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15B1 - 곡물 자판기 - Google Patents

곡물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15B1
KR101402615B1 KR1020130152351A KR20130152351A KR101402615B1 KR 101402615 B1 KR101402615 B1 KR 101402615B1 KR 1020130152351 A KR1020130152351 A KR 1020130152351A KR 20130152351 A KR20130152351 A KR 20130152351A KR 101402615 B1 KR101402615 B1 KR 10140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packaging bag
motor
pair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채원
Original Assignee
이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채원 filed Critical 이채원
Priority to KR102013015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4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weigh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곡물은 혼합하여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곡물을 선택하고 그 비율도 용이하게 결정한 후 밀봉 포장된 형태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부는 개방되어 개폐가능한 뚜껑이 장착되고 하부는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1 곡물배출부를 형성하는 2 ~ 20개의 곡물탱크와;
상기 곡물탱크의 제1 곡물배출부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2 곡물배출부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곡물받이와;
상기 제2 곡물배출부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3 곡물배출부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정량 곡물받이와;
상기 제1 곡물배출부와 제3 곡물배출부에 각각 장착되어 개폐됨으로 곡물이 연직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개폐밸브와;
공급되는 포장봉투가 낱개로 절단되어 이송되면 상단 입구를 벌려 제3 곡물배출부에서 덜어지는 곡물이 투입되고, 상단을 열융착 밀봉한 후 이송하도록 하는 포장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자판기{The grain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곡물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종 곡물은 혼합하여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곡물을 선택하고 그 비율도 용이하게 결정한 후 밀봉 포장된 형태로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곡물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식량의 부족으로 인한 많은 어려움이 있던 과거와는 달리 이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량에 대한 걱정이 없는 적어도 음식에 관하여서는 과거와 비교하면 풍족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
일부 외국의 음식이 유입되어 그 비중이 줄어들었다고 하더라고 아직 한국인의 주식은 쌀에 의존하는 바가 크지만 단순 쌀로만 밥을 해서 먹을 경우 영양의 불균형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는 사실은 예전부터 알려져 왔다.
때문에 일반 쌀 이외에도 현미, 흑미, 보리, 조, 콩, 수수 등 수 개에서 수십 가지의 곡물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좋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쌀을 제외한 다른 곡물을 구입하고 혼합하여 밥을 하는 것은 그냥 쌀로 하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다.
즉 다양한 곡물을 소비자가 별도로 구입한 다음에 밥을 지을 때마다 이를 적당량을 덜어내어 세척 후 혼합하거나 혼합하고 세척한 후 사용해야하나 이러한 과정이 혼합된 곡물의 종류가 늘어날수록 번거로움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에 쌀을 즉석에서 도정하여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와 두 가지 이상의 곡물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와 관련된 기술은 있으나 다양한 곡물을 선택적으로 혼합하고 이를 포장지에 밀봉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가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은 미흡한 상황이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2-0061014호 (2002년07월20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95176-0000호 (2002년10월31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9623-0000호 (2004년01월12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2011-0002404호 (2011년03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쌀이나 보리와 같은 다양한 곡물을 하나의 자판기에서 용이하게 선택하여 구입할 수 있는 곡물 자판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는 개방되어 개폐가능한 뚜껑이 장착되고 하부는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1 곡물배출부를 형성하는 2 ~ 20개의 곡물탱크와;
상기 곡물탱크의 제1 곡물배출부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2 곡물배출부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곡물받이와;
상기 제2 곡물배출부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3 곡물배출부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정량 곡물받이와;
상기 제1 곡물배출부와 제3 곡물배출부에 각각 장착되어 개폐됨으로 곡물이 연직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개폐밸브와;
