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340B1 -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340B1
KR102167340B1 KR1020200014682A KR20200014682A KR102167340B1 KR 102167340 B1 KR102167340 B1 KR 102167340B1 KR 1020200014682 A KR1020200014682 A KR 1020200014682A KR 20200014682 A KR20200014682 A KR 20200014682A KR 102167340 B1 KR102167340 B1 KR 10216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brace
collection
disposed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지산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산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지산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200014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6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intake at several lev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2Toothed members; Worms for transmissions with crossing shafts, especially worms, worm-gea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2001/1031Sampling from special places
    • G01N2001/1043Sampling from special places from sewers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유닛과 조절 유닛의 협력 작용에 의하여 맨홀의 내주면에 대한 직경 조절이 가능하며 지지 유닛에 구비된 거치 유닛에 다수의 시료 샘플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수거 유닛이 이러한 시료 샘플들을 자동적으로 수거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수거까지 자동으로 하여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WATER SAMPLING APPARATUS WITH RETURNING AND DIAMETER ADJUSTING FUNCTION}
본 발명은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수거까지 자동으로 하여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질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는 통상적으로, 오염된 해수나 담수를 일정량 채취하여 각종 실험을 통해 그 오염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오염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오염된 시료를 채취하는 채수(採水)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시료 채취는 오염도 측정을 위한 시초 단계로, 실험자나 작업자는 시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원하는 시간에 직접 해당 지역에 가서 시료를 채취하여 그 오염도를 측정한다.
한편, 하수종말 처리시설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실제 유입수량 및 수질은 처리공정 전체의 효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이며, 더 나아가 하수관거로 차집되지 못한 하수는 방류 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해당지역 관거 시설의 부실성은 전체 수질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해당지역의 하수관거는 지하에 매설되어 시공되기 때문에 일단 시공한 후에는 관거 상태에 대한 검사나 기능 확인에 어려움이 따른다.
뿐만 아니라, 하수관거의 부실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하수관거 정비 계획과 유지 및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나 종래의 조사 및 평가방법으로는 시간적, 경제적 난점과 정확성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571751호의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이하 선행기술1) 및 등록특허 제10-1571755호의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이하 선행기술2)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1 및 선행기술2는 제2 지지부가 플렉시블 호스를 따라 내려가 맨홀의 내측벽을 지지하면서 시료를 샘플링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1 및 선행기술2는 작업시에는 제2 지지부 자체의 지지 기능으로 맨홀 내측벽을 고정 지지할 수 있으나, 제2 지지부를 최초 설치하거나 수거할 때 중량물인 제2 지지부의 하중을 온전히 플렉시블 호스가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호스와 제2 지지부의 연결 부분에 변형 및 파손이 일어날 우려가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513463호의 "간선 하수관거에 적용가능한 맨홀삽입형 자동채수기"(이하 선행기술3)와 같은 것도 들 수 있다.
선행기술3은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 자체에 승강 동작을 수행하는 채수함이 구비되어 이러한 채수함이 직접 시료를 채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3은 채수함의 작업 동선이 상, 하부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길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다소 복잡하며,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아쉬움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튼튼하면서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작업 동선을 최소화하고 일련의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571751호 등록특허 제10-1571755호 등록특허 제10-15134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수거까지 자동으로 하여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맨홀의 내주면 일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버팀대와, 상기 맨홀의 내주면 타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팀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맨홀의 일측에 구비된 채수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맨홀 내부의 시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포집한 서로 다른 복수의 채수 용기를 포함하는 거치 유닛; 상기 맨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채수 용기들을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로부터 분리하는 수거 후크를 포함하는 수거 유닛; 및 상기 제1 버팀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버팀대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조절구와, 상기 제1 버팀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버팀대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조절구를 포함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거 유닛은, 상기 맨홀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지지 유닛의 상부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에 정, 역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에 거치된 상기 복수의 채수 용기들 중 하나와 이웃한 채수 용기 사이의 거리만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 후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며 승강 가능하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맨홀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분할편과, 상기 맨홀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편과 