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524B1 -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 Google Patents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524B1
KR101407524B1 KR1020090127797A KR20090127797A KR101407524B1 KR 101407524 B1 KR101407524 B1 KR 101407524B1 KR 1020090127797 A KR1020090127797 A KR 1020090127797A KR 20090127797 A KR20090127797 A KR 20090127797A KR 101407524 B1 KR101407524 B1 KR 101407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weight
organic powder
particle size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278A (ko
Inventor
박주용
김종은
정재식
한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90127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02Preparation methods
    • G03G9/0804Preparation methods whereby the components are brought together in a liquid dispersing medium
    • G03G9/0806Preparation methods whereby the components are brought together in a liquid dispersing medium whereby chemical synthesis of at least one of the toner components takes pl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0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0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06Polymers of alkenyl-aromatic compounds
    • G03G9/08708Copolymers of styre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42Binders for toner particles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03G9/08755Poly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87Binders for toner particles
    • G03G9/08775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G03G9/08782Wax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Colouring agents for toner particles
    • G03G9/0906Organic dy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9/00Developers
    • G03G9/08Developers with toner particles
    • G03G9/097Plasticisers; Charge controlling agents
    • G03G9/09708Inorganic compounds
    • G03G9/09716Inorganic compounds treated with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에 관한 것으로, 내첨제로 입경이 0.1 ~ 1.0㎛인 플루오린기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 범위의 입경 및 플루오린기를 가진 유기 분말을 내첨하는 방법으로 토너에서 대전 특성에 관여하는 왁스 도메인(domain)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토너의 초기 대전 특성을 향상시켜 초기에 발생하는 백그라운드(BG)를 해결할 수 있다.
토너, 대전성, 백그라운드, 플루오린기, 유기 분말

Description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TONER HAVING IMPROVED CHARGABILITY}
본 발명은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 분말을 내첨하여 토너의 초기 대전 특성을 향상시켜 비화상 부분의 오염인 백그라운드(BG)를 감소시킨 토너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의 소형화에 따라 토너를 대전시켜주는 현상 롤러 등의 부품들도 소형화되고 이에 따라 토너의 초기 대전 특성이 저하되어 비화상 부분이 오염되는 백그라운드(BG)가 발생하게 된다. 초기에 발생하는 이러한 BG를 해결하기 위하여 토너의 대전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있어왔다.
토너의 초기 대전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은 내첨을 조절하는 방법과 외첨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구분되는데, 기존의 내첨에 의해 대전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는 전하 조절제의 함량 조절 또는 이형제로 사용되는 왁스의 함량 감소가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먼저, 왁스의 함량 감소에 대해 살펴본다. 왁스를 과량 사용하게 되면 대전 특성이 저하되어 BG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중합토너의 경우 왁스를 10% 이상 사용하지만 토너 표면으로는 노출이 되지 않아 대전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분쇄토너의 경우는 분쇄 과정에서 왁스 또는 전하 조절제가 왁스 도메인이나 전하 조절제의 계면을 따라 부서지면서 토너 표면으로 노출되어 대전 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표면에 노출된 왁스의 함량이 많아지면 토너의 대전 특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왁스의 함량을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지만 왁스의 감량은 이형제 역할의 감소로 정착성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하 조절제 함량을 증가하는 방법으로 토너의 대전 특성을 향상시켜 BG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토너 제조상 토너의 구성성분 중 하나인 전하 조절제의 함량을 과도하게 늘리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입도 