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415B1 - 오일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3415B1
KR101403415B1 KR1020120083263A KR20120083263A KR101403415B1 KR 101403415 B1 KR101403415 B1 KR 101403415B1 KR 1020120083263 A KR1020120083263 A KR 1020120083263A KR 20120083263 A KR20120083263 A KR 20120083263A KR 101403415 B1 KR101403415 B1 KR 101403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xing member
coating layer
rotary member
flow pa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091A (ko
Inventor
강창기
고재송
박병태
한민규
김종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20083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8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only on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3/00Propeller-blade pitch changing
    • B63H3/06Propeller-blade pitch changing characterised by use of non-mechanical actuating means, e.g. electrical
    • B63H3/08Propeller-blade pitch changing characterised by use of non-mechanical actuating means, e.g. electrical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시일이 없는 구조로, 프로펠러 날개의 피치를 조정하도록 오일을 공급 및 배출시키며 오일을 분배하는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 코팅층이 형성되며, 고정 부재는, 고정 부재의 내주면이 코팅층의 표면과 일정 크기의 갭을 가지도록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고정 부재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코팅층의 표면에는, 코팅층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재의 사각형 홈 내부로 오일이 들어가 압력을 고루 유지 및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갭 공간에 들어간 고정부재에 가공된 이물질 배출구로 배출시킴으로써,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와의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일 분배 장치{Oil Distribu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오일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rotor)와 스테이터(stator) 사이에 별도의 시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non-seal 타입의 오일 분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특히, 프로펠러 날개의 피치를 조정하기 위해 오일을 공급 및 배출시키며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여 로터와 스테이터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일 분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변 피치 프로펠러(Controllable Pitch Propeller, CPP)는 흡수 마력의 효율이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도록, 운행 중에 변하는 운행속도에 따라 피치의 변화를 조절하는 장치로, 이를 위하여 스크루 프로펠러 블레이드(날개)와 보스의 각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가변 피치 프로펠러를 구비할 경우, 기관이 일정한 방향과 속도로 회전하더라도, 선교(船橋)에서의 조작만으로 전진, 후진, 저속, 정지 등 여러 상태의 운항이 자유롭게 이루어 질 수 있다. CPP의 장점으로는 원격조종이 가능하고, 역전장치(逆轉裝置)가 필요 없으며, 정선(停船)시 기관을 정지할 필요가 없고, 기관의 연료소비가 절감되며, 단시간에 최고속 도달이 가능하고, 기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CPP의 구조는 복잡하지만, 쇄빙선(碎氷船), 연락선 등과 같이 출발, 정지 또는 조정에 있어서 훌륭한 성능이 요구되는 배, 그물 등을 끄는 배 또는 트롤어선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 속도를 바꾸어야 하는 배에서는 이점이 많은 장치이다. 즉, 이러한 CPP는 주기관의 출력과 회전수의 관계를 자유로이 조정하여, 목적에 따라 배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펠러 피치의 가변은, 통상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데, 이러한 유압을 공급 및 회수하는 일은 프로펠러 축계에 구비되는 사이드 스러스트 기어 박스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오일 분배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통상 오일 분배 장치는 크게 로터(Rotor), 스테이터(Stator), 오일 공급부로 이루어지며,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시일(seal)의 유무에 따라 시일 타입(seal type)과 논 시일 타입(non seal type)으로 구분된다.
로터는 회전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 내부에 프로펠러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통로가 구비되어 있다. 스테이터는 로터를 감싸도록 수용하며, 선체에 고정되며,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의 고정부재이다. 오일 공급부는 프로펠러에 공급되는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 스테이터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는 아주 작은 갭을 두고 위치해 있으며, 로터는 스테이터 내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일 타입의 오일 분배 장치는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실이 구비되어 있어, 갭 사이로 오일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시일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에 의해 마모되기 쉽고, 마모된 시일의 부스러기들이 갭 사이에 걸려 로터의 회전을 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결국 로터와 스테이터의 고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고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논 시일 타입의 오일 분배 장치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논 시일 타입의 오일 분배 장치는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시일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구성이다. 이처럼, 시일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은 시일의 마모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추가적으로 시일의 부스러기에 의한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의 경우, 별도의 시일을 구비않아서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갭을 통해 오일이 누유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미량의 오일 누유 현상은 갭 사이에 오일 막을 형성하여 윤활 기능을 제공하고, 윤활 기능은 로터의 원활한 회전과 스테이터와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누유된 오일 속에 이물질이 섞여들어 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오일과 함께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의 갭 속에 잔존하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로터와 스테이터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면, 로터의 회전이 방해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착 현상이 발생할 수 도 있다.
