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5389B1 - 와이어로프 고리 - Google Patents

와이어로프 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389B1
KR101405389B1 KR1020130073597A KR20130073597A KR101405389B1 KR 101405389 B1 KR101405389 B1 KR 101405389B1 KR 1020130073597 A KR1020130073597 A KR 1020130073597A KR 20130073597 A KR20130073597 A KR 20130073597A KR 101405389 B1 KR101405389 B1 KR 101405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rope
wire rope
wire
shrin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931A (ko
Inventor
이범석
Original Assignee
이범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석 filed Critical 이범석
Priority to KR1020130073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38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9/00Binding or sealing ends, e.g. to prevent unravell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5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inla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로프의 본선에 겹친 뒤에 그 겹쳐진 부분을 금속으로 된 클램프로 압착 고정하며, 상기 클램프 전후방의 와이어로프 외측둘레를 투명합성수지가 스프레이되어 형성되는 메움재로 감싸서 클램프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고리부의 목부분에 형성되는 삼각홈부 사이가 메움재에 의해 매워지게 하고, 제작일과 규격 등이 표시된 표시부를 클램프의 외주에 설치한 뒤에 메움재가 감싸진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전둘레를 투명한 수축튜브를 열접착함으로써, 와이어로프 결속부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된 메움재에 의해 완벽하게 밀봉되어 와이어로프 결속부로의 수분이 침투하지 않아서 고리를 포함한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수명이 연장되게 되고, 투명한 메움재와 수축튜브를 통하여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손상여부와 표시부에 기재된 규격 등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메움재와 수축튜브의 설치를 간단한 수공구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10)의 양쪽 로프단부(13)를 고리 모양으로 구부려서 로프단부(13)와 로프본선(11)이 겹쳐진 외부에 금속재질의 클램프(20)를 압착 고정하여 와이어로프(10)의 양단부에 고리(12)가 형성되는 와이어로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0)가 압착된 부분의 클램프(20)의 전방 수직면과 그 수직면에 대응되는 로프본선(11)의 외주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16)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30)가 메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20) 후방측의 로프단부(13)와 그 단부에 대응하는 로프본선(11)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16')와, 고리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클램프(20)에 압착되어 2줄의 로프본선(11)이 삼각형으로 만나는 삼각홈부(15)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30')가 메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20)의 외부면에는 해당 와이어로프(10)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50)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20) 전방의 메움재(30) 외부로부터 클램프(20) 후방의 메움재(30') 외부 전체를 수축튜브(40)가 씌워진 상태에서 열압착으로 설치되되, 상기 수축튜브(40)의 내면에는 접착제(41)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로프 고리 {Wire rope ring}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 고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고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둥글게 구부려서 로프의 본선에 겹친 뒤에 그 겹쳐진 부분을 금속으로 된 클램프로 압착 고정하며, 상기 클램프 전후방의 와이어로프 외측둘레를 투명합성수지가 스프레이되어 형성되는 메움재로 감싸서 클램프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고리부의 목부분에 형성되는 삼각홈부 사이가 메움재에 의해 매워지게 하고, 제작일과 규격 등이 표시된 표시부를 클램프의 외주에 설치한 뒤에 메움재가 감싸진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전둘레를 투명한 수축튜브를 열접착함으로써, 와이어로프 결속부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된 메움재에 의해 완벽하게 밀봉되어 와이어로프 결속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아서 고리를 포함한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수명이 연장되게 되고, 와이어로프를 형성하는 강철철사의 끝단부가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손다침 현상을 예방하게 되며, 투명한 메움재와 수축튜브를 통하여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손상여부와 표시부에 기재된 규격 등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여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메움재와 수축튜브의 설치를 간단한 수공구에 의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앞서 용어를 정리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Wire rope)는 사전적의미로 여러 가닥의 강철철사를 합쳐 꼬아 만든 줄을 의미하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사전에서 의미하는 와이어로프를 로프본선(11)이라고 칭하며, 본 발명에서 칭하는 와이어로프(10)는 로프본선(11)의 양단부에 동그랗게 구부린 고리(12)를 형성한 것이고, 고리(12) 형성을 위하여 로프본선(11)의 양단부를 둥글게 구부린 뒤에 2줄의 로프본선(11)이 겹쳐진 부분을 클램프(20)로 압착한 부분을 와이어로프 결속부(14)라고 칭하며, 상기 와이어로프 결속부(14)에 메움재(30)와 수축튜브(40)로 감싼 부분도 와이어로프 결속부(14)라고 칭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위와 같이 고리(12)를 형성하였을 때, 클램프(20)의 두께만큼 로프본선(11)의 외주면과 클램프(20)의 전후방 수직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부분과, 로프본선(11)과 로프단부(13)가 겹쳐진 부분에서 로프단부(13)와 로프본선(11)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을 단턱부(16)라고 칭하고, 고리(12)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클램프(20)에 압착되어 2개의 로프본선(11)이 삼각형으로 만나는 부분을 삼각홈부(15)라고 칭한다.
