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050B1 -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050B1
KR101404050B1 KR1020120083127A KR20120083127A KR101404050B1 KR 101404050 B1 KR101404050 B1 KR 101404050B1 KR 1020120083127 A KR1020120083127 A KR 1020120083127A KR 20120083127 A KR20120083127 A KR 20120083127A KR 101404050 B1 KR101404050 B1 KR 10140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gon
base
coupled
plat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26A (ko
Inventor
남창호
김두호
이흥모
황지훈
Original Assignee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창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2008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0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04Wagons or vans with movable floors, e.g. rotatable or floors which can be raised or low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7/00Loading or unloading devices combined with vehicles, e.g. loading platforms, doors convertible into loading and unloading r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1/00Turntables; Traversers; Transporting rail vehicles on other rail vehicles or dollies
    • B61J1/02Turntables; Integral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8Doors for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8Castors, rolls, or the like; e.g. detach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wing doors or windows, i.e. opening inwards and outw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하물을 싣기 위한 화차 겸용 암롤박스; 및 화차의 상면에 탈부착되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을 제공하여, 화차에 탈부착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화차와 암롤트럭 간에 별도의 장비 없이 자체적으로 화물을 환적할 수 있어 신속한 환적 작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Trans-shipment System Using Rotatable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물의 환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차에 탈착 가능한 회전장치를 이용하여 화차 및 암롤트럭에서 상호 암롤박스를 환적하여 수송할 수 있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운송 수단으로는 육해공의 다양한 운송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육상에서 운송되는 화물은 주로 화물 운송용 차량이나 철도의 화물열차를 이용하여 운송된다.
이러한 화물 운송용 차량이나 철도의 화차에서는 화물을 적재하는 암롤박스(Arm-roll Box) 또는 암롤컨테이너(Arm-roll Container)를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암롤박스(Arm-roll Box)를 운송하기 위한 운송수단으로는 암롤박스를 적재할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암롤트럭(Arm-roll truck)이나, 장거리로 다량의 대형 암롤박스를 동시에 운송할 수 있는 철도의 화차 등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특수 제작된 암롤트럭을 이용할 경우 다량의 암롤박스를 운송하기 위한 많은 수의 암롤트럭이 필요하다. 따라서 많은 수의 암롤박스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철도의 화차를 이용하게 되는데, 철도의 화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암롤트럭에 적재된 암롤박스를 철도의 화차에 상, 하차 시키기 위해서는 암롤박스를 상, 하차 할 수 있는 대형 지게차나 크레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거리로 다량의 암롤박스를 운송하기 위해서 철도의 화차를 이용하는 경우, 암롤박스를 암롤트럭 등으로 상, 하차 시 지게차나 크레인을 사용함으로써 암롤박스의 상, 하차를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로 인한 물류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도의 화차에 탈부착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암롤박스 운송 시 지게차나 크레인의 사용 없이 암롤트럭과 화차 상호 간에 암롤박스의 상, 하차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환적 작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하물을 싣기 위한 화차 겸용 암롤박스; 및 화차의 상면에 탈부착되며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동력 회전장치는, 사각 프레임으로 마련되어 화차에 탈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화차에 고정시키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적재되는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회전 및 이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유닛;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결합되는 선회 베어링;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선회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지지하는 회전 테이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단부의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고정유닛 본체; 상기 고정유닛 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부는 상기 고정유닛 본체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베이스 및 화차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팅 로드; 및 상기 볼팅 로드의 양단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볼팅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유닛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화차의 상면이 개재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유닛 본체에는 일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콘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유닛은, 하부는 상기 콘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볼팅 로드가 관통결합되어 상기 볼팅 로드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부는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에 체결 가능한 록킹 콘(locking cor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동력 회전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의 중간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화차에 고정시키는 중간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베이스와 볼트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화차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브라켓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볼트결합공에 결합되는 볼트가 상기 화차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를 상기 화차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간 브라켓은, 상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이 일정 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선회 베어링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레일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하면에 상기 선회 베어링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일가이드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회전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가이드는 하부에 원주를 따라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레일은 하부에 원주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회 베어링은, 내륜과 외륜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륜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외륜은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화차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선회 