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671B1 -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3671B1 KR101403671B1 KR1020140028284A KR20140028284A KR101403671B1 KR 101403671 B1 KR101403671 B1 KR 101403671B1 KR 1020140028284 A KR1020140028284 A KR 1020140028284A KR 20140028284 A KR20140028284 A KR 20140028284A KR 101403671 B1 KR101403671 B1 KR 1014036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water
- suction pipe
- filter cap
- receiving body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자리에서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며, 내부에 오폐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본체; 하수 관거의 상기 오폐수가 흡입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본체와 연결된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오폐수에 혼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면서 상기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시키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관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관리 유닛; 및 상기 수용 본체와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의 채수가 완료된 후, 잔여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측으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 및 상기 필터 캡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물질이 제거되어 채수후 배출되는 오폐수를 세척 및 청소의 용도로 활용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채수후 배출되는 오폐수를 세척 및 청소의 용도로 활용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의 수질을 검사하거나, 화공플랜트나 폐수처리과정에서 처리된 물질의 온도, 탁도, pH, DO, COD, TOC, TN, TP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즉,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의 수자원이나, 화공플랜트 또는 폐수처리과정의 다수의 지점으로부터 작업자가 시료를 샘플링함에 따라 기상 등의 환경조건이나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샘플링한 시료가 오염되거나 변질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에 따른 분석은 샘플링 주기, 장소 등이 수시로 변동되어 오차가 크며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
또한, 측정장치에 투입할 시료를 적정상태로 조제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에서 수동으로 처리, 조작하기 때문에 오조작의 가능성이 컸고, 분석자의 주관이나 의도에 따라 분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으며, 나아가 분석결과를 수작업으로 기록 보관하는 경우, 더욱 신뢰성이 떨어지고, 기록의 유실이나 훼손의 가능성이 컸으며, 더욱 원격지에서 감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채수 장치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오염도, 세균, 생물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때, 채수 장치의 선단 및 채수관 내부에는 장시간 사용에 따른 이물질이 부착되어 채수후 시료의 정확한 데이터 획득에 지장을 주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제거하고 청소해 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어 채수후 배출되는 오폐수를 세척 및 청소의 용도로 활용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자리에서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며, 내부에 오폐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본체; 하수 관거의 상기 오폐수가 흡입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본체와 연결된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오폐수에 혼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면서 상기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시키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관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관리 유닛; 및 상기 수용 본체와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의 채수가 완료된 후, 잔여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측으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 및 상기 필터 캡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은, 상기 흡입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관의 외면을 반복하여 회전하는 긁개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관리 유닛은, 상기 흡입관의 외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긁개날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흡입관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을 따라 상기 피니언과 결합되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링 형상의 선회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는, 상기 수용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 본체를 제자리에서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시키는 서보 모터와, 상기 수용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에 개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일정량만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폐수의 채수 장치는, 상기 수용 본체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함에 따라 상기 오폐수를 상기 수용 본체로 흡입하여 수용하고,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상기 수용 본체로부터 배출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작업 영역이 형성되는 작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 영역은, 상기 수용 본체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하여 상기 흡입관으로부터 상기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 본체 내부에 상기 오폐수를 수용하고, 상기 수용 본체가 일정 시간 동안 대기 후 상기 수용 본체 내부의 상기 오폐수를 샘플링할 때, 상기 흡입관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채수 및 대기 영역과, 상기 수용 본체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하여 상기 수용 본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배출할 때, 상기 수용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채수 및 대기 영역과, 상기 드레인 영역은 순차적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상기 수용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과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고속 고압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와, 상기 바이패스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어 상기 흡입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드레인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을 향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단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이 장착된 흡입관을 통해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수용 본체로 이송하는 제1 단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샘플링하기 위하여 일정량만큼 채수(採水)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필터 캡의 외면과 상기 필터 캡의 내부와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단계; 채수되고 난 뒤 남은 상기 오폐수를 상기 수용 본체로부터 드레인관을 통하여 전량 배출시키는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수용 본체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흡입관의 외면에 결합된 긁개날이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관의 외면을 반복 회전하여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수용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에 결합된 복수의 노즐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면서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과 상기 필터 캡의 내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 본체와 연결되어 단부에 필터 캡이 장착된 흡입관의 내부와 필터 캡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1 관리 유닛과 제2 관리 유닛에 의하여 안팎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확실한 세척과 청소가 이루어지게 되어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채수후 배출되는 오폐수를 세척 및 청소의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의 채수 장치의 주요부인 제 2관리 유닛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의 채수 장치의 주요부인 제 2관리 유닛의 다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수용 본체(300)측으로 오폐수가 이송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본체(300)와, 흡입관(100)의 단부에 장착된 필터 캡(200)과, 제1, 2 관리 유닛(500, 6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수용 본체(300)는 제자리에서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며, 내부에 오폐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필터 캡(200)은 하수 관거의 오폐수가 흡입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수용 본체(300)와 연결된 흡입관(1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오폐수에 혼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면서 오폐수를 흡입관(100)으로 유입시키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이다.
