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20B1 - 차량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20B1
KR102340720B1 KR1020190089454A KR20190089454A KR102340720B1 KR 102340720 B1 KR102340720 B1 KR 102340720B1 KR 1020190089454 A KR1020190089454 A KR 1020190089454A KR 20190089454 A KR20190089454 A KR 20190089454A KR 102340720 B1 KR102340720 B1 KR 10234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module
camera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2191A (ko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김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훈 filed Critical 김대훈
Priority to KR102019008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2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2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8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interior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7/001Industri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용 전후 차량의 내부를 촬영된 두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깊이정보를 통해 고객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차량 내 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인입 및 입출이 가능한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 이미지와 깊이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사용전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량의 사용 상태를 판단 및 평가함과 아울러, 유실물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관리 시스템{VEHICL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 전후 차량의 내부를 촬영된 두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하고, 이미지에 포함된 깊이정보를 통해 고객 피드백을 제공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장이 잦은 회사원이나 차량을 소유하지 않은 여행객이 객지에서 차량을 렌탈 또는 쉐어링하여 편리하게 이용하고자 하거나, 소유한 차량의 사고 발생시 수리기간 동안 렌터카를 이용하고자 하는 렌터카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다.
렌터카 서비스는 렌터카 회사 또는 대여점이 이용 가능한 차량의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렌터카를 이용하려는 고객은 렌터카 회사 또는 대여점에서 직접 제공되는 차량에 대하여 대여를 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렌터카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은 차량의 이용을 완료하여 차고지에 차량을 반납하는 경우, 업체 관리자가 사용 후 차량의 내부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여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차량 사용 상태에 따라 세차 여부 및 유실물을 존재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렌터카 업체를 직접 방문하여 대여 및 반납하는 형태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카쉐어링(Car Sharing)의 형태의 서비스의 경우 모든 보관소에 담당 직원이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상태의 확인이 불가능하며, 이는 차량에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고객과 업체간의 다툼의 원인이 되거나, 혹은 다음 고객이 불편함을 겪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5944호(2012.02.13.)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 사용 전후로 차량의 내부를 촬영한 두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차량의 사용 상태를 판단 및 평가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평소 차량의 내부공간에 인입되어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 내부의 점검시에만 인출되어 차량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차량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매립 설치되고,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촬영부,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차량에 대한 사용전 이미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유무를 판단하는 상태 평가부 및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상태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유실물 존재시 해당 고객에게 유실물 확인을 요청하는 상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촬영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천장 등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실장되고, 외부로 인출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천장과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카메라의 상부면을 덮는 커버부재, 상기 카메라의 하부면을 밀어올려 상기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동모듈, 상기 구동모듈과 카메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 및 카메라와 연결되어 카메라를 차량내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카메라 하부와 결합되고, 복수의 관절을 갖는 로봇 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암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각도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사용전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사용전 이미지 및 상기 깊이정보를 각각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사용전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 내 최초 등장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검색된 불일치 영역에 따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율을 산출하는 산출모듈 및 상기 불일치율 및 객체존재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는 차량 전방, 측방 및 후방을 촬영하여 차량 유리 이미지를 더 획득하고, 상기 산출모듈은 상기 차량 유리 이미지에 존재하는 차량 전방 와이퍼의 가동 영역과 나머지 