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751B1 -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751B1
KR101571751B1 KR1020150076116A KR20150076116A KR101571751B1 KR 101571751 B1 KR101571751 B1 KR 101571751B1 KR 1020150076116 A KR1020150076116 A KR 1020150076116A KR 20150076116 A KR20150076116 A KR 20150076116A KR 101571751 B1 KR101571751 B1 KR 10157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mple
main body
pump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지산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산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지산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50076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에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수거부에 의하여 채수 작업을 실시하되,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량만큼 시료가 채수되고,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은 드레인되도록 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별 시료의 수질 비교 검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PORTABLE AUTOMATIC WATER SAMPLING APPARATUS WITH TIMER FUNCTION}
본 발명은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별 시료의 수질 비교 검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의 수질을 검사하거나, 화공플랜트나 폐수처리과정에서 처리된 물질의 온도, 탁도, pH, DO, COD, TOC, TN, TP 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주로 수작업에 의존하였다.
즉, 하천이나 호수, 바다 등의 수자원이나, 화공플랜트 또는 폐수처리과정의 다수의 지점으로부터 작업자가 시료를 샘플링함에 따라 기상 등의 환경조건이나 작업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샘플링한 시료가 오염되거나 변질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수작업에 따른 분석은 샘플링 주기, 장소 등이 수시로 변동되어 오차가 크며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
또한, 측정장치에 투입할 시료를 적정상태로 조제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에서 수동으로 처리, 조작하기 때문에 오조작의 가능성이 컸고, 분석자의 주관이나 의도에 따라 분석결과가 달라질 수 있었으며, 나아가 분석결과를 수작업으로 기록 보관하는 경우, 더욱 신뢰성이 떨어지고, 기록의 유실이나 훼손의 가능성이 컸으며, 더욱 원격지에서 감시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채수 장치는 하천, 호수, 바다 등의 오염도, 세균, 생물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채수 장치의 일종으로, 특허출원 제10-1998-0033575호의 "오폐수오토샘플링및어날라이징시스템"(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대규모 하수 처리장 등과 같은 기존의 거대 설비에 구비된 것으로, 검사자가 한 장소 뿐 아니라 여러 시설이나 장소를 방문하여 복수의 시료를 채수하고 비교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 제10-1998-00335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별 시료의 수질 비교 검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채수(採水)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흡입력을 조절 가능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채수되는 시료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유량과 상기 펌프의 흡입 압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유량과 상기 시료의 수질과 관련한 데이터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가 탈착 가능한 메모리 포트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채수되는 물 속에 잠겨 상기 시료를 채수하고, 상기 물의 현재 온도와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와 상기 펌프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수거부를 일정 각도로 정, 역회전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료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량만큼 채수되고,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은 드레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고, 맨홀 통로로부터 투입되는 상기 연결부의 상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센터 하우징과, 상기 제1 센터 하우징의 중심부로부터 신축되어 상기 맨홀 통로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암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단부와 상기 수거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센터 하우징과, 상기 제2 센터 하우징의 중심부로부터 신축되어 상기 맨홀 통로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 암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가동시키고 정지시키는 명령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펌프에 전달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타이머와 동기화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펌프 출구와 연결되는 채수 노즐로부터 일정량만큼 배출되는 상기 시료를 수용하고,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샘플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샘플링 유닛은,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조인트와, 중심부의 저면에 상기 회동 조인트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 단부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회동 가능하며,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채수 본체와, 상기 채수 본체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채수 본체가 상기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채수 노즐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채수 본체의 하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기 시료를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채수 가이드홈과, 상기 복수의 채수 가이드홈 중 하나의 채수 가이드홈과 이웃한 채수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시료가 채수되기 직전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이 드레인되도록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드레인 가이드홈과, 상기 채수 본체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채수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채수 가이드홈으로부터 안내된 상기 시료가 일시 수용되는 채수 용기와, 상기 채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수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드레인 가이드홈으로부터 안내된 상기 적체된 물이 배출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배출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채수 본체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하여 가동되는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샘플링 유닛은, 상기 