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543B1 - 전극 카테터 - Google Patents

전극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543B1
KR101402543B1 KR1020127014097A KR20127014097A KR101402543B1 KR 101402543 B1 KR101402543 B1 KR 101402543B1 KR 1020127014097 A KR1020127014097 A KR 1020127014097A KR 20127014097 A KR20127014097 A KR 20127014097A KR 101402543 B1 KR101402543 B1 KR 101402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electrode
distal end
tip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981A (ko
Inventor
야스오 사카노
야스히로 오카와
Original Assignee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2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52655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264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01636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8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283Inv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45Vascular system
    • A61B2018/00351He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39Bioelectrical parameters, e.g. ECG,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Abstract

카테터 본체(10)와, 제어 핸들(20)과,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와,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복수 장착된 링형상 전극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31)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41B)의 전극폭과, 제2 카테터 선단부(32)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42C)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41c, 42b, 43b, 43c, 44b, 44c)의 전극폭보다 넓으며,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1B) 및 링형상 전극(42C)은, 각각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서로 상이한 전극 카테터이다.
이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특정한 전극이,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카테터{Electrode catheter}
본 발명은,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를 구비한 전극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심장 내의 전기적 활성을 맵핑하기 위한 카테터로서,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나오는 복수 카테터 선단부, 구체적으로는 5개의 카테터 선단부(돌기부(14))를 구비한 카테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이 카테터에 있어서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어, 이 카테터 1개로, 카테터 선단부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내 영역의 전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3582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4-130114호 공보
상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는, 전기적 활성의 맵핑 외에, 각종 진단·치료 행위에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블레이션 치료 후에, 소기의 소작(燒灼)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전극(선단 전극 또는 링형상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는 대칭의 위치에 유치(留置)해서 전위의 전달속도를 측정한다. 여기에, 소작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2개의 전극간에 있어서의 전위의 전달로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의해 차단되어, 전위가 우회하여 전달됨으로써, 그 전달속도가 지연된다. 이에 대해서, 소작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2개의 전극간을 전위가 최단 거리로 전달되기 때문에, 전달속도의 지연은 일어나지 않는다.
(1) 어블레이션 치료 후에, 소작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조작 등,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를 갖는 카테터를 사용하는 각종 진단·치료 행위는, 통상, X선 영상을 보면서 행해진다.
또한, 측정된 전위 데이터는, 사용한 전극(간)별로 심전도계의 모니터에 표시되기 때문에, 이 모니터에 표시된 전위 데이터(파형)가, 어느 전극(간)에 의해 측정된 것인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에는, X선 영상에 투영되고 있는 전극의 각각이,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장착된 전극인지(예를 들면, 선단으로부터 몇 번째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X선 영상 상에 있어서 특정한 전극이, 어느 카테터 선단부의 어느 위치에 장착된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여기에, 모든 전극(모든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이 X선 영상에 투영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X선 영상 상에서 특정한 어떤 한 전극에 대해서,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선단으로부터 몇 번째에 장착된 전극인지)는 파악할 수 있지만,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전극의 배치는 동일하기 때문에, X선 영상 상에서 특정한 전극이,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순시(瞬時)에 파악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또한, 모든 전극이 X선 영상에 투영되고 있는 경우에, 영상 상의 전극 및 이들이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측에서 본 것인지, 카테터의 기단측(基端側)에서 본 것인지를 잘못 보는 경우도 있다.
(2)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를 구비한 카테터에 의해 소작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간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이하,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장착된 전극을 「대응하는 전극」 또는 「대응 전극」이라고도 한다.) 모두를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유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 대응하는 5개의 전극 모두를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유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80)의 선단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 나와 있는 5개의 카테터 선단부(81,82,83,84,85) 중,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81 및 82)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선단 전극(91 및 92)(대응하는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는 대칭의 위치에 유치한 경우, 선단 전극(95 및 93)의 각각에 있어서의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의 이간 거리는, 선단 전극(91 및 92)의 각각에 있어서의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의 이간 거리보다 길어지고, 또한, 나머지 선단 전극(94)은, 어블레이션 라인(AL) 상에 위치하게 되어, 이러한 경우에는, 당해 선단 전극(94)을 전위의 측정에 제공할 수 없다.