또한 종래의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의 경우, 파도와 같은 외부 충격에 의해 선체가 기울어지면 스테이터도 기울어지게 되고, 이러한 기울어짐으로 인해 갭 사이에 오일이 고루 분배되지 못하고 한 쪽으로 오일이 몰리는 오일 쏠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쏠림 현상에 의해 압력 불균형이 초래되고, 특히 오일이 없는 쪽에서 로터와 스테이터 간에 심한 마찰이 발생되어 고착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오일 쏠림으로 인해 오일 공급의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면, 로터와 스테이터간의 고착 정도가 심화되어 로터의 회전에 따라 스테이터도 함께 회전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테이터의 기울어짐 등으로 야기되는 로터와 스테이터 간의 고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누유되는 오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일 분배 장치는, 내부로 축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로와 상기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회전 부재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코팅층의 표면과 일정 크기의 갭을 가지도록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층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일 분배 장치는, 내부로 축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로와 상기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회전 부재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내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코팅층의 표면과 일정 크기의 갭을 가지도록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층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에 기술한 코팅층은 용사 코팅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팅의 재료로는 황동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배 장치는, 가변 프로펠러 축계에 구비되는 것이 발람직하며, 축은 프로펠러 피치 가변 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정부재에는 갭과 연결되어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이물질 배출구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부재 내측 양단에 배치되며, 회전 부재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는, 회전부재에 외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사각형 홈을 가공함으로써, 홈 내부로 오일이 들어가 압력을 고루 유지 및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회전부재와 고정부재와의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에 이물질 배출구를 가공함으로써, 갭 공간에 들어간 이물질을 배출시켜, 이물질로 인한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을 축 중심에서 종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변형된 제1 실시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논 시일 타입 오일 분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을 축 중심에서 종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일 분배 장치(100)는 회전부재(10), 고정부재(20) 및 베어링 부재(30)를 포함한다.
회전부재(10)는 로터(Rotor)라고도 불리며, 원통 형상이고, 프로펠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부재이다. 회전부재(10)의 일단에는 원반 형상의 플랜지부(1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0)는 플랜지부(11)의 가장자리 둘레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결합공(11a)을 통해 프로펠러 축부(미도시)에 결합되며, 프로펠러 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부재(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축(2)이 회전부재(10)의 내부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축(2)으로는 피치 컨트롤 로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오일 분배 장치(100)가 가변 피치 프로펠러 축계에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축에 피치 컨트롤 로드가 사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피치 컨트롤 로드(2)는 회전부재(1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회전부재(10) 회전시 상기 회전 부재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피치 컨트롤 로드(2)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오일 통로(2a)를 포함하고, 일측부에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된 오일공(2b)포함한다. 오일이 오일공(2b)을 통해 오일 통로(2a)로 공급되거나 배출된다. 피치 컨트롤 로드(2)는 이에 연결되는 프로펠러의 블레이드(미도시)를 작동시키는 유압 장치의 실린더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프로펠러 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회전부재(10) 내부의 일부분에는, 복수의 제1 유로(13)가 피치 컨트롤 로드(2) 축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제1 유로(13)는 축 길이 방향으로 소정 직경을 갖는 배관 형태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제1 유로(13)는 프로펠러의 블레이드(미도시)를 실린더부로 연결되며, 실린더부로 공급되는 오일 또는 배출되는 오일의 통로가 된다.
회전부재(10) 내부의 다른 일 부분에는, 피치 컨트롤 로드(2) 축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제2 유로(15)가 피치 컨트롤 로드(2)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직경을 갖는 배관 형태로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복수의 제2 유로(15)는 피치 컨트롤 로드(2)와 연결되며, 피치 콘트롤 로드(2)로 공급되는 오일 또는 배출되는 오일의 통로가 된다.