분포 및 플루오린기를 가지는 유기 분말을 내첨하여 왁스 도메인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토 너의 대전 특성을 향상시켜 비화상 부분에의 오염원이 되는 BG를 감소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바인더 수지, 전하 조절제,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에 있어서, 내첨제로 입경이 0.1 ~ 1.0㎛인 플루오린기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기 분말은 전체 토너 중 1 ~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기 분말은 입경 0.1 ~ 0.4㎛인 것 30 ~ 70 중량%, 입경 0.5 ~ 1.0㎛인 것 30 ~ 70 중량%의 입도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유기 분말은 불소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수지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하 조절제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 15,000인 음이온성 전하 조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료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황색(Yellow),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실리카, 산화티탄,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외첨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에 의하면, 토너의 대전 특성을 향상시켜 초기에 발생하는 비화상 부분의 BG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 전하 조절제,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에 있어서, 내첨제로 입경이 0.1 ~ 1.0㎛인 플루오린기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토너의 경우, 초기 대전 특성이 부족하여 초기 화상의 비화상 부분에 BG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계속해서 프린팅을 하면 대전 특성이 개선되어 BG가 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초기 비화상 부분의 BG 감소를 위해 일정 범위의 입도 분포를 가지고 플루오린을 관능기로 지니는 유기 분말을 일정 함량으로 첨가함으로써 왁스 도메인의 크기를 조절하여 토너 분쇄시 토너 표면에 존재하는 왁스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토너의 대전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 유기 분말은 기존의 토너 제조시 첨가제를 외첨제로 사용하는 것과는 달리, 토너 제조시 내첨제로 사용함으로써 분산을 통해 왁스 도메인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토너 입자 형성 후 외부에 코팅하는 방식을 통해 대전 특성, 흐름성 및 오염성 등을 조절하는 외첨 방식이 아니고, 토너 입자의 Core를 만들 때부터 그 내부에 상기 특징을 가진 유기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내첨 방식에 의해 토너의 대전 특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유기 분말은 0.1 ~ 1.0㎛의 입도 분포를 가지고, 관능기로 플루오린(Fluorine)기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을 사용한다. 유기 분말의 입경이 1㎛를 초과 하는 것을 사용하면 분쇄 과정에서 유기 분말을 따라 분쇄가 되고 토너 표면으로 노출되어 토너의 대전 특성을 저하시켜서 BG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0.1㎛보다 작은 유기 분말을 사용하면 믹싱 과정에서 분산이 잘 되지 않아 분쇄 과정에서 유기 분말 덩어리로 존재하게 되고, 유기 분말 덩어리 계면으로 분쇄되어 토너 표면에 유기 분말이 존재하여 대전 특성이 저하되고 BG가 더 증가하게 된다.
한편, 유기 분말의 입도 분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믹싱 과정에서 분산의 효과로 왁스 도메인의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고, 이에 따라 토너 표면에 존재하는 왁스 감소에 의해 토너의 초기 대전 특성을 향상시켜서 초기 BG를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기 분말로 입경이 0.1 ~ 0.4㎛인 것을 30 ~ 70 중량%, 입경이 0.5 ~ 1.0㎛인 것을 30 ~ 70 중량% 함유하도록 입도 분포를 형성하여 0.1 ~ 1.0㎛의 범위 내에서 유기 분말의 입경크기가 고르게 분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첨제로서 유기 분말은 전체 토너 중 1 ~ 3 중량%로 포함되도록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인 경우 분산의 효과가 적어 왁스 도메인 조절이 어렵게 되므로 토너의 초기 대전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아 BG 문제가 개선되지 않는다.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유기 분말이 너무 많아 분쇄과정에서 유기 분말을 따라 분쇄가 되어 토너 표면에 유기 분말이 존재하게 되므로 토너의 대전 특성이 저하되고 BG를 유발하게 된다.
상기 플루오린기를 가진 유기 분말로는 내후성, 내구성,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고광택을 부여하는 재료인 불소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불화비닐리덴(PVDF), 폴리불화비닐(PVF)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후성이 매우 뛰어나면서도 융점이 170~185℃로서 불소수지 중 가장 낮아 저온 정착에 유리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을 사용한다.
상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에폭시, 비닐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St/Ac) 등 토너 제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충분한 미세 계면(상분리 계면)을 제공하는 폴리에스테르계나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한다.