종래의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은 특허등록 제10-0961999호의 특허공보에 의해 그 기술이 알려지고 있는데, 종래발명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즉, 종래발명에 의한 와이어 로프 슬링은, 와이어 로프(100)의 양쪽 로프단부(100b)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100a)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100c)를 형성하고, 서로 겹친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과 로프단부(100b)를 금속재질의 이음쇠(1)로 압착 고정하며,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일측단부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고무재질의 보강재(2)를 프레스 성형기에 의해 일체로 압착 고정되게 성형하고, 상기 보강재(2)와 이음쇠(1)의 사이에 접착층(4)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2)는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테이퍼(2a) 및 경사단부(2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발명의 와이어로프 슬링의 제조방법은, 와이어 로프(100)의 양쪽 로프단부(100b)를 고리 모양으로 굽힌 후에 로프의 본선(100a)에 겹치게 하여 고리부(100c)를 형성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서로 겹쳐진 부분 와이어 로프(100)의 본선(100a) 및 로프단부(100b) 외측에 금속 재질의 이음쇠(1)를 압착 고정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일측단부를 프레스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에 세팅시킨 후, 이음쇠(1)의 일측단부 둘레에 금속접착제(4a) 및 고무접착제(4b)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접착층(4)을 형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상.하부 금형의 내부에 폐고무 및 재생고무 등과 같은 고무자재를 넣고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하부 금형을 합쳐서 이음쇠(1)의 일측단부 외측 둘레를 감싼 형태로 고무재질의 보강재(2)를 성형한 뒤, 다시 상.하부 금형을 분리하여 제품을 회수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이음쇠(1)에서 로프단부(100b)가 노출된 일측단부에 이음쇠(1)의 외측 둘레를 감싸게 고무재질의 보강재(2)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보강재 성형을 위한 상.하부 금형을 구비한 프레스 성형기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프레스 성형기를 제작 및 설치를 위한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프레스 성형기는 공장의 어느 한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성형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양단부에 고리부가 형성되는 와이어로프는 로프본선의 굵기나 길이에 따라 무게가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매우 무겁고 대단히 뻣뻣하여 보강재를 성형할 부분인 와이어로프의 고리부 일측을 프레스 성형기의 상.하부 금형 사이에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서 정확한 위치에 보강재를 형성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와,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리부(100c)가 합쳐져서 이음쇠(1)에 의해 결합되는 이음쇠(1) 전방측의 단턱부(16)와, 삼각홈부(15)가 노출되었으며, 와이어로프자체가 강철철사를 꼬아서 만든 줄임에 따라 2줄의 와이어로프가 합쳐지는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나선형 홈이 형성됨에 따라, 단턱부(16)와, 삼각홈부(15)로부터 이음쇠(1)의 내주면과 다수개의 나선형 홈 사이로 빗물과 이물질이 쉽게 유입되면서 이음쇠(1)에 의해 결속되는 와이어로프가 쉽게 부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0961999호(발명의 명칭 :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로프의 고리가 형성되는 클램프(종래는 이음쇠)의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는 단턱부와 삼각홈부에 휴대가 용이하며 투명합성수지가 스프레이되는 에어졸 형태의 메움재공급기를 이용하여 상기 단턱부와 삼각홈부를 메움재로 메운 뒤에, 메움재가 메워진 와이어로프 결속부 외부면 전체를 수축튜브로서 열압착설치함으로써, 종래에 와이어로프 결속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와이어로프 결속부를 손상시키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뻣뻣하고 무거워서 다루기가 매우 힘든 와이어로프의 와이어로프 결속부를 메움재와 수축튜브로 감싸서 설치하는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움재와 수축튜브를 투명체로 설치하면서 수축튜브의 내부에는 해당 와이어로프의 제작일과 규격, 안전하중 등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예상수명과 현재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을 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로프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양쪽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구부려서 