베어링과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 단이 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용기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회전 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핸들은, 상하면이 나란하게 절곡된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힌지부;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결합공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힌지부의 관통공 및 상기 손잡이부의 볼트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방향 단부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면취 가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 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착탈시키는 손잡이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 하면의 일단부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박스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면 롤러; 및 상기 지면 롤러에 인접하게 좌우 한 쌍으로 상기 지면 롤러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박스 본체를 상기 화차 상면의 용기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용기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 본체는, 상기 지면 롤러가 마련되는 일단부의 수직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는, 상기 지면 롤러가 마련되는 일단부의 반대측 수직면 상부에 마련되는 후크 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 본체는, 하면에 상기 용기 롤러의 회전면과 나란하게 상기 화차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화차 상면의 용기레일에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 본체는, 상기 박스 본체 하단의 일 영역을 상기 화차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게차 견인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 본체는, 하면의 각 모서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박스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 콘이 체결되는 박스고정 큐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 유닛은, 판넬 형상의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박스 본체에 결합시키는 도어힌지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부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도어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어개폐부는, 상기 도어부의 측면 상기 박스 본체에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손잡이; 상기 개폐손잡이의 일 영역에 상기 개폐손잡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손잡이가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접근하면 상기 박스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삽입되는 잠금판넬; 및 상기 개폐손잡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손잡이를 상기 박스 본체에 착탈시키는 손잡이 고정걸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에 따르면, 암롤박스 운송 시 지게차나 크레인의 사용 없이 암롤트럭과 화차 상호 간에 암롤박스의 상, 하차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환적 작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동력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고정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의 중간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의 회전 테이블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선회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C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의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박스고정 큐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도어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도 1 및 이하에서 설명할 나머지 도면들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1)은, 수하물을 싣기 위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와, 화차(10)의 상면에 탈부착되며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무동력 회전장치(2000)를 포함한다.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는 암롤트럭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암롤박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암롤트럭과 화차(10)에 모두 선적 가능하게 마련된다.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무동력 회전장치(2000)는 화차(10)의 구조변경이나 손상 없이 화차(10)에 장탈착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다양한 종류의 화차(10)에 대해서도 사용 가능하다. 무동력 회전장치(2000)는 기본적으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지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적재한 후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회전 및 이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무동력 회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무동력 회전장치(2000)는, 사각 프레임으로 마련되어 화차(10)에 탈부착되는 베이스(2100)와, 베이스(2100)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베이스(2100)를 화차(10)에 고정시키며 베이스(2100)의 상부에 적재되는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회전 및 이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유닛(2200)과, 베이스(2100)의 양 측면의 중간에 마련되어 베이스(2100)를 화차(10)에 고정시키는 중간 브라켓(2300)과, 베이스(2100)의 중앙에 결합되는 선회 베어링(2400)과, 베이스(2100)의 상부에서 선회 베어링(2400)에 결합되며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지지하는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포함한다.
베이스(2100)는 사각 형상의 철판 구조물로 중량을 줄이면서 각종 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가공된다. 베이스(2100)는 중앙부에 선회 베어링(2400)이 장착되며, 도 4에서와 같이 선회 베어링(2400)의 내륜(2410)이 베이스(2100)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선회 베어링(2400)이 장착되는 중앙부와 베이스(2100)의 양 단부 사이에는 선회 베어링(240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레일가이드(2110)가 한 쌍으로 형성된다. 레일가이드(2110)는,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선회 베어링(2400)의 외륜(2420)과 결합되어 회전할 때 화차(10)의 길이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베이스(2100)는 고정 유닛(2200)과 중간 브라켓(2300)에 의하여 화차(1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화차(10)와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도 5는 도 3의 고정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고정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B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2200)은, 베이스(2100)의 단부의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고정유닛 본체(2210)와, 고정유닛 본체(2210)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부는 고정유닛 본체(2210)에 결합되고 하부는 베이스(2100) 및 화차(10)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2220)과,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베이스(2100)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브라켓(2220)의 일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팅 로드(2230)와, 볼팅 로드(2230)의 양단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2240)를 포함한다.