영역간 차이를 비교하여 차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평가부는, 상기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고객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고객 평가모듈, 상기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세차 필요여부 및 세차 방식을 결정하고, 세차 등급을 선정하는 세차 선정모듈, 상기 객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차량 내 고객의 유실물의 존재를 확인 및 상기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유실물 확인모듈, 상기 유실물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다수 저장된 유실물 저장모듈 및 상기 불일치율이 일정 비율을 초과하면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는 파손 확인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전송부는,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연계된 외부의 차량 청소 장치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전송부는 유실물 발생시, 상기 고객의 단말에 유실물에 대한 이미지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차량 내 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인입 및 입출이 가능한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 이미지와 깊이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사용전 이미지와 비교하여 차량의 사용 상태를 판단 및 평가함과 아울러, 유실물 존재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평소 차량의 내부에 인입 상태로 대기함에 따라, 일반 차량과 동일한 차량 내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차량 제어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차량 촬영부의 외관 및 구동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이미지 분석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예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예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상태 평가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천장 또는 기타 차량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매립 설치되고,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차량 촬영부(100), 차량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차량에 대한 사용전 이미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200), 이미지 분석부(200)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상태 평가부(300) 및 촬영 이미지와 상태 평가부(300)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는 상태 전송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촬영부(100)는 차량 사용 후, 차량 내부를 탑재된 카메라 장치를 통해 촬영하여 차량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으로, 차량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차량 내부의 전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차량 천장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거나, 기타 차량의 내측면, 시트 등의 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촬영부(100)는 평소 차량 천장 내부 또는 기타 영역 내에 매립 설치되어 대기상태를 유지하고, 차량의 렌트 또는 쉐어링이 종료되면 차량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차량 내부를 촬영하고 촬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촬영부(100)에 탑재되는 카메라는 RGB 이미지 및 IR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둘 이상의 수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공지의 처리 과정을 통해 피사체에 대한 깊이정보(depth)를 더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은 렌터카, 쉐어링카 등의 차량 소유자가 직접 운행하는 차량이 아닌, 업체에서 고객에게 일정 기간 대여해주는 렌터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사용전 후 관리가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미지 분석부(200)는 차량 내부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전달받고, 해당 차량에 대하여 미리 준비된 사용전 이미지와 서로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하여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전 이미지는 차량의 렌트 또는 쉐어링 이전에 차고지에 대기중인 사용전 차량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로서, 세차 직후 오염이 없는 상태에서의 차량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분석부(200)는 각 이미지에 포함된 화소들을 전처리 과정이 이후 매칭되는 화소간 비교과정을 수행하되 보다 정확한 비교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영상 처리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부(200)는 이미지 비교와 더불어 획득된 깊이정보를 통해 촬영 이미지에 대하여 오염, 파손이 아닌, 고객의 유실물을 객체로서 식별하여 상태 평가 과정에서 제외하고, 유실물 발생을 고객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유실물의 경우 일반적인 차량 시트 오염 또는 파손과는 달리 체적을 갖는 물체임에 따라 차량 사용전과는 상이한 깊이정보에 발생하고 이는 별도의 객체로서 인식할 수 있다.
상태 평가부(300)는 이미지 분석부(200)에 의해 산출된 두 이미지간 불일치율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에 대한 차량의 사용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생성하되, 가방, 옷과 같은 새로운 객체가 등장하는 경우 해당 영역은 이미지 비교시 제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태 평가부(300)는 영상 이미지를 이용한 기계 학습 기반 사물 판단 솔루션을 탑재할 수 있고, 이러한 사물 판단 솔루션은 이미지내 등장하는 객체의 사물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판단결과는 차량의 청소방식, 유실물 판단 대응, 사용자 평가 등급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렌터카 또는 쉐어링카에 적용될 수 있고, 고객은 사용한 차량에 대한 청결유지 의무가 약정에 따라 존재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자는 차량 반납 후 해당 차량에 대한 상태 평가에 따라 고객에 대한 이용료 할인, 포인트 적립 등의 할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정수준 이상으로 차량에 대한 오염 및 파손 발생시 약정에 근거하여 고객에게 추가 요금을 더 청구할 수 있다.