로프단부와 로프본선이 겹쳐진 외부에 금속재질의 클램프를 압착 고정하여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는 와이어로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압착된 부분의 클램프의 전방 수직면과 그 수직면에 대응되는 로프본선의 외주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가 메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후방측의 로프단부와 그 단부에 대응하는 로프본선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와, 고리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클램프에 압착되어 2줄의 로프본선이 삼각형으로 만나는 삼각홈부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가 메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의 외부면에는 해당 와이어로프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전방의 메움재 외부로부터 클램프 후방의 메움재 외부 전체에 수축튜브가 씌워진 상태에서 설치되되, 상기 수축튜브의 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고리를 형성하기 위해 클램프를 설치했을 때, 그 클램프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단턱부와 삼각홈부에 합성수지재로 되는 메움재를 메운 뒤에, 메움재가 메워진 와이어로프 결속부 외부면 전체에 수축튜브를 열 압착 설치함으로써, 종래에 와이어로프 결속부로 빗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면서 와이어로프 결속부를 손상시키던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고, 뻣뻣하고 무거워서 다루기가 매우 힘든 와이어로프의 와이어로프 결속부에 메움재와 수축튜브를 간편하게 설치하게 되는 효과와, 와이어로프 결속부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 그리고, 와이어로프를 형성하는 강철철사의 끝단부가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손다침 현상을 예방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메움재와 수축튜브를 투명체로 설치하면서 수축튜브의 내부에는 해당 와이어로프의 제작일과 규격, 안전하중 등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로프의 예상수명과 현재상태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을 할 수 있게 되어 와이어로프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수축튜브에 접착제가 초기에는 나선형으로 도포되어 있으나, 수축튜브가 열압착되면 접착제가 납작하게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6의 (가) 내지 (라)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 고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와이어로프(10)의 양쪽 로프단부(13)를 고리 모양으로 구부려서 로프단부(13)와 로프본선(11)이 겹쳐진 외부에 금속재질의 클램프(20)를 압착 고정하여 와이어로프(10)의 양단부에 고리(12)가 형성되는 와이어로프에 관한 것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20)가 압착된 부분의 클램프(20)의 전방 수직면과 그 수직면에 대응되는 로프본선(11)의 외주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16)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30)가 메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20) 후방측의 로프단부(13)와 그 단부에 대응하는 로프본선(11)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16')와, 고리(12)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클램프(20)에 압착되어 2줄의 로프본선(11)이 삼각형으로 만나는 삼각홈부(15)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30')가 메움 설치된다.
이때, 메움재(30')(30)는 시중에서 널리 판매되고 있는 우레탄절연제(우레탄코팅제)나, 투명(에폭시)코팅제를 칭하는 것으로서, 이들은 스프레이식으로 액상의 합성수지액이 에러졸 형태로 분무되어 상기 단턱부(16')(16)와 삼각홈부(15)를 간편하게 메울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우레탄절연제는 폴리우레탄 코팅제로써, 전기 설비의 절연효과와 습기 차단 밀봉효과가 있으며, 피막은 빠르게 건조되고 단단하면서도 유연한 피막을 형성하여 염분, 습기, 충격, 마모 등에도 견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메움재(30')(30)는 위에서 언급한 우레탄코팅제나 투명(에폭시)코팅제외에도 건설, 공예 등에 접착제로 널리 사용되며 실리콘을 녹였다 굳혔다 하는 방식으로 글루건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20)의 외부면에는 해당 와이어로프(10)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50)가 설치되는데, 상기 표시부(50)에 표시되는 정보는 그 와이어로프(10)의 제작일과, 안전하중, 규격, 제작자의 상호 등이 통상적으로 표시되게 되며, 이 표시부(50)가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클램프(20)의 외부면에 양각이나 음각으로 마킹을 하거나, 위의 정보가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20) 전방의 메움재(30) 외부로부터 클램프(20) 후방의 메움재(30') 외부 전체를 투명체로 된 수축튜브(40)가 씌워진 상태에서 열압착으로 설치되되, 상기 수축튜브(40)의 내면에는 접착제(41)가 도포되어 있다.
