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6119B1 -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119B1
KR101406119B1 KR1020130030375A KR20130030375A KR101406119B1 KR 101406119 B1 KR101406119 B1 KR 101406119B1 KR 1020130030375 A KR1020130030375 A KR 1020130030375A KR 20130030375 A KR20130030375 A KR 20130030375A KR 101406119 B1 KR101406119 B1 KR 10140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crylonitrile
nanofibers
nanofiber
pan
hydrogen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용
박미라
최유리
최자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나노
Priority to KR1020130030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1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9/2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acrylonitril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1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8Treatment with radioactive elements or with neutrons, alpha, beta or gamma 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전구체(Precursor)를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 및 방사선을 조사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700~3,0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탄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탄소나노섬유 제조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온 열안정화 공정을 생략하거나 열안정화 공정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탄소섬유 제조시 에너지를 절약하고 제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 사용으로 빠른 시간 내에 탄소나노섬유를 대량생산 가능하다.

Description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arbon nanofiber based on polyacrylonitrile}
본 발명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탄소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열안정화 공정을 생략하거나 상기 열안정화 공정 시간을 최소화시켜 적은 에너지 사용으로 빠른 시간 내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 나노섬유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 이하 "PAN" 이라 함) 탄소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은 세단계의 공정으로 실시되어 탄소를 제외한 원자들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세단계의 열처리 공정은 방사된 섬유의 내부 구조를 치밀화 시키기 위해 100~180℃의 온도로 실시되는 1단계의 열처리 공정과, 방사된 섬유의 분자구조를 고리화 시켜 내염성을 부여하기 위해 200~300℃의 온도로 실시하는 2단계의 안정화 공정과, 섬유내 탄소를 제외한 나머지 원자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1,000℃ 이상의 온도로 실시하는 3단계의 탄화공정으로 나누어진다.
열처리 공정 중 2단계의 안정화 공정은 탄소섬유의 분자구조에 영향을 줌으로써 탄소섬유의 물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이다. 최적의 안정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온도, 기상조건, 체류시간, 장력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안정화 공정은 C≡N 결합이 C=N 결합으로 변화되어 프리커서가 불용해성 고분자 사다리(ladder) 구조화되는 것과 PAN 고분자 사이의 가교결합을 활성화 하는 것이다.
일반 탄소 섬유를 비롯한 500nm 이하의 탄소나노섬유 제작을 위한 안정화 및 탄화 공정을 진행할 경우, 열에 의해 섬유의 수축현상이 일어나 물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있다.
열안정화의 달성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중에 하나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발열 피크의 변화 과정으로부터 판단이 가능하다. [Advanced in Chemical Engineering and Science(Vol 2, 275-282, 2012) 참조]. 즉 PAN 섬유를 습식 방사 하여 제조된 섬유를 질소 및 공기 중의 분위기 하에서 DSC의 비 등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50℃하에서 120분을 처리할 경우에 매우 가파른 피크가 평탄하게 변하는 것이 120분정도 이다. 질소인 경우에 환화(cycization) 온도가 180℃에서 사라지나 반면에 공기 하에서는 120℃에서 사라지며 시간에 따른 발열량은 계속적으로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x-선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002) 결정면에 해당하는 2θ=29.3피크가 250℃하에서 120분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002)면은 프레-그라파이트(pre-graphite) 결정면에 해당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0088의 경우, 평균직경 200-1000nm의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한 후 연속된 로를 통하여 여러 변수를 변화시켜 최단시간에 나노섬유를 최적으로 균일하게 산화 안정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도 열풍 전기로를 기본 유지시간이 최소 1 시간인 것으로 보아 나노섬유의 표면 및 내부를 균일하게 안정화하는 데 유지시간을 10분 이내로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134503의 경우 전기 방사된 나노섬유 웹 자체에 방사선을 500 kGy 이상 조사하여 안정화 시키는 방법인데, 여기에서는 500 kGy 이하의 조사량으로는 방사선 조사에 따른 안정화가 섬유 전체에 고르게 수행되지 않는다고 기재하고 있고, 그 결과 과도한 방사선 조사로 자원과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할 때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PAN 나노섬유에 열을 가하여 안정화시키는 공정 대신에,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과 최소한 선량의 방사선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PAN 나노섬유를 안정화시켜 시간 및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PAN 나노섬유에 열을 가하여 안정화시키는 대신에 전기방사된 PAN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시킨 다음 여기에 최소 선량의 방사선을 조사시켜 빠른 시간 내에 최소한 에너지 사용으로 PAN 나노섬유를 안정화 시킨다.