상기 전하 조절제로는 니그로신계 화합물, 4차 암모늄염, 킬레이트 등의 양이온성 전하 조절제와 전자 받개 유기착물, 염소화된 파라핀, 염소화된 폴리에스테르 등의 음이온성 전하 조절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 15,000 정도로 작은 음이온성 전하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바인더 수지와의 상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파라핀 왁스, 세레신 왁스 등의 석유 정제 왁스와 카르누바 왁스 등의 천연 왁스 및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부틸렌,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합성 왁스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저분자량의 폴리올레핀계를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함으로써 인쇄 후 화상에 광택을 부여하고 모입자의 융점을 낮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안료로는 금속 분말형, 금속물 산화형, 카본형, 황화물염, 크롬염 등의 무기염료와 아조형, 산성 염료형, 염기성 염료형 등의 유기 염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칼라로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황색 (Yellow), 및 카본블랙 등의 안료가 단독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는 외첨제로서 미세 무기 분말, 산화금속 분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외첨제에는 대전능력 향상을 위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스테아레이트계 등의 유기 분말이 함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산화티탄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MMA)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기 분말은 전사효율 향상을 위해 구형으로 된 것 또는 표면처 리 된 것을 사용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기재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의 치환, 변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하기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1 ~ 1-3
바인더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89 중량%, 전하 조절제로서 니그로신 N-01(일본 오리엔트사 제조) 1.5 중량%, 왁스로서 폴리에틸렌 1.5 중량%, 안료로서 시안(Cyan) 4 중량%, 내첨제로서 입경이 각 0.2, 0.5, 0.8㎛인 PVDF 1 중량%, 분산제 등 기타 첨가제 3 중량%의 함량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이 때, 토너의 평균 입경(D50)은 8㎛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 2-3
내첨제로서 입경 각 0.2, 0.5, 0.8㎛인 PVDF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 3-3
내첨제로서 입경이 각 0.2, 0.5, 0.8㎛인 PVDF 3 중량%, 기타 첨가제 1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 4-3
내첨제로서 입경 각 0.2, 0.5, 0.8㎛인 PTFE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 5-3
내첨제로서 입경 각 0.2, 0.5, 0.8㎛인 PCTFE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1 ~ 6-3
내첨제로서 입경 각 0.2, 0.5, 0.8㎛인 PVF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내첨제로서 입경 1.2㎛인 PVDF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내첨제로서 입경 0.05㎛인 PVDF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내첨 대신 외첨만을 하고 외첨제로서 입경 0.3㎛인 PMMA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내첨 대신 외첨을 하고 외첨제로서 입경 0.75㎛인 PMMA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내첨 대신 외첨을 하고 외첨제로서 입경 0.25㎛인 PMMA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내첨 대신 외첨을 하고 외첨제로서 입경 0.75㎛인 PMMA-ST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PMMA-ST란 PMMA와 스테아레이트계를 혼합한 외첨제를 의미한다.
비교예 7
내첨 대신 외첨을 하고 외첨제로서 입경 0.25㎛인 PMMA-ST 2 중량%, 기타 첨가제 2 중량%의 함량으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1과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토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토너에 대하여 초기 BG 발생여부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았다.
초기 화상의 BG는 HP2600을 이용하여 초기 1매 화상으로 비교하였다.
BG가 없는 것을 A, 조금 있는 것을 B, 있는 것을 C, 심한 것을 D로 구분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유기분말
내첨여부
내첨(외첨)
성분 및 함량
유기 분말
입경(㎛)
초기
BG 평가
실시예 1-1 O PVDF 1% 0.2 A
실시예 1-2 O PVDF 1% 0.5 A
실시예 1-3 O PVDF 1% 0.8 A
실시예 2-1 O PVDF 2% 0.2 A
실시예 2-2 O PVDF 2% 0.5 A
실시예 2-3 O PVDF 2% 0.8 A
실시예 3-1 O PVDF 3% 0.2 A ~ B
실시예 3-2 O PVDF 3% 0.5 A
실시예 3-3 O PVDF 3% 0.8 A
실시예 4-1 O PTFE 2% 0.2 A ~ B
실시예 4-2 O PTFE 2% 0.5 A
실시예 4-3 O PTFE 2% 0.8 A ~ B
실시예 5-1 O PCTFE 2% 0.2 B
실시예 5-2 O PCTFE 2% 0.5 A ~ B
실시예 5-3 O PCTFE 2% 0.8 A ~ B
실시예 6-1 O PVF 2% 0.2 A ~ B
실시예 6-2 O PVF 2% 0.5 A
실시예 6-3 O PVF 2% 0.8 A ~ B
비교예 1 O PVDF 2% 1.2 B ~ C
비교예 2 O PVDF 2% 0.05 B ~ C
비교예 3 X PMMA 2% (외첨) 0.3 C
비교예 4 X PMMA 2% (외첨) 0.75 C
비교예 5 X PMMA 2% (외첨) 0.25 C
비교예 6 X PMMA-ST 2% (외첨) 0.75 D
비교예 7 X PMMA-ST 2% (외첨) 0.25 D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도 분포가 0.1 ~ 1.0㎛인 플루오린기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을 내첨 방식에 의해 분산시켰을 때 초기 화상의 BG가 낮게 평가되었다.