고정유닛 본체(2210)는 베이스(2100) 단부의 폭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사각 기둥 형상의 구조물이다. 고정유닛 본체(2210)는 양 단부에 고정브라켓(2220)이 결합되며 한 쌍의 고정브라켓(2220)은 볼팅 로드(2230)에 의하여 양 쪽에서 결합됨으로써 베이스(2100)와 화차(10)를 고정시킨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정브라켓(2220)은, 볼팅 로드(2230)가 삽입되는 관통공(2221a)이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2221)와, 결합플레이트(2221)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고정유닛 본체(2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플레이트(2222)와, 결합플레이트(2221)의 하부에서 가이드플레이트(222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이드플레이트(2222)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가이드플레이트(2222)와의 사이에 베이스(2100)와 화차(10)의 상부면이 개재되는 지지플레이트(2223)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플레이트(2223)는 가이드플레이트(2222)와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돌출된다. 이에 의해서, 지지플레이트(2223)와 가이드플레이트(2222) 사이에 베이스(2100)와 화차(10) 상면이 개재될 때, 고정브라켓(2220)이 볼팅 로드(2230)와 조임 너트(2240)에 의해서 가압될수록 지지플레이트(2223)와 가이드플레이트(2222)가 베이스(2100)와 화차(10) 상면을 가압하는 결합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지지플레이트(2223)의 상면에 형성되는 경사면(2223a)에 의하여 화차(10)와 베이스(210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고정유닛 본체(2210)에는 일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콘 삽입부(2211)가 마련된다. 콘 삽입부(2211)에는 록킹 콘(2250, locking corn)이 삽입되고 록킹 콘(2250)의 삽입되는 부분에는 볼팅 로드(2230)가 관통결합되는 로드관통공(2251)이 형성되어 록킹 콘(2250)이 볼팅 로드(2230)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킹 콘(2250)의 상부는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박스고정 큐브(1130)의 체결구(1131)에 체결된다. 즉, 일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는 콘 형상의 록킹 콘(2250) 헤드부(2252)가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박스고정 큐브(1130)의 체결구(1131)에 삽입되면, 헤드부(2252) 반대편에 마련되는 록킹 콘(2250)의 회전손잡이부(2253)를 90도 회전시켜 록킹 콘(2250) 헤드부(2252)가 체결구(1131)에 체결되도록 한다.
록킹 콘(2250)은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박스고정 큐브(1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맞추어 고정유닛 본체(2210)에 각각 2개가 결합되며,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화차(10)에 적재되었을 때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박스고정 큐브(1130)에 각각 록킹 콘(2250)을 체결함으로써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중간 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 및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중간 브라켓(2300)은, 베이스(2100)의 상면에 접촉되며 베이스(2100)와 볼트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2310)와,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결합공(2321)이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2320)와, 제1 플레이트(2310)와 제2 플레이트(2320)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2330)를 포함한다.
즉, 중간 브라켓(2300)은 양 단부가 나란하게 절곡된 'ㄷ'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베이스(2100)와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가 개재된다. 베이스(2100)와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1 플레이트(2310)는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결합공(2311)을 통하여 베이스(2100)의 상면에 볼트 결합되며, 제2 플레이트(2320)는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에 위치된다. 이때, 제2 플레이트(2320)의 볼트결합공(2321)에 결합되는 볼트는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베이스(2100)를 화차(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중간 브라켓(2300)은, 상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일정 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스토퍼(234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스토퍼(2340)는, 밑각의 크기가 45°인 이등변 삼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좌우로 최대 45°까지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회전할 때 회전스토퍼(2340)와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의 회전 테이블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은, 화차(1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2520)과, 한 쌍의 메인 프레임(2520) 사이에서 메인 프레임(2520)과 연결되며 선회 베어링(2400)과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2530)와, 메인 프레임(2520)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메인 프레임(2520)을 상호 연결하며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2540)과, 메인 프레임(2520)의 내측면에 메인 프레임(2520)과 단이 지도록 마련되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용기레일(2550)과, 하면에 선회 베어링(240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베이스(2100)의 레일가이드(2110)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회전레일(2510)과, 메인 프레임(252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메인 프레임(2520)을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회전 핸들(2560)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2520)은 'ㄷ'자 형 강철빔으로 마련되어 회전 테이블 유닛(2500) 전체의 구조적 하중을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2520) 상에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적재되어 지지된다.