본 발명은 종래 탄소나노섬유 제조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실시되어온 열안정화 공정을 생략하거나 열안정화 공정 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탄소나노섬유 제조시 에너지를 절약하고 제조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 사용으로 빠른 시간 내에 탄소나노섬유를 대량생산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 흐름도.
도 3은 실시예 1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4는 실시예 1에서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5는 실시예 1에서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6은 실시예 1에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열안정화 처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7은 실시예 1에서 도 6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탄화처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사진.
도 8은 안정화 처리되지 않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열적거동을 분석한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
도 9는 비교실시예 1과 같이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열적거동을 분석한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
도 10은 실시예 2와 같이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열적거동을 분석한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
도 11은 실시예 2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단계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12는 비교실시예 1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13은 실시예 2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도 14는 안정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변화된 분자구조를 분석한 적외선 분광기(FT-IR)의 분석 그래프.
도 15는 실시예 1에서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16은 실시예 2에서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17은 실시예 3에서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18은 실시예 4에서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19는 실시예 5에서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사진.
도 20은 실시예 1로 제조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전구체(Precursor)를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 및 방사선을 조사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700~3,0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탄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700~3,0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탄화시키는 공정 사이에 방사선을 조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200~300℃의 온도에서 2~10분간 열처리하는 열안정화 공정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공정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먼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전구체(Precursor)를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이때, 용매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을 사용하고, 방사조건은 통상적인 나노섬유의 전기방사 조건으로 실시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방사조건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는, 전기방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시킨다.
상기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은 과산화수소 0~50중량% 함유 수용액을 사용한다.
다음으로는,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한다.
방사선을 PAN 나노섬유에 조사시켜 PAN 나노섬유의 내부 및 표면 모두를 고르게 안정화 시키고 안정화 시간도 단축한다.
상기 방사선 감마선, 전자선, 이온빔, 중성자빔, X선 또는 자외선이고, 방사선의 총 조사량은 10~500kGy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선의 총 조사량이 10kGy 미만이면 PAN 나노섬유의 안정화 효과가 미흡하게 되고, 500kGy를 초과하면 과도한 자외선 조사량으로 자원 및 비용이 낭비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10~500kGy의 방사선을 조사후 5분정도 열안정화 공정을 거치는 것이 좋다.
또한,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할 때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700~3,0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탄화시키는 공정 사이에 방사선을 조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200~300℃의 온도에서 2~10분간 열처리하는 열안정화 공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에 7% 중량부의 농도로 PAN 전구체를 용해시켜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상기 방사원액을 전기방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기방사조건으로는 0.36㎜의 방사니들을 사용하고, 부여 전압은 18kV로 하고, 방사원액의 공급속도는 0.01mL/분으로 하고, 방사니들의 팁과 컬렉터 사이 간격은 150㎜로 하였다.
안정화 처리되지 않은 PAN 나노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는 도 8과 같았다.
다음으로는, 상기 PAN 나노섬유를 1% 중량부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한 후 건져 올린 다음, 계속해서 공기중에서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총 조사량이 10kGy 되도록 전자선을 조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안정화 시켰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를 240℃에서 5분 동안 열처리하여 열안정화시킨 다음 800℃에서 탄화 처리하여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3과 같았고,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4와 같았고,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PAN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5와 같았고, 열안정화 시킨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6과 같았고, 탄화 처리한 PAN 탄소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7과 같았다.
또한, 전기방사로 제조되어 안정화 처리되지 않은 PAN 나노섬유의 적외선 분광기(FT-IR)의 분석 그래프는 도 14의 d그래프와 같았다.
또한 제조된 PAN 탄소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은 도 20과 같았다.
실시예 2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에 7% 중량부의 농도로 PAN 전구체를 용해시켜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상기 방사원액을 전기방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기방사조건으로는 0.36㎜의 방사니들을 사용하고, 부여 전압은 18kV로 하고, 방사원액의 공급속도는 0.01mL/분으로 하고, 방사니들의 팁과 컬렉터 사이 간격은 150㎜로 하였다.
전기방사로 제조된 PAN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은 도 11과 같았고, 적외선 분광기(FT-IR)의 분석 그래프는 도 14의 a 그래프와 같았다.
