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90B1 -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90B1
KR101404090B1 KR1020120034859A KR20120034859A KR101404090B1 KR 101404090 B1 KR101404090 B1 KR 101404090B1 KR 1020120034859 A KR1020120034859 A KR 1020120034859A KR 20120034859 A KR20120034859 A KR 20120034859A KR 101404090 B1 KR101404090 B1 KR 10140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unit
vehicle
sensing
unit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461A (ko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20034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9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6Theft prevention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어 탑승자의 인체를 센싱하는 인체 센싱부와;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센싱하는 물체 센싱부와;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를 통해 탑승자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인체 센싱부를 통해 탑승자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식별시키는 물체 식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lost article on inne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차량은 천정면에 제공된 조명 수단의 선택적인 스위칭 동작에 의해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 차량은 탑승자가 긴급하게 하차할 때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자동적으로 식별시킬 수가 없어, 분실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빠르게 식별시켜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체의 센싱율과 물체의 센싱율 및 물체의 식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어 탑승자의 인체를 센싱하는 인체 센싱부와;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센싱하는 물체 센싱부와;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를 통해 탑승자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 및 물체 센싱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인체 센싱부를 통해 탑승자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식별시키는 물체 식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체 식별부는 물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체 식별부는 물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 및 물체 식별부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의 천정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 및 물체 식별부중 적어도 하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셋째, 인체의 센싱율과 물체의 센싱율 및 물체의 식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 및 물체 식별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 및 물체 식별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 및 물체 식별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00)은 인체 센싱부(102), 물체 센싱부(104), 제어부(106), 물체 식별부(108)를 포함한다.
인체 센싱부(102)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인체 센싱부(102)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차량(A)에 탑승한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할 수가 있다.
이때, 인체 센싱부(102)는 인체 센싱을 위한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물체 센싱부(104)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02)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센싱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물체 센싱부(104)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센싱할 수가 있다.
이때, 물체 센싱부(104)는 물체 센싱을 위한 CC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02) 및 물체 센싱부(104)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인체 센싱부(102) 및 물체 센싱부(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부(106)는 인체 센싱부(102) 및 물체 센싱부(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B)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06)는 ECU(Engine Control Unit) 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물체 식별부(108)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02) 및 물체 센싱부(104)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물체 식별부(108)는 인체 센싱부(1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1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108)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물체 식별부(108)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물체 센싱부(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광원 조사로 효율적으로 식별시킬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물체 센싱부(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킬 수가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센싱부(102)와 물체 센싱부(104) 및 물체 식별부(108)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10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지지부(105)는 하우징(105a), 제 1 축 부재(105b), 제 2 축 부재(105c), 회동 부재(105d)를 포함할 수가 있다.
하우징(105a)은 인체 센싱부(102)와 물체 센싱부(104) 및 물체 식별부(108)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축 부재(105b) 및 제 2 축 부재(105c)는 차량(A)의 천정면과 하우징(105a)의 외측면에 제공될 수가 있다.
회동 부재(105d)는 제 1 축 부재(105b) 및 제 2 축 부재(105c)에 연결되어 제 2 축 부재(105c)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축 부재(105c)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4 및 도 5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00)의 분실물 방지 방법(400)은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 제어 단계(S404), 물체 식별 단계(S406)를 수행한다.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차량(도1의 A)의 내부에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와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 및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를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시켜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 3의 102) 및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인체 및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의 B)를 센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를 차량(도1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고,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를 통해 차량(도1의 A)에 탑승한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효율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를 차량(도1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여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를 인체 센싱을 위한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차량(도1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와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되어 제공하고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의 B)를 센싱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차량(도1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여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의 B)를 효율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차량(도1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여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의 B)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물체 센싱을 위한 CC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를 차량(도1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 및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와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되어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를 차량(도1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고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를 통해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로부터 센싱된 물체(도1의 B)를 광원 조사로 효율적으로 식별시키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를 차량(도1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고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를 통해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로부터 센싱된 물체(도1의 B)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키는 단계일 수가 있다.
한편,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와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 및 물체 식별부(도1 내지 도3의 108)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부(도2 및 도3의 10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즉,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지지부(도3의 105)를 하우징(도3의 105a), 제 1 축 부재(도3의 105b), 제 2 축 부재(도3의 105c), 회동 부재(도3의 105d)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하우징(도3의 105a)을 인체 센싱부(도3의 102)와 물체 센싱부(도3의 104) 및 물체 식별부(도3의 108)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고, 제 1 축 부재(도3의 105b) 및 제 2 축 부재(도3의 105c)를 차량(도1의 A)의 천정면과 하우징(도3의 105a)의 외측면에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402)는 회동 부재(도3의 105d)를 제 1 축 부재(도3의 105b) 및 제 2 축 부재(도3의 105c)와 연결하여 제 2 축 부재(도3의 105c)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축 부재(도3의 105c)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어 단계(S404)는 차량(도1의 A)의 내부에 제어부(도2의 106)를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 및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와 이격시켜 제공하고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 및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 및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도1의 B)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 단계(S404)는 제어부(도2의 106)를 ECU(Engine Control Unit) 모듈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물체 식별 단계(S406)는 인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도2의 1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도1 내지 도3의 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도1의 B)를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00)은 인체 센싱부(102), 물체 센싱부(104), 제어부(106), 물체 식별부(10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00)은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00)은 지지부(105)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00)은 지지부(105)를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인체의 센싱율과 물체의 센싱율 및 물체의 식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600)은 인체 센싱부(602), 물체 센싱부(604), 제어부(606), 물체 식별부(608)를 포함한다.
