維から構成された布帛及び該繊維により補強された繊維強化複合材料
CN100529225C (zh) 无纺布及其制造方法
CN107735514B (zh) 聚酰胺树脂纤维、聚酰胺树脂纤维的制造方法、聚酰胺树脂组合物、织物和编织物
EP0417827A1 (en) Fabric of thermoplastic fibre and continuous reinforcing fibre
JP5717852B2 (ja) 糸または縫い糸、および糸または縫い糸の製造方法
JP2012184286A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07769B1 (ko) 내열성 적층 복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압출 성형 제품의 수송 시스템
CN101258279B (zh) 具有高厚度和弹性的针刺带
CN111485294B (zh) 高韧性或高承载尼龙纤维及其纱线和织物
EP354328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ed article
KR102292281B1 (ko) 아라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하이브리드 연사 및 공기교락사(aty) 공법을 적용한 이의 제조방법
JP3340540B2 (ja) 補強用芯材及び繊維樹脂複合シート
CN101784706A (zh) 由包含得自4,4’-二氨基二苯砜和多种酸单体的结构体的共聚物构成的纤维及其制备方法
EP2913170A1 (en) Stampable sheet
KR101856139B1 (ko) 고강도 페녹시 섬유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고강도 페녹시 섬유
JP2023043395A (ja) 多軸繊維基材及びこれを用いた強化繊維樹脂成形体
JP7138015B2 (ja) 繊維強化樹脂材料の製造方法
JP7497596B2 (ja) 耐熱フェルト材および耐熱フェルト材の製造方法
CN110418703A (zh) 材料、材料的制造方法、局部熔接材料、复合材料和成型品的制造方法
CN212194489U (zh) 宽幅碳纤维布、立体纤维预制体
US20230091427A1 (en) Jointed strand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596077B1 (ko) 고온 가스 여과용 복합시트 및 그것을 포함한 필터
CN112638799B (zh) 卷取体和卷取体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