다음으로는, 상기 PAN 나노섬유를 1% 중량부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한 후 건져 올린 다음, 계속해서 공기중에서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총 조사량이 50kGy 되도록 전자선을 조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안정화 시켰다.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16과 같았고,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는 도 10과 같았고,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은 도 13과 같았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를 800℃에서 탄화 처리하여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전자선의 총 조사량을 100kGy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으로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엿다.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17과 같았다.
실시예 4
전자선의 총 조사량을 300kGy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으로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엿다.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18과 같았다.
실시예 5
전자선의 총 조사량을 500kGy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으로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엿다.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은 도 19와 같았다.
비교실시예 1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에 7% 중량부의 농도로 PAN 전구체를 용해시켜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상기 방사원액을 전기방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기방사조건으로는 0.36㎜의 방사니들을 사용하고, 부여 전압은 18kV로 하고, 방사원액의 공급속도는 0.01mL/분으로 하고, 방사니들의 팁과 컬렉터 사이 간격은 150㎜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공기중에서 상기 PAN 나노섬유를 전자선 가속기를 사용하여 방사선의 총 조사량이 10kGy 되도록 전자선을 조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안정화 시켰다.(1% 과산화 수소 수용액에 PAN 나노섬유를 침지하는 공정은 실시하지 않았다)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는 도 9와 같았고, 주사현미경사진(SEM)은 도 12와 같았고, 적외선 분광기(FT-IR) 분석 그래프는 도 14의 c 그래프와 같았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를 800℃에서 탄화 처리하여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용매에 7% 중량부의 농도로 PAN 전구체를 용해시켜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상기 방사원액을 전기방사하여 PAN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전기방사조건으로는 0.36㎜의 방사니들을 사용하고, 부여 전압은 18kV로 하고, 방사원액의 공급속도는 0.01mL/분으로 하고, 방사니들의 팁과 컬렉터 사이 간격은 150㎜로 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 PAN 나노섬유를 24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800℃에서 탄화 처리하여 PAN 탄소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DSC) 분석 그래프는 도 8과 같았고, 적외선 분광기(FT-IR) 분석 그래프는 도 14의 b 그래프와 같았다.
실시예 2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DSC)의 분석그래프인 도 10과, 비교실시예 1로 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DSC)의 분석그래프인 도 8과, 비교실시예 2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시차주사열량계(DSC)의 분석그래프인 도 9를 서로 비교해 보면 실시예 2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안정화가 잘 이루어졌다는 것이 확인된다.
안정화 유무는 약 280~300℃ 온도에서 발열피크(Peak)의 강도(intensity)에 따라 결정되며, 상기 발열피크(Peak)가 감소 또는 적을 수록 안정화가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2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단계인 PAN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인 도 11과, 비교실시예 1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인 도 12와, 실시예 2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인 도 13을 서로 비교해 보면 전기방사로 제조된 PAN 나노섬유와 방사선 조사로 안정화 처리된 PAN 나노섬유 사이에는 형태학적 변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인 적외선 분광기(FT-IR) 분석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화 처리가 되지 않은 a 분석 그래프에 비해서 방사선 조사로 안정화 처리된 b 분석그래프는 C≡N 결합이 감소하고 C=N 결합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처리 후 방사선을 조사하여 안정화 처리한 c 분석그래프는 과산화수소 수용액에 침지처리하지 않고 바로 방사선만 조사하여 안정화 처리한 b 분석그래프 보다 안정화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과산화수소 산화에 의해 더 빠른 환화(Cyclization)가 유도되기 때문이다. 또한 방사선 조사로 안정화 처리후 열안정화 공정을 더 거친 d 분석 그래프의 경우 안정화 효율이 더욱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에서 10kGy의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인 도 15, 실시예 2에서 50kGy의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인 도 16, 실시예 3에서 100kGy의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인 도 17, 실시예 4에서 300kGy의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인 도 18 및 실시예 5에서 500kGy의 전자선 조사로 안정화된 PAN 나노섬유의 사진인 도 19를 비교해 보면 방사선 총 조사량이 증가할 수록 안정화의 진행이 빨라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a : 실시예 2에서 전기방사로 제조된 단계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의 적외선 분광기 분석 그래프.
b : 비교실시예 1과 같이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적외선 분광기 분석 그래프.
c : 실시예 2와 같이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적외선 분광기 분석 그래프.
d : 실시예 1과 같이 전기방사로 제조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안정화시킨 다음, 계속해서 열안정화 공정을 거쳐 제조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의 적외선 분광기 분석 그래프.