Claims (10)

  1. 바인더 수지, 전하 조절제, 왁스, 및 안료를 포함하는 토너에 있어서, 내첨제로 입경이 0.1 ~ 1.0㎛인 플루오린기를 포함하는 유기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분말은 전체 토너 중 1 ~ 3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분말은 입경 0.1 ~ 0.4㎛인 것 30 ~ 70 중량%, 입경 0.5 ~ 1.0㎛인 것 30 ~ 70 중량%의 입도 분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분말은 불소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조절제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2,000 ~ 15,000인 음이온성 전하 조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시안(Cyan), 마젠타(Magenta), 황색(Yellow), 및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실리카, 산화티탄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외첨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
KR1020090127797A 2009-12-21 2009-12-21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KR101407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797A KR101407524B1 (ko) 2009-12-21 2009-12-21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797A KR101407524B1 (ko) 2009-12-21 2009-12-21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78A KR20110071278A (ko) 2011-06-29
KR101407524B1 true KR101407524B1 (ko) 2014-06-16

Family

ID=4440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797A KR101407524B1 (ko) 2009-12-21 2009-12-21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685B1 (ko) * 2019-10-14 2020-02-14 주식회사 프리즘머트리얼스 황색 중합 토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125A (ja) * 1996-08-29 1998-03-10 Toshiba Corp 電子写真用現像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20039857A (ko) * 2000-11-22 2002-05-30 성재갑 저온 클리닝 특성이 우수한 토너 조성물
KR20080051748A (ko) * 2006-12-06 2008-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상 균일성이 우수한 토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9125A (ja) * 1996-08-29 1998-03-10 Toshiba Corp 電子写真用現像剤、そ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20039857A (ko) * 2000-11-22 2002-05-30 성재갑 저온 클리닝 특성이 우수한 토너 조성물
KR20080051748A (ko) * 2006-12-06 2008-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상 균일성이 우수한 토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78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846B2 (en) Method for preparing of non-magnetic monocomponent color toner having superior long term stability
US7592114B2 (en) Color toner for non-magnetic mono-component system for increasing printing quality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2007501961A (ja) 非磁性一成分系カラートナー
CA2528412A1 (en) Toner compositions
US9519233B2 (en) Toner formulations having improved toner usage efficiency and method to make the same
JP6624249B2 (ja) アニリンブラック粒子、該アニリンブラック粒子を用いた樹脂組成物、水系分散体、および、溶剤系分散体
JP5541598B2 (ja) 電子写真現像剤用フェライトキャリア芯材及び電子写真現像剤用フェライトキャリア、並びに該電子写真現像剤用フェライトキャリアを用いた電子写真現像剤
JPS6267558A (ja) 静電荷像現像用トナ−
US7524600B2 (en) Electrophotographic toner
KR101407524B1 (ko) 대전성이 향상된 토너
US20050277041A1 (en) Toner composition for electrophotography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130769A (ko) 표면 개질에 의해 배경오염이 낮고 및 전사효율이 우수한비자성 일성분 칼라토너
CN1818802B (zh) 电子照相用色粉
CN107844037B (zh) 用于调色剂的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0713780B1 (ko) 인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및 이의 제조방법
CN101592879B (zh) 调色剂及其制造方法
KR100446652B1 (ko)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의 제조방법
JP2006267911A (ja) 電子写真用イエロートナー
KR101231710B1 (ko) 착색제 혼합물을 적용한 블랙 토너
KR100463173B1 (ko) 비자성 일성분계 칼라 토너의 제조방법
JP5622706B2 (ja)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JP5380875B2 (ja) 黒色色材及びトナー
JPS61172158A (ja) 静電荷像用液体現像剤
JP5629672B2 (ja) 静電潜像現像用トナー
JP2001183871A (ja) 電子写真用トナー、その製造方法、二成分系現像剤、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