공급되는 포장봉투가 낱개로 절단되어 이송되면 상단 입구를 벌려 제3 곡물배출부에서 덜어지는 곡물이 투입되고, 상단을 열융착 밀봉한 후 이송하도록 하는 포장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밸브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가 결합하여 수평 방향의 원통형을 이루고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방되도록 하며, 상부플랜지는 상기 제1 곡물배출부 또는 제3 곡물배출부와 연결되고, 하부플랜지는 하부로 관통 연장되는 곡물배출배관과 연결되며, 결합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된 곡물배출홀이 형성되는 회전원통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장치는 포장봉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롤의 형상으로 감겨 있는 포장봉투 공급부와;
수직 방향의 축을 가지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와, 상기 제1 기어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포장봉투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포장봉투가 맞물린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한 쌍의 송출로울러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 송출부와;
수직 방향의 축을 가지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와, 상기 제2 기어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법선 방향으로 상호 대칭인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에 커팅칼날이 장착되어 제2 기어가 맞물려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팅칼날이 밀착하며 연결된 포장봉투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로울러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 절단부와;
상기 포장봉투 절단부에서 절단된 포장봉투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한 양방향 나사축과, 상기 양방향 나사축의 일단에 장착되는 밸트풀리과 연결되어 두 개의 양방향 나사축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와, 상단은 한 쌍의 상기 양방향 나사축과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블록과, 일단은 상기 이동블록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장착된 후 연장되고 끝단은 아래 방향으로 180도 구부러져 반전되는 두 쌍의 걸림훅과, 상기 이동블록의 하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훅 보다 더욱 돌출되어 끝단이 포장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할 때 열융착시키도록 하는 열융착부로 이루어지는 곡물투입 밀봉장치와;
상기 곡물투입 밀봉장치의 하부에서 일측 상면은 포장봉투 절단부에 의하여 절단된 포장봉투가 올려지는 제4 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컨베이어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곡물이 별로의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다가 구매자의 선택에 따라 종류와 수량이 결정되어 서로 섞인 상태에서 포장봉투에 투입되고 포장봉투는 견고하게 밀봉되도록 하여 소비자가 용이하게 혼식을 위한 곡물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선택하고 간편하게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포장봉투 공급과 절단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포장봉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절단된 포장봉투를 벌리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구가 벌어진 포장봉투에 곡물이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장봉투를 밀봉하고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부는 개방되어 개폐가능한 뚜껑(11)이 장착되고 하부는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1 곡물배출부(12)를 형성하는 2 ~ 20개의 곡물탱크(1)와;
상기 곡물탱크(1)의 제1 곡물배출부(12)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2 곡물배출부(21)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곡물받이(2)와;
상기 제2 곡물배출부(21)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3 곡물배출부(31)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정량 곡물받이(3)와;
상기 제1 곡물배출부(12)와 제3 곡물배출부(31)에 각각 장착되어 개폐됨으로 곡물(100)이 연직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개폐밸브(4)와;
공급되는 포장봉투(200)가 낱개로 절단되어 이송되면 상단 입구를 벌려 제3 곡물배출부(31)에서 덜어지는 곡물(100; 도 13 참조)이 투입되고, 상단을 열융착 밀봉한 후 이송하도록 하는 포장장치(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판기를 나타내었다.
기존의 기술에는 단순히 쌀만을 도정해서 판매하거나 하나의 곡물만 선택하여 판매될 수 있던 것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으며 각각의 곡물을 혼합하여 판매하는 자판기는 없었다.