(3) 상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 어블레이션 라인에 대해서, 전위 측정에 제공하고자 하는 전극의 위치 결정을 행한 후에,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고 카테터 선단부를 이동시킴으로써, 전위 측정에 제공하고자 하는 전극을, 심장의 내벽에 접근(접촉)시키거나,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치듯이 배치함으로써, 이들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대응하는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는 대칭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그 후, 카테터 본체를 굴곡시켜서, 상기 선단 전극을 심장의 내벽에 접근(접촉)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는,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킴으로써, 카테터 선단부(전위 측정에 제공하고자 하는 전극)와, 어블레이션 라인 사이에서 조정한 위치 관계가 어긋나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킴으로써,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굴곡 전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없어, 심장의 내벽에 접근시킨 선단 전극이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크게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4) 상기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카테터에 있어서,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의 굴곡방향과, 어느 하나의 카테터 선단부가 뻗어 나오는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킬 때에, 굴곡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뻗어 나오는 당해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이, 심장의 내벽을 압압하여(깊이 찔러), 내벽을 상처 입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복수 개의 전극이 장착되어서 되는 전극 카테터로서, X선 영상 상에서 특정한 전극이,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전극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뻗어 나오는 복수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전극 카테터로서, 대응하는 전극 모두를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유치하는 것이 가능한 전극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이 굴곡되어도, 이것을 굴곡하기 전에 조정한, 어블레이션 라인에 대한 카테터 선단부의 배치상태(예를 들면,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 어블레이션 라인에 대한 전극의 위치 관계(예를 들면, 2개의 대응 전극이,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는 대칭 위치에 있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전극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해도,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이 심장 내벽을 상처 입히는 경우가 없는 전극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하나 이상의 내공(內孔)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基端)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3개 이상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복수 개 장착된 링형상 전극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은 서로 동일하다)과 상이하며,
다른 링형상 전극과는 전극폭이 상이한 상기 2개의 링형상 전극은, 각각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다른 링형상 전극과는 전극폭이 상이한 2개의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들 2개의 링형상 전극의 각각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 및 제2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링형상 전극과는 전극폭이 상이한 2개의 링형상 전극은, 각각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제1 카테터 선단부 또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카테터 선단부와 제2 카테터 선단부의 식별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X선 영상 상에 있어서, 제1 카테터 선단부와 제2 카테터 선단부를 인식할 수 있으면,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다른 카테터 선단부가 어느 카테터 선단부(예를 들면, 카테터 선단부의 개수가 4인 경우의 제3 카테터 선단부, 제4 카테터 선단부)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링형상 전극의 배치 위치(선단으로부터 몇 번째에 장착된 전극인지)는, X선 영상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배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2)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3)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구비해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개의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장착(예를 들면,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배치)되어 있는 4개의 링형상 전극(대응하는 링형상 전극)은, 각각, 정사각형의 꼭짓점의 위치에 있다.
대응하는 링형상 전극의 각각이 정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갖는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어블레이션 치료 후에 소작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4개의 링형상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응하는 4개의 링형상 전극 중,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2개의 링형상 전극을, 이들의 중간점에 어블레이션 라인이 위치하도록 유치(留置)시키면, 나머지 2개의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도, 이들의 중간점에 이 어블레이션 라인이 위치하도록 유치시킬 수 있다.
(4) 또한,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하나 이상의 내공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3개 이상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과,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1개 이상 장착된 링형상 전극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은,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과 상이하며,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은,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다른 선단 전극과는 전극폭이 상이한 선단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것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다른 링형상 전극과는 전극폭이 상이한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것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X선 영상 상에 있어서, 제1 카테터 선단부와 제2 카테터 선단부를 인식할 수 있으면,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다른 카테터 선단부가 어느 카테터 선단부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의 배치 위치는, X선 영상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전극(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배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5)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고,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다른 선단 전극보다도 전극폭이 넓은 선단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선단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링형상 전극보다도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6)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구비해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개의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대응하는 4개의 전극(예를 들면, 선단 전극)은, 각각, 정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게 된다.