인체 센싱부(602)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인체 센싱부(602)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차량(A)에 탑승한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할 수가 있다.
이때, 인체 센싱부(602)는 인체 센싱을 위한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물체 센싱부(604)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602)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센싱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물체 센싱부(104)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센싱할 수가 있다.
이때, 물체 센싱부(604)는 물체 센싱을 위한 CC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부(606)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602) 및 물체 센싱부(604)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인체 센싱부(602) 및 물체 센싱부(6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부(606)는 인체 센싱부(602) 및 물체 센싱부(6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B)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606)는 ECU(Engine Control Unit) 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물체 식별부(608)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602) 및 물체 센싱부(604)와 이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물체 식별부(608)는 인체 센싱부(6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6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6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물체 식별부(608)는 물체 센싱부(604)를 통해 센싱된 물체(B)를 차량(A)의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센싱부(602)와 물체 센싱부(604)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60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지지부(605)는 하우징(605a), 제 1 축 부재(605b), 제 2 축 부재(605c), 회동 부재(605d)를 포함할 수가 있다.
하우징(605a)은 인체 센싱부(602)와 물체 센싱부(604)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축 부재(605b) 및 제 2 축 부재(605c)는 차량(A)의 천정면과 하우징(605a)의 외측면에 제공될 수가 있다.
회동 부재(605d)는 제 1 축 부재(605b) 및 제 2 축 부재(605c)에 연결되어 제 2 축 부재(605c)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축 부재(605c)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9 및 도 10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900)의 분실물 방지 방법(900)은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 제어 단계(S904), 물체 식별 단계(S906)를 수행한다.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차량(도6의 A)의 내부에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와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 및 물체 식별부(도6 내지 도8의 608)를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시켜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 및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인체 및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6의 B)를 센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를 차량(도6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고,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를 통해 차량(도6의 A)에 탑승한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효율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를 차량(도6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여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를 인체 센싱을 위한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차량(도6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와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되어 제공하고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6의 B)를 센싱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차량(도6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여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6의 B)를 효율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차량(도6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여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6의 B)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물체 센싱을 위한 CC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물체 식별부(도6의 608)를 차량(도6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 및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와 이격되어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물체 식별부(도6의 608)를 통해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로부터 센싱된 물체(도6의 B)를 차량(도6의 A)의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키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한편,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와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부(도7 및 도8의 60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즉,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지지부(도7 및 도8의 605)를 하우징(도8의 605a), 제 1 축 부재(도8의 605b), 제 2 축 부재(도8의 605c), 회동 부재(도8의 605d)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하우징(도8의 605a)을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와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고, 제 1 축 부재(도8의 605b) 및 제 2 축 부재(도8의 605c)를 차량(도6의 A)의 천정면과 하우징(도8의 605a)의 외측면에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902)는 회동 부재(도8의 605d)를 제 1 축 부재(도8의 605b) 및 제 2 축 부재(도8의 605c)와 연결하여 제 2 축 부재(도8의 605c)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축 부재(도8의 605c)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어 단계(S904)는 차량(도6의 A)의 내부에 제어부(도7의 606)를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 및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와 이격시켜 제공하고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 및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 및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도6의 B)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 단계(S904)는 제어부(도7의 606)를 ECU(Engine Control Unit) 모듈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물체 식별 단계(S906)는 인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도7의 6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도6 내지 도8의 6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도6의 B)를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600)은 인체 센싱부(602), 물체 센싱부(604), 제어부(606), 물체 식별부(60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600)은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600)은 지지부(605)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600)은 지지부(605)를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인체의 센싱율과 물체의 센싱율 및 물체의 식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인체 센싱부와 물체 센싱부 및 물체 식별부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100)은 인체 센싱부(1102), 물체 센싱부(1104), 제어부(1106), 물체 식별부(1108)를 포함한다.
인체 센싱부(1102)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인체 센싱부(1102)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차량(A)에 탑승한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할 수가 있다.
이때, 인체 센싱부(1102)는 인체 센싱을 위한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가 있다.