상태 평가부(300)는 미리 정의된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으며, 일례로서, 불일치율이 5 %을 기준값으로 설정된 경우, 서비스 제공자는 산출된 불일치율이 5 % 미만인 경우 사용 상태를 "좋음"로 평가하여 고객의 차량 사용비용을 할인할 수 있고, 산출된 불일치율 5 % 이상인 경우 "보통"으로 평가되어 별도의 할인혜택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10 % 이상인 경우 사용 상태를 "나쁨"으로 평가하여 고객에 대해 추가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상태 전송부(400)는 차량 촬영부(100)에 의한 촬영된 촬영 이미지 및 상태 평가부(300)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서비스 제공자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측에서 해당 촬영 이미지와 평가 결과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태 전송부(400)는 이미지 분석부(200)에 의해 깊이정보에 의해 식별된 유실물에 대하여 사용 고객의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유실물이 발견되었음을 푸시 메시지 형태로 알릴 상기 상태 전송부는,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연계된 외부의 차량 청소 장치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태 전송부(400)는 서비스 제공업체에 준비된 자동 로봇 청소기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차량 세차시 로봇 청소기가 오염 영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의 사용전 후 이미지를 비교하여 고객의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하고 이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고, 유실물 발생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여 고객이 즉시 확인 및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차량 촬영부에 관한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차량 촬영부의 외관 및 구동 양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차량 촬영부(100)는 천장(20)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실장되고, 외부로 인출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110), 천장(20)과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카메라(110)의 상부면을 덮는 커버부재(120), 카메라(110)의 하부면을 밀어올려 카메라(110)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동모듈(130), 구동모듈(130)과 카메라(110) 사이에 설치되어 카메라(110)의 촬영방향을 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140), 구동모듈(130) 및 카메라(110)와 연결되어 카메라(110)를 차량 천장(20) 내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110)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150) 및 차량 내부에 하나 이상의 설치되어 차량 내부(1) 환경을 감지하는 센싱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차량 천장(20)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간에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고, 하나의 렌즈부재(115)와 복수의 이미지 센서가 탑재되어 RGB 방식의 촬영 이미지 및 IR 방식의 깊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0)는 차량 천장(20)에 역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상부면에 커버부재(120)가 결합됨에 따라, 내부 공간의 인입 상태에서는 커버부재(120)가 내부 공간을 덮음으로써 대기 상태에서는 카메라(1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커버부재(120)는 차량 천장(20)의 내부 공간의 입구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이 차량 천장(20)과 회동 가능하도록 흰지 구조로 연결되어 카메라(110)의 인입 또는 인출시 내부 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구동모듈(130)은 공지의 엑추에이터로 구현될 수 있고, 카메라(110)의 하부면과 차량 천장(20)에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촬영부(100)의 구동시 카메라(110) 및 커버부재(120)를 차량 내부방향으로 밀어내어 카메라(110)를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하여 렌즈부재(115)가 차량 내부를 향하도록 한다.
또한, 카메라(110)의 하부면으로는 렌즈부재(115)의 방향을 360°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140)이 더 연결될 수 있다. 회전모듈(140)은 구동모듈(130)과는 별도의 엑추에이터로 구현되거나, 혹은 구동모듈(13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그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기구 구조물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카메라(110)의 구동시 렌즈부재(115)의 방향을 전환하여 촬영시 차량 내부의 전 영역이 음영 영역없이 모두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모듈(140)은 복수의 관절을 갖는 로봇 암을 포함할 수 있고, 로봇 암의 끝단에 카메라(110)가 연결되어 차량 내부로부터 로봇 암이 펼쳐짐에 따라 차량 내부의 모든 영역에 대하여 자유자재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어모듈(150)은 차량의 반납에 따른 차량 상태 평가 과정에서 카메라(110)를 구동하여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50)은 공지의 MCU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차량 이미지 생성 및 분석기능이 내장된 EEPROM 상에 기록되어 전술한 제어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제어모듈(15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프로그래밍된 내용에 따라 카메라(110)를 인출 및 인입시킬 수 있고, 카메라(110)의 촬영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조명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센싱모듈(160)은 카메라에 설치되어 차량 내부의 조도 및 명암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1) 환경을 센싱할 수 있는데, 이러한 센싱모듈(160)은 밝기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모듈(150)에 연결되어 센싱한 결과값을 제어모듈(15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촬영부는 가변 가능한 구조로 차량 내부에 매립되어 평소에는 일반차량과 동일한 외관으로 렌트 또는 쉐어링되며, 고객에 의해 반납되면, 차량 천장 또는 다른 영역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시스템의 이미지 분석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이미지 분석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미지 분석부(200)는 사용전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모듈(210),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저장모듈(210)에 저장된 사용전 이미지 및 깊이정보(depth)를 각각 입력받는 입력모듈(220), 사용전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을 검색하고, 깊이정보(depth)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 내 최초 등장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모듈(230), 비교모듈(230)에서 검색된 불일치 영역에 따라 촬영 이미지와 설정 이미지의 불일치율을 산출하는 산출모듈(240) 및 불일치율 및 객체존재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모듈(210)은 차량 상태 분석을 위한 기준이 되는 사용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전 이미지는 차량 천장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미리 촬영된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고, 카메라의 각 회전각도에 따라 복수의 사용전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입력모듈(220)은 카메라로부터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depth)를 전송받고, 저장모듈(210)을 참조하여 사용전 이미지를 추출하여 비교모듈(230)에 입력할 수 있다.
