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552B1 -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552B1
KR101406552B1 KR1020120067932A KR20120067932A KR101406552B1 KR 101406552 B1 KR101406552 B1 KR 101406552B1 KR 1020120067932 A KR1020120067932 A KR 1020120067932A KR 20120067932 A KR20120067932 A KR 20120067932A KR 101406552 B1 KR101406552 B1 KR 101406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turation
value
color
pixel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0766A (ko
Inventor
이성주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7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55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0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채도 보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채도 보정 장치는 입력영상이 포함하는 화소의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판단부; 및 상기 색상 판단의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하는 채도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도 보정 시 발생하는 포화 현상 및 등고선 현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L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고선 현상과 포화 현상을 개선하는 채도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ISP(Image Signal Processor)는 영상 신호를 조절하여 원하는 화질을 얻어내는 프로세서이다. 보다 상세하게 ISP는 YCbCr로 영상이 들어오게 되면 먼저 영상의 선명도를 개선하는 Detail Enhancement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다음으로 명암비를 개선하는 Contrast Enhancement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다시 Y성분을 강조시켜주는 WTE(White Tone Enhancement) 알고리즘이 적용된다. 그 후 RGB 성분으로 바꾸어주는 CSC(Color Space Conversion) 알고리즘이 적용되고 색채를 조절하여 선명도를 향상시켜주는 Color Tone Enhancement(CTE)가 적용되어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CTE 알고리즘은 공개 논문 "채도 보정을 이용한 화질 향상 기법, 김수현, 이성주, 전자공학회(2011.0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 논문에 개시된 CTE 알고리즘은 영상의 주요 색상인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자홍색, 황색의 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의 채도를 채도 커브를 사용하여 적절히 높여 생동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이다.
상기 CTE 알고리즘에 따르면 보정할 색 영역이 정해지면, 각각의 영역을 탐색하여 해당하는 채도 커브의 값으로 채도를 보정한다. i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자홍색, 황색} 이고,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1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2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3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4
일 때 채도 커브는 아래의 수학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6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7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8
는 i 색상에서 사용자로부터 채도 보정을 위해 입력 받는 매개 변수,
Figure 112012050299877-pat00009
는 i 색상의 채도,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0
는 i 색상의 보정된 채도를 의미한다..
또한,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1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2
이며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3
,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4
은 보정된 기울기를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CTE 알고리즘에 따른 채도 커브를 도시한 일례로서 채도의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5
부터 255까지가 채도 보정의 범위이고, 보정된 채도의 값은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6
에서 최대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7
만큼 증가한다.
그러나, 종래의 CTE 알고리즘은 채도가 특정 값 이상이 되면 모두 255로 표현되기 때문에 색상이 포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특정 범위의 경계가 되는 지점에서 보정된 색채와 보정되지 않은 색채의 차이로 인해 등고선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원 영역에서 포화현상이 발생하고, 타원 영역에서 등고선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등고선 현상 및 포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채도 보정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영상이 포함하는 화소의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판단부; 및 상기 색상 판단의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하는 채도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R, G, B 채도 각각은 상한 경계 값 및 하한 경계 값 중 어느 하나의 경계 값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은 상기 R 채도, G 채도 및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일 수 있다.
상기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 중 적어도 하나는 하한 경계 값일 수 있다.
상기 채도 보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 및 상기 하한 경계 값의 차와 비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의 감소 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채도 보정부는 상기 상한 경계 값 및 상기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재보정할 수 있다.
상기 채도 보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의 감소 크기가 재보정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에서 상기 재보정 값을 감소시키되, 상기 재보정 값은 상기 상한 경계 값과 상기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의 차를 미리 설정된 보정 값으로 나눈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영상이 포함하는 화소의 색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판단의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도 보정 시 발생하는 포화 현상 및 등고선 현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도 보정 방법은 종래 기법들보다 연산과정이 적어 하드웨어 사양이 제한된 소형 디바이스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CTE 알고리즘에 따른 채도 커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가지 색상의 영역을 직육면체의 RGB 색공간으로 모델링 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 방법에 대한 전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b) 및 도 6(c) 중 등고선 현상이 나타나는 부분을 확대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영상의 채도 중 강조할 색채는 남겨두고 나머지 색채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채도 보정 시 발생하는 포화현상과 등고선 현상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도 보정 장치는 색상 판단부(201) 및 채도 보정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색상 판단부(201)는 입력영상에 포함된 화소의 색상을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색상 판단부(201)는 입력영상의 채도를 보정하기 위해 입력영상에 포함된 화소들의 색상이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자홍색, 황색 중 어느 색상인지를 판단한다. 색상 판단을 위해 화소는 RGB 채도로 표현될 수 있으며, 화소의 R, G, B의 채도 값은 각각 0~255범위의 값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가지 색상의 영역을 직육면체의 RGB 색공간으로 모델링 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색은 (120,70,90)~(255,0,0), 녹색은 (90,80,110)~(0,255,0), 청색은 (80,100,100)~(0,255,0), 청록색은 (100,120,120)~(0,255,255), 자홍색은 (120, 100, 120)~(255,0,255), 황색은 (120, 120, 100)~(255,255, 0)사이의 영역의 (R, G, B) 채도 값을 가진다.