물체 센싱부(1104)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102)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센싱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물체 센싱부(1104)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효율적으로 센싱할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B)를 센싱할 수가 있다.
이때, 물체 센싱부(1104)는 물체 센싱을 위한 CC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가 있다.
제어부(1106)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102) 및 물체 센싱부(1104)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인체 센싱부(1102) 및 물체 센싱부(110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부(1106)는 인체 센싱부(1102) 및 물체 센싱부(1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B)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106)는 ECU(Engine Control Unit) 모듈을 포함할 수가 있다.
물체 식별부(1108a)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102) 및 물체 센싱부(1104)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물체 식별부(1108a)는 인체 센싱부(11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11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1108)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물체 식별부(1108a)는 차량(A)의 천정면에 제공되어 물체 센싱부(1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광원 조사로 효율적으로 식별시킬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차량(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되어 물체 센싱부(1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킬 수가 있다.
동시에, 물체 식별부(1108b)는 차량(A)의 내부에 제공되고, 인체 센싱부(1102) 및 물체 센싱부(1104)와 이격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물체 식별부(1108b)는 인체 센싱부(11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11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1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식별시키게 된다.
여기서, 물체 식별부(1108b)는 물체 센싱부(1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B)를 차량(A)의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키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체 센싱부(1102)와 물체 센싱부(1104) 및 물체 식별부(1108)중 적어도 하나는 지지부(110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즉, 지지부(1105)는 하우징(1105a), 제 1 축 부재(1105b), 제 2 축 부재(1105c), 회동 부재(1105d)를 포함할 수가 있다.
하우징(1105a)은 인체 센싱부(1102)와 물체 센싱부(1104) 및 물체 식별부(1108)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고, 제 1 축 부재(1105b) 및 제 2 축 부재(1105c)는 차량(A)의 천정면과 하우징(1105a)의 외측면에 제공될 수가 있다.
회동 부재(1105d)는 제 1 축 부재(1105b) 및 제 2 축 부재(1105c)에 연결되어 제 2 축 부재(1105c)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축 부재(1105c)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 도 14 및 도 15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의 분실물 방지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100)의 분실물 방지 방법(1400)은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 제어 단계(S1404), 물체 식별 단계(S1406)를 수행한다.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차량(도11의 A)의 내부에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와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 및 물체 식별부(도11 내지 도13의 1108)를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시켜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 13의 1102) 및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인체 및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1의 B)를 센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를 차량(도11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고,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를 통해 차량(도11의 A)에 탑승한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효율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를 차량(도11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여 탑승자(미도시)의 인체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를 인체 센싱을 위한 인체 감지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차량(도11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와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되어 제공하고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1의 B)를 센싱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여기서,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차량(도11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여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1의 B)를 효율적으로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차량(도11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여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가 소지한 물체(도11의 B)를 센싱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물체 센싱을 위한 CC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 및 레이더 센서와 적외선 센서중 적어도 하나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식별부(도11 및 도13의 1108a)를 차량(도11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 및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와 일체형으로 제공하거나 이격되어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식별부(도11 내지 도13의 1108a)를 차량(도11의 A)의 천정면에 제공하고 물체 식별부(도11 내지 도13의 1108)를 통해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로부터 센싱된 물체(도11의 B)를 광원 조사로 효율적으로 식별시키는 단계일 수가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체 식별부(도11 내지 도13의 1108)를 차량(도11의 A)의 내부 일측면에 제공하고 물체 식별부(도11 내지 도13의 1108)를 통해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로부터 센싱된 물체(도1의 B)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키는 단계일 수가 있다.