한편, 회전부재(1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 압력 불균형으로 인하여 회전부재(10)의 회전축에 진동이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부재(10)가 고정부재(20)에 접촉하게 되고,그 진동 및 접촉정도가 심하면 고착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배 장치는 회전부재(10)의 외표면과 고정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코팅층(5)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회전 부재(10)의 외주면에 형성된코팅층(5)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 분배 장치에 구비되는 코팅층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팅층(5)은 고정 부재(2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코팅층(5)은 용사 코팅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사(Thermal Spray, 溶射) 코팅이라 함은 분말 또는 선형재료를 고온열원으로부터 용융액적으로 변화시켜 고속으로 기재에 충돌시켜 급냉응고 적층한 피막을 형성하는 코팅 기술을 말한다.
코팅층(5)은 용사 코팅으로 회전부재(10)의 외표면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되며, 용사 코팅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황동이 적절하다. 황동은 가격이 저렴하고, 스틸이나 스텐 재료보다는 강도가 약한 특징이 있다. 통상 회전부재(10)와 고정부재(20)의 재질이 스텐 및 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점을 감안하면, 이와는 다른 재질인 황동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고착 방지에 큰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코팅층(5)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회전부재(10)와 고정부재(20) 간 마찰이 발생하더라도, 코팅층(5)이 마찰에 의해 마모되어 없어질 뿐,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었던 고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여기서 용사 코팅층(5)의 두께(D)는 대략 2mm 정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는 내부에 회전부재를 수용하며, 복수의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대응되며 오일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가 관통 형성된다.
고정부재(20)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스테이터(Stator)라고도 하며, 내부에 회전부재(10)를 수용한다. 고정부재(20)에는 외부에서 복수의 제1 유로(13)에 오일을 공급 또는 제1 유로(13)로부터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부재(10)에 축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제1 오일 공급부(21)가 형성된다. 제1 오일 공급부(21)는 회전부재(10)의 복수의 제1 유로(13)와 연통되도록 축방향에 수직하게 고정부재(20)를 홀 형상으로 관통시켜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20)에는 외부에서 복수의 제2 유로(15)에 오일을 공급 또는 제1 유로(15)로부터 오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회전부재(10)에 축 방향에 수직하게 관통되는 제2 오일 공급부(23)가 형성된다. 제2 오일 공급부(23)는 회전부재(10)의 복수의 제2 유로(15)와 연통되도록 축방향에 수직하게 고정부재(20)를 홀 형상으로 관통시켜 형성된다. 따라서 이를 종합해보면,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21,23)는 각각 1개이고, 복수의 제1 및 제2 유로(13,15)는 각각 14개씩 형성된다.
이하, 프로펠러의 블레이드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오일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3에서 오일 흐름의 화살표를 참조하면, 제1 오일 공급부(21)를 통해 고압의 오일이 주입되고, 회전되는 회전부재(10)의 복수의 제1 유로(13)와 제1 오일 공급부(21)의 홀 구멍이 일치되면서 복수의 제1 유로(13)로 오일이 흐르게 되고 프로펠러 쪽의 실린더부를 일측 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이 때 실린더의 구동으로 인해 피치 컨트롤 로드(2)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실린더의 타측 방향의 오일은 피치 컨트롤 로드(2)의 오일 통로(2a)를 따라 이동하고, 오일공(2b)을 통해 복수의 제2 유로(15)로 흐르게 되며, 복수의 제2 유로(15)와 제2 오일 공급부(23)의 홀 구멍이 일치되면서 제2 오일 공급부(23)로 배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프로펠로의 블레이드를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오일 공급부(23)를 통해 고압의 오일이 주입되도록 하면, 상술한 반대 과정을 거쳐 제1 오일 공급부(21)로 배출되게 된다.
베어링 부재(30)는 고정부재(20)의 내측 양단에 배치되며, 회전부재(10)와 결합하여 회전한다.