대응하는 전극의 각각이 정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갖는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어블레이션 치료 후에 소작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에, 대응하는 4개의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개의 선단 전극 중,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2개의 선단 전극을, 이들의 중간점에 어블레이션 라인이 위치하도록 유치시키면, 나머지 2개의 선단 전극에 대해서도, 이들의 중간점에 이 어블레이션 라인이 위치하도록 유치시킬 수 있다.
(7)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굴곡시킬(휘게 할) 수 있는(Bidirectional Control) 편향기구(고개 흔들기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장의 내벽, 특히 판막의 주위에는, 건(腱)이라고 불리는 끈형상의 조직이 많이 존재하여, 이 건에, 카테터 선단부 등이 얽히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심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를, 되도록 축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와 같은 편향기구를 구비한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180° 편향시키는 경우에도, 카테터 본체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 카테터 본체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편방향으로만 휘게 할 수 있는 기구를 갖는 것과 비교해서 유리하다.
(8) 본 발명(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하나 이상의 내공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4개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전극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편향기구를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4개의 대응 전극(예를 들면, 선단 전극)은, 각각, 정사각형의 꼭짓점의 위치에 있다.
4개의 대응 전극의 각각이 정사각형의 꼭짓점에 위치하는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갖는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4개의 대응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유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응 전극인 4개의 선단 전극 중,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선단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는 대칭의 위치에 유치함으로써, 나머지 2개의 선단 전극에 대해서도,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는 대칭의 위치에 유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4개의 선단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유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편향기구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것이다.
즉, 편향기구에 의해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이 굴곡되는 방향(굴곡되는 선단부분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이 이동하는 방향(당해 이등분선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은 일치하게 된다.
이 편향기구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를, 이들이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대응 전극이,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여 대칭 위치에 있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위 측정에 제공하고자 하는 전극을, 심장 내벽에 접근(접촉)시키거나,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9)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Bidirectional Control)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장의 내벽, 특히 판막의 주위에는, 건이라고 불리는 조직이 많이 존재하여, 이 건에, 카테터 선단부 등이 얽히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심강 내에 삽입되어 있는 카테터 본체를, 되도록 축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와 같은 편향기구를 구비한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카테터 선단부를 180° 편향시키는 경우에도, 카테터 본체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그러한 경우에 카테터 본체를 축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는) 편방향으로만 굴곡시킬 수 있는 기구를 갖는 것보다, 카테터 선단부가 건에 얽히기 어려운 점에서 유리하다.
(10)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선단 전극과, 1개 이상, 특히 2~3개의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1) 또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테터 선단부와 제2 카테터 선단부를 인식할 수 있으면, 제2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3 카테터 선단부이고, 또한 그 옆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4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링형상 전극의 배치 위치(선단으로부터 몇 번째에 장착된 전극인지)는, X선 영상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배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12) 또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고,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다른 선단 전극보다도 전극폭이 넓은 선단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선단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링형상 전극보다도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카테터 선단부와 제2 카테터 선단부를 인식할 수 있으면, 제2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3 카테터 선단부이고, 또한 그 옆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4 카테터 선단부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의 배치 위치는, X선 영상 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전극(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배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특정한 전극이,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에 의하면, 4개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4개의 대응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으로부터 등거리에 유치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해도, 이것을 굴곡하기 전에 조정한, 어블레이션 라인에 대한 카테터 선단부의 배치상태(예를 들면,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 어블레이션 라인에 대한 전극의 위치 관계(예를 들면, 2개의 대응 전극이, 어블레이션 라인을 축으로 하는 대칭 위치에 있는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블레이션 라인에 대한 카테터 선단부의 배치나 전극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전극을 심장의 내벽에 접근(접촉)시키거나,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켰을 때에,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이 심장의 내벽을 상처 입히는 경우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측면도(도 1의 I-I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2의 II-II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2의 III-III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선단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사용 태양(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이 굴곡되어 있지 않은 상태)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의 사용 태양(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이 굴곡되어 있는 상태)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극 카테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비교예의 전극 카테터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전극 카테터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는, 예를 들면, 심장에 있어서의 부정맥의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다.