이때, 상기 2줄의 로프본선(11)이 겹쳐진 부분을 압착 고정하는 클램프(20) 전방의 메움재(30) 외부로부터 클램프(20) 후방의 메움재(30') 외부 전체부분을 와이어로프 결속부(14)라고 칭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수축튜브(40)의 내면에 도포되는 접착제(4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축튜브(40)의 내주연에 접착제(41)를 나선형으로 도포하여 접착제의 도포작업이 용이하며,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외부에 수축튜브(40)를 열 압착시키면, 나선형으로 도포한 접착제(41)가 도 4의 (나)와 같이 수축튜브(40)의 내면 전체면에 퍼지면서 접촉면적이 확대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조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로프본선(11)의 양측단부에 내면에 접착제(41)가 도포되고 투명합성수지로 형성된 수축튜브(40)와 금속으로 된 클램프(20)를 헐렁하게 삽입하는 제1단계와; 양쪽 로프단부(13)를 고리 모양으로 구부리면서 로프본선(11)에 끼워진 클램프(20)의 내부구멍으로 끼운 뒤에 클램프(20)를 압착하여 고리(12)를 형성하는 제2단계와; 상기 클램프(20)가 압착된 부분의 클램프(20)의 전방 수직면과 그 수직면에 대응되는 로프본선(11)의 외주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16)와, 클램프(20) 후방측의 로프단부(13)와 그 단부에 대응하는 로프본선(11)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16')와, 고리(12)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클램프(20)에 압착되어 2줄의 로프본선(11)이 삼각형으로 만나는 삼각홈부(15)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30)(30')를 메우는 제3단계와; 클램프(20)의 외부면에 해당 와이어로프(10)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50)를 설치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로프본선(11)에 끼워져 있던 수축튜브(40)의 내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후 클램프(20)와 전후방측 메움재(30)(30')의 외측으로 끼운 뒤에 수축튜브(40)를 가열하여 수축 설치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 전에 수축튜브(40)의 내면에 접착제(41)를 도포해 둔 수축튜브(40)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접착제(41)가 녹으면서 클램프(20)와 메움재(30)(30')의 외주면에 수축튜브(40)가 접착된다.
이때, 투명한 합성수지재로서 형성되는 수축튜브(40)의 내주연에 도 4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착제(41)를 나선형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수축튜브(40)를 회전시키면서 접착제가 나오는 노즐을 직선 이동시키거나, 또는 접착제가 나오는 노즐을 회전시키면서 수축튜브(40)를 직선 이동시키면 간단하며 짧은 작업시간에 수축튜브(40)의 내주연에 접착제(41)를 도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단계는 필요로 하는 길이로 절단된 로프본선(11)의 양단부에 양측단부에 투명합성수지로 형성된 수축튜브(40)와 금속으로 된 클램프(20)를 헐렁하게 삽입하는 단계로서, 수축튜브(40)가 클램프(20)의 외부에 끼워져야 하므로 도 6의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본선(11)의 안쪽에 수축튜브(40)가 먼저 헐렁하게 끼워져야 한다.
상기 제2단계는 도 6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본선(11)의 양쪽 로프단부(13)를 고리 모양으로 구부리면서 로프본선(11)에 끼워진 클램프(20)의 내부구멍으로 끼운 뒤에 클램프(20)를 압착하여 고리(12)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클램프(20)는 금속재로서 장원관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구멍의 크기가 2줄의 로프본선(11)을 겹친 상태에서 부드럽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도 2 및 도 6의 (나)와 같이 클램프(20)의 내부구멍으로 2줄의 로프본선(11)이 겹쳐지게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20)를 압착하여 2줄로 겹쳐진 부분이 클램프(20)에 고정되면서 단부에는 고리(12)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3단계는 도 2 및 도 5와 도 6의 (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20)로서 고정된 로프본선(11)의 전후방측의 삼각홈부(15)와 단턱부(16)(16') 에 메움재(30)(30')를 도포하여 그들의 공간부(삼각홈부와 단턱부)를 메우는 단계로서, 이는 투명합성수지재를 스프레이식으로 분사하는 메움재공급기(31)로서 상기 공간부(삼각홈부와 단턱부)에 도포하여 그들의 공간부를 메운다.
이렇게 분사하는 투명합성수지재는 에폭시나 우레탄, 실리콘을 분사할 수 있으며, 이들은 에어졸 형태의 제품들이 투명코팅제라는 명칭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글루건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4단계는 클램프(20)의 외부면에 해당 와이어로프(10)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50)를 설치하는 단계로서, 클램프(20)의 외부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해당 와이어로프(10)의 정보를 마킹하거나, 위의 정보가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5단계는 도 2 및 도 6의 (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단계에서 로프본선(11)에 헐렁하게 끼웠던 수축튜브(40)를 클램프(20)와 전후방측 메움재(30)(30')의 외측으로 끼운 뒤에 수축튜브(40)를 가열하여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수축튜브(40)가 수축되면서 와이어로프 결속부(14)를 감싸는 단계이다.