회전 플레이트(2530)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2520)의 사이에서 메인 프레임(2520)을 연결하며 선회 베어링(2400)의 외륜(2420)에 결합되어 선회 베어링(24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회전 플레이트(2530)가 회전하면 메인 프레임(2520) 전체가 선회 베어링(24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서브 프레임(2540)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2520)을 상호 연결하여 구조적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보조한다. 서브 프레임(254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총 4개의 서브 프레임(2540)이 마련되었다.
용기레일(2550)은 메인 프레임(2520) 내측에 메인 프레임(2520)의 길이 방향으로 메인 프레임(2520)의 상면과 단이 지도록 마련된다. 용기레일(2550)은,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회전 테이블 유닛(2500) 상으로 적재될 때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용기 롤러(1300)가 접촉되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이동을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적재가 완료되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 하면의 하부 프레임(1110)을 지지한다.
회전레일(2510)은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선회 베어링(240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때, 베이스(2100)의 레일가이드(2110)와 슬라이딩 결합되어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화차(10)의 길이 방향으로 받는 하중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1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2100)는 상면에 선회 베어링(240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레일가이드(2110)를 포함한다. 레일가이드(2110)는 하부에 원주를 따라 홈부(2111)가 마련되고, 회전레일(2510)은 하부에 원주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홈부(2111)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2511)가 마련된다. 레일가이드(2110)의 홈부(2111)에 회전레일(2510)의 돌출결합부(2511)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상하방향으로의 착탈이 방지된다.
회전 핸들(2560)은 메인 프레임(2520)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인력에 의하여 회전시킬 때보다 적은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전 핸들(2560)은 메인 프레임(25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회전 테이블 유닛(2500) 상에 적재 완료되어 이송 중인 경우에는 외부와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2520) 쪽으로 회전시켜 메인 프레임(2520) 측면에 고정시킨다.
도 16은 도 13의 C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 핸들(2560)은, 상하면이 나란하게 절곡된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하면에 관통공(2561a)이 형성되며 메인 프레임(2520)에 결합되는 힌지부(2561)와,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힌지부(2561)의 관통공(2561a)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결합공(2562a)이 형성되는 손잡이부(2562)와, 힌지부(2561)의 관통공(2561a) 및 손잡이부(2562)의 볼트결합공(2562a)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팅부(2563)와, 메인 프레임(2520)의 측면에 마련되어 손잡이부(2562)를 메인 프레임(2520)의 측면에 착탈시키는 손잡이고정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힌지부(2561)는 'ㄷ' 형상으로 마련되어 메인 프레임(2520)의 내측면에서 상하면이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결합된다. 힌지부(2561)의 상하면에는 관통공(2561a)이 형성되어 볼팅부(2563)가 결합된다.
손잡이부(2562)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단부 측에 볼트결합공(2562a)이 형성된다. 손잡이부(2562)의 볼트결합공(2562a)이 힌지부(2561)의 관통공(2561a)과 나란하도록 손잡이부(2562)의 일단부를 힌지부(2561)의 상하면 사이에 끼운 후, 볼팅부(2563)의 볼트가 관통공(2561a) 및 볼트결합공(2562a)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2562)는 메인 프레임(25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한편, 손잡이부(2562)는 힌지부(2561)와 결합되는 방향 단부의 일측 모서리가 손잡이부(2562)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면취 가공된다. 즉, 손잡이부(2562)가 힌지부(2561)와 결합되는 일단부에는 일측 모서리만이 면취 가공된 챔퍼면(2562b)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서 손잡이부(2562)가 면취가공된 일측 모서리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며 반대측 모서리 방향으로는 메인 프레임(2520)의 측면과 간섭이 발생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이는 회전 핸들(2560)을 이용하여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회전시킬 때 힘의 방향을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할 수 있게 하여 편리하다.