전극 카테터(1)는, 카테터 본체(10)와, 제어 핸들(20)과, 4개의 카테터 선단부(제1 카테터 선단부(31), 제2 카테터 선단부(32), 제3 카테터 선단부(33), 제4 카테터 선단부(34))와,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41a, 42a, 43a, 44a)과,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2개씩 장착된 8개의 링형상 전극(41B·41c, 42b·42C, 43b·43c, 44b·44c)과, 2개의 카테터 선단부(카테터 선단부(32)와 카테터 선단부(33)/카테터 선단부(34)와 카테터 선단부(31))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편향기구(고개 흔들기 기구)를 구비해서 된다.
카테터 본체(10)는, 튜브 부재(11)와 선단 부재(12)로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카테터 본체(10)의 길이를 짧게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제어 핸들(20)의 Z축방향 길이보다도 수 배~수십 배 정도로 길다.
카테터 본체(10)를 구성하는 튜브 부재(11)는 1개 이상의 내공(루멘)을 갖는다. 튜브 부재(11)의 루멘에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에 접속되는 도선(도시 생략), 카테터 선단부의 편향기구(고개 흔들기 기구)를 구성하는 인장 와이어(도 4에 있어서 51,52로 나타낸다)가 당겨져 관통되어 있다.
튜브 부재(11)는, 축방향을 따라서 같은 특성의 재료로 구성해도 되지만, 축방향을 따라서 강성(경도)이 상이한 재료를 사용해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근위단측(近位端側)의 구성재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고, 원위단측(遠位端側)의 구성재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강성을 갖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 부재(11)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나일론, PEBAX(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 등의 합성 수지로 구성된다. 또한, 튜브 부재(11)의 근위단측은, 이들 합성 수지로 되는 튜브를 스테인리스 소선(素線)으로 편조(編組)한 블레이드 튜브여도 된다.
튜브 부재(11)의 외경은 1.0~3.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2.7 ㎜로 된다.
튜브 부재(11)의 길이는 600~15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1200 ㎜로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를 구성하는 선단 부재(12)는, 튜브 부재(11)의 루멘에 삽입되는 원통형상부분(121)과, 4개의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의 각각의 기단부분이 삽입되는 4개의 세공(細孔)을 갖는 보유·유지(保持)부분(122)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된다.
선단 부재(12)는, 튜브 부재(11)와 동일한 재료, 예를 들면 PEBAX로 구성할 수 있다.
선단 부재(12)(보유·유지부분(122))의 외경은, 튜브 부재(11)의 외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 부재(12)(보유·유지부분(122))의 길이는 2~6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 ㎜로 된다.
제어 핸들(20)은, 카테터 본체(10)(튜브 부재(11))의 기단에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21은 파지부(把持部), 22는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편향기구를 구성하는 회전판이다.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는, 4개의 카테터 선단부(제1 카테터 선단부(31), 제2 카테터 선단부(32), 제3 카테터 선단부(33), 제4 카테터 선단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카테터 선단부는, 카테터 본체(10)(선단 부재(12))의 선단으로부터, 카테터 본체(10)의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실질적으로 등각도 간격(동 도면에 나타내는 측면시(側面視)에 있어서 약 90°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나와 있다.
4개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은, 카테터 본체(10)의 축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절곡(折曲)되면서 선단방향으로 뻗어 나와 있다.
카테터 선단부(선단 부재(12)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부분)의 외경은 0.3~1.4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로 된다.
