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87B1 -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987B1
KR101403987B1 KR1020120074625A KR20120074625A KR101403987B1 KR 101403987 B1 KR101403987 B1 KR 101403987B1 KR 1020120074625 A KR1020120074625 A KR 1020120074625A KR 20120074625 A KR20120074625 A KR 20120074625A KR 101403987 B1 KR101403987 B1 KR 101403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eyeglass
spectacle
hing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201A (ko
Inventor
성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자인아이웍스
Priority to KR102012007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98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0Friction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안경테로부터 연장된 지지대의 단부에 원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결합부가 외주면에 감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힌지부재와; 안경다리의 일단을 이루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다음 절곡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고정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힌지 구조를 갖출 때 볼트 혹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림 현상이 없어 A/S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비용을 줄이며, 힌지 주변의 도금 벗겨짐 현상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아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EYEGLASS HINGE ASSEMBLY AND EYEGLASS}
본 발명은 안경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상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용접이나 나사 결합방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자유롭고 원활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으면서도 미적감각을 살릴 수 있고 고장이나 파손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킨 개선된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라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힌지로 크게 구성된다.
이러한 안경은 렌즈를 장착한 안경테의 양측에 힌지를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대를 구비하는데, 이 힌지대는 대부분 용접, 볼트와 너트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안경다리가 접히는 구조적 특성상 그 주변부위에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하여 미관상 좋지 않고, 특히 도금된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때문에, 근래에는 안경이 일회용품이 되었다 할 만큼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는 사람이 없고, 쉽게 싫증을 느껴 오래 사용하지 않은 안경을 버리고 새로 구입하는 등 낭비적인 요소도 큰 문제가 되었다.
또한, 안경다리가 접히는 구조적 특성상 힌지를 고정하는 볼트 혹은 나사가 장시간 사용시 느슨해지면서 풀려 분실되는 현상, 그로 인한 안경 착용 불가의 문제, 볼트 혹은 나사 풀림시 이를 다시 조여야 하는 문제, 또 안경의 특성상 볼트 혹은 나사가 아주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전용 공구(소형 드라이버)가 요구되므로 아무 장소에서나 조일 수 없고 부득이 하게 안경점을 재 방문하여 A/S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지속되어 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아예 안경다리 자체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등록실용 제433694호를 비롯하여, 자석을 활용한 등록실용 제0355062호, 캠 인서트 구조를 갖춰 탄성복귀력을 제공하는 등록특허 제0239860호 등등 다수의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최근에는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힌지 구조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들 개시 기술들도 대부분 힌지 구조를 갖추기 위해 볼트나 혹은 나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술한 문제를 피해가기 어렵고, 볼트 혹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구조가 복잡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다른 예로, 공개특허 제2004-0030600호에서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바와 유사한 개념의 힌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힌지 자체가 안경테와 분리 구성된 것이어서 구조적 복잡함과 제조상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어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문제와 한계를 고려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조와 조립이 쉽고 용접, 볼트 혹은 나사 등의 체결없이 원통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힌지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힌지부에서의 스크래치로 인한 도금 벗겨짐, 파손이나 마모에 따른 단수명화를 방지하며, A/S를 위해 안경점을 빈번하게 방문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면서도 패션 아이템으로서도 손색이 없는 새로운 개념의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경테로부터 연장된 지지대의 단부에 원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회전결합부와; 상기 회전결합부가 외주면에 감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하로 관통구멍이 형성된 힌지부재와; 안경다리의 일단을 이루면서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한 다음 절곡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고정부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결합부는 상기 힌지부재의 외주면에 다수회 감긴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부와의 마찰저항을 줄이도록 실리콘으로 코팅된 마찰방지막이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재는 원통형, 스타(star)형, 다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힌지부재의 하단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부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상기된 안경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다리를 접을 수 있도록 힌지 구조를 갖출 때 볼트 혹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풀림 현상이 없어 A/S에 대한 리스크를 줄이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비용을 줄이며, 힌지 주변의 도금 벗겨짐 현상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아 장수명화를 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외관상 보기 싫은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수려한 자태를 과시하여 패션 아이템으로서 손색이 없다.