Claims (6)

  1.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전구체(Precursor)를 용매에 용해시킨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하는 공정;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 및
    방사선을 조사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700~3,0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탄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처리된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공정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700~3,00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탄화시키는 공정 사이에 방사선을 조사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를 200~300℃의 온도에서 2~10분간 열처리하는 열안정화 공정을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은 감마선, 전자선, 이온빔, 중성자빔, X선 및 자외선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방사선의 총 조사선량이 10~500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에 침지 처리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에 방사선을 조사할 때 상기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나노섬유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30030375A 2013-03-21 2013-03-2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0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375A KR101406119B1 (ko) 2013-03-21 2013-03-2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375A KR101406119B1 (ko) 2013-03-21 2013-03-2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119B1 true KR101406119B1 (ko) 2014-06-13

Family

ID=5113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375A KR101406119B1 (ko) 2013-03-21 2013-03-21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519B1 (ko) * 2017-05-10 2018-12-05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탄소 섬유 열적 생산과 강화를 위한 첨가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WO2022140059A1 (en) * 2020-12-23 2022-06-30 Cytec Industries, Inc. A process for producing polyacrylonitrile-based fiber having controlled morpholog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43B1 (ko) 2008-01-28 2010-05-07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에 의한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되는 탄소섬유
JP2011026750A (ja) 2009-06-30 2011-02-10 Toyobo Co Ltd 高強度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系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101113156B1 (ko) 2009-05-29 2012-02-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전기방사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티탄 나노섬유
KR20120134503A (ko) * 2011-06-02 2012-12-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탄소나노섬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543B1 (ko) 2008-01-28 2010-05-07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에 의한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되는 탄소섬유
KR101113156B1 (ko) 2009-05-29 2012-02-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전기방사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이산화티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되는 이산화티탄 나노섬유
JP2011026750A (ja) 2009-06-30 2011-02-10 Toyobo Co Ltd 高強度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系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20120134503A (ko) * 2011-06-02 2012-12-12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을 이용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탄소나노섬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519B1 (ko) * 2017-05-10 2018-12-05 재단법인 한국탄소융합기술원 탄소 섬유 열적 생산과 강화를 위한 첨가제, 및 이로부터 제조된 탄소 섬유
WO2022140059A1 (en) * 2020-12-23 2022-06-30 Cytec Industries, Inc. A process for producing polyacrylonitrile-based fiber having controlled morpholo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k et al. Carbon fibers: precursors, manufacturing, and properties
Xue et al. Effect of the oxygen-induced modification of polyacrylonitrile fibers during thermal-oxidative stabilization on the radial microcrystalline structure of the resulting carbon fibers
KR100663715B1 (ko) 장뇌를 이용한 다공성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제조된 탄소나노섬유
Zhao et al. Improving crosslinking of stabilized polyacrylonitrile fiber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s by irradiating with γ-ray
KR101327972B1 (ko) 방사선 조사 및 열처리로 안정화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탄소나노섬유
CN111910291A (zh) 一种pan基碳纤维及其制备方法与由其制成的碳纤维
JP2011162898A (ja) 炭素繊維前駆体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炭素繊維の製造方法
TW201516198A (zh) 由聚烯烴衍生的含硼碳纖維
KR20150027757A (ko) 촉매를 사용한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및 탄소 재료
AU2015355369A1 (en) Continuous carbonization process and system for producing carbon fibers
KR20120134503A (ko) 방사선을 이용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탄소나노섬유
CN111101241B (zh) 一种提高碳纤维强度的制造方法
KR101406119B1 (ko)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755267B1 (ko)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화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섬유를 이용한 탄소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irsten et al. Characteristics of wet‐spun and thermally treated poly acrylonitrile fibers
Hamideh Mortazavi et al. Plasma oxidation and stabilization of electrospun polyacrylonitrile nanofiber for carbon nanofiber formation
KR20160150456A (ko) 탄소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Liu et al. Free radical evolution and decay of PAN nano-fibers formed by irradiation and thermal stabilization
JP2008095257A (ja) 炭素繊維の製造方法
KR20110115332A (ko) 방사선과 열 안정화에 의한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100956543B1 (ko) 방사선 조사에 의한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되는 탄소섬유
KR102102984B1 (ko)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KR20130029421A (ko) 방사선과 열 안정화에 의한 탄소섬유의 제조방법
JP2014194108A (ja)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系炭素繊維ストラ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7447788B2 (ja) 炭素繊維束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