이때는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외측에 끼워진 수축튜브(40)를 화염이 나오는 토치와 같은 가열기구(42)로서 가열함에 따라 수축튜브(40)가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외형대로 수축하면서 와이어로프 결속부(14) 전체를 감싸게 되며, 수축튜브(40)의 내주면에 도포되었던 접착제(41)가 토치를 통하여 가열되는 열기에 의해 녹으면서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외주면, 즉, 전방측 메움재(30)의 외주면과 클램프(20)의 외주면, 후방측 메움재(30')의 외주면과 접착되어 고리(12)의 제조가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로프(10)는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프단부(13)를 둥글게 형성하면서 로프본선(11)이 2줄로 겹쳐지는 부분을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클램프(20)에 끼운 뒤에 압착 고정함에 따라 클램프(20)의 전방에 가운데의 삼각홈부(15)와 외측에 단턱부(16)가 형성되고, 클램프(20)의 후방측에는 2줄로 겹쳐지던 로프단부(13)가 클램프(20)의 후방측에 소정의 길이(2~5㎝) 만큼 돌출되어 2단으로 단턱부(16')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20)의 전후방에 삼각홈부(15)를 비롯한 단턱부(16)(16')가 형성됨에 따라 와이어로프 결속부(14)가 울룩불룩한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그들의 공간(클램프 전방의 삼각홈부와, 단턱부 그리고, 클램프 후방의 이단 단턱부)를 메움재(30)(30')로 메우게 되어 그들의 공간이 메워지면서 핫도그형태로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형상이 뭉툭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공간에 메움재(30)(30')를 메우는 것은 에어졸 형태의 간단한 메움재공급기(31)로서 투명한 합성수지재를 스프레이형태로 뿌려주는 것임에 따라 메움재(30)(30')를 메우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클램프(20)의 전후방에 형성되는 각각의 공간에 치약과 같이 물렁하거나, 또는 에폭시 및 우레탄 스프레이와 같은 겔상태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메움재(30)(30')가 채워지기 때문에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철철사를 꼬아서 만든 와이어로프(10)의 외주 전체면에 밀착되게 되어 추후에 메움재(30)(30')가 응고되게 되면, 완벽한 밀봉이 되어 와이어로프 결속부(14) 의 내부로 빗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와이어로프 결속부(14)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된 로프본선(11)의 부식과 같은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클램프(20)의 전후방측 공간부에 메움재(30)(30')를 메운 뒤에는 자연 건조시키거나 또는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물렁한 메움재(30)(30')가 굳어지게 하며, 그 메움재(30)(30')가 굳어진 뒤에 이미 로프본선(11)에 헐렁하게 끼워져 있던 수축튜브(40)를 핫도그형태로 뭉툭하게 형성된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외부에 끼운 뒤에 도 6의 (라)와 같이 토치와 같은 가열기구(42)로 가열하면,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수축튜브(40)가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형상에 맞게 수축되면서 고리(12)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이 완료된 와이어로프(10)의 단부는 단부측에 고리(12)가 형성되고, 그 안쪽으로 와이어로프 결속부(14)가 뭉툭한 핫도그형태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된 수축튜브(40)가 감싸지게 설치되어서, 고리(12)를 비롯한 와이어로프 결속부(14)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게 되고, 와이어로프 결속부(14)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와이어로프(10)의 정보, 즉 제작일, 안전하중, 규격, 제작사 등이 기재된 표시부(50)가 육안으로 보이도록 설치되어서 와이어로프(1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로프 결속부(14)에는 외측의 수축튜브(40)와 내측의 메움재(30)(30')를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서, 위의 설명과 동일하게 육안으로 와이어로프 결속부(14)의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게 되어 와이어로프 결속부(14), 내측의 로프본선(11)이 손상되는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어 안전사고예방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와이어로프 11 : 로프본선 12 : 고리
13 : 로프단부 14 : 와이어로프 결속부 15 : 삼각홈부
16,16': 단턱부 20 : 클램프 30,30' : 메움재
31 : 메움재공급기 40 : 수축튜브 41 : 접착제
42 : 가열기구 50 : 표시부

Claims (3)

  1. 와이어로프의 양쪽 로프단부를 고리 모양으로 구부려서 로프단부와 로프본선이 겹쳐진 외부에 금속재질의 클램프를 압착 고정하여 와이어로프의 양단부에 고리가 형성되는 와이어로프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 압착된 부분의 클램프의 전방 수직면과 그 수직면에 대응되는 로프본선의 외주면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가 메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후방측의 로프단부와 그 단부에 대응하는 로프본선 사이의 모서리부분이 되는 단턱부와, 고리가 둥글게 형성되면서 클램프에 압착되어 2줄의 로프본선이 삼각형으로 만나는 삼각홈부에 투명합성수지로 되는 메움재가 메움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의 외부면에는 해당 와이어로프의 정보가 표시된 표시부가 설치되며,
    상기 클램프 전방의 메움재 외부로부터 클램프 후방의 메움재 외부 전체에 수축튜브가 씌워진 상태에서 설치되되, 상기 수축튜브의 내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고리.