이에 본원은 곡물받이(2)가 개폐밸브(4)의 개방에 따라 덜어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곡물을 모아 하부로 이동하도록 하고 정량 곡물받이(3)는 이러한 곡물이 혼합되어 떨어지면 그 양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별도의 센서를 장착해 혼합된 곡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정량 곡물받이(3)에 곡물이 담기면 그 하부의 포장장치(5)는 포장봉투(200)의 상단 입구를 벌리고 개폐밸브(4)의 작동에 따라 곡물이 담겨지면 다시 상단을 좁히면서 양단을 열융착하여 밀봉하도록 하여 별도의 배출부로 이송하여 구매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원의 개폐밸브(4)와 포장장치(5)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는 이하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개폐밸브(4)는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가 결합하여 수평 방향의 원통형을 이루고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방되도록 하며, 상부플랜지(41)는 상기 제1 곡물배출부(12) 또는 제3 곡물배출부(31)와 연결되고, 하부플랜지(42)는 하부로 관통 연장되는 곡물배출배관(43)과 연결되며, 결합된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된 곡물배출홀(44)이 형성되는 회전원통(45)이 모터(46)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곡물탱크(1)에 장착되는 개폐밸브(4)가 모터(46)에 의하여 회전원통(45)이 회전하여 곡물배출홀(44)이 수직 방향으로 이루어져 곡물(100)이 하부로 떨어져 곡물받이(2)를 거쳐 정량 곡물받이(3)로 모이게 되며 설정된 분량이 정량 곡물받이(3)에 모이고 포장장치(5)에서 포장봉투의 상부 입구가 벌어진 상태가 되면 정량 곡물받이(3)에 장착된 개폐밸브(4)가 작동하여 포장봉투(200)로 곡물을 투입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장치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본원의 포장장치의 구성과 그 작동에 대한 설명은 이하 각 단계별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장치의 포장봉투 공급과 절단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포장장치(5)는 포장봉투(20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롤의 형상으로 감겨 있는 포장봉투 공급부(51)와;
수직 방향의 축을 가지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기어(521)와, 상기 제1 기어(521)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522)와, 상기 제1 기어(521)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포장봉투 공급부(51)에서 공급되는 포장봉투(200)가 맞물린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한 쌍의 송출로울러(523)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 송출부(52)와;
수직 방향의 축을 가지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기어(531)와, 상기 제2 기어(531)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532)와, 상기 제2 기어(531)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법선 방향으로 상호 대칭인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에 커팅칼날(533)이 장착되어 제2 기어(531)가 맞물려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팅칼날(533)이 밀착하며 연결된 포장봉투(200)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로울러(534)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 절단부(53)의 구성과 작동을 나타내었다.
먼저 포장봉투 공급부(51)는 포장봉투(200)가 롤의 형상으로 말려 있다가 인출되는 형식을 가진 것으로 송출로울러(523)가 맞물려 회전하면 그 사이에 삽입되어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공급되는 포장봉투(200)는 절단로울러(534)의 사이를 지나 상호 연결된 하나의 포장봉투가 통과하면 제2 모터(532)가 작동하여 절단로울러(534)가 회전하면서 양측에서 커팅칼날(533)이 가압하면서 연결된 포장봉투의 연결부가 절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2 모터(522, 532)와 제1 내지 제2 기어(521, 531)는 기어에 의한 연결과 상기 도면과 같이 밸트에 의한 연결 등 다양하게 연동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포장봉투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원에 적용되는 포장봉투(200)는 상단 양측에 각각 두 개의 걸림홀(201)이 반대 면과 겹치지 않게 형성되고, 걸림홀(201)과 밀착되는 반대 면의 경우 상부에서 하부로 절개되어 걸림홀(201)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절단된 포장봉투를 벌리기 전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입구가 벌어진 포장봉투에 곡물이 투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포장봉투를 밀봉하고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포장봉투 절단부(53)에서 절단된 포장봉투(200)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541)과, 상기 고정브라켓(541)의 상단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한 양방향 나사축(542)과, 상기 양방향 나사축(542)의 일단에 장착되는 밸트풀리(543)과 연결되어 두 개의 양방향 나사축(542)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544)와, 상단은 한 쌍의 상기 양방향 나사축(542)과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블록(545)과, 일단은 상기 이동블록(545)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장착된 후 연장되고 끝단은 아래 방향으로 180도 구부러져 반전되는 두 쌍의 걸림훅(546)과, 상기 이동블록(545)의 하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훅(546) 보다 더욱 돌출되어 끝단이 포장봉투(20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할 때 열융착시키도록 하는 열융착부(547)로 이루어지는 곡물투입 밀봉장치(54)와;
상기 곡물투입 밀봉장치(54)의 하부에서 일측 상면은 포장봉투 절단부(53)에 의하여 절단된 포장봉투(200)가 올려지는 제4 모터(551)에 의하여 구동하는 컨베이어밸트(55)로 구성을 나타내었다.
본원의 포장봉투(200)가 이송되어 걸림홀(201)에 걸림훅(546)이 삽입될 수 있는 정확한 위치에 도달하면 제4 모터(551)가 구동하여 이동블록(545)이 상호 멀어지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하여 걸림홀(201)에 걸림훅(546)이 삽입되고 상호 멀어지는 운동에 의하여 포장봉투(200)의 입구가 벌어지게 되며 벌어진 입구에 정량 곡물받이(3)에 장착된 개폐밸브(4)가 작동하여 곡물(100)이 포장봉투(200)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다.