또한 나사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는 힌지부재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나사 사용시와 같이 힘을 받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힌지부재 전체에 걸쳐서 작용하므로 비교적 고장 및 파손의 가능성이 적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를 갖춘 안경의 예시적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를 갖춘 안경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힌지 조립체의 예시적인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힌지 조립체의 조립예를 보인 예시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힌지 조립체의 조립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힌지 조립체의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힌지 조립체(100)는 안경알(렌즈)(200)을 고정하는 안경테(210)와 안경을 착용자의 귀에 걸어 지지시키는 안경다리(220)를 연결시켜 안경다리(220)가 접힐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여기에서, 상기 안경테(210)를 비롯한 안경다리(220)는 금속, 특히 티타늄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합성수지, 즉 범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안경 힌지 조립체(100)는 상하방향 중앙에 고정홈(120)을 가진 대략 원통형상, 더 바람직하기로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은 도르레 혹은 실패(reel) 형상의 힌지부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재(110)도 금속, 특히 티타늄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합성수지, 즉 범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재(110)는 도 3과 같이, 상부디스크(112)와 하부디스크(114) 및 이들을 연결하되 이들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연결디스크(1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디스크(118)는 상부디스크(112) 및 하부디스크(114) 보다 직경이 작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고정홈(120)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120)은 상기 힌지부재(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힌지부재(110)를 상부디스크(112)와 하부디스크(114) 및 연결디스크(116)로 구분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반드시 이렇게 구분할 필요는 없으며, 원통형상의 부재 외주면에 반경방향으로 요홈, 즉 고정홈(120)을 요입 형성하기만 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힌지부재(110)는 원 중앙이 상하로 관통하여 관통구멍(H)이 형성되며, 하단면, 즉 하부디스크(114)의 하면 일부는 절삭되어 걸림턱(118)을 갖도록 함으로써 회전반경을 제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안경테(210)와 일체로 이루어지고 안경테(210)로부터 연장된 지지대(2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12)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단부가 원형상으로 절곡되어 회전결합부(214)를 이루는데, 상기 회전결합부(214)는 상기 고정홈(120)을 감싸듯이 결합되어 고정홈(120)을 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도시된 예는 상기 회전결합부(214)가 상기 고정홈(120)을 1회 감겨 감싸는 구조를 이룬 것을 예시적으로 보여 주고 있지만, 반드시 이것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도 3(b)와 같이 2회, 3회 이상으로 감기는 형태로 감싸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는 설계사항 내지 선택사항으로써 이를 테면 좀 더 지지강도 또는 결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우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220)의 일단도 대략 '' 형상으로 절곡되어 회전고정부(222)를 이루는데, 상기 회전고정부(222)는 상기 관통구멍(H)을 관통한 다음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고정부(222)의 단부는 절곡된 상태로 힌지부재(110)의 하단면에 절삭 형성된 부분에 위치되고, 회전시 걸림턱(118)에 걸리게 되므로 그 회전반경이 제한되게 된다.
즉, 안경다리(220)가 적어도 360° 회전되지 못하게 일정 각도내로 회전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상 편의성을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회전고정부(222)는 상기 회전결합부(2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횟수로 회전하는 구조이므로 관통구멍(H) 내에서의 마찰력을 줄여 보다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유도하고 구성요소들이 서로 밀착된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구멍(H)의 내주면에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코팅(피복)되어 마찰방지막(C)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110)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모양, 사각형, 타원형 등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프레임은 상기된 안경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안경프레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힌지 조립체는 안경다리(220)의 회전 유동을 위해 볼트 혹은 나사 등의 별도 고정부재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빈번한 A/S를 받을 필요도 없어 사용상 편리하며, 구조가 단순하고 간단하기 때문에 제조 및 조립이 쉽고, 비용도 절감되며 수려한 외관을 자랑하는 장점을 가진다.