함께 원 형상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제2 분할편과, 제1 분할편 및 제2 분할편 각각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제1 분할편 및 제2 분할편 각각의 타단부를 탈착 결합시키는 잠금구와, 제1 분할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1 지지각과, 제2 분할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2 지지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거 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구비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축의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링 형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 용기 각각을 거치하는 거치 브라켓들 각각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를 유도하는 신호를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달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수거 후크를 수용하는 후크 수납 포켓과, 상기 수거 후크와 연결된 승강용의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윈치모터를 포함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맨홀의 내주면 일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버팀대와, 맨홀의 내주면 타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팀대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 제1 버팀대와 제2 버팀대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며, 맨홀의 일측에 구비된 채수기 본체와 연결되어 맨홀 내부의 시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포집한 서로 다른 복수의 채수 용기를 포함하는 거치 유닛; 맨홀의 일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채수 용기들을 일정 시간마다 제1 버팀대와 제2 버팀대로부터 분리하는 수거 후크를 포함하는 수거 유닛; 및 제1 버팀대의 일단부와 제2 버팀대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조절구와, 제1 버팀대의 타단부와 제2 버팀대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조절구를 포함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에 대하여도 모두 대응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공간과 환경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수거까지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거 유닛은, 맨홀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 유닛의 상부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과 회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프레임에 정, 역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되, 제1 버팀대와 제2 버팀대에 거치된 복수의 채수 용기들 중 하나와 이웃한 채수 용기 사이의 거리만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수거 후크는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며 승강 가능하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공간과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고, 신속한 설치 및 수거가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 조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프레임은, 맨홀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분할편과, 맨홀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분할편과 함께 원 형상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제2 분할편과, 제1 분할편 및 제2 분할편 각각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제1 분할편 및 제2 분할편 각각의 타단부를 탈착 결합시키는 잠금구와, 제1 분할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1 지지각과, 제2 분할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2 지지각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신속한 작업 준비의 완료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거 유닛은, 액추에이터에 구비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축의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과,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피니언과 맞물리는 링 형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전달부와, 제1 버팀대와 제2 버팀대에 형성되어 회전 프레임과 연결되고, 복수의 채수 용기 각각을 거치하는 거치 브라켓들 각각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구동축의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를 유도하는 신호를 액추에이터에 전달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와,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며 수거 후크를 수용하는 후크 수납 포켓과, 수거 후크와 연결된 승강용의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도록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풀과, 스풀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윈치모터를 포함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따라 정해진 시간마다 원하는 갯수만큼 정확한 시료의 채취 및 수거가 가능하므로, 일련의 작업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가 맨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지지 유닛과 조절 유닛 및 거치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거치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가 맨홀(40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지지 유닛(100)과 조절 유닛(200) 및 거치 유닛(300)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 개념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주요부인 거치 유닛(300)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참고로, 도 4에서 표시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유닛(100)과 조절 유닛(200)의 협력 작용에 의하여 맨홀(400)의 내주면에 대한 직경 조절이 가능하며 지지 유닛(100)에 구비된 거치 유닛(300)에 다수의 시료 샘플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수거 유닛(500)이 이러한 시료 샘플들을 자동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지지 유닛(100)은 맨홀(400)의 내주면 일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버팀대(110)와, 맨홀(400)의 내주면 타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팀대(12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조절 유닛(200)은 제1 버팀대(110)의 일단부와 제2 버팀대(120)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조절구(210)와, 제1 버팀대(110)의 타단부와 제2 버팀대(120)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조절구(220)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거치 유닛(300)은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며, 맨홀(400)의 일측에 구비된 채수기 본체(이하 