동시에,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식별부(도11의 1108b)를 차량(도11의 A)의 내부에 제공하되,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 및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와 이격되어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물체 식별부(도11의 1108b)를 통해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로부터 센싱된 물체(도11의 B)를 차량(도11의 A)의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키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한편,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와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 및 물체 식별부(도11 내지 도13의 1108a)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부(도12 및 도13의 1105)에 의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즉,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지지부(도13의 1105)를 하우징(도13의 1105a), 제 1 축 부재(도13의 1105b), 제 2 축 부재(도13의 1105c), 회동 부재(도13의 1105d)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때,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하우징(도13의 1105a)을 인체 센싱부(도13의 1102)와 물체 센싱부(도13의 1104) 및 물체 식별부(도13의 1108)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고, 제 1 축 부재(도13의 1105b) 및 제 2 축 부재(도13의 1105c)를 차량(도11의 A)의 천정면과 하우징(도13의 1105a)의 외측면에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또한, 인체/물체 센싱 단계(S1402)는 회동 부재(도13의 1105d)를 제 1 축 부재(도13의 1105b) 및 제 2 축 부재(도13의 1105c)와 연결하여 제 2 축 부재(도13의 1105c)를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축 부재(도13의 1105c)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이 후, 제어 단계(S1404)는 차량(도11의 A)의 내부에 제어부(도12의 1106)를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 및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와 이격시켜 제공하고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 및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되,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 및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물체(도11의 B)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 단계(S1404)는 제어부(도12의 1106)를 ECU(Engine Control Unit) 모듈로 포함시켜 제공하는 단계일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물체 식별 단계(S1406)는 인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2)를 통해 탑승자(미도시)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제어부(도12의 1106)의 제어하에 물체 센싱부(도11 내지 도13의 1104)를 통해 센싱된 물체(도11의 B)를 식별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100)은 인체 센싱부(1102), 물체 센싱부(1104), 제어부(1106), 물체 식별부(1108)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100)은 탑승자의 하차시에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광원 조사와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동시에 식별시킬 수가 있어 분실물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100)은 지지부(1105)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1100)은 지지부(1105)를 통해 각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인체의 센싱율과 물체의 센싱율 및 물체의 식별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차량용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어 탑승자의 인체를 센싱하는 인체 센싱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인체 센싱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상기 탑승자가 소지한 물체를 센싱하는 물체 센싱부와;
    상기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인체 센싱부 및 상기 물체 센싱부와 이격되어 제공되며 상기 인체 센싱부 및 상기 물체 센싱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인체 센싱부 및 상기 물체 센싱부를 통해 상기 탑승자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 및 상기 물체의 유무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인 센싱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의 내부에 제공되고 상기 인체 센싱부 및 상기 물체 센싱부와 일체형으로 제공되거나 이격되어 제공되되, 상기 인체 센싱부를 통해 상기 탑승자의 하차에 따른 일정 시간 동안의 지속적인 센싱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물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광원 조사로 식별시키는 물체 식별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식별부는,
    상기 물체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물체를 스피커의 경보음으로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센싱부와 상기 물체 센싱부 및 상기 물체 식별부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차량의 천정면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센싱부와 상기 물체 센싱부 및 상기 물체 식별부중 적어도 하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KR1020120034859A 2012-04-04 2012-04-04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KR101404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59A KR101404090B1 (ko) 2012-04-04 2012-04-04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859A KR101404090B1 (ko) 2012-04-04 2012-04-04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61A KR20130112461A (ko) 2013-10-14
KR101404090B1 true KR101404090B1 (ko) 2014-06-05

Family

ID=49633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859A KR101404090B1 (ko) 2012-04-04 2012-04-04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948B1 (ko) 2015-10-02 201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2340720B1 (ko) * 2019-07-24 2021-12-20 김대훈 차량 관리 시스템
CN113920576A (zh) * 2020-07-07 2022-01-11 奥迪股份公司 车上人员的丢物行为识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342B1 (ko) * 1995-12-29 1999-02-18 강병호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KR19990008907U (ko) * 1997-08-13 1999-03-05 윤종용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JP2004020247A (ja) 2002-06-13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員検出装置
JP2007001724A (ja) 2005-06-23 2007-01-11 Fujitsu Ten Ltd 車両荷物管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342B1 (ko) * 1995-12-29 1999-02-18 강병호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KR19990008907U (ko) * 1997-08-13 1999-03-05 윤종용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
JP2004020247A (ja) 2002-06-13 2004-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乗員検出装置
JP2007001724A (ja) 2005-06-23 2007-01-11 Fujitsu Ten Ltd 車両荷物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461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2781B2 (ja) 組立体モジュール
KR101418943B1 (ko) 조향 휠 위치 제어 시스템
KR101153599B1 (ko) 차내 정보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광조사 장치
JP6173746B2 (ja) 車両用警報装置
CN105936257B (zh) 用于协助车辆、特别是商用车辆的驾驶员的方法和设备
CN108778837B (zh) 交通工具灯光引导系统和方法
JP2016088201A (ja) 停車時車両制御装置
US20150217689A1 (en) Controlling an Interior Illumination Device for Warning a Motor Vehicle User of a Risk of Collision
JP2017144937A (ja) 撮像システム
US9981598B2 (en) Alighting notification device
KR101404090B1 (ko)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TW201618987A (zh) 汽車盲區監控預警系統及汽車
US20170103638A1 (en) Activity monitoring apparatus
US10196070B2 (en) Safety and clean vehicle monitoring system
US20150232033A1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 mirror for a motor vehicle
JP2021066275A (ja) 車両制御装置
JP2015033897A (ja) 車両用照明システム
JP2007022494A (ja) 表示器の角度制御装置
JP5573820B2 (ja) 状態監視装置
JP6914730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CN111231968B (zh) 面向驾驶员的摄像机的移动跟踪
CN114041174A (zh) 用于在车辆内确定车辆使用者的眼睛图像数据、眼睛位置和/或视向的装置和方法
WO2014054135A1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029350A (ja) 車両の乗員検知装置
JP201709500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