구동축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채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채수 본체의 저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채수 가이드홈 각각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상기 채수 본체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채수 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채수 본체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복수의 유체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료가 채수중일 때 상기 복수의 스프링 및 유체 실린더 중 일측의 스프링 및 유체 실린더가 수축되면 타측의 스프링 및 유체 실린더가 신장되고, 상기 시료의 채수가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실린더 각각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본체부에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수거부에 의하여 채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여러 시설 및 장소의 채수를 통한 다양한 시료간의 비교 분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량만큼 시료가 채수되고,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은 드레인되도록 함으로써, 시간별 시료의 수질 비교 검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수질 검사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가 맨홀 통로 및 맨홀 주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중 주요부인 연결부의 상, 하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중 주요부인 연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중 주요부인 본체부로부터 시료를 일정 시간마다 채수하기 위한 샘플링 유닛의 전체 구조 및 작동 메카니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샘플링 유닛 중 채수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6은 도 5의 V-V' 선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가 맨홀 통로 및 맨홀 주변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중 주요부인 연결부의 상, 하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중 주요부인 연결부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중 주요부인 본체부로부터 시료를 일정 시간마다 채수하기 위한 샘플링 유닛의 전체 구조 및 작동 메카니즘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샘플링 유닛 중 채수 본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며, 도 6은 도 5의 V-V' 선 단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부(100)에 연결부(300)로 상호 연결된 수거부(200)에 의하여 채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본체부(100)는 내부에 채수(採水)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펌프(110)와, 펌프(110)의 흡입력을 조절 가능한 컨트롤러(120)와, 컨트롤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채수되는 시료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130)와, 유량과 펌프(110)의 흡입 압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창(140)과, 유량과 시료의 수질과 관련한 데이터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151)가 탈착 가능한 메모리 포트(150)를 구비한 것이다.
수거부(200)는 펌프(110)와 연결되어 채수되는 물 속에 잠겨 시료를 채수하고, 물의 현재 온도와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이하 미도시)가 구비된 것이다.
연결부(300)는 수거부(200)와 펌프(110)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본체부(100)에 대하여 수거부(200)를 일정 각도로 정, 역회전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시료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량만큼 채수되고,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은 드레인됨으로써, 시간별 시료의 수질 비교 검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수질 검사 및 분석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체부(100)는 펌프(110)와 컨트롤러(120)와 유량계(130) 등이 내장되고 디스플레이창(140)과 메모리 포트(150)가 형성되도록 케이스(10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01)에는 도 1과 같이 휴대의 편의를 위하여 손잡이(102)를 구비하고, 손잡이(102)에는 작동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의 온오프, 펌프(110)의 작동 또는 정지, 그리고 펌프(110)의 흡입력 조절 등이 가능한 컨트롤 스위치(102s)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부(300)는 펌프(110)와 연결되고, 하단부에 수거부(200)가 구비된 가요성의 플렉시블 호스(3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300)는 플렉시블 호스(310)의 상단부와 펌프(110)를 상호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커플링(321)을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300)는 플렉시블 호스(310) 단부의 후술할 수거부(200)가 정확한 위치에서 채수하고, 약간의 위치 변경을 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에 내장되는 메인 모터(330)와, 메인 모터(330)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된 웜(340)과, 제1 커플링(3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웜(340)과 맞물리는 웜 휠(3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수거부(200)는 플렉시블 호스(310)의 하단부와 제2 커플링(322)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연결부(300)의 상단부가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고, 맨홀 통로(900)로부터 투입되는 연결부(300)의 상측 외주면을 지지하는 제1 센터 하우징(410)과, 제1 센터 하우징(410)의 중심부로부터 신축되어 맨홀 통로(900)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 가능한 복수의 제1 지지 암(420)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지지부(400)와 함께 연결부(300)의 하단부와 수거부(200)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센터 하우징(510)과, 제2 센터 하우징(510)의 중심부로부터 신축되어 맨홀 통로(900)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 가능한 복수의 제2 지지 암(520)을 포함하는 제2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2 지지부(400, 500)는 플렉시블 호스(310)가 꼬이지 않고 곧바로 맨홀 통로(900)로 안내되어 수거부(200)가 채수 작업을 실시할 때 시료가 원활하게 펌프(110)를 통하여 채수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지지 암(420) 및 제2 지지 암(520) 각각의 신축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1 지지 암(420) 및 제2 지지 암(520) 각각과 연결되어 제1 지지 암(420) 및 제2 지지 암(520) 전부 또는 일부의 신축 작용에 필요한 유체 압력을 제공하는 유체압 소스(4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지지부(400)는 플렉시블 호스(310)가 맨홀 통로(900)를 통하여 내려지고 끌어 올려질 때 꼬이거나 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 3과 같이 상, 하부 가이드 휠(431, 441) 및 상, 하부 휠 브라켓(432, 44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가이드 휠(431)은 제1 센터 하우징(410)에 내장되고 연결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구름 접촉하는 것이다.