비교모듈(230)은 입력된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각 이미지는 동일 화소를 갖는 이미지로서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비교모듈(230)은 두 이미지를 전처리 후, 모든 화소에 대하여 각 화소간 계조차를 비교하게 된다. 이때, 비교 대상인 화소가 변경된 것으로 판정되는 기준은 촬영시 주변 조명상태 등에 의해 오차를 고려하여 두 화소의 계조차가 20% ± 5 % 이내일 경우 동일 화소로 간주하고 그 이상인 경우 변경된 화소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비교모듈(230)은 촬영 이미지에 깊이정보(depth)를 고려하여 변경된 화소가 이루는 영역에서 일정수준 이상의 깊이차를 갖는 영역에 대하여 객체 여부를 식별하고, 객체로 판단된 경우 해당 영역은 산출모듈(240)에 의한 불일치율 계산시 변경으로 판정된 화소에서 제외함으로써, 새로운 객체 즉 유실물로 간주할 수 있다.
산출모듈(240)은 각 화소별 계조차를 비교하고, 전체 화소에 대하여 변경된 화소의 비율을 이하의 수학식 1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9075976749-pat00001
출력모듈(250)은 산출된 촬영 이미지에 대한 불일치율을 상태 평가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모듈(250)은 산출된 불일치율과 더불어 사용전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를 서비스 제공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담당자가 불일치율에 따른 차이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력모듈(250)은 촬영 이미지에서 객체로 판단된 화소 영역을 별도로 추출하여 서비스 제공자 단말에 전송함으로써, 유실물에 대하여 신속하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시스템에 의한 두 이미지 비교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시스템은 차량 1열의 사용전 이미지(img1)와 촬영 이미지(img2)를 서로 비교한 결과, 차량 1열의 중앙부분 및 조수석에서 각각 계조차가 기준 이상으로 발생된 영역(a)이 발견할 수 있고, 이는 쓰레기 투기 또는 음식물에 의한 좌석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서 해당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예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례로서 차량 2열의 사용전 이미지(img1)와 촬영 이미지(img2)를 서로 비교한 결과 차량 2열의 중앙좌석, 중앙좌석 앞부분 및 좌측좌석, 우측좌석 앞부분에서 각각 계조차가 기준 이상으로 발생된 영역이 발견되는 경우, 해당 영역을 불일치 영역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우측좌석 앞부분에 대한 영역이 깊이정보가 주변 화소들에 대한 깊이정보에 대비하여 볼 때, 일정수준 이상으로 높거나 낮은 깊이값을 갖는다고 하면, 해당 영역은 유실물에 해당하는 객체(obj)로 판정할 수 있다.