손잡이고정부(미도시)는 메인 프레임(2520)의 측면에, 손잡이부(2562)가 회전하여 접촉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손잡이고정부는 화차(10)가 이송 중일 때 손잡이부(2562)가 메인 프레임(252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손잡이부(2562)를 걸어두는 걸쇠나, 손잡이부(2562)와 접촉되는 부분에 자석을 배치하여 손잡이부(2562)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선회 베어링의 사시도이다.
선회 베어링(2400)은, 내륜(2410)과 외륜(2420)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륜(2410)은 베이스(210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고 외륜(2420)은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회전 플레이트(2530)에 고정 결합된다. 선회 베어링(2400)에 의해서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베이스(2100)를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의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의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 본체(1100)와, 박스 본체(1100) 하면의 일단부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박스 본체(1100)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면 롤러(1200)와, 지면 롤러(1200)에 인접하게 좌우 한 쌍으로 지면 롤러(1200)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박스 본체(1100)를 화차(10) 상면의 용기레일(2550)에 대하여 지지하는 용기 롤러(1300)와, 지면 롤러(1200)가 마련되는 일단부의 반대측 수직면 상부에 마련되는 후크 고리(1500)와, 박스 본체(1100) 하면에 용기 롤러(1300)의 회전면과 나란하게 화차(1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화차(10) 상면의 용기레일(2550)에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1110)과, 박스 본체(1100) 하면의 각 모서리부에 마련되어 박스 본체(1100)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 콘(2250)이 체결되는 박스고정 큐브(1130)를 포함한다.
박스 본체(1100)에는 화물이 적재된다. 박스 본체(1100)는 지면 롤러(1200)가 마련되는 일단부의 수직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 유닛(1400)이 마련되고, 도어 유닛(1400)은 화물을 싣거나 내릴 때 개폐된다. 또한, 박스 본체(1100)에는 박스 본체(1100) 하단의 일 영역을 화차(10)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게차 견인구(1120)가 형성된다. 지게차 견인구(1120)는 돌발 사태나 정상적인 이송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지게차에 의하여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지면 롤러(1200)는 후크 고리(1500)와 반대 방향에 마련되어 후크 고리(1500)에 암롤트럭의 후크가 연결되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들어올려지면서 이동될 때 지면 롤러(1200)가 지면과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용기 롤러(1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회전 테이블 유닛(2500) 상에 적재될 때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용기레일(2550)에 대하여 지지됨으로써 회전 테이블 유닛(2500) 상에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한다.
도 19는 도 17의 박스고정 큐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박스고정 큐브(1130)는 박스 본체(1100)의 각 모서리부에 마련되며, 외측면으로 노출되는 영역 상에 록킹 콘(2250)이 체결되는 체결구(1131)가 형성된다. 체결구(1131)는 록킹 콘(2250)의 헤드부(2252)의 단면 형상으로 일 방향이 길게 마련되며, 록킹 콘(2250)의 헤드부(2252)가 삽입된 후 회전하면 헤드부(2252)의 측단면이 박스고정 큐브(1130) 내측면에 접촉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의해서 록킹 콘(2250)은 박스고정 큐브(1130)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고,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이송할 때는 록킹 콘(2250)을 박스고정 큐브(1130)에 체결하여 이송하고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환적할 때는 록킹 콘(2250)을 박스고정 큐브(1130)에서 분리하여 환적한다.
도 20은 도 18의 도어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도어 유닛(1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어 유닛(1400)은, 판넬 형상의 도어부(1410)와, 도어부(1410)의 상부에 마련되어 도어부(141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박스 본체(1100)에 결합시키는 도어힌지부(1420)와, 도어부(14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도어부(1410)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도어개폐부(1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는, 도어부(1410)가 도어부(1410) 상부의 박스 본체(1100)에 마련되는 도어힌지부(1420)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었다. 이에 의하면, 박스 본체(1100)에 적재된 화물을 내릴 때 도어부(1410)가 상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도어개폐부(1430)를 고정 해제하고 박스 본체(1100)에 마련되는 후크 고리(1500)에 암롤트럭의 후크 등을 이용하여 박스 본체(1100)를 도어부(1410) 쪽이 하방으로 되도록 기울임으로써 박스 본체(1100)에 적재된 화물을 쏟아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어개폐부(1430)는, 도어부(1410)의 측면 박스 본체(1100)에 도어부(1410)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손잡이(1431)와, 개폐손잡이(1431)의 일 영역에 개폐손잡이(143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폐손잡이(1431)가 도어부(1410)를 향하여 접근하면 박스 본체(1100)를 관통하여 도어부(1410)를 향하여 삽입되는 잠금판넬(1432)과, 개폐손잡이(1431)의 단부에 마련되어 개폐손잡이(1431)를 박스 본체(1100)에 착탈시키는 손잡이 고정걸쇠(1433)를 포함한다.