베어링 부재(30)는 회전부재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회전부재를 관통시켜 결합된다. 즉 베어링 부재의 외륜은 고정부재에 결합되고, 내륜은 회전부재의 외측 둘레에 결합된다. 여기서 베어링 부재는 볼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회전부재(10)와 고정부재(20) 사이에는 회전부재(10)가 고정부재(20) 내에서 회전시 회전부재(10)의 외주면이 고정부재(20)의 내주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작은 간격의 갭(G) 즉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상 갭(G)의 크기는 높이(H)가 0.1mm 정도이고, 수평 구간은 베어링 부재(30)의 내측 사이 길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상술한 오일의 흐름 과정 중에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21,23)를 통해 오일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과정 중에서 제1 오일 공급부(21)와 복수의 제1 유로(13) 및 제2 오일 공급부(23)와 복수의 제2 유로(15)와의 접촉부에서 갭(G) 공간으로의 오일의 누유가 발생된다.
오일의 누유로 인해 회전부재(10)가 회전시 고정부재(20)와 접촉시 발생되는 마찰을 줄이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여러 원인으로 인해 고정부재(20) 축이 기울어짐에 따라 갭(G) 사이에 채워진 오일이 기울어진 방향으로 쏠리는 오일 쏠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오일 쏠림 현상으로 인해 회전부재(10)와 고정부재(20) 간 마찰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오일이 없는 부분에서의 마찰은 심하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회전부재(10)와 고정부재(20)는 서로 붙어버리는 고착 현상이 발생되며, 심지어는 고정부재(20)가 회전부재(10)와 같이 회전되거나 파손되는 위험함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고착 현상을 해결하고자 회전부재(10)는 회전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회전부재(10)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복수의 홈(17)을 형성하는 것은 복수의 홈(17) 내부로 오일이 들어가 압력을 고르게 유지하여 압력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 고정부재(20)와 회전 부재(10)가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즉 복수의 홈(17) 내부로 오일이 채워지면 일종의 오일 저장소 역할을 하게 되고, 오일 쏠림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복수의 홈(17)에 저장된 오일로 인해 오일이 한 쪽 방향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홈(17)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으로 동일할 수도 있으나 사각형 이외에도 삼각형, 원형, 타원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는 변형된 제1 실시예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의 복수의 홈(17) 외에도 회전부재(10)의 외주면 또는 고정부재(20)의 내주면에 적어도 어느 하나에 둘레 방향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속되는 나선형 홈(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 홈(18)은 오일들이 상호 유동성 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오일이 한쪽에 채워질 경우 이동되어 다른 쪽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갭에 채워진 오일로 인한 오일 쏠림 현상 외에,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21,23)로부터 오일과 함께 이물질이 들어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갭(G)에 축적될 수 있는데, 이 또한 이물질로 인해 회전부재(10)와 고정부재(20) 간 고착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이란 오일이 순환하는 과정 중에 부품 내부에서 발생된 금속 찌거기(슬래그) 등이 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고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부재(20) 양단에 이물질 배출구(25)을 구비하여 이물질이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물질 배출구(25)은 고정부재(20)를 수직하게 갭(G)을 향해 관통시켜 갭(G)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물질 배출구(25)로 갭에 채워진 오일이 배출될 수 있으며, 오일 배출시 오일 속에 포함된 이물질도 함께 배출됨으로 이물질에 의한 고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물질 배출구(25)로 인해 오일 배출은 지속적인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21,23)를 통해 공급되므로 갭(G) 속에 오일이 모두 없어지는 상황은 만들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전술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회전부재 13: 제1 유로
15: 제2 유로 17: 홈
20: 고정부재 21: 제1 오일 공급부
23: 제2 오일 공급부 25: 이물질 배출구
30: 베어링 부재 100: 오일 분배 장치

Claims (7)

  1. 내부로 축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로와 상기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회전 부재;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오일 분배 장치로,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내주면이 상기 코팅층의 표면과 갭을 가지도록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층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상기 회전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갭과 연결되어 상기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배 장치.