이를 정리하면, 각 색상의 영역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R(Red) G(Green) B(Blue)
적색 120 이상 70 이하 90 이하
녹색 90 이하 100 이상 100 이하
청색 80 이하 100 이상 100 이하
청록색 100 이하 120 이상 120 이상
자홍색 120 이상 100 이하 120 이상
황색 120 이상 120 이상 100 이하
표 1을 참조하면, 색상별로 R, G, B 채도별 경계 값이 서로 달리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R, G, B 채도 각각은 상한 경계 값 및 하한 경계 값 중 어느 하나의 경계 값을 가진다. 또한. 색상별로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 중 적어도 하나는 하한 경계 값을 가진다.
보다 상세하게, 적색은 G와 B 채도가 70 이하, 90 이하의 하한 경계 값을 가지며, R 채도는 120 이상의 상한 경계 값을 가진다. 녹색과 청색의 경우 R과 B 채도가 하한 경계 값을 가지며, G 채도는 상한 경계 값을 가진다. 청록색은 G와 B 채도가 상한 경계 값을 가지며 R 채도는 하한 경계 값을 가진다. 또한, 자홍색은 R과 B 채도가 상한 경계 값을, 황색은 R과 G 채도가 상한 경계 값을 가진다.
따라서, 색상 판단부(201)는 입력되는 영상에 포함된 화소의 R, G, B 채도 값과 상기 표에 설정된 각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비교하여 상기 화소가 어느 색상인지를 판단한다.
채도 보정부(203)는 화소의 색상 판단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된 색상에 대한 R 채도, G 채도,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가 색상 판단부(201)에 의해 적색으로 판단된 경우 R 채도는 상한 경계 값을 G 채도 및 B 채도는 하한 경계 값을 가지며, 따라서 채도 보정부(203)는 R 채도 해당하는 채도 값은 그대로 유지하고 G 채도 및 B 채도에 해당하는 채도 값을 감소시켜 적색으로 판단된 화소의 채도를 보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이다.
강조할 색채를 i =(적색, 녹색, 청색, 청록색, 자홍색, 황색)라 할 때, i 색상에 대한 R, G,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를 j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 = 적색인 경우 j = G, B 채도이며, i = 녹색, 청색인 경우 j = R, B 채도이다.
도 4에서 j_point는 j 채도의 하한 경계 값, j-input는 입력된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 j-out은 보정된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의 감소 정도는 채도 값 및 하한 경계 값의 차와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채도 보정부(203)는 원 영역의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도 4의 점선으로 된 직선에 대응되는 값으로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점선으로 된 직선에 대한 수식은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8
Figure 112012050299877-pat00019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0
수학식 2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래의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의 채도 값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닌 본 발명과 같이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화소의 채도를 보정함으로써 포화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의 채도 값을 감소시킴으로써 경계 영역에서 등고선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채도 보정부(203)는 상한 경계 값 및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의 채도 값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보정된 채도 값을 재보정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1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2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3
여기서, i 는 R, G, B 채도 중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4
는 화소의 i 채도의 채도 값,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5
는 i 채도의 상한 경계 값,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6
는 재보정된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 n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보정 값을 의미한다.
또한,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7
는 수학식 2에 의해 감소된 채도 값의 크기,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8
는 상한 경계 값 및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의 차를 미리 설정된 보정 값으로 나눈 재보정 값를 의미한다.
수학식 2에 따르면, 채도 보정부(203)는 수학식 2에 의해 감소된 채도 값의 크기가 상기 보정 값보다 큰 경우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에서 재보정 값을 감소시키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정 값이 클수록 j-input에 비해 변하는 값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등고선 현상이 심한 경우 보정 값을 크게 설정해주어 감소되는 채도 값을 조정함으로써 등고선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 방법에 대한 전체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S500)에서 색상 판단부(201)는 입력영상이 포함하는 화소의 색상을 판단한다.
화소의 색상을 판단하기 위해 색상 판단부(201)는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과 화소의 R, G, B 채도 값을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505)에서 채도 보정부(203)는 상기 색상 판단의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할 수 있다.
이때, R, G, B 채도 각각은 상한 경계 값 및 하한 경계 값 중 어느 하나의 경계 값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재도 값은 R 채도, G 채도 및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510)에서 채도 보정부(203)는 상한 경계 값 및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이용하여 하향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재보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채도 보정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채도 보정 장치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도 보정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원본 영상, 도 6(b)는 종래의 기법을 이용하여 보정된 영상, 도 6(c)는 본 발명의 채도 보정 방법을 이용하여 보정된 영상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종래 채도 보정 방법을 이용한 도 6(b)는 도 6(a)의 원본 영상과 비교하여 등고선 현상 및 포화 현상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도 보정을 수행한 도 6(c)의 경우 도 6(b)와 비교하여 등고선 현상 및 포화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도 6(b) 및 도 6(c) 중 등고선 현상이 나타나는 부분을 확대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6(b)에서 등고선 현상이 나타난 부분을 확대한 영상이며, 도 7(b)는 도 6(c)의 등고선 현상이 개선된 부분을 확대한 영상이다.
도 7(b)를 살펴보면 도 7(a)에 비해 등고선 현상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1: 색상 판단부 203: 채도 보정부

