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7509B1 - 케이블 정착구조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착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7509B1
KR101407509B1 KR1020110143816A KR20110143816A KR101407509B1 KR 101407509 B1 KR101407509 B1 KR 101407509B1 KR 1020110143816 A KR1020110143816 A KR 1020110143816A KR 20110143816 A KR20110143816 A KR 20110143816A KR 101407509 B1 KR101407509 B1 KR 101407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
anchor head
hole
wedge
fix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448A (ko
Inventor
김진국
성택룡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75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7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7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4Cable-stayed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는 다수의 쐐기형 구멍이 형성되는 앵커 헤드; 상기 쐐기형 구멍에 삽입되는 강연선;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탄성 중합체; 및 상기 강연선에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과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탄성 중합체의 제1면에는 상기 강연선과 상기 앵커 헤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제1플라스틱 판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는 상기 쐐기형 구멍과 연결되는 제1인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인출 구멍의 단면크기는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방향을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정착구조체{Fixing Mechanism Of Structural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밀성의 향상과 강연선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케이블 정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사장교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주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사장교에 사용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강연선들(21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 정착구조체(200)는 사장교가 완공된 이후에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계속 유지되므로 비나 눈 또는 안개에 포함된 습기에 의해 부식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케이블 정착구조체(200)는 플라스틱 판재와 탄성 부재를 반복적으로 구성하고, 이들 부재를 고정 볼트(220)로 압착하여 플라스틱 판과 탄성체 사이의 기밀성을 높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고정 볼트(220)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는 케이블 정착구조체(200)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정 볼트(220)를 죄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판재 또는 탄성 부재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수밀성을 달성하기 얻기 어렵다.
이와 함께, 종래의 케이블 정착구조체(200)는 강연선들(210)과 앵커 헤드(230)의 마찰을 방지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강연선들(210)이 움직일 때마다 강연선(210)과 앵커 헤드(230)가 접촉하여 강연선들(21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키고 강연선(210)의 마모현상을 억제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는 다수의 쐐기형 구멍이 형성되는 앵커 헤드; 상기 쐐기형 구멍에 삽입되는 강연선;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탄성 중합체; 및 상기 강연선에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과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탄성 중합체의 제1면에는 상기 강연선과 상기 앵커 헤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제1플라스틱 판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는 상기 쐐기형 구멍과 연결되는 제1인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인출 구멍의 단면크기는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방향을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는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는 상기 앵커 헤드와 핀 부재를 매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는 상기 강연선에 상기 강연선을 상기 앵커 헤드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형 구멍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는 상기 탄성 중합체의 제2면에 제2플라스틱 판재가 더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 볼트 없이도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 헤드와 강연선 간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강연선이 앵커 헤드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앵커 헤드(110), 강연선(120), 플랜지(130), 탄성 중합체(140), 링 부재(170)를 포함한다. 아울러,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피복 부재(102, 104)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탄성 중합체(140)와 링 부재(170)의 결합에 의해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구성요소와 함께 아래에서 설명한다.
앵커 헤드(110)는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끝 부분에 배치되며, 강연선(120)을 고정한다. 이를 위해 앵커 헤드(110)는 강연선(120)이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쐐기형 구멍(112)을 가지며, 강연선(120)은 상기 쐐기형 구멍(11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180)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 부재(180)는 강연선(12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강연선(120)과 일체로 결합하며, 앵커 헤드(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쐐기형 구멍(112)에 끼워진다. 따라서, 고정 부재(180)와 결합한 강연선(120)은 고정 부재(180)와 쐐기형 구멍(112)의 맞물림에 의해 앵커 헤드(110)의 타 측면 방향으로 완전히 인출되지 않는다.
앵커 헤드(110)는 금속 재질로 제작된다. 앵커 헤드(110)는 수정의 강도를 가지며, 다수의 강연선(120)이 하나의 사장교용 케이블이 될 수 있도록 다수의 강연선(120)을 일체로 고정한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앵커 헤드(110)의 일 측(도 2 기준으로 앵커 헤드(110)의 왼쪽 공간)에는 왁스 또는 기타 수밀성 재질의 물질이 채워진다.
강연선(120)은 앵커 헤드(110)의 쐐기형 구멍(112)을 관통하여 앵커 헤드(110)의 타 측(도 2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인출된다. 여기서, 강연선(120)은 다수의 소선이 한 가닥으로 꼬아져서 형성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소선으로 강연선(120)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강연선(120)의 표면 또는 강연선(120)을 구성하는 소선의 표면은 수밀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왁스 등으로 코팅된다. 그러나 강연선(120)의 수밀성 향상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강연선(120) 또는 소선은 별도의 비닐 재질로 피복될 수 있다.