제1 관리 유닛(500)은 흡입관(100)에 결합되어, 흡입관(100)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필터 캡(200)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제2 관리 유닛(600)은 수용 본체(300)와 흡입관(100)을 상호 연결하며,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의 채수가 완료된 후, 잔여 오폐수를 흡입관(100)측으로 고압 분사하여 흡입관(100)의 내주면 및 필터 캡(200)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 본체(300)는 수용 본체(300)와 결합되어 수용 본체(300)를 제자리에서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시키는 서보 모터(410)와, 수용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310)에 개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를 일정량만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420)를 더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제2 관리 유닛(600)은 드레인관(310)과 연결된다.
이때, 본 발명은 수용 본체(300)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함에 따라 오폐수를 수용 본체(300)로 흡입하여 수용하고, 수용된 오폐수를 수용 본체(300)로부터 배출하는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작업 영역(430w)이 형성되는 작업 테이블(43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 영역(430w)은 수용 본체(300)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에 따라 채수 및 대기 영역(431)과 드레인 영역(4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채수 및 대기 영역(431)은 수용 본체(300)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하여 흡입관(100)으로부터 오폐수를 흡입하여 수용 본체(300) 내부에 오폐수를 수용하고, 수용 본체(300)가 일정 시간 동안 대기 후 수용 본체(300) 내부의 오폐수를 샘플링할 때, 흡입관(10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드레인 영역(432)은 수용 본체(300)가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하여 수용 본체(300) 내부에 수용된 오폐수를 배출할 때, 수용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310)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채수 및 대기 영역(431)과, 드레인 영역(4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번갈아 배치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 관리 유닛(500)은 필터 캡(200) 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흡입관(100)의 외면에 결합되고, 필터 캡(200)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흡입관(100)의 외면을 반복하여 회전하는 긁개날(5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관리 유닛(500)은 흡입관(100)의 외면에 결합되는 구동모터(520)와, 구동모터(520)의 구동축 단부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530)과, 긁개날(51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흡입관(100)의 단부 외주면을 감싸며, 외주면을 따라 피니언(530)과 결합되는 기어이가 형성되어 회전 가능한 링 형상의 선회 베어링(540)을 더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20)의 정, 역회전에 따라 피니언(530)과 맞물려 회전하는 선회 베어링(540)이 연동하여 정, 역회전하면서, 선회 베어링(540)에 장착된 긁개날(510)이 필터 캡(200)의 외면을 긁으면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관리 유닛(600)은 수용 본체(300)에 수용되었다 배출되는 오폐수를 세척 및 이물질 제거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관(610)과 이송 펌프(620)와 분기관(630)과 노즐(640)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관(610)은 수용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310)과 흡입관(100)을 상호 연결하는 것이다.
이송 펌프(620)는 바이패스관(610)의 유로상에 배치되어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를 고속 고압으로 이송하는 것이다.
분기관(630)은 바이패스관(610)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어 흡입관(10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것이다.
노즐(640)은 분기관(630)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드레인관(3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흡입관(100)의 내주면을 향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관리 유닛(600)은 채수를 위하여 오폐수를 흡입관(100)으로부터 흡입하여 수용 본체(300)에 저장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새로운 오폐수를 흡입하기 위하여 배출시키는 오폐수를 세척 및 청소의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의 오폐수는 슬러리와 같은 이물질들이 수용 본체(300)의 바닥으로 가라앉아 세척 및 청소에는 별 지장이 없을 정도의 상태이므로, 별도의 청수(淸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를 이용한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단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200)이 장착된 흡입관(100)을 통해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흡입하여 흡입관(100)과 연결된 수용 본체(300)로 이송하는 작업을 실시한다(S1: 제1 단계).
이후, 작업자는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를 샘플링하기 위하여 일정량만큼 채수(採水)하기 전 또는 후에, 필터 캡(200)의 외면과 필터 캡(200)의 내부와 흡입관(100)의 내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다(S2; 제2 단계).
계속하여, 채수되고 난 뒤 남은 오폐수는 수용 본체(300)로부터 드레인관(310)을 통하여 전량 배출된다(S3; 제3 단계).