미도시)와 연결되어 맨홀(400) 내부의 시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포집한 서로 다른 복수의 채수 용기(301)를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수거 유닛(500)은 맨홀(400)의 일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채수 용기(301)들을 일정 시간마다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로부터 분리하는 수거 후크(501)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지지 유닛(100)은, 도 1과 함께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버팀대(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조절구(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일단부 회동자(111)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1 일단부 분할편(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유닛(100)은, 제1 버팀대(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조절구(2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타단부 회동자(113)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1 타단부 분할편(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유닛(100)은, 제1 일단부 분할편(112)과 제1 타단부 분할편(114)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버팀대(110) 전체의 원호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 길이조절 수단(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유닛(100)은, 제2 버팀대(12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1 조절구(2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일단부 회동자(121)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2 일단부 분할편(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유닛(100)은, 제2 버팀대(12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2 조절구(2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타단부 회동자(123)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2 타단부 분할편(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유닛(100)은, 제2 일단부 분할편(122)과 제2 타단부 분할편(124)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버팀대(110) 전체의 원호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2 길이조절 수단(14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일단부 회동자(111)는, 제1 조절구(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일단부 휠(111a)과, 제1 일단부 휠(111a)을 관통하는 제1 일단부 회전축(111c)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제1 일단부 분할편(112)에 마주보게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일단부 휠(111a)에 의해 제1 조절구(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일단부 브라켓(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단부 회동자(113)는, 제2 조절구(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타단부 휠(113a)과, 제1 타단부 휠(113a)을 관통하는 제1 타단부 회전축(113c)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제1 타단부 분할편(114)에 마주보게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타단부 휠(113a)에 의해 제2 조절구(2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1 타단부 브라켓(113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일단부 회동자(121)는, 제1 조절구(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일단부 휠(121a)과, 제2 일단부 휠(121a)을 관통하는 제2 일단부 회전축(121c)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제2 일단부 분할편(122)에 마주보게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일단부 휠(121a)에 의해 제1 조절구(2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일단부 브라켓(121b)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타단부 회동자(123)는, 제2 조절구(2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타단부 휠(123a)과, 제2 타단부 휠(123a)을 관통하는 제2 타단부 회전축(123c)의 양단부와 각각 결합됨과 동시에 제2 타단부 분할편(124)에 마주보게 결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2 타단부 휠(123a)에 의해 제2 조절구(2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한 쌍의 제2 타단부 브라켓(123b)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길이조절 수단(130)은, 제1 일단부 분할편(112)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131)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길이조절 수단(130)은, 제1 타단부 분할편(114)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132)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길이조절 수단(130)은, 한 쌍의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131)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1 일단부 조절 통공(13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길이조절 수단(130)은, 한 쌍의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132)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1 타단부 조절 통공(1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길이조절 수단(130)은, 복수의 제1 일단부 조절 통공(133) 중 하나와, 복수의 제1 타단부 조절 통공(134) 중 하나가 겹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131) 및 한 쌍의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132)을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는 제1 체결구(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131)과 한 쌍의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132)을 겹쳐서 적절한 길이로 맞춘 다음, 겹쳐지게 배치한 제1 일단부 조절 통공(133) 및 제1 타단부 조절 통공(134)에 전술한 제1 체결구를 관통 결합시키면 전체적으로 제1 버팀대(110)가 소망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길이조절 수단(140)은, 제2 일단부 분할편(122)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141)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길이조절 수단(140)은, 제2 타단부 분할편(124)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142)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길이조절 수단(140)은, 한 쌍의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141)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 일단부 조절 통공(14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길이조절 수단(140)은, 한 쌍의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142)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 