상부 휠 브라켓(432)은 제1 센터 하우징(410)의 내측 상면에 각각 장착되고, 복수의 상부 가이드 휠(431)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하부 가이드 휠(441)은 제1 센터 하우징(410)에 내장되고 연결부(30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로 배치되어 구름 접촉하며, 복수의 상부 가이드 휠(431) 하부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하부 휠 브라켓(442)은 제1 센터 하우징(410)의 내측 하면에 각각 장착되고, 복수의 하부 가이드 휠(441)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량만큼의 시료를 정확하게 채수할 수 있도록,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타이머(600)와 샘플링 유닛(7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이머(600)는 컨트롤러(120) 및 펌프(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펌프(110)를 가동시키고 정지시키는 명령을 컨트롤러(120)로부터 펌프(110)에 전달하는 것이다.
샘플링 유닛(700)은 타이머(600) 및 컨트롤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이머(600)와 동기화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서보 모터(701)를 포함하며, 본체부(100)의 펌프(110) 출구와 연결되는 채수 노즐(160)로부터 일정량만큼 배출되는 시료를 수용하고,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것이다.
우선, 샘플링 유닛(700)은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보 모터(701)의 구동축(702) 단부에 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조인트(7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샘플링 유닛(700)은 중심부의 저면에 회동 조인트(710)가 결합되어 구동축(702) 단부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회동 가능하며,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채수 본체(7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샘플링 유닛(700)은 채수 본체(720)의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채수 본체(720)가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채수 노즐(160)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채수 본체(720)의 하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시료를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채수 가이드홈(7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샘플링 유닛(700)은 복수의 채수 가이드홈(721) 중 하나의 채수 가이드홈(721)과 이웃한 채수 가이드홈(72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시료가 채수되기 직전에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이 드레인되도록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드레인 가이드홈(7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샘플링 유닛(700)은 채수 본체(720)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채수 본체(720)의 회전에 따라 채수 가이드홈(721)으로부터 안내된 시료가 일시 수용되는 채수 용기(730)를 포함한다.
또한, 샘플링 유닛(700)은 채수 본체(7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수 본체(720)의 회전에 따라 드레인 가이드홈(722)으로부터 안내된 적체된 물이 배출되는 공간부(741)를 형성하는 배출 탱크(7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채수 본체(720)는 컨트롤러(120)에 의하여 가동되는 서보 모터(701)의 구동축(702)과 일체로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한 후, 컨트롤러(120)에 의하여 일정 시간 가동되는 펌프(110)로부터 채수된 시료를 채수 가이드홈(721)을 통하여 채수 용기(730)에 일정량만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채수 본체(720)는 시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시료가 채수되기 직전에 특정 위치(여기서, 특정 위치는 채수 노즐(161)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회전하여 멈추면, 드레인 가이드홈(722)을 통하여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을 배출 안내되고, 배출 안내된 적체된 물은 공간부(741)를 거쳐 배출 탱크(740)의 외부로 드레인된다.
한편, 샘플링 유닛(700)은 구동축(702)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채수 본체(7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7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샘플링 유닛(700)은 지지 플레이트(750)와 채수 본체(720)의 저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채수 가이드홈(721) 각각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지지 플레이트(750)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채수 본체(720)의 가장자리가 지지 플레이트(750)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채수 본체(7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스프링(7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샘플링 유닛(700)은 컨트롤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부는 지지 플레이트(75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채수 본체(720)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구동축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컨트롤러(120)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복수의 유체 실린더(7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시료가 채수중일 때 복수의 스프링(760) 및 유체 실린더(770) 중 일측의 스프링(760) 및 유체 실린더(770)가 수축되면 타측의 스프링(760) 및 유체 실린더(770)가 신장될 것이다.
