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803B1 - 디지털 카메라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803B1
KR101406803B1 KR1020080021578A KR20080021578A KR101406803B1 KR 101406803 B1 KR101406803 B1 KR 101406803B1 KR 1020080021578 A KR1020080021578 A KR 1020080021578A KR 20080021578 A KR20080021578 A KR 20080021578A KR 101406803 B1 KR101406803 B1 KR 101406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election
zoom button
cylindrical member
digital camera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163A (ko
Inventor
진병욱
임숙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8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자가 모드 선택 및 줌기능 선택을 간편하게 변경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된 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중앙에 중공의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는 모드선택 다이얼과,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중공을 통해 모드선택 다이얼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줌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자가 모드 설정과 줌 기능을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해지면서, 보다 많은 기능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가 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다양해진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는 버튼들이 디지털 카메라의 표면에 배치됨에 따라 촬영자는 이들의 기능 및 배치를 매뉴얼을 통해 사전 숙지하여야만 이들을 활용하여 보다 양질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하나의 버튼이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다기능의 요청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의 표면은 이러한 버튼들이 혼재하여 매우 복잡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들의 표면 배치는 촬영자가 디지털 카메라의 다양한 기능들을 선택한 후 촬영할 때에 손가락이 움직이는 동선(動線)을 길게 해, 기능이 많아졌음에 도 불구하고 촬영자로 하여금 더욱 불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자가 모드 선택 및 줌기능 선택을 간편하게 변경해 촬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된 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중앙에 중공의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는 모드선택 다이얼과,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중공을 통해 모드선택 다이얼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줌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한다.
상기 원통형 부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드선택 다이얼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회로기판과,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줌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줌 버튼은 상기 모드선택 다이얼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 조작에 있어 촬영자에 의한 손가락 동선을 최대한 짧게 하여, 촬영자는 간편하게 모드 선택 후 곧바로 줌인 및 줌아웃하면서 촬영에 임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드선택 다이얼과 줌 버튼의 활용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촬상장치 및 커스터마이즈 시스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케이스(10)에 표시부(11)가 외부로 구현 가능하도록 탑재되어 있으며, 전방에는 촬상부(16), 수광소자(17) 및 후레쉬(18)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1)는 액정 표시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장치 등 평판형 표시장치면 어떠한 표시장치이건 적용 가능하다.
촬상부(16)는 각종 렌즈, 조리개를 포함하는 광학계, 촬상소자 및 이들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외의 공간은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각종 버튼들이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대개 파워 버튼(12)과 셔터 릴리즈 버튼(13)이 탑재되고, 각종 기능성 버튼(14)과 메뉴 버튼(1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드선택 다이얼(20)이 상기 케이스(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줌 버튼(30)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버튼들은 설계조건 및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선택 가능하며, 그 인터페이스도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드선택 다이얼(20)과 줌 버튼(30)이 한 몸체가 되도록 구성하여 다이얼의 일체화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위 모드선택 다이얼(20)과 줌 버튼(30)은 실제 촬영자가 촬영에 임할 때에 가장 많이 다루게 되는 버튼들이다. 즉, 촬영자는 촬영에 임할 때에 먼저 모드선택 다이얼(20)을 돌려가며 어떠한 모드로 촬영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 후, 실제 촬영에 돌입하고 나서는 줌 버튼(30)을 이용하여 광각 줌(wide angle-zoom)하던가, 망원 줌(telephoto-zoom)을 하면서 원하는 화면을 얻을 때까지 라이브-뷰(Live-view)한다. 촬영자가 원하는 화면을 얻은 후에는 셔터 릴리즈 버튼(13)을 이용하여 포커싱 및 이미지 캡쳐를 한다.
위와 같은 촬영순서가 일반적인 아마추어 촬영자에 의한 카메라 조작, 예컨대 일반적인 아마추어 촬영자가 스틸 사진(Still Picture)을 촬영할 때에 가장 흔히 행하는 카메라 조작 순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카메라 조작에 있어 촬영자에 의한 손가락 동선을 최대한 짧게 하고자, 촬영 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모드선택 다이얼(20)과 줌 버튼(30)을 한 몸체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드선택 다이얼(20)을 다이얼 본체(21)와 이 다이얼 본체(21)로부터 케이스 내부를 향해 연장된 중공의 원통부 재(22)를 포함한다. 다이얼 본체(21)의 이면 및 원통 부재(22)의 외측으로는 제1회로기판(2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제1회로기판(23)은 카메라 내부의 모드선택부(2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23)은 다이얼 본체(21)의 회전에 따른 변경된 모드 선택 신호를 모드 선택부(24)로 송출한다.
한편, 상기 중공의 원통부재(22)의 중공부 내측에는 줌버튼 본체(31)가 배치되며, 이 줌버튼 본체(31)는 역시 원통부재(22)의 중공부 내측에 배치된 제2회로기판(32)에 설치된다.
줌버튼 본체(31)는 다이얼 본체(21)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더욱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망원 줌 버튼(31a)과 광각 줌 버튼(31b)이 서로 선택적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비록 도 3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망원 줌 버튼(31a)과 광각 줌 버튼(31b)의 중앙은 제2회로기판(32)에 힌지 결합되고, 망원 줌 버튼(31a)과 광각 줌 버튼(31b)의 하부와 제2회로기판(32)의 사이에는 스프링 부재(33)가 설치되어 망원 줌 버튼(31a)과 광각 줌 버튼(31b)이 서로 선택적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회로기판(32)은 카메라 내부의 줌기능 선택부(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회로기판(32)은 망원 줌 버튼(31a)과 광각 줌 버튼(31b)의 선택에 따른 줌 신호를 줌기능 선택부(24)로 송출한다.
상기 줌버튼 본체(31)의 망원 줌 버튼(31a)과 광각 줌 버튼(31b)의 각 배치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모드선택 다이얼 및 줌 버튼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디지털 카메라의 모드선택 다이얼 및 줌 버튼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케이스 20: 모드선택 다이얼
21: 다이얼 본체 22: 원통 부재
23: 제1회로기판 24: 모드선택부
30: 줌 버튼 31: 줌버튼 본체
32: 제2회로기판 33: 스프링 부재
34: 줌기능 선택부