도어개폐부(1430)는 개폐손잡이(1431)가 회전함에 따라 잠금판넬(1432)이 도어부(1410)를 향하여 삽입 또는 추출된다. 도어부(1410)를 잠그기 위해서는, 도어부(1410)를 내린 상태에서 개폐손잡이(1431)를 도어부(1410)를 향하여 회전시키면 잠금판넬(1432)이 도어부(1410)의 전방에 삽입되어 도어부(141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잠긴 상태가 된다. 이 때, 개폐손잡이(1431)는 손잡이 고정걸쇠(1433)에 의하여 박스 본체(1100)에 고정시킨다. 반대로 도어부(1410)를 열기 위해서는, 손잡이 고정걸쇠(1433)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개폐손잡이(1431)를 고정 해제시키고 도어부(1410)로부터 이격되도록 회전시키면 잠금판넬(1432)이 추출되어 도어부(1410)가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2100)를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베이스(2100)를 화차(10)의 상면에 배치하고 고정 유닛(2200)을 베이스(2100)의 양 단부에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 유닛(2200)의 고정브라켓(2220)을 고정브라켓(2220)의 가이드플레이트(2222)와 지지플레이트(2223) 사이에 베이스(2100)와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가 개재되도록 하면서 고정유닛 본체(2210)의 양 단부에 삽입한다.
록킹 콘(2250)을 고정유닛 본체(2210)의 콘 삽입부(2211)에 삽입하고 고정브라켓(2220)과 고정유닛 본체(2210)를 관통하여 볼팅 로드(2230)를 삽입한 후, 볼팅 로드(2230)의 양단에서 조임 너트(2240)를 결합시킨다.
고정 유닛(2200)에 의하여 베이스(2100)가 화차(10)의 상부 플레이트에 고정되면, 선회 베어링(2400)을 베이스(2100)의 중앙에 볼트 결합시키고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선회 베어링(2400)의 상면에서 선회 베어링(400)과 결합시킨다. 이때,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회전레일(2510)과 베이스(2100)의 레일가이드(2110)가 상호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위치시킨 뒤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선회 베어링(2400)에 결합시킨다.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선회 베어링(2400)에 결합되면 베이스(2100)의 양 측면 중앙부에 중간 브라켓(2300)을 결합시킨다. 중간 브라켓(2300)의 상면에 마련되는 회전스토퍼(2340)에 의하여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무동력 회전장치(2000)는 화차(10)의 구조에 큰 제한이 없으며 화차(10)에 손상 없이 손쉽게 장탈착이 가능하다.
화차(10)에 무동력 회전장치(2000)를 설치한 후 암롤트럭으로부터 화차(10)에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적재하기 위해서는,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45도 회전시키고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메인 프레임(2520)과 용기레일(2550)과 나란하도록 배치한 후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용기 롤러(1300)가 용기레일(255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메인 프레임(2520)은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이동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회전 테이블 유닛(2500) 상에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가 정위치되면 암롤트럭의 후크를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후크 고리(1500)로부터 분리하고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의 회전 핸들(2560)을 이용하여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을 회전시킨다. 회전 테이블 유닛(2500)이 베이스(2100)와 나란하도록 회전되면, 고정 유닛(2200)에 마련되는 록킹 콘(2250)을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의 박스고정 큐브(1130)에 체결하여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고정시킨다.