또한, 시료의 채수가 완료되면 컨트롤러(120)의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유체 실린더(770) 각각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복원됨으로써, 다음 시료의 채수를 위한 준비 상태가 완료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간편하고, 시간별 시료의 수질 비교 검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본체부
101...케이스
102...손잡이
102s...컨트롤 스위치
110...펌프
120...컨트롤러
130...유량계
140...디스플레이창
150...메모리 포트
151...플래시 메모리
160...채수 노즐
200...수거부
300...연결부
310...플렉시블 호스
321...제1 커플링
322...제2 커플링
330...메인 모터
340...웜
350...웜 휠
400...제1 지지부
410...제1 센터 하우징
420...제1 지지 암
431...상부 가이드 휠
432...상부 휠 브라켓
441...하부 가이드 휠
442...하부 휠 브라켓
450...유체압 소스
500...제2 지지부
510...제2 센터 하우징
520...제2 지지 암
600...타이머
700...샘플링 유닛
701...서보 모터
702...서보 모터(701)의 구동축
710...회동 조인트
720...채수 본체
721...채수 가이드홈
722...드레인 가이드홈
730...채수 용기
740...배출 탱크
741...공간부
750...지지 플레이트
760...스프링
770...유체 실린더
900...맨홀 통로

Claims (5)

  1. 내부에 채수(採水)를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의 흡입력을 조절 가능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채수되는 시료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 유량과 상기 펌프의 흡입 압력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창과, 상기 유량과 상기 시료의 수질과 관련한 데이터 저장을 위한 플래시 메모리가 탈착 가능한 메모리 포트를 구비한 본체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채수되는 물 속에 잠겨 상기 시료를 채수하고, 상기 물의 현재 온도와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수거부 및 상기 수거부와 상기 펌프를 상호 연결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수거부를 일정 각도로 정, 역회전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료는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일정량만큼 채수되고,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은 드레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는,
    상기 컨트롤러 및 상기 펌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일정 시간마다 일정 시간동안 상기 펌프를 가동시키고 정지시키는 명령을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펌프에 전달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 및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타이머와 동기화하여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펌프 출구와 연결되는 채수 노즐로부터 일정량만큼 배출되는 상기 시료를 수용하고,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채수 시간 사이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을 드레인시키는 샘플링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샘플링 유닛은,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동 조인트와, 중심부의 저면에 상기 회동 조인트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 단부에 대하여 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회동 가능하며, 중심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채수 본체와, 상기 채수 본체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채수 본체가 상기 일정 시간마다 일정 각도만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채수 노즐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채수 본체의 하향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기 시료를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채수 가이드홈과, 상기 복수의 채수 가이드홈 중 하나의 채수 가이드홈과 이웃한 채수 가이드홈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시료가 채수된 시간으로부터 다음 시료가 채수되기 직전에 상기 내부 유로에 적체된 물이 드레인되도록 일방향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드레인 가이드홈과, 상기 채수 본체의 하부에 등간격으로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채수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채수 가이드홈으로부터 안내된 상기 시료가 일시 수용되는 채수 용기와, 상기 채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수 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드레인 가이드홈으로부터 안내된 상기 적체된 물이 배출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배출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채수 본체는 상기 컨트롤러에 의하여 가동되는 상기 서보 모터의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 유닛은,
    상기 구동축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상기 채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채수 본체의 저면 사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채수 가이드홈 각각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상기 채수 본체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상기 채수 본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단부는 상기 채수 본체의 저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동축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기 컨트롤러에 의하여 신축 가능한 복수의 유체 실린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시료가 채수중일 때 상기 복수의 스프링 및 유체 실린더 중 일측의 스프링 및 유체 실린더가 수축되면 타측의 스프링 및 유체 실린더가 신장되고, 상기 시료의 채수가 완료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유체 실린더 각각의 길이는 모두 동일하게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KR1020150076116A 2015-05-29 2015-05-29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KR10157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16A KR101571751B1 (ko) 2015-05-29 2015-05-29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116A KR101571751B1 (ko) 2015-05-29 2015-05-29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1751B1 true KR101571751B1 (ko) 2015-11-25