플랜지(130)는 앵커 헤드(110)와 결합한다. 부연 설명하면, 플랜지(130)는 앵커 헤드(110)를 사장교에 고정하는 구실을 한다. 예를 들어, 플랜지(130)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사장교와 결합하여, 앵커 헤드(1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는 앵커 헤드(110)와 플랜지(130)가 별도의 부재로 분리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앵커 헤드(110)와 플랜지(1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중합체(140)는 앵커 헤드(110)의 타 측면에 배치된다. 탄성 중합체(140)는 강연선(120)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 구멍(142)을 가지며, 수분이 침투할 수 없는 재질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탄성 중합체(140)는 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관통 구멍(142)은 앵커 헤드(110)와 탄성 중합체(140)가 결합한 상태에서 앵커 헤드(110)의 쐐기형 구멍(112)과 연결된다. 따라서, 앵커 헤드(110)의 일 측에서 삽입되는 강연선(120)은 쐐기형 구멍(112)과 관통 구멍(142)을 통과하여 앵커 헤드(110)의 타측으로 인출된다.
관통 구멍(142)은 강연선(12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전자는 관통 구멍(142)과 강연선(120) 사이의 틈새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데 유리하고, 후자는 관통 구멍(142)으로 강연선(120)을 통과시키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탄성 중합체(140)가 상당 폭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제작된다면, 관통 구멍(142)의 지름을 강연선(120)의 지름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 부재(170)는 강연선(120)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링 부재(170)는 강연선(12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강연선(1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링 부재(170)는 강연선(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링 부재(170)는 탄성 중합체(140)와 결합하는 강연선(120)의 일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링 부재(170)가 강연선(120) 전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링 부재(170)는 강연선(120)과 탄성 중합체(140)의 결합력을 증진시키고, 강연선(120)과 탄성 중합체(14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킨다. 즉, 링 부재(170)는 강연선(120)의 외형적인 지름을 확장시켜, 강연선(120)과 탄성 중합체(140)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폐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강연선(120)이 링 부재(170)를 매개로 탄성 중합체(140)와 긴밀하게 결합하므로, 수분이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수밀성 향상을 위해 탄성 중합체를 압착하는 고정 볼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다.
다음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를 설명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제1플라스틱 판재(150)를 더 구비한 점에서 제1실시 예와 구별되며, 제1플라스틱 판재(150)를 통해 강연선(120)의 마모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강연선(120)은 외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휘어짐은 강연선(120)의 표면과 앵커 헤드(110)의 모서리 간의 잦은 접촉을 유발하므로, 강연선(120)을 마모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제1플라스틱 판재(15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제1플라스틱 판재(150)는 탄성 중합체(140)보다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며, 앵커 헤드(110)와 탄성 중합체(140)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플라스틱 판재(150)는 앵커 헤드(110)의 타면(탄성 중합체(140)와 마주하는 면)에 밀착되어, 강연선(120)이 앵커 헤드(110)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1플라스틱 판재(150)에는 다수의 제1인출 구멍(152)이 형성된다. 제1인출 구멍(152)은 쐐기형 구멍(112) 및 관통 구멍(142)과 연결되어, 강연선(120)이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플라스틱 판재(150)를 통해 강연선(120)의 마모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를 설명한다.