여기서, 제1, 2, 3 단계(S1, S2, S3)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수용 본체(300)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제2 단계(S2)에서는 흡입관(100)의 외면에 결합된 긁개날(510)이 필터 캡(200)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흡입관(100)의 외면을 반복 회전하여 필터 캡(200)의 외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단계(S2)에서는 수용 본체(30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310)으로부터 배출되는 오폐수를 흡입관(100)에 결합된 복수의 노즐(640)을 통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면서 흡입관(100)의 내주면과 필터 캡(200)의 내부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폐수의 채수 장치의 주요부인 제2 관리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관리유닛(500)은 도 2와 같이 필터 캡(200) 외면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흡입관(100)의 일단부에 장착되어 필터 캡(200)과 연결되며, 흡입관(100)에 대하여 필터 캡(200)을 출입시키는 청소 어셈블리(57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청소 어셈블리(570)는 도 2(a)와 같이 흡입관(100)에 결합된 구동모터(571)와, 외주면을 따라 기어이가 형성되어 구동모터(571)와 정, 역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관(100)의 내주면에 기어이의 일부가 노출되는 피니언(572)과, 필터 캡(20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피니언(572)과 결합되는 랙(573)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571)의 정, 역회전에 연동하여 피니언(572)과 결합된 랙(573)이 상하로 승강 왕복하게 되면, 랙(573)과 결합된 필터 캡(200) 외면의 이물질이 흡입관(100)의 단부 가장자리에 긁혀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 어셈블리(570)는 도 3(b)와 같이 흡입관(100)에 결합된 제1 브라켓(575)과, 필터 캡(200)의 단부 외면에 결합되는 제2 브라켓(576)과, 제1, 2 브라켓(535, 536)에 각각 양단부가 결합되어 신축 가능한 유체 실린더(537)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 실린더(537)의 신축에 연동하여 제2 브라켓(576)과 결합된 필터 캡(200) 외면의 이물질이 흡입관(100)의 단부 가장자리에 긁혀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의 채수 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작업자는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조작하여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흡입관(100)을 통해 흡입하여 흡입관(100)과 연결된 수용 본체(300)로 이송하게 된다(S1: 제1 단계).
이후, 작업자는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를 샘플링하기 위하여 일정량만큼 채수(採水)하고, 채수되고 난 뒤 남은 오폐수를 수용 본체(300)로부터 드레인관(310)을 통하여 전량 배출시키게 된다(S2: 제2 단계).
여기서, 이러한 제1, 2 단계(S1, S2)는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수용 본체(300)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회전 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제2 단계(S2)에서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오폐수의 채수가 시작되기 전 또는 후에, 오폐수에 혼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면서 오폐수를 흡입관(100)으로 유입시키도록 흡입관(100)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20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단계(S2)에서는 흡입관(100)에 장착된 제2 펌프(520)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흡입관(100)의 내주면 및 필터 캡(200)의 내면을 향하여 분사하는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흡입관(100)으로부터 흡입되어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가 대기하는 시간은, 시료의 채수에 따른 정확한 데이터의 획득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채수가 완료된 후 수용 본체(300)에 수용된 오폐수를 외부로부터 배출시키는 시간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제거되어 채수후 배출되는 오폐수를 세척 및 청소의 용도로 활용하여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흡입관
150...흡입 펌프
200...필터 캡
300...수용 본체
310...드레인관
410...서보 모터
420...배출 밸브
430...작업 테이블
430w...작업 영역
431...채수 및 대기 영역
432...드레인 영역
500...제1 관리 유닛
510...긁개날
520...구동모터
530...피니언
540...선회 베어링
600...제2 관리 유닛
610...바이패스관
620...이송 펌프
630...분기관
640...노즐
S1...제1 단계
S2...제2 단계
S3...제3 단계
150...흡입 펌프
200...필터 캡
300...수용 본체
310...드레인관
410...서보 모터
420...배출 밸브
430...작업 테이블
430w...작업 영역
431...채수 및 대기 영역
432...드레인 영역
500...제1 관리 유닛
510...긁개날
520...구동모터
530...피니언
540...선회 베어링
600...제2 관리 유닛
610...바이패스관
620...이송 펌프
630...분기관
640...노즐
S1...제1 단계
S2...제2 단계
S3...제3 단계
Claims (5)
- 제자리에서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며, 내부에 오폐수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용 본체;
하수 관거의 상기 오폐수가 흡입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 본체와 연결된 흡입관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오폐수에 혼재된 슬러지 등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면서 상기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으로 유입시키도록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어, 상기 흡입관의 단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 관리 유닛; 및