타단부 조절 통공(14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 길이조절 수단(140)은, 복수의 제2 일단부 조절 통공(143) 중 하나와, 복수의 제2 타단부 조절 통공(144) 중 하나가 겹쳐진 상태에서, 한 쌍의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141) 및 한 쌍의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142)을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는 제2 체결구(이하 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141)과 한 쌍의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142)을 겹쳐서 적절한 길이로 맞춘 다음, 겹쳐지게 배치한 제2 일단부 조절 통공(143) 및 제2 타단부 조절 통공(144)에 전술한 제2 체결구를 관통 결합시키면 전체적으로 제2 버팀대(120)가 소망하는 길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조절 유닛(200)은, 제1 조절구(21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제1 버팀대(110)에 구비된 제1 일단부 회동자(11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유닛(200)은, 제1 조절구(21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제2 버팀대(120)에 구비된 제2 일단부 회동자(121)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절 유닛(200)은, 제2 조절구(220)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제1 버팀대(110)에 구비된 제1 타단부 회동자(113)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2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조절 유닛(200)은, 제2 조절구(22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제2 버팀대(120)에 구비된 제2 타단부 회동자(123)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24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조절구(210)는, 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231)와 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232)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양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조절 본체(212)와, 제1 조절 본체(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231)와 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232) 각각의 수나사산을 수용 가능한 제1 조절 슬롯(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절구(220)는, 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241)와 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242)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양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조절 본체(222)와, 제2 조절 본체(2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241)와 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242) 각각의 수나사산을 수용 가능한 제2 조절 슬롯(221)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거치 유닛(300)은, 도 3과 같이 제1 버팀대(110) 및 제2 버팀대(120) 각각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거치 브라켓(310)과, 거치 브라켓(310) 각각에 관통된 거치홀(310h)과, 채수 용기(301)의 뚜껑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거치홀(310h)에 채수 용기(301)를 탈착 결합시키는 걸림 후크(32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거치 브라켓(310)은, 제1 버팀대(110) 및 제2 버팀대(12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중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거치편(311)과, 제1 버팀대(110) 및 제2 버팀대(120)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중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복수의 제1 거치편(311)들과 평행한 제2 거치편(3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b)와 같이 복수의 제1 거치편(311)들 중 하나와 이웃한 제1 거치편(311) 사이에 복수의 제2 거치편(312)들 중 하나가 배치되거나, 복수의 제2 거치편(312)들 중 하나와 이웃한 제2 거치편(312) 사이에 복수의 제1 거치편(311)들 중 하나가 배치되는 패턴이 반복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패턴으로 배치된 제1 거치편(311) 및 제2 거치편(312)들의 배치 패턴에 의하여 더욱 더 짧은 주기 마다 많은 맨홀(400) 내부의 시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는 제1 길이조절 수단(130) 또는 제2 길이조절 수단(140) 중 하나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절첩시켜 도 4와 같이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및 운반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수거 유닛(500)은,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맨홀(400)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510)과, 지지 프레임(510)에 대하여 지지 유닛(100)의 상부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프레임(520)과, 액추에이터(5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530)는 지지 프레임(510)과 회전 프레임(52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프레임(520)에 정, 역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되,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에 거치된 복수의 채수 용기(301)들 중 하나와 이웃한 채수 용기(301) 사이의 거리만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거 후크(501)는 회전 프레임(52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며 승강 가능하게 동작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프레임(510)은, 맨홀(400)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분할편(51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510)은, 맨홀(400)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분할편(511a)과 함께 원 형상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제2 분할편(51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510)은, 제1 분할편(511a) 및 제2 분할편(511b) 각각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5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510)은, 제1 분할편(511a) 및 제2 분할편(511b) 각각의 타단부를 탈착 결합시키는 잠금구(5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프레임(510)은, 제1 분할편(511a)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1 지지각(514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 프레임(510)은, 제2 분할편(511b)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2 지지각(514b)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수거 유닛(500)은, 채수 용기(301)의 자동적인 수거를 위하여 구동 전달부(540)와 리미트 스위치(550)와 승강 수단(56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구동 전달부(540)는 액추에이터(530)에 구비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축(531)의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541)과, 회전 프레임(5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피니언(541)과 맞물리는 링 형상의 랙 기어(542)를 포함하는 것이다.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550)는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에 형성되어 회전 프레임(520)과 연결되고, 복수의 채수 용기(301) 각각을 거치하는 거치 브라켓(310)들 각각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구동축(531)의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를 유도하는 신호를 액추에이터(530)에 전달하는 것이다.