이후 다시 이동블록(545)은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면 양측 열융착부(547)이 포장봉투(200)를 사이에 두고 밀착하여 열융착으로 포장봉투(200)를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밀봉된 포장봉투(200)는 컨베이어밸트(55)의 작동에 의하여 구매자에게 전달되는 것이다.
1 : 곡물탱크
11 : 뚜껑 12 : 제1 곡물배출부
2 : 곡물받이
21 : 제2 곡물배출부
3 : 정량 곡물받이
31 : 제3 곡물배출부
4 : 개폐밸브
41 : 상부플랜지 42 : 하부플랜지
43 : 곡물배출배관 44 : 곡물배출홀
45 : 회전원통 46 : 모터
5 : 포장장치
51 : 포장봉투 공급부
52 : 포장봉투 송출부
521 : 제1 기어 522 : 제1 모터
523 : 송출로울러
53 : 포장봉투 절단부
531 : 제2 기어 532 : 제2 모터
533 : 커팅칼날 534 : 절단로울러
54 : 곡물투입 밀봉장치
541 : 고정브라켓 542 : 양방향 나사축
543 : 밸트풀리 544 : 제3 모터
545 : 이동블록 546 : 걸림훅
547 : 열융착부
55 : 컨베이어밸트
551 : 제4 모터
100 : 곡물
200 : 포장봉투
201 : 걸림홀 212 : 절개부

Claims (3)

  1. 상부는 개방되어 개폐가능한 뚜껑(11)이 장착되고 하부는 폭이 점차 좁아지는 제1 곡물배출부(12)를 형성하는 2 ~ 20개의 곡물탱크(1)와; 상기 곡물탱크(1)의 제1 곡물배출부(12)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2 곡물배출부(21)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곡물받이(2)와; 상기 제2 곡물배출부(21)의 연직 하부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3 곡물배출부(31)가 형성되는 호퍼 형상의 정량 곡물받이(3)와; 상기 제1 곡물배출부(12)와 제3 곡물배출부(31)에 각각 장착되어 개폐됨으로 곡물(100)이 연직 하부로 떨어지도록 하는 개폐밸브(4)와; 공급되는 포장봉투(200)가 낱개로 절단되어 이송되면 상단 입구를 벌려 제3 곡물배출부(31)에서 덜어지는 곡물(100)이 투입되고, 상단을 열융착 밀봉한 후 이송하도록 하는 포장장치(5)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4)는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가 결합하여 수평 방향의 원통형을 이루고 일측은 막히고 타측은 개방되도록 하며, 상부플랜지(41)는 상기 제1 곡물배출부(12) 또는 제3 곡물배출부(31)와 연결되고, 하부플랜지(42)는 하부로 관통 연장되는 곡물배출배관(43)과 연결되며, 결합된 상부플랜지(41)와 하부플랜지(42)의 개방된 일측으로 삽입되며 상하로 관통된 곡물배출홀(44)이 형성되는 회전원통(45)이 모터(46)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곡물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포장장치(5)는 포장봉투(20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롤의 형상으로 감겨 있는 포장봉투 공급부(51)와;
    수직 방향의 축을 가지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1 기어(521)와, 상기 제1 기어(521)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522)와, 상기 제1 기어(521)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포장봉투 공급부(51)에서 공급되는 포장봉투(200)가 맞물린 사이로 삽입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한 쌍의 송출로울러(523)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 송출부(52)와;
    수직 방향의 축을 가지고 맞물려 회전하도록 하는 한 쌍의 제2 기어(531)와, 상기 제2 기어(531) 중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2 모터(532)와, 상기 제2 기어(531)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법선 방향으로 상호 대칭인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에 커팅칼날(533)이 장착되어 제2 기어(531)가 맞물려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커팅칼날(533)이 밀착하며 연결된 포장봉투(200)를 낱개로 절단하는 절단로울러(534)로 이루어지는 포장봉투 절단부(53)와;
    상기 포장봉투 절단부(53)에서 절단된 포장봉투(200)의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541)과, 상기 고정브라켓(541)의 상단에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한 양방향 나사축(542)과, 상기 양방향 나사축(542)의 일단에 장착되는 밸트풀리(543)과 연결되어 두 개의 양방향 나사축(542)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모터(544)와, 상단은 한 쌍의 상기 양방향 나사축(542)과 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이동블록(545)과, 일단은 상기 이동블록(545)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장착된 후 연장되고 끝단은 아래 방향으로 180도 구부러져 반전되는 두 쌍의 걸림훅(546)과, 상기 이동블록(545)의 하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걸림훅(546) 보다 더욱 돌출되어 끝단이 포장봉투(20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밀착할 때 열융착시키도록 하는 열융착부(547)로 이루어지는 곡물투입 밀봉장치(54)와;
    상기 곡물투입 밀봉장치(54)의 하부에서 일측 상면은 포장봉투 절단부(53)에 의하여 절단된 포장봉투(200)가 올려지는 제4 모터(551)에 의하여 구동하는 컨베이어밸트(5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자판기.