즉, 이전 화소와 계조가 불일치하는 중앙 좌석 영역(a) 및 중앙좌석 앞부분 영역(b)은 파손 또는 오염으로 판정하여 불일치 영역으로 판정하여 불일치율 산출시 반영하고, 객체(obj)는 유실물로 판정하여 불일치율 산정시 그 영역의 화소들의 비교결과는 제외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촬영 이미지 및 사용전 이미지를 예시한 또 다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좌석 방향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회전을 통해 차량의 전방, 측방 및 후방 유리를 촬영하고 불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차량 전방 유리의 사용전 이미지(img1)와 촬영 이미지(img2)를 서로 비교하거나, 촬영 이미지(img2)내 포함되는 차량 전방 와이퍼의 가동 영역과 나머지 영역간 차이를 서로 비교할 수 있고, 차량의 와이퍼 및 와이퍼의 경로에 해당하는 영역의 화소들의 계조가 달라진 경우, 차량 유리의 청결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차량의 외관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와이퍼 영역(c)이 타 영역에 비하여 계조 변화 비율이 높은 경우 차량의 운행중 비 또는 눈이 내림에 따라 와이퍼를 작동시킨 것으로 추측할 수 있고, 차량의 외관 상태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관리 시스템은 이러한 경우 차량 상태 평가 단계에서 차량의 세차가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세차 단계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사용전 후 불일치율은 고객에게 귀책사유가 있다고 보기 어려움에 따라, 차량 관리 시스템은 고객에 대한 불일치율에 비례하는 할인혜택 또는 추가비용 청구시 배제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상태 평가부에 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의 상태 평가부(300)는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고객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고객 평가모듈(310),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세차 필요여부 및 세차 등급을 선정하는 세차 선정모듈(320), 객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차량 내 고객의 유실물의 존재를 확인하는 유실물 확인모듈(330), 유실물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다수 저장된 유실물 저장모듈(340) 및 불일치율이 일정 비율을 초과하면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는 파손 확인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평가모듈(310)은 전술한 출력모듈로부터 출력되는 불일치율에 따라 해당 고객의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 고객 평가모듈(310)은 불일치율이 기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좋음', '보통' 및 '나쁨'의 3 단계로 차량 사용 상태를 평가할 수 있고, '좋음'의 경우 렌트 또는 쉐어링 비용에 대한 할인 또는 적립 포인트와 같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쁨'의 경우 차량 이용에 대한 기본 비용 이외에 추가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고객들의 서비스 이용 양태에 따라 고객이 자발적으로 차량을 청결하게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부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관리에 따른 비용을 고객에게 환원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 및 고객 모두가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세차 선정모듈(320)은 고객 평가 결과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의 세차 여부를 필요 여부를 결정하고, 세차 등급을 선정할 수 있다. 세차 선정모듈(320)은 산출된 불일치율에 따라 세차 여부를 결정하고, 또한 불일치율이 속하는 구간에 따라 매칭되는 세차 등급을 각각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등급에 따라 세차 등급을 선정하여 세차를 진행하는 경우, 차량 오염도에 따라 최적의 비용에 따른 세차를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촬영부에 의해 차량의 전방, 후방 등의 차량 유리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통해 추정된 차량 외관의 청결도를 반영하여 차량 내부 청소뿐만 아니라, 외부 세차여부를 더 결정할 수 있다.
유실물 확인모듈(330)은 차량에 유실물의 존재여부를 서비스 제공자 또는 고객측에 확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분석부에 의해 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에서 하나 이상의 객체가 존재하는 것을 판정된 경우, 푸시 메시지 등을 단말에 전송하여 유실물 발생을 서비스 제공자 또는 고객에게 알릴 수 있다.
유실물 저장모듈(340)은 객체 판정시 적용되는 딥 러닝의 학습데이터로서 다양한 사물관련 샘플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고, 유실물 확인모듈(330)은 유실물 저장모듈(340)에 저장된 샘플 이미지를 이용한 학습 결과를 참조하여 해당 객체의 유실물 종류를 판단하고, 서비스 제공자 또는 고객에게 고지할 수 있다.