승강 수단(560)은 회전 프레임(520)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고정되며 수거 후크(501)를 수용하는 후크 수납 포켓(561)과, 수거 후크(501)와 연결된 승강용의 와이어(563)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풀(562)과, 스풀(562)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윈치모터(564)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수거 유닛(500)은, 회전 프레임(520)의 내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후크 수납 포켓(561)이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위치 센서(5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거 유닛(500)은, 액추에이터(530)와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550)와 윈치모터(564) 및 위치 센서(5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이하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는 액추에이터(530)의 작동 주기를 제어하며, 복수의 거치 브라켓(310)들 중 일부 또는 전부와 맞물린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550)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위치 센서(570)의 감지에 따라 윈치모터(564)에 가동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즉, 수거 유닛(500)은 복수의 채수 용기(301)중 하나인 최초로 포집한 채수 용기(301)를 채수기 본체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위치 센서(570)와 컨트롤러가 협력하여 윈치모터의 가동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맨홀(400)의 내주면 일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버팀대(110)와, 맨홀(400)의 내주면 타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팀대(120)를 포함하는 지지 유닛(100);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며, 맨홀(400)의 일측에 구비된 채수기 본체와 연결되어 맨홀(400) 내부의 시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포집한 서로 다른 복수의 채수 용기(301)를 포함하는 거치 유닛(300); 맨홀(400)의 일측에 장착되어 복수의 채수 용기(301)들을 일정 시간마다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로부터 분리하는 수거 후크(501)를 포함하는 수거 유닛(500); 및 제1 버팀대(110)의 일단부와 제2 버팀대(120)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조절구(210)와, 제1 버팀대(110)의 타단부와 제2 버팀대(120)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조절구(220)를 포함하는 조절 유닛(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400)에 대하여도 모두 대응하여 작업할 수 있으므로, 공간과 환경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수거까지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거 유닛(500)은, 맨홀(400)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510)과, 지지 프레임(510)에 대하여 지지 유닛(100)의 상부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프레임(520)과, 지지 프레임(510)과 회전 프레임(520)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 프레임(520)에 정, 역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되,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에 거치된 복수의 채수 용기(301)들 중 하나와 이웃한 채수 용기(301) 사이의 거리만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액추에이터(530)를 더 포함하며, 수거 후크(501)는 회전 프레임(52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며 승강 가능하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공간과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고, 신속한 설치 및 수거가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 조성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특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 프레임(510)은, 맨홀(400)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분할편(511a)과, 맨홀(400)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제1 분할편(511a)과 함께 원 형상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제2 분할편(511b)과, 제1 분할편(511a) 및 제2 분할편(511b) 각각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512)와, 제1 분할편(511a) 및 제2 분할편(511b) 각각의 타단부를 탈착 결합시키는 잠금구(513)와, 제1 분할편(511a)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1 지지각(514a)과, 제2 분할편(511b)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2 지지각(514b)을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 구조를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숙련도에 관계없이 작업자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신속한 작업 준비의 완료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거 유닛(500)은, 액추에이터(530)에 구비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축(531)의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541)과, 회전 프레임(5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피니언(541)과 맞물리는 링 형상의 랙 기어(542)를 포함하는 구동 전달부(540)와, 제1 버팀대(110)와 제2 버팀대(120)에 형성되어 회전 프레임(520)과 연결되고, 복수의 채수 용기(301) 각각을 거치하는 거치 브라켓(310)들 각각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구동축(531)의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를 유도하는 신호를 액추에이터(530)에 전달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550)와, 회전 프레임(520)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고정되며 수거 후크(501)를 수용하는 후크 수납 포켓(561)과, 수거 후크(501)와 연결된 승강용의 와이어(563)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풀(562)과, 스풀(562)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 프레임(5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윈치모터(564)를 포함하는 승강 수단(560)을 포함함으로써, 작업 환경에 따라 정해진 시간마다 원하는 갯수만큼 정확한 시료의 채취 및 수거가 가능하므로, 일련의 작업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직경을 가진 맨홀에 대응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수거까지 자동으로 하여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유닛(100)과 조절 유닛(200) 및 거치 유닛(300)의 구조를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1 및 선행기술2의 제2 지지부를 대체하는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수거 유닛(500)의 구조를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3의 시료채수용 자동승강 채수장치 및 채수함을 대체하는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는 등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지지 유닛