이에 의해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는 화차(10)에 손쉽게 환적 가능하며,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
화차(10)로부터 암롤트럭으로 화차 겸용 암롤박스(1000)를 환적하는 것은 상기 순서의 역순에 따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1)에 의하면, 암롤박스 운송 시 지게차나 크레인의 사용 없이 암롤트럭과 화차(10) 상호 간에 암롤박스의 상, 하차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환적 작업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물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0 : 화차
1000 : 화차 겸용 암롤박스
1100 : 박스 본체
1110 : 하부 프레임
1120 : 지게차 견인구
1130 : 박스고정 큐브
1131 : 체결구
1200 : 지면 롤러
1300 : 용기 롤러
1400 : 도어 유닛
1410 : 도어부
1420 : 도어힌지부
1430 : 도어개폐부
1431 : 개폐손잡이
1432 : 잠금판넬
1433 : 손잡이 고정걸쇠
1500 : 후크 고리
2000 : 무동력 회전장치
2100 : 베이스
2110 : 레일가이드
2111 : 홈부
2200 : 고정 유닛
2210 : 고정유닛 본체
2211 : 콘 삽입부
2220 : 고정브라켓
2221 : 결합플레이트
2222 : 가이드플레이트
2223 : 지지플레이트
2230 : 볼팅 로드
2240 : 조임 너트
2250 : 록킹 콘
2300 : 중간 브라켓
2310 : 제1 플레이트
2320 : 제2 플레이트
2330 : 연결 플레이트
2340 : 회전스토퍼
2400 : 선회 베어링
2410 : 내륜
2420 : 외륜
2500 : 회전 테이블 유닛
2510 : 회전레일
2511 : 돌출결합부
2520 : 메인 프레임
2530 : 회전 플레이트
2540 : 서브 프레임
2550 : 용기레일
2560 : 회전 핸들
2561 : 힌지부
2562 : 손잡이부
2563 : 볼팅부

Claims (29)

  1. 수하물을 싣기 위한 화차 겸용 암롤박스; 및
    화차의 상면에 탈부착되며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킬 수 있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 본체;
    상기 박스 본체 하면의 일단부에 좌우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박스 본체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면 롤러; 및
    상기 지면 롤러에 인접하게 좌우 한 쌍으로 상기 지면 롤러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박스 본체를 상기 화차 상면의 용기레일에 대하여 지지하는 용기 롤러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회전장치는,
    사각 프레임으로 마련되어 화차에 탈부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화차에 고정시키며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적재되는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회전 및 이동이 방지되도록 고정지지하는 고정 유닛;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결합되는 선회 베어링; 및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상기 선회 베어링에 결합되며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지지하는 회전 테이블 유닛을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베이스의 단부의 폭 방향으로 마련되는 고정유닛 본체;
    상기 고정유닛 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상부는 상기 고정유닛 본체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베이스 및 화차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팅 로드; 및
    상기 볼팅 로드의 양단에 결합되는 조임 너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볼팅 로드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결합플레이트;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상부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유닛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베이스와 상기 화차의 상면이 개재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와의 간격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 본체에는 일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콘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 유닛은,
    하부는 상기 콘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볼팅 로드가 관통결합되어 상기 볼팅 로드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부는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에 체결 가능한 록킹 콘(locking corn)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회전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양 측면의 중간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를 상기 화차에 고정시키는 중간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베이스와 볼트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화차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브라켓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볼트결합공에 결합되는 볼트가 상기 화차의 상부 플레이트의 하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를 상기 화차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브라켓은,
    상면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이 일정 각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에 상기 선회 베어링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레일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하면에 상기 선회 베어링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레일가이드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회전레일을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가이드는 하부에 원주를 따라 홈부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레일은 하부에 원주를 따라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돌출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베어링은,
    내륜과 외륜이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내륜은 상기 베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외륜은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화차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를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한 쌍의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선회 베어링과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양 단부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며 지지하는 서브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메인 프레임과 단이 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용기레일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테이블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 가장자리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회전 핸들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핸들은,