제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제2플라스틱 판재(160)를 더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핀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탄성 변형이 용이한 탄성 중합체(140)는 외력에 의해 변형되기 쉽다. 예를 들어, 탄성 중합체(140)는 각각의 강연선(120)이 휘어지거나 또는 진동함에 따라 관통 구멍(142)의 크기가 확장되거나 변형된다. 이 경우, 탄성 중합체(140)에 의한 수밀성이 떨어지므로, 탄성 중합체(140)의 변형을 적절히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라스틱 판재(150, 160)를 탄성 중합체(140)의 양 측면에 배치하여 강연선(120)에 의한 외력이 탄성 중합체(140)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였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탄성 중합체(140)의 양 측면에 배치된 제1플라스틱 판재(150)와 제2플라스틱 판재(160)가 강연선(120)의 위치 및 흔들림을 바로 잡아주므로, 강연선(120)에 의해 탄성 중합체(140)가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참고로, 미 설명된 도면부호 162는 제2플라스틱 판재(160)에 형성되는 제2인출 구멍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정착구조체(100)는 핀 부재(190)를 더 포함한다. 핀 부재(190)는 제1플라스틱 판재(150)로부터 앵커 헤드(110)로 삽입되어, 제1플라스틱 판재(150)와 앵커 헤드(110)의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여기서, 핀 부재(190)는 볼트 형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머리 부분의 지름이 몸통 부분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제1플라스틱 판재(150)의 제1인출 구멍(1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의 크기가 확장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제1인출 구멍(152)은 강연선(12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므로, 케이블 정착구조체(100)의 설치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제1인출 구멍(152)의 단면크기만이 변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2인출 구멍(162)도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또는 제1인출 구멍(152)과 제2인출 구멍(162)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블 정착구조체
110 앵커 헤드 112 쐐기형 구멍
120 강연선
130 플랜지
140 탄성 중합체 142 관통 구멍
150 제1플라스틱 판재 152 제1인출 구멍
160 제2플라스틱 판재 162 제2인출 구멍
170 링 부재
180 고정 부재
190 핀 부재

Claims (6)

  1. 다수의 쐐기형 구멍이 형성되는 앵커 헤드;
    상기 쐐기형 구멍에 삽입되는 강연선;
    상기 강연선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탄성 중합체; 및
    상기 강연선에 형성되어, 상기 강연선과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링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앵커 헤드와 마주하는 상기 탄성 중합체의 제1면에는 상기 강연선과 상기 앵커 헤드의 접촉을 억제하는 제1플라스틱 판재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는 상기 쐐기형 구멍과 연결되는 제1인출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인출 구멍의 단면크기는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방향을 따라 점차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라스틱 판재는 상기 앵커 헤드와 핀 부재를 매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연선에는 상기 강연선을 상기 앵커 헤드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쐐기형 구멍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의 제2면에는 제2플라스틱 판재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착구조체.
KR1020110143816A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구조체 KR101407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16A KR101407509B1 (ko)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816A KR101407509B1 (ko)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48A KR20130075448A (ko) 2013-07-05
KR101407509B1 true KR101407509B1 (ko) 2014-06-17

Family

ID=4898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816A KR101407509B1 (ko) 2011-12-27 2011-12-27 케이블 정착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7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6429A (zh) * 2015-04-17 2015-07-01 柳州欧维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景观桥用拉索及其制作方法
KR101647957B1 (ko) * 2016-01-15 2016-08-16 유한회사 성광산업 도로시설물용 횡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937A (ja) * 1994-09-06 1996-03-19 S Ii:Kk ケーブルの定着方法とその装置
KR20100007253U (ko) * 2009-01-07 2010-07-15 신동은 어스 앵커의 강연선 고정구
KR20110133092A (ko) * 2010-06-04 2011-12-1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정착앵커의 재인장장치
KR20110137483A (ko) *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앵커정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937A (ja) * 1994-09-06 1996-03-19 S Ii:Kk ケーブルの定着方法とその装置
KR20100007253U (ko) * 2009-01-07 2010-07-15 신동은 어스 앵커의 강연선 고정구
KR20110133092A (ko) * 2010-06-04 2011-12-12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정착앵커의 재인장장치
KR20110137483A (ko) * 2010-06-17 2011-12-23 주식회사 삼우기초기술 앵커정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448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7173B2 (en) Vibration damping system
KR101407509B1 (ko) 케이블 정착구조체
JP5264224B2 (ja) 弾性クローラ
KR101559452B1 (ko) 조립형 소파블록
JP4728262B2 (ja) サドル構造体
KR102184459B1 (ko) 교량 배수관 분기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JP3127038U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
JP2007100348A (ja) 高圧用ゴム止水板
CN211420852U (zh) 无型材伸缩装置
KR200489164Y1 (ko) 크레인 전력 케이블용 커버링장치
KR2010009519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JP5230258B2 (ja) ゴムクローラ
KR200428509Y1 (ko) 복공판
JP2019120091A (ja) 道路橋用伸縮装置
JP2006226435A (ja) 防振ゴム
JP200512698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目地部可撓継手及びその碇着構造
JP5375566B2 (ja) 整流覆
CN105977591B (zh) 一种用于软波导组件的护套及软波导组件
KR200418231Y1 (ko) 전선고정용 방수클립
JP4011980B2 (ja) 可撓接合型ブロック
JP2007046385A (ja) ガードレールカバー
JP2002302887A (ja) 弾性連結具
KR100996424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데크플레이트
JPH0735148Y2 (ja) 高負荷伝動ベルト
JP6031720B2 (ja) 吊りボルトの振動抑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