110...제1 버팀대
111...제1 일단부 회동자
111a...제1 일단부 휠
111b...제1 일단부 브라켓
111c...제1 일단부 회전축
112...제1 일단부 분할편
113...제1 타단부 회동자
113a...제1 타단부 휠
113b...제1 타단부 브라켓
113c...제1 타단부 회전축
114...제1 타단부 분할편
120...제2 버팀대
121...제2 일단부 회동자
121a...제2 일단부 휠
121b...제2 일단부 브라켓
121c...제2 일단부 회전축
122...제2 일단부 분할편
123...제2 타단부 회동자
123a...제2 타단부 휠
123b...제2 타단부 브라켓
123c...제2 타단부 회전축
124...제2 타단부 분할편
130...제1 길이조절 수단
131...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
132...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
133...제1 일단부 조절 통공
134...제1 타단부 조절 통공
140...제2 길이조절 수단
141...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
142...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
143...제2 일단부 조절 통공
144...제2 타단부 조절 통공
200...조절 유닛
210...제1 조절구
211...제1 조절 슬롯
212...제1 조절 본체
220...제2 조절구
221...제2 조절 슬롯
222...제2 조절 본체
231...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
232...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
241...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
242...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
300...거치 유닛
301...채수 용기
310...거치 브라켓
310h...거치홀
311...제1 거치편
312...제2 거치편
320...걸림 후크
400...맨홀
500...수거 유닛
501...수거 후크
510...지지 프레임
511a...제1 분할편
511b...제2 분할편
512...힌지
513...잠금구
514a...제1 지지각
514b...제2 지지각
520...회전 프레임
530...액추에이터
531...구동축
540...구동 전달부
541...피니언
542...랙 기어
550...리미트 스위치
551...하부 연결편
552...힌지 스프링
553...상부 연결편
560...승강 수단
561...후크 수납 포켓
562...스풀
563...와이어
564...윈치모터
570...위치 센서

Claims (4)

  1. 맨홀의 내주면 일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버팀대와, 상기 맨홀의 내주면 타측과 마주보는 외주면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버팀대와, 상기 제1 버팀대를 구성하는 것이며 제1 조절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일단부 회동자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1 일단부 분할편과, 상기 제1 버팀대를 구성하는 것이며 제2 조절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타단부 회동자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1 타단부 분할편과, 상기 제1 일단부 분할편과 상기 제1 타단부 분할편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버팀대 전체의 원호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1 길이조절 수단과, 상기 제2 버팀대를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1 조절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일단부 회동자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2 일단부 분할편과, 상기 제2 버팀대를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2 조절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타단부 회동자를 구비한 원호 형상의 제2 타단부 분할편과, 상기 제2 일단부 분할편과 상기 제2 타단부 분할편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버팀대 전체의 원호 길이를 조절 가능한 제2 길이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 유닛;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에 탈착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맨홀의 일측에 구비된 채수기 본체와 연결되어 상기 맨홀 내부의 시료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포집한 서로 다른 복수의 채수 용기를 포함하는 거치 유닛;
    상기 맨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채수 용기들을 일정 시간마다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로부터 분리하는 수거 후크를 포함하는 수거 유닛; 및
    상기 제1 버팀대의 일단부와 상기 제2 버팀대의 일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1 조절구와, 상기 제1 버팀대의 타단부와 상기 제2 버팀대의 타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한 제2 조절구와, 상기 제1 조절구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1 일단부 회동자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1 조절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2 일단부 회동자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2 조절구의 일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1 타단부 회동자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2 조절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길이 조절 가능하며 상기 제2 타단부 회동자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를 포함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길이조절 수단은,
    상기 제1 일단부 분할편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과,
    상기 제1 타단부 분할편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1 일단부 조절 통공과,
    한 쌍의 상기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1 타단부 조절 통공과,
    복수의 상기 제1 일단부 조절 통공 중 하나와, 복수의 상기 제1 타단부 조절 통공 중 하나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일단부 조절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제1 타단부 조절 브라켓을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는 제1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길이조절 수단은,
    상기 제2 일단부 분할편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과,
    상기 제2 타단부 분할편의 단부 양측에 형성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과,
    한 쌍의 상기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 일단부 조절 통공과,
    한 쌍의 상기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 각각에 복수로 관통되어 마주보게 일직선상으로 배치되는 제2 타단부 조절 통공과,