상기 수용 본체와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의 채수(採水)가 완료된 후, 잔여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측으로 고압 분사하여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 및 상기 필터 캡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관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리 유닛은,
상기 흡입관의 외면에 결합되고, 상기 필터 캡의 외면에 접촉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관의 외면을 반복하여 회전하는 긁개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는,
상기 수용 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 본체를 제자리에서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시키는 서보 모터와,
상기 수용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에 개폐 조작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일정량만큼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상기 드레인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관리 유닛은,
상기 수용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관과 상기 흡입관을 상호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의 유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고속 고압으로 이송하는 이송 펌프와,
상기 바이패스관의 단부로부터 복수로 분기되어 상기 흡입관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관과,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드레인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을 향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 단부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필터 캡이 장착된 흡입관을 통해 하수 관거의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과 연결된 수용 본체로 이송하는 제1 단계;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수용 본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샘플링하기 위하여 일정량만큼 채수(採水)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필터 캡의 외면과 상기 필터 캡의 내부와 상기 흡입관의 내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2 단계;
채수되고 난 뒤 남은 상기 오폐수를 상기 수용 본체로부터 드레인관을 통하여 전량 배출시키는 제3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상기 수용 본체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회전후 정지하는 패턴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채수용 시스템의 유지관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284A KR101403671B1 (ko) | 2014-03-11 | 2014-03-11 |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28284A KR101403671B1 (ko) | 2014-03-11 | 2014-03-11 |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3671B1 true KR101403671B1 (ko) | 2014-06-05 |
Family
ID=5113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8284A KR101403671B1 (ko) | 2014-03-11 | 2014-03-11 |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3671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755B1 (ko) * | 2015-05-29 | 2015-11-25 | (주)지산종합기술 |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
KR101571751B1 (ko) * | 2015-05-29 | 2015-11-25 | (주)지산종합기술 |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
KR20160133032A (ko) * | 2015-05-11 | 2016-11-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 자동 측정장치 |
KR20160133034A (ko) * | 2015-05-11 | 2016-11-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 자동 측정기의 청소장치 |
KR20160133036A (ko) * | 2015-05-11 | 2016-11-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
KR101700333B1 (ko) * | 2016-08-18 | 2017-02-13 |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
CN109916665A (zh) * | 2017-12-12 | 2019-06-21 |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 一种多点位模块化水样采集装置及其采集方法 |
CN111220599A (zh) * | 2018-11-24 | 2020-06-02 | 朱燕超 | 一种用于水质检测的取样装置及取样方法 |
KR102274262B1 (ko) * | 2021-02-03 | 2021-07-07 | 더본테크 주식회사 | 임의 탄성력에 기반한 이물의 선택적 필터링을 제공하는 맨홀 내 시료 채수 시스템 |
KR102274895B1 (ko) | 2021-01-12 | 2021-07-08 |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 펌프 가동 정보에 기초한 시료의 선택적 샘플링 시스템 |
KR20230070616A (ko) * | 2021-11-15 | 2023-05-23 | 주식회사 지앤텍엔지니어링 | 지하수 수질 측정기 |