Claims (3)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된 위치에 대응하는 선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중앙에 중공의 원통형 부재를 포함하는 모드선택 다이얼;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중공을 통해 모드선택 다이얼의 외면으로 노출되는 줌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드선택 다이얼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회로기판; 및
    상기 원통형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줌 버튼의 조작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회로기판;을 포함하는 디지털 카메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 버튼은 상기 모드선택 다이얼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된 디지털 카메라.
KR1020080021578A 2008-03-07 2008-03-07 디지털 카메라 KR101406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78A KR101406803B1 (ko) 2008-03-07 2008-03-07 디지털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578A KR101406803B1 (ko) 2008-03-07 2008-03-07 디지털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63A KR20090096163A (ko) 2009-09-10
KR101406803B1 true KR101406803B1 (ko) 2014-06-12

Family

ID=4129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578A KR101406803B1 (ko) 2008-03-07 2008-03-07 디지털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8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7090A (ja) 2002-10-04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ダイヤル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7090A (ja) 2002-10-04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ダイヤル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163A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1440B2 (ja)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S2707325T3 (es) Terminal móvil y procedimiento para iniciar una toma de imágenes con un terminal móvil
WO2004039065A1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ィジタル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JP4275643B2 (ja) ディジタルステレオカメラ又はディジタルステレオビデオカメラ
US790720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KR20050002579A (ko) 촬상 장치
JP6515924B2 (ja) 撮像装置
US1008495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2009260599A (ja) 画像表示装置、電子カメラ
US8452170B2 (en) Digital single lens reflex camera
US10404914B2 (en) Image capturing device with a mode switch to set image-capturing modes
KR101406803B1 (ko) 디지털 카메라
JP4774118B2 (ja) 電子カメラ
JP2014150508A (ja) 撮像装置
JP5206223B2 (ja) スイッチ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5228537A (ja) 撮像装置
JPH11352389A (ja) 電子ファインダカメラ
US8170410B2 (en) Imaging apparatus
JP4948313B2 (ja) 電子機器
JP2008193228A (ja) 撮像装置
JP2007060010A (ja) カメラシステム
JP4637537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4221785A (ja) カメラ制御装置
JP202116637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7003630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