110 : 힌지 부재 120 : 고정홈
200 : 안경알 210 : 안경테
212 : 지지대 214 : 회전결합부
220 : 안경다리 222 : 회전고정부
C : 마찰방지막 H : 관통구멍

Claims (6)

  1. 안경테(210)로부터 연장된 지지대(212)의 단부에 원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회전결합부(214)와;
    상기 회전결합부(214)가 외주면에 감겨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고정홈(120)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구멍(H)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H)의 내주면에는 회전고정부(222)와의 마찰저항을 줄이되 회전고정부(222)와 밀착되도록 실리콘으로 코팅된 마찰방지막(C)이 형성된 힌지부재(110)와;
    안경다리의 일단을 이루면서 상기 힌지부재(110)의 상단면을 통해 상기 관통구멍(H)에 수직으로 내삽된 다음 상기 힌지부재(110)의 하단면에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고정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재(110)의 하단면에는 상기 관통구멍(H)을 중심으로 부채꼴 형상을 이루는 홈 형상의 걸림턱(118)이 절삭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18)에는 상기 회전고정부(222)의 단부가 위치하여 상기 회전고정부(222)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힌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결합부(214)는 상기 힌지부재(110)의 외주면에 다수회 감긴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힌지 조립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110)는 원통형, 스타(star)형, 다각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힌지 조립체.
  5. 삭제
  6. 청구항 1,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4 중의 어느 하나 청구항에 의한 안경 힌지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프레임.
KR1020120074625A 2012-07-09 2012-07-09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KR101403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25A KR101403987B1 (ko) 2012-07-09 2012-07-09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25A KR101403987B1 (ko) 2012-07-09 2012-07-09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01A KR20140007201A (ko) 2014-01-17
KR101403987B1 true KR101403987B1 (ko) 2014-06-10

Family

ID=50141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25A KR101403987B1 (ko) 2012-07-09 2012-07-09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966B1 (ko) * 2019-07-29 2021-07-28 최정환 무나사 안경힌지를 가지는 조립식 안경
KR102432058B1 (ko) * 2020-07-24 2022-08-16 (주)휴맥스옵틱 안경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20A (ja) * 1992-06-30 1994-01-28 Daiichi Eng Kk メガネフレームの蝶番
JP3015058U (ja) * 1994-01-31 1995-08-29 株式会社ボストンクラブ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2000502197A (ja) * 1995-12-22 2000-02-22 ティコリネ・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めがね又はめがねフレーム用ヒンジ構造部材、めがね、めがねフレーム及びめがねフレームにレンズを固定する方法
JP2001324699A (ja) * 2000-02-17 2001-11-22 Tomohiro Tega 眼鏡用丁番の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20A (ja) * 1992-06-30 1994-01-28 Daiichi Eng Kk メガネフレームの蝶番
JP3015058U (ja) * 1994-01-31 1995-08-29 株式会社ボストンクラブ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2000502197A (ja) * 1995-12-22 2000-02-22 ティコリネ・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めがね又はめがねフレーム用ヒンジ構造部材、めがね、めがねフレーム及びめがねフレームにレンズを固定する方法
JP2001324699A (ja) * 2000-02-17 2001-11-22 Tomohiro Tega 眼鏡用丁番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01A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346B2 (en) Hinge assembly for eyewear
JP7541114B2 (ja) メガネ
US20200050018A1 (en) Hinge assembly for eyewear
US20120038878A1 (en) Decorative Eyewear
SG188382A1 (en) Nosepad connector for eyewear
US20140218677A1 (en) Eye-lens device
GB2281979A (en) Joints for spectacles sides
KR101315849B1 (ko) 안경테
KR101403987B1 (ko) 안경 힌지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안경프레임
KR101113422B1 (ko) 안경용 힌지
KR102054599B1 (ko) 안경테와 안경 다리의 연결구조체
JP2016517969A (ja) 眼鏡フレーム用ヒンジ
KR20170083808A (ko) 템플 탈착형 안경
JP2004280046A (ja) 2つのレンズおよび2つの後方に延在するテンプル部材を含むアイウェア製品
KR101233660B1 (ko) 비정형 안경테(무테 안경테)
EP0732607B1 (en) Joints for spectacles sides
KR20200107606A (ko)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 안경 다리를 갖는 안경테
KR200478283Y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경다리를 갖는 안경테
US20170248800A1 (en) Eyeglass frame
KR101348495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
KR102101100B1 (ko) 교체형 안경
JP3141598U (ja) 眼鏡用テンプル構造
CN206020838U (zh) 一种弹性眼镜铰链
CN220626796U (zh) 一种弹性铰链及其眼镜
US7178916B1 (en) Three-piece combinative device with eyeglasses and attachment sungla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