    복수의 상기 제2 일단부 조절 통공 중 하나와, 복수의 상기 제2 타단부 조절 통공 중 하나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제2 일단부 조절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제2 타단부 조절 브라켓을 관통하여 탈착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구는,
    상기 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양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조절 본체와,
    상기 제1 조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일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2 일단부 조절 스터드 각각의 수나사산을 수용 가능한 제1 조절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조절구는,
    상기 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산이 양단부 내주면에 형성된 제2 조절 본체와,
    상기 제2 조절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 타단부 조절 스터드와 상기 제2 타단부 조절 스터드 각각의 수나사산을 수용 가능한 제2 조절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 유닛은,
    상기 맨홀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지지 유닛의 상부측에 정, 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회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에 정, 역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되,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에 거치된 상기 복수의 채수 용기들 중 하나와 이웃한 채수 용기 사이의 거리만큼 일정 각도로 회전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 후크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며 승강 가능하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맨홀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는 원호 형상의 제1 분할편과,
    상기 맨홀 입구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분할편과 함께 원 형상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의 제2 분할편과,
    제1 분할편 및 제2 분할편 각각의 일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와,
    제1 분할편 및 제2 분할편 각각의 타단부를 탈착 결합시키는 잠금구와,
    제1 분할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1 지지각과,
    제2 분할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제2 지지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거 유닛은,
    상기 액추에이터에 구비되어 정, 역회전 가능한 구동축의 단부에 구비된 피니언과,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링 형상의 랙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전달부와,
    상기 제1 버팀대와 상기 제2 버팀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채수 용기 각각을 거치하는 거치 브라켓들 각각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일정 각도 회전후 정지를 유도하는 신호를 상기 액추에이터에 전달하는 복수의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회전 프레임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수거 후크를 수용하는 후크 수납 포켓과, 상기 수거 후크와 연결된 승강용의 와이어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스풀과, 상기 스풀의 권취 또는 권취 해제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는 윈치모터를 포함하는 승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KR1020200014682A 2020-02-07 2020-02-07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KR10216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82A KR102167340B1 (ko) 2020-02-07 2020-02-07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682A KR102167340B1 (ko) 2020-02-07 2020-02-07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340B1 true KR102167340B1 (ko) 2020-10-19

Family

ID=73042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682A KR102167340B1 (ko) 2020-02-07 2020-02-07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3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852A (en) * 1999-07-23 2000-09-12 Dora To Adjustable replacement ring for a toilet flange and method
JP2013023835A (ja) * 2011-07-15 2013-02-04 Machida Kogyosho:Kk マンホール蓋受枠の設置装置
KR101321393B1 (ko) * 2012-05-04 2013-10-29 (주)지텍이엔지 순차 채수장치
KR101513463B1 (ko) 2014-12-12 2015-04-21 (주)지산종합기술 간선 하수관거에 적용가능한 맨홀삽입형 자동채수기
KR101571751B1 (ko) 2015-05-29 2015-11-25 (주)지산종합기술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KR101571755B1 (ko) 2015-05-29 2015-11-25 (주)지산종합기술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5852A (en) * 1999-07-23 2000-09-12 Dora To Adjustable replacement ring for a toilet flange and method
JP2013023835A (ja) * 2011-07-15 2013-02-04 Machida Kogyosho:Kk マンホール蓋受枠の設置装置
KR101321393B1 (ko) * 2012-05-04 2013-10-29 (주)지텍이엔지 순차 채수장치
KR101513463B1 (ko) 2014-12-12 2015-04-21 (주)지산종합기술 간선 하수관거에 적용가능한 맨홀삽입형 자동채수기
KR101571751B1 (ko) 2015-05-29 2015-11-25 (주)지산종합기술 타이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자동 채수장치
KR101571755B1 (ko) 2015-05-29 2015-11-25 (주)지산종합기술 청소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채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43768A1 (zh) 液体多层采样装置
CN109540604B (zh) 一种水质检测用水样多层取样装置
CN111982563A (zh) 一种移动式环境采样检测装置
CN207300630U (zh) 一种移动式地表水水质采样装置
CN111795864B (zh) 一种抽取方式采集水样设备
KR102167340B1 (ko) 수거 기능 및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CN210375846U (zh) 一种方便连续取样的环境检测用污水采样装置
CN111811886A (zh) 一种水体环境取样装置
CN111610061A (zh) 一种定量污水采集装置
KR101492558B1 (ko) 채수장치
CN108181135B (zh) 一种用于水质监测的取样装置及取样方法
CN215375353U (zh) 一种环境管理用的水质监测装置
CN113484091A (zh) 一种海洋监测用水质检测采样装置
CN108413948B (zh) 一种建筑用测量拉线装置
CN209651969U (zh) 一种便于清理的曝气池
KR102167338B1 (ko) 직경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채수장치
CN214895216U (zh) 一种水污染控制用水质量检测装置
CN212646172U (zh) 一种污水处理用的采样装置
CN211627077U (zh) 一种净水工程用的检测用取水装置
CN211043352U (zh) 一种工厂排污口实时监测装置
CN113804846A (zh) 一种化工园区水质监测采样装置
CN220626341U (zh) 一种污水处理监控装置
CN218239436U (zh) 一种水质检测用样品提取装置
CN216349726U (zh) 一种环境监测用多角度水样采集设备
CN211402359U (zh) 一种河流水域污水检测用抽检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