Family

ID=54845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116A KR101571751B1 (ko) 2015-05-29 2015-05-29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751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6969A (zh) * 2016-03-18 2016-04-27 张豫 河流水生态系统环境因子采集方法
CN111665098A (zh) * 2020-06-23 2020-09-15 李丹凤 一种水质监测分层取样装置
KR102167338B1 (ko) 2020-02-07 2020-10-19 (주)지산종합기술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KR102167340B1 (ko) 2020-02-07 2020-10-19 (주)지산종합기술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KR20210047757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엔솔 (Ensol) 채수 장치
KR102274262B1 (ko) 2021-02-03 2021-07-07 더본테크 주식회사 임의 탄성력에 기반한 이물의 선택적 필터링을 제공하는 맨홀 내 시료 채수 시스템
KR20220116908A (ko) 2021-02-16 2022-08-23 더본테크 주식회사 유체의 임의 유출 방지를 위한 플로우 콘트롤 시스템
KR102524636B1 (ko) 2022-09-20 2023-04-21 더본테크 주식회사 선택적 개방을 통한 개별적 유체 분배 컨트롤 시스템
KR20230061698A (ko) 2021-10-29 2023-05-09 이종혁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선택적 위치의 시료 분배 기능이 구비된 샘플링 컨트롤 시스템
CN116973176A (zh) * 2023-09-22 2023-10-31 靖江市马洲乳业有限公司 一种牛奶检测用自动取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3893A (ja) 2006-03-29 2007-10-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プランクトン分布調査船
KR101403671B1 (ko) * 2014-03-11 2014-06-05 (주)에코베이스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414198B1 (ko) * 2014-03-11 2014-07-01 (주)에코베이스 하수 관거의 초음파 유량센서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3893A (ja) 2006-03-29 2007-10-1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プランクトン分布調査船
KR101403671B1 (ko) * 2014-03-11 2014-06-05 (주)에코베이스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414198B1 (ko) * 2014-03-11 2014-07-01 (주)에코베이스 하수 관거의 초음파 유량센서 지지 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6969B (zh) * 2016-03-18 2018-04-24 广州地理研究所 河流水生态系统环境因子采集方法
CN105526969A (zh) * 2016-03-18 2016-04-27 张豫 河流水生态系统环境因子采集方法
KR102290683B1 (ko) 2019-10-22 2021-08-19 주식회사 이엔솔 (Ensol) 채수 장치
KR20210047757A (ko) * 2019-10-22 2021-04-30 주식회사 이엔솔 (Ensol) 채수 장치
KR102167338B1 (ko) 2020-02-07 2020-10-19 (주)지산종합기술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KR102167340B1 (ko) 2020-02-07 2020-10-19 (주)지산종합기술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CN111665098A (zh) * 2020-06-23 2020-09-15 李丹凤 一种水质监测分层取样装置
KR102274262B1 (ko) 2021-02-03 2021-07-07 더본테크 주식회사 임의 탄성력에 기반한 이물의 선택적 필터링을 제공하는 맨홀 내 시료 채수 시스템
KR20220116908A (ko) 2021-02-16 2022-08-23 더본테크 주식회사 유체의 임의 유출 방지를 위한 플로우 콘트롤 시스템
KR20230061698A (ko) 2021-10-29 2023-05-09 이종혁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선택적 위치의 시료 분배 기능이 구비된 샘플링 컨트롤 시스템
KR102524636B1 (ko) 2022-09-20 2023-04-21 더본테크 주식회사 선택적 개방을 통한 개별적 유체 분배 컨트롤 시스템
CN116973176A (zh) * 2023-09-22 2023-10-31 靖江市马洲乳业有限公司 一种牛奶检测用自动取样装置
CN116973176B (zh) * 2023-09-22 2023-12-12 靖江市马洲乳业有限公司 一种牛奶检测用自动取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751B1 (ko)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KR101571755B1 (ko)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KR101403671B1 (ko) 하수 관거용 폐수 채수 시스템의 유지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74586B1 (ko) 농업 저수지용 무인 수질측정 및 시료채취장치
KR100964219B1 (ko) 수질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수질오염 자동측정장치의 자동 세정장치
KR100999169B1 (ko) 자동수질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
KR101403669B1 (ko) 하수관의 폐수 채수를 위한 장치 및 이것의 운용 방법
CN110252712B (zh) 用于水质检测传感器清洗及标定的装置
CN112325947A (zh) 一种深海近海底多参数集成探测装置及探测方法
CN210876436U (zh) 用于水质检测传感器清洗及标定的装置
KR100649109B1 (ko) 자동 채수기
KR101992612B1 (ko) 수질연속측정기용 자동시료채취장치
CN111579744B (zh) 一种水质监测装置
RU2507156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от объектов промышленного и бытового назначения,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водоотводов и робот-пробоотборник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CN109238781A (zh) 一种多点定位采水系统
JP6105681B2 (ja) 無人自動アルカリ度測定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564342B1 (ko) 수질 측정용 선박
CN115372071A (zh) 一种小流域生态监测取样装置
CN109975094A (zh) 一种土壤与地下水中有机污染物高效快速的采样装置
CN114942311A (zh) 一种水产养殖池塘溶解氧检测装置
CN116500225B (zh) 一种污水处理厂的污水检验设备
CN213688458U (zh) 深海近海底多参数集成探测装置
CN220289582U (zh) 一种污水处理检测装置
CN104865099A (zh) 适用于发酵样品处理的多功能取样池
JP2006234563A (ja) 液体濃度計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