    상하면이 나란하게 절곡된 판넬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하면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힌지부;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의 관통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결합공이 형성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힌지부의 관통공 및 상기 손잡이부의 볼트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볼팅부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는 방향 단부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면취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핸들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면에 착탈시키는 손잡이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2. 삭제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는,
    상기 지면 롤러가 마련되는 일단부의 수직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 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차 겸용 암롤박스는,
    상기 지면 롤러가 마련되는 일단부의 반대측 수직면 상부에 마련되는 후크 고리를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는,
    하면에 상기 용기 롤러의 회전면과 나란하게 상기 화차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화차 상면의 용기레일에 지지되는 하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는,
    상기 박스 본체 하단의 일 영역을 상기 화차의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지게차 견인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는,
    하면의 각 모서리부에 마련되어 상기 박스 본체를 고정하기 위한 록킹 콘이 체결되는 박스고정 큐브를 더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유닛은,
    판넬 형상의 도어부;
    상기 도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박스 본체에 결합시키는 도어힌지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부를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 도어개폐부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부는,
    상기 도어부의 측면 상기 박스 본체에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손잡이;
    상기 개폐손잡이의 일 영역에 상기 개폐손잡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손잡이가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접근하면 상기 박스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도어부를 향하여 삽입되는 잠금판넬; 및
    상기 개폐손잡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손잡이를 상기 박스 본체에 착탈시키는 손잡이 고정걸쇠를 포함하는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KR1020120083127A 2012-07-30 2012-07-30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KR10140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27A KR101404050B1 (ko) 2012-07-30 2012-07-30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127A KR101404050B1 (ko) 2012-07-30 2012-07-30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26A KR20140016526A (ko) 2014-02-10
KR101404050B1 true KR101404050B1 (ko) 2014-06-10

Family

ID=50265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27A KR101404050B1 (ko) 2012-07-30 2012-07-30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261B1 (ko) * 2018-10-18 2019-05-24 신현대특장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60Y1 (ko) * 1986-12-29 1989-05-0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장물체 운반용 받침장치
JP2010221973A (ja) 2009-03-25 2010-10-07 Sumie Kogyo Kk 回転シート
EP2374682A1 (en) * 2007-04-20 2011-10-12 CBW Holding B.V. Swivel frame, and rail vehicle
EP2388173A2 (en) * 2010-05-19 2011-11-23 Wojskowa Akademia Techniczna im. Jaroslawa Dabrowskiego A railway wagon with a rotatable loading fl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860Y1 (ko) * 1986-12-29 1989-05-08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장물체 운반용 받침장치
EP2374682A1 (en) * 2007-04-20 2011-10-12 CBW Holding B.V. Swivel frame, and rail vehicle
JP2010221973A (ja) 2009-03-25 2010-10-07 Sumie Kogyo Kk 回転シート
EP2388173A2 (en) * 2010-05-19 2011-11-23 Wojskowa Akademia Techniczna im. Jaroslawa Dabrowskiego A railway wagon with a rotatable loading fl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26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3922B2 (en) Cargo shipping container with top-access roof cover
US4049135A (en) Container handling arrangement with chassis adapter frame
US8302975B2 (en) Transport system, in particular having movable pallets
US20120163940A1 (en) Transport system
US8240495B2 (en) Container internal lock mechanism
CN103889862A (zh) 货柜门总成
US4561671A (en) Extensible chassis for hauling containers
US7717656B2 (en) Attachment device for moving cargo containers
US20160207441A1 (en) Stowable rack for cargo load securement structures
US46180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storing cargo
CA2772011C (en) A freight carrier
KR101404050B1 (ko) 무동력 회전장치를 이용한 환적 시스템
KR20130100576A (ko) 화물열차의 컨테이너 고정용 어댑터
KR101404049B1 (ko) 화차용 무동력 회전장치
KR20140016551A (ko) 화차 겸용 암롤박스
US7909552B2 (en) Rotatable partition system for a freight carrying enclosure
KR200462024Y1 (ko) 코일 수송용 컨테이너
CN102039941B (zh) 自卸车
CN210555190U (zh) 半挂车车箱
CN205916590U (zh) 一种全开式集装箱的滑动支撑装置
KR101720208B1 (ko) 화물 이동용 스케이트
US3677194A (en) Unit load hold-down and mounting
CN111301454B (zh) 用于铁路货车的车体及铁路货车
CN217598559U (zh) 一种多功能平车底架
KR20140016550A (ko) 화차용 착탈식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