  2. 내부로 축이 관통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1 유로와 상기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 유로를 구비하는 회전 부재;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연결되어 오일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오일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오일 분배 장치로,
    상기 고정 부재의 내주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코팅층의 표면과 크기의 갭을 가지도록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 부재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상기 코팅층의 표면에는, 상기 코팅층의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갭과 연결되어 상기 오일 내에 함유되는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용사 코팅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사 코팅의 재료로는 황동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프로펠러 피치 가변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배 장치.
  6. 삭제
  7.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 내측 양단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 부재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베어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 분배 장치.

KR1020120083263A 2012-07-30 2012-07-30 오일 분배 장치 KR10140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63A KR101403415B1 (ko) 2012-07-30 2012-07-30 오일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63A KR101403415B1 (ko) 2012-07-30 2012-07-30 오일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91A KR20140017091A (ko) 2014-02-11
KR101403415B1 true KR101403415B1 (ko) 2014-06-11

Family

ID=50265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63A KR101403415B1 (ko) 2012-07-30 2012-07-30 오일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25B1 (ko) 2018-06-08 2019-12-02 주식회사 케이티이 가변 피치 프로펠러용 오일 분배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3616B (zh) * 2016-08-26 2020-01-31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箱式配油器的旋转试验系统
CN108953263B (zh) * 2018-07-25 2024-03-19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多路液压分油器
CN110329476B (zh) * 2019-05-31 2020-12-25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配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940A (en) * 1982-04-15 1986-01-14 Escher Wyss Gmbh Oil infeed device for an adjustable pitch propeller
JP2000087961A (ja) * 1998-09-18 2000-03-28 Unisia Jecs Corp 軸受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20040018903A (ko) * 2002-08-27 2004-03-0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베어링 장치
KR20110059779A (ko) * 2008-09-22 2011-06-03 베리 프로펄션 테크놀로지 에이비 조정 가능 프로펠러 장치 및 그와 같은 조정 가능 프로펠러 장치로/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3940A (en) * 1982-04-15 1986-01-14 Escher Wyss Gmbh Oil infeed device for an adjustable pitch propeller
JP2000087961A (ja) * 1998-09-18 2000-03-28 Unisia Jecs Corp 軸受構造並びにこれを用いた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
KR20040018903A (ko) * 2002-08-27 2004-03-0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베어링 장치
KR20110059779A (ko) * 2008-09-22 2011-06-03 베리 프로펄션 테크놀로지 에이비 조정 가능 프로펠러 장치 및 그와 같은 조정 가능 프로펠러 장치로/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125B1 (ko) 2018-06-08 2019-12-02 주식회사 케이티이 가변 피치 프로펠러용 오일 분배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091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415B1 (ko) 오일 분배 장치
JP5507142B2 (ja) 動的インペラオイルシール
US20030147764A1 (en) Screw vacuum pump with a coolant circuit
EP1896754B1 (en) Seal assembly
JP2009257445A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スラスト軸受
JP2007024256A (ja) 転がり軸受の潤滑装置
JP2009063015A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型ジャーナル軸受
WO2016059852A1 (ja) 軸受装置およびポンプ
JPWO2016185885A1 (ja) ボールねじ
CN114345171A (zh) 搅拌装置
CN110925194A (zh) 止推板、动涡旋部件和涡旋压缩机
WO2017150499A1 (ja) ジャーナル軸受および回転機械
JP2016114004A (ja) 遠心ポンプ
US20200355218A1 (en) Tilting pad bearing device and rotating machine
KR101858571B1 (ko) 롤 그라인더용 유정압식 스핀들장치
JP6849310B2 (ja) ジャーナル軸受および回転機械
CN108591274A (zh) 一种密封装置及精密设备
CN111594542B (zh) 油浴式轴承装置以及旋转机械
JP2007224729A (ja) ウォータポンプシステム
JPWO2015098896A1 (ja) 軸受装置およびポンプ
KR102263344B1 (ko) 밀폐형 혼련기의 더스트 스톱 장치
JP2013029072A (ja) 斜板式ピストンポンプ
EP3077709B1 (en) Rotor shaft seal assembly
JP6700660B2 (ja) 回転軸機構およびポンプ
JP2007024263A (ja) 転がり軸受の潤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