Claims (12)

  1. 입력영상이 포함하는 화소의 색상을 판단하는 색상 판단부; 및
    상기 색상 판단의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하는 채도 보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R, G, B 채도 각각은 상한 경계 값 및 하한 경계 값 중 어느 하나의 경계 값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은 상기 R 채도, G 채도 및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 중 적어도 하나는 하한 경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보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 및 상기 하한 경계 값의 차와 비례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의 감소 정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보정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Figure 112012050299877-pat00029

    Figure 112012050299877-pat00030

    Figure 112012050299877-pat00031


    여기서, j는 상기 R, G,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 j-input는 상기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 j_point는 상기 j 채도의 하한 경계 값, j-out은 보정된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각각 의미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보정부는 상기 상한 경계 값 및 상기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재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보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의 감소 크기가 재보정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에서 상기 재보정 값을 감소시키되,
    상기 재보정 값은 상기 상한 경계 값과 상기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의 차를 미리 설정된 보정 값으로 나눈 값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채도 보정부는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상기 보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재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장치.

    Figure 112014020103623-pat00032

    Figure 112014020103623-pat00033

    Figure 112014020103623-pat00034


    여기서, i는 R, G, B 채도 중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
    Figure 112014020103623-pat00047
    는 상기 화소의 i 채도의 채도 값,
    Figure 112014020103623-pat00048
    는 상기 i 채도의 상한 경계 값,
    Figure 112014020103623-pat00049
    는 상기 재보정된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 n은 미리 설정되는 상기 보정 값,
    Figure 112014020103623-pat00050
    는 상기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
    Figure 112014020103623-pat00051
    는 상기 재보정 값,
    Figure 112014020103623-pat00052
    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의 감소 크기,
    Figure 112014020103623-pat00053
    는 상기 보정된 화소의 j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각각 의미함.
  9. 입력영상이 포함하는 화소의 색상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색상 판단의 결과 및 색상별로 미리 설정되는 R, G, B 채도별 경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화소의 R 채도 값, G 채도 값 및 B 채도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을 감소시켜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R, G, B 채도 각각은 상한 경계 값 및 하한 경계 값 중 어느 하나의 경계 값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도 값은 상기 R 채도, G 채도 및 B 채도 중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한 경계 값 및 상기 상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하한 경계 값을 가지는 채도에 대한 채도 값을 재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도 보정 방법.
  12.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67932A 2012-06-25 2012-06-25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1406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32A KR101406552B1 (ko) 2012-06-25 2012-06-25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932A KR101406552B1 (ko) 2012-06-25 2012-06-25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66A KR20140000766A (ko) 2014-01-06
KR101406552B1 true KR101406552B1 (ko) 2014-06-11

Family

ID=50138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932A KR101406552B1 (ko) 2012-06-25 2012-06-25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5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4569A (zh) * 2022-03-31 2022-07-01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Led显示屏的色度校正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086A (ja) * 2003-11-20 200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色空間の変換方法、カラー映像の色調節装置、色調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2119818A (ja) * 2010-11-30 2012-06-21 Renesas Electronics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0086A (ja) * 2003-11-20 2005-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色空間の変換方法、カラー映像の色調節装置、色調節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2119818A (ja) * 2010-11-30 2012-06-21 Renesas Electronics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66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356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US76463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primary color component of imag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US811191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color of image
US7933445B2 (en) Color gamut mapping/enhancement technique using skin color detection
US1051545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an edge correction processing based on color variations
JP2005353069A (ja) 彩度適応的な映像向上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229925A (ja) 動的画像彩度処理装置
JP2008072253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889916B2 (en) Image processor
KR101406552B1 (ko) 채도 보정 방법 및 장치
JP200513048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US20100328343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signal processing program
JP200807873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6128986A (ja) 画像処理装置
JP2009200884A (ja) 画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KR101805621B1 (ko) 입력 영상의 채도 향상 장치 및 방법
US20160165098A1 (en) Method for correcting color using rgb data
JP5127627B2 (ja) 画像処理装置
JP513513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396564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該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7195015A (ja) 色変換装置、色変換方法および色変換プログラム
JP2014033274A (ja) 色域変換装置、デジタルカメラ、色域変換プログラムおよび色域変換方法
US20090316023A1 (en) Noise reduction method and noise reduction apparatus
TWI389571B (zh) 影像處理方法以及影像處理裝置
JP2010026690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