  2. 삭제
  3. 삭제
KR1020130073597A 2013-06-26 2013-06-26 와이어로프 고리 KR101405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597A KR101405389B1 (ko) 2013-06-26 2013-06-26 와이어로프 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597A KR101405389B1 (ko) 2013-06-26 2013-06-26 와이어로프 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931A KR20140011931A (ko) 2014-01-29
KR101405389B1 true KR101405389B1 (ko) 2014-06-11

Family

ID=50143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597A KR101405389B1 (ko) 2013-06-26 2013-06-26 와이어로프 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383B1 (ko) * 2015-09-17 2016-02-01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슬링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8176A (ja) * 1996-02-01 1997-08-12 Toko Shizai Kk 玉掛け用具の端部処理構造
JP2003118968A (ja) * 2001-10-15 2003-04-23 Kondotec Inc ワイヤーロープ
KR20030073431A (ko) * 2002-03-11 2003-09-19 이상혁 화물운반적하용 슬링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슬링
KR100961999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8176A (ja) * 1996-02-01 1997-08-12 Toko Shizai Kk 玉掛け用具の端部処理構造
JP2003118968A (ja) * 2001-10-15 2003-04-23 Kondotec Inc ワイヤーロープ
KR20030073431A (ko) * 2002-03-11 2003-09-19 이상혁 화물운반적하용 슬링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제조된 슬링
KR100961999B1 (ko) * 2009-12-24 2010-06-08 대광기업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 슬링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931A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65374C (en) Apparatus and system for electro-fusion of polyethylene pipeline
EP2800921B1 (en) Heat-shrinkable tube covering
JP5889047B2 (ja) 絶縁防水部材及び絶縁防水方法
CA2704406A1 (en) Casing member for forming a connection between tubular sections and use thereof for forming connections
JPH01206573A (ja) シール材パッド構成品
CN104882688A (zh) 具有带封装电线端部的端子的电缆组件
JPS6062312A (ja) 杭の表面を被覆保護する方法及び杭の表面を被覆保護するプラスチックシート
KR101405389B1 (ko) 와이어로프 고리
JP5578105B2 (ja) 端子金具付き電線
US20190368650A1 (en)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welded joints of pre-insulated pipes
US20080057315A1 (en) Method of application of heat-shrinkable articles
CA2942807C (en) Method for anti-fire insulation and thermal insulation of welded joints of pre-insulated pipes during above-ground pipeline laying
CA2942813C (en) Method for thermally insulating welded joints for pre-insulated pipes
CN209410758U (zh) 一种电池捆扎带
JP5510739B2 (ja)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
KR100572017B1 (ko) 수축망과 가교시트를 이용한 연결구 및 그 제조방법
EP0235959B1 (en) Method of producing a tube assembly
ITVI20120068A1 (it) Dispositivo di connessione per fogli di membrane bituminose e membrana bituminosa comprendente un dispositivo di connessione
CN220087509U (zh) 恒功率电热带
JP2680292B2 (ja) 斜材ケーブルのオーバラップ工法と保護管
JP3031483U (ja) アイスプライス加工ワイヤーロープ
KR200344542Y1 (ko) 관이음구
JPH0436647Y2 (ko)
JPH0614687U (ja) 分岐管防食用熱収縮性成形体
EP1505693A1 (en) Conductor cable joint encaps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