파손 확인모듈(350)은 차량의 오염뿐만 아니라, 차량 부속품의 파손 여부를 차량 관리자에게 확인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손 확인모듈(350)은 출력모듈(250)에서 출력된 촬영 이미지와 사용전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에 대하여 객체로 판정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일정너비 이상 존재하고, 그 계조 변화량이 기준값에 비해 큰 경우, 단순 오염이 아닌, 좌석 커버가 찢어지거나 차량이 파손된 것으로 판정하여 차량 관리자에게 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은 전술한 차량 촬영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매립형이 아닌 차량 천장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상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한 이동형인 경우에도 일부 기능의 적용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관리 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설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천장(20)상에 소정 길이의 레일(25)이 설치되고, 차량 촬영부(100)가 레일(25)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전후 이동하여 차량 내부를 촬영함으로써 차량 내부(1)의 전 영역에 대하여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촬영부(100)는 차량의 길이방향 및 옆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 1열의 운전석 및 조수석, 차량 2열의 양 좌석을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해당 열에 매칭되는 촬영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촬영부(100)는 제자리에서 360°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에 차량 전방, 측방 및 후방의 차량 유리까지 촬영함으로써 차량 유리의 청결도를 감지할 수 있고 차량의 세차여부를 결정하는 데 반영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 : 차량 20 : 차량 천장
100 : 차량 촬영부 110 : 카메라
120 : 커버부재 130 : 구동모듈
140 : 회전모듈 150 : 제어모듈
160 : 센싱모듈 200 : 이미지 분석부
210 : 저장모듈 220 : 입력모듈
230 : 비교모듈 240 : 산출모듈
250 : 출력모듈 300 : 상태 평가부
310 : 고객 평가모듈 320 : 세차 선정모듈
330 : 유실물 확인모듈 340 : 유실물 저장모듈
350 : 파손 확인모듈 400 : 상태 전송부

Claims (8)

  1. 차량의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매립 설치되고, 평소 차량 천장 내부에 대기상태를 유지하되 차량의 렌트 또는 쉐어링이 종료되면 차량 천장으로부터 인출되어 차량 내부를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촬영부;
    상기 차량 촬영부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차량에 대한 사용전 이미지를 서로 비교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상기 이미지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유실물 유무를 판단하는 상태 평가부; 및
    상기 촬영 이미지와 상기 상태 평가부에서 평가된 평가 결과를 관리자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유실물 존재시 해당 고객에게 유실물 확인을 요청하는 상태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촬영부는,
    상기 차량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실장되고, 외부로 인출시 차량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내부공간과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고, 카메라의 상부면을 덮는 커버부재; 및
    상기 카메라의 하부면을 밀어올려 상기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동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촬영부는,
    상기 구동모듈과 카메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듈; 및
    상기 구동모듈 및 카메라와 연결되어 카메라를 차량 내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를 동작시켜 차량 내부에 대한 촬영 이미지 및 깊이정보를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카메라 하부와 결합되고, 복수의 관절을 갖는 로봇 암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암은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다각도로 변경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사용전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이미지와 상기 사용전 이미지 및 상기 깊이정보를 각각 입력받는 입력모듈;
    상기 사용전 이미지와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촬영 이미지와 사용전 이미지의 불일치 영역을 검색하고, 상기 깊이정보에 기초하여 촬영 이미지 내 최초 등장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서 검색된 불일치 영역에 따라 상기 촬영 이미지와 사용전 이미지의 불일치율을 산출하는 산출모듈; 및
    상기 불일치율 및 객체존재 여부를 출력하는 출력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차량 전방, 측방 및 후방을 촬영하여 차량 유리 이미지를 더 획득하고,
    상기 산출모듈은,
    상기 차량 유리 이미지에 존재하는 차량 전방 와이퍼의 가동 영역과 나머지 영역간 차이를 비교하여 차이를 산출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평가부는,
    상기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고객의 사용 상태를 평가하는 고객 평가모듈;
    상기 불일치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세차 필요여부 및 세차 방식을 결정하고, 세차 등급을 선정하는 세차 선정모듈;