  2. 삭제
  3. 삭제
KR1020130152351A 2013-12-09 2013-12-09 곡물 자판기 KR10140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351A KR101402615B1 (ko) 2013-12-09 2013-12-09 곡물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351A KR101402615B1 (ko) 2013-12-09 2013-12-09 곡물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615B1 true KR101402615B1 (ko) 2014-06-02

Family

ID=5113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351A KR101402615B1 (ko) 2013-12-09 2013-12-09 곡물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6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239A (zh) * 2018-07-17 2019-01-08 嘉兴学院 一种智能磨粉售卖机与方法
CN109658613A (zh) * 2018-09-07 2019-04-19 盈奇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重力感应自动碾米售卖机系统
CN116034908A (zh) * 2023-01-16 2023-05-02 广东天农食品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养殖场智能投喂系统及其工作流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23Y1 (ko) * 2003-10-16 2004-01-24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곡물 자동 계량 포장 판매기
JP2005299958A (ja) *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振動乾燥装置
KR100949673B1 (ko) * 2009-11-25 2010-03-29 황경연 파우치의 포장방법 및 이를 위한 파우치의 커팅유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623Y1 (ko) * 2003-10-16 2004-01-24 주식회사 유니팩시스템즈 곡물 자동 계량 포장 판매기
JP2005299958A (ja) *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Materials Techno Corp 振動乾燥装置
KR100949673B1 (ko) * 2009-11-25 2010-03-29 황경연 파우치의 포장방법 및 이를 위한 파우치의 커팅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6239A (zh) * 2018-07-17 2019-01-08 嘉兴学院 一种智能磨粉售卖机与方法
CN109658613A (zh) * 2018-09-07 2019-04-19 盈奇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重力感应自动碾米售卖机系统
CN116034908A (zh) * 2023-01-16 2023-05-02 广东天农食品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养殖场智能投喂系统及其工作流程
CN116034908B (zh) * 2023-01-16 2023-09-12 广东天农食品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养殖场智能投喂系统及其工作流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2539A (en) Ice making and bagging vending machine
KR101402615B1 (ko) 곡물 자판기
CN103832609B (zh) 一种热封包装设备
EP2935032B2 (en) Flexible pouch with a larger opening
KR20090058006A (ko)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유리된(loose) 제품용 분배용장치 및 상기 분배용장치를 포함하는 머신
US201402601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bagging a consumable product for steeping
US20120006206A1 (en) Novel Cooking Method For Porridge
CN113619902A (zh) 家用食品贮存加工机
WO2005061329A1 (ja) 包装機および計量機
CN114081351A (zh) 五谷饮品制作工艺及五谷饮品自动售卖机
US6050456A (en) Screw feeder for proportioning machine
KR100914155B1 (ko) 즉석 도정 쌀 자동판매기
US5165331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oodles
KR20080051566A (ko)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즉석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US5381969A (en) Arrangement and method in connection with the retail sales of brewable products
KR101743519B1 (ko) 즉석 도정 쌀 자동판매기
KR101099548B1 (ko) 쌀 자동판매기
KR102003508B1 (ko) 국수 자동 조리 장치
JP2002230637A (ja) 飲料自動販売機
KR200175722Y1 (ko) 팝콘 자동판매기
JPH04190493A (ja) 麺類の自動販売装置
KR101018810B1 (ko) 물품 자동공급기의 카트리지형 단위포장체 공급모듈 및 그를 사용한 녹차용 벤딩머신
CN110817366A (zh) 块状调味料图案翻面机构
CN219340854U (zh) 一种自动配料出料装置
KR101289306B1 (ko) 개인별 맞춤 영양제 조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