KR20240040377A (ko) | 2022-09-21 | 2024-03-28 | 주식회사 조은이티씨 | 선택적 평면 축이동을 통한 시료 배분 컨트롤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2408A (ja) * | 1995-03-16 | 1996-10-01 | Ishigaki Mech Ind Co | 浮上ろ材を用いた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装置並び にその洗浄方法 |
JP2001050927A (ja) | 1999-08-10 | 2001-02-23 | Nishikawa Keisoku Kk | 下水道放流水の残留塩素計洗浄装置 |
KR200420293Y1 (ko) | 2006-04-20 | 2006-06-29 | 주식회사 케이엔텍 | 역류를 이용한 필터 자동 세척 및 유체 온도 유지 장치 |
KR101321393B1 (ko) | 2012-05-04 | 2013-10-29 | (주)지텍이엔지 | 순차 채수장치 |
-
2014
- 2014-03-11 KR KR1020140028284A patent/KR10140367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52408A (ja) * | 1995-03-16 | 1996-10-01 | Ishigaki Mech Ind Co | 浮上ろ材を用いた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装置並び にその洗浄方法 |
JP2001050927A (ja) | 1999-08-10 | 2001-02-23 | Nishikawa Keisoku Kk | 下水道放流水の残留塩素計洗浄装置 |
KR200420293Y1 (ko) | 2006-04-20 | 2006-06-29 | 주식회사 케이엔텍 | 역류를 이용한 필터 자동 세척 및 유체 온도 유지 장치 |
KR101321393B1 (ko) | 2012-05-04 | 2013-10-29 | (주)지텍이엔지 | 순차 채수장치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3032A (ko) * | 2015-05-11 | 2016-11-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 자동 측정장치 |
KR20160133034A (ko) * | 2015-05-11 | 2016-11-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 자동 측정기의 청소장치 |
KR20160133036A (ko) * | 2015-05-11 | 2016-11-22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
KR101698205B1 (ko) * | 2015-05-11 | 2017-01-20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자동측정기를 이용한 수질관리시스템 |
KR101698203B1 (ko) * | 2015-05-11 | 2017-01-20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 자동 측정기의 청소장치 |
KR101698202B1 (ko) * | 2015-05-11 | 2017-01-20 |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 수질 자동 측정장치 |
KR101571755B1 (ko) * | 2015-05-29 | 2015-11-25 | (주)지산종합기술 |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
KR101571751B1 (ko) * | 2015-05-29 | 2015-11-25 | (주)지산종합기술 |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
KR101700333B1 (ko) * | 2016-08-18 | 2017-02-13 |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 맨홀용 자동 채수 장치 |
CN109916665A (zh) * | 2017-12-12 | 2019-06-21 |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 一种多点位模块化水样采集装置及其采集方法 |
CN109916665B (zh) * | 2017-12-12 | 2023-11-03 |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 一种多点位模块化水样采集装置及其采集方法 |
CN111220599A (zh) * | 2018-11-24 | 2020-06-02 | 朱燕超 | 一种用于水质检测的取样装置及取样方法 |
KR102274895B1 (ko) | 2021-01-12 | 2021-07-08 | 주식회사 에코베이스 | 펌프 가동 정보에 기초한 시료의 선택적 샘플링 시스템 |
KR102274262B1 (ko) * | 2021-02-03 | 2021-07-07 | 더본테크 주식회사 | 임의 탄성력에 기반한 이물의 선택적 필터링을 제공하는 맨홀 내 시료 채수 시스템 |
KR20230070616A (ko) * | 2021-11-15 | 2023-05-23 | 주식회사 지앤텍엔지니어링 | 지하수 수질 측정기 |
KR102610623B1 (ko) * | 2021-11-15 | 2023-12-06 | 주식회사 지앤텍엔지니어링 | 지하수 수질 측정기 |
KR20240040377A (ko) | 2022-09-21 | 2024-03-28 | 주식회사 조은이티씨 | 선택적 평면 축이동을 통한 시료 배분 컨트롤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3671B1 (ko) |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 |
KR101403669B1 (ko) | 하수관의 폐수 채수를 위한 장치 및 이것의 운용 방법 | |
KR101571751B1 (ko) |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 |
KR101571755B1 (ko) |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 |
KR20090126423A (ko) | 미세여과막을 이용한 부유고형물 처리장치 | |
CN103018306B (zh) | 一种在线连续监测水样ph值和自动清洗电极的装置 | |
CN218093640U (zh) | 一种化工液体泵过滤装置 | |
CN118275178B (zh) | 一种水利工程水体检测的取样设备 | |
CN110261178A (zh) | 带自动清洁功能的采样送样系统 | |
CN113671143A (zh) | 一种带有排污功能的水质监测设备 | |
KR101006745B1 (ko) |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및 방법 | |
KR102160058B1 (ko) | 수저면 오염퇴적물 정화시스템 | |
KR200395649Y1 (ko) | 활성 슬러지 부피 자동 측정 장치 | |
JP2011203025A (ja) | pH計洗浄装置およびpH計の洗浄方法 | |
CN220939438U (zh) | 一种污水处理厂的污水管排放装置 | |
US10191379B2 (en) | Removing photoresist from a wafer | |
CN218089084U (zh) | 一种实验废水处理装置 | |
CN110954368A (zh) | 污染源在线检测仪表前端过滤装置 | |
CN108884648B (zh) | 利用耙筛的污水处理装置 | |
CN218491596U (zh) | 化学实验室废液净化器 | |
CN219399281U (zh) | 一种便于清洁的污水处理池 | |
CN219744016U (zh) | 一种具备污泥收集排放功能的污水处理装置 | |
CN219016292U (zh) | 一种河道水体污染物浓度监测装置 | |
JP4347084B2 (ja) | スミヤ分析装置及びスミヤ分析方法 | |
CN220289582U (zh) | 一种污水处理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