    상기 객체의 존재 여부에 따라 차량 내 고객의 유실물의 존재를 확인 및 상기 객체의 종류를 판단하는 유실물 확인모듈;
    상기 유실물에 대한 촬영 이미지가 다수 저장된 유실물 저장모듈; 및
    상기 불일치율이 일정 비율을 초과하면 차량의 파손 여부를 확인하는 파손 확인모듈
    을 포함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송부는,
    상기 평가 결과에 따라 연계된 외부의 차량 청소 장치에 상기 촬영 이미지를 전송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송부는,
    유실물 발생시, 상기 고객의 단말에 유실물에 대한 이미지를 푸시 메시지 형태로 전송하는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0190089454A 2019-07-24 2019-07-24 차량 관리 시스템 KR10234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54A KR102340720B1 (ko) 2019-07-24 2019-07-24 차량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54A KR102340720B1 (ko) 2019-07-24 2019-07-24 차량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91A KR20210012191A (ko) 2021-02-03
KR102340720B1 true KR102340720B1 (ko) 2021-12-20

Family

ID=7457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54A KR102340720B1 (ko) 2019-07-24 2019-07-24 차량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972B1 (ko) * 2021-04-23 2022-02-08 주식회사 엘젠아이씨티 Iot 및 ai 기반 농기계 공유 서비스 플랫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532A1 (ja) * 2017-06-16 2018-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車サービスサーバ、車両システム、車両、配車サービ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87045A (ja) * 2017-11-07 2019-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ライバレス輸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6044B2 (ja) 2004-09-06 2011-08-24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自動車シート上の対象物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
KR101404090B1 (ko) * 2012-04-04 2014-06-0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분실물 방지 시스템
KR101841948B1 (ko) * 2015-10-02 201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분실물 예방 서비스 제공장치,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532A1 (ja) * 2017-06-16 2018-1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車サービスサーバ、車両システム、車両、配車サービス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087045A (ja) * 2017-11-07 2019-06-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ドライバレス輸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2191A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993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vehicle image acquisition, analysis, and reporting
JP6744336B2 (ja) 予想されるエッジ軌跡を用いたレンズ汚染の検出
US9449236B2 (en) Method for object size calibration to aid vehicle detection for video-based on-street parking technology
KR102271592B1 (ko) 차량 외관 검사 장치
US20090138290A1 (en) Insurance adjustment through digital imaging system and method
KR102005956B1 (ko) 차량 내부 이미지 인식 장치
US200801835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rental vehicles
KR20190137669A (ko) 자동으로 사고 차량의 파손 정도를 산출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40720B1 (ko) 차량 관리 시스템
JP7150619B2 (ja) 車両状態評価装置
US20190325379A1 (en) Intelligent inventory management using cleaning machines
JP7183950B2 (ja) 車両の撮影方法、車両の点検支援方法、車両の貸出方法、車両撮影プログラムおよび車両管理サーバ
US11270570B2 (en) Vehicle and method of managing cleanliness of interior of the same
JP7094929B2 (ja) 車両点検装置、及び車両点検システム
JP2004533964A (ja) 車両ドアの開放状態の光学的識別方法および装置
JP2020113076A (ja) ユーザ評価装置
CN108986249B (zh) 基于全景环视图像的车辆远程定损方法和系统
FR3059137A1 (fr) Procede et systeme de detection d'un objet en relief dans un parking
EP1313321B1 (fr) Procédé de surveillance d'une cabine d'ascenseur
CN112822458B (zh) 洗车过程的视频监控方法及终端
CN110316156B (zh) 用于检测车辆内部空间的清洁必要性的方法以及处理装置
WO2021151383A1 (en) A system for automatically closing a trunk lid of a vehicle
JPH0967954A (ja) 駐車場の空き場所認識装置および方法
US113615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rgo management in a motor vehicle
US20040267682A1 (en) Model-based object classification and target recog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