카테터 선단부의 외경은, 튜브 부재(11) 외경의 0.15~0.4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테터 선단부(선단 부재(12)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부분)의 길이는 5~5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로 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는, 좁고 긴 판형상의 코어 부재(311, 321, 331, 341)와, 피복 튜브(312, 322, 332, 342)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카테터 선단부(31)를 구성하는 코어 부재(311)는, 피복 튜브(312)의 내공을 따라서 뻗고, 그 선단부는 선단 전극(41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3 카테터 선단부(33)를 구성하는 코어 부재(331)는, 피복 튜브(332)의 내공을 따라서 뻗고, 그 선단부는 선단 전극(43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2 카테터 선단부(32) 및 제4 카테터 선단부(34)의 내부구조도, 제1 카테터 선단부(31) 및 제3 카테터 선단부(33)의 내부구조와 동일하다.
코어 부재는, 카테터 선단부의 형상을 기억하고 있어, 힘을 가함으로써 변형(예를 들면 직선형상으로 변형)되지만, 힘을 제거하면 기억된 형상(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코어 부재의 구성재료로서는 Ni-Ti 합금을 들 수 있다. Ni-Ti 합금에 있어서의 Ni와 Ti의 비율은 54:46~57:43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Ni-Ti 합금으로서 니티놀을 들 수 있다.
피복 튜브의 구성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또는 PEBAX와 같은 생체 허용성의 수지재료를 들 수 있다.
4개의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의 기단부분은, 각각, 선단 부재(12)(보유·유지부분(122))에 형성된 세공에 삽입되어, 기단부분에 있어서의 피복 튜브(312, 322, 332, 342)와 보유·유지부분(122)이 열융착되고, 이것에 의해,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의 각각이, 카테터 본체(10)(선단 부재(12))에 고착되어 있다.
카테터 선단부(제1 카테터 선단부(31), 제2 카테터 선단부(32), 제3 카테터 선단부(33), 제4 카테터 선단부(34))에는, 각각, 선단 전극(41a, 42a, 43a, 44a)과, 각각에 2개의 링형상 전극(41B·41c, 42b·42C, 43b·43c, 44b·44c)이 장착되어 있다.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에 접속되는 도선(도시 생략)은, 각각이 절연된 상태로, 카테터 선단부(피복 튜브)의 내공 및 카테터 본체(10)의 루멘에 당겨져 관통되어 있다.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은,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리스, 금, 백금, 이리듐 또는 이들의 합금 등, 전기 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으로 구성된다.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의 외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테터 선단부의 외경과 같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카테터(1)를 구성하는 8개의 링형상 전극(41B·41c, 42b·42C, 43b·43c, 44b·44c) 중, 제1 카테터 선단부(31)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41B)과, 제2 카테터 선단부(32)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42C)은, 이들의 전극폭(관축방향 길이)이, 다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길고, 구체적으로는 1.5~2.0배로 되어 있다.
여기에, 링형상 전극(41B) 및 링형상 전극(42C) 이외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은 서로 동일하고, 0.5~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6~1.2 ㎜로 된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있는 링형상 전극(41B, 42b, 43b, 44b) 중,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1B)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1B)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31)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1 카테터 선단부(31)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1a) 및 링형상 전극(41B·41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있는 링형상 전극(41c, 42C, 43c, 44c) 중,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2C)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2C)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32)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2 카테터 선단부(32)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2a) 및 링형상 전극(42b·42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제1 카테터 선단부(31) 및 제2 카테터 선단부(32)를 인식할 수 있으면, 제2 카테터 선단부(32)의 옆(제1 카테터 선단부(31)의 반대측)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를 제3 카테터 선단부(33)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3 카테터 선단부(33)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3a) 및 링형상 전극(43b·43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제1 카테터 선단부(31), 제2 카테터 선단부(32) 및 제3 카테터 선단부(33)를 인식할 수 있으면, 제3 카테터 선단부(33)의 옆에 있는(제3 카테터 선단부(33)와 제1 카테터 선단부(31) 사이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를 제4 카테터 선단부(34)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4 카테터 선단부(34)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4a) 및 링형상 전극(44b·44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링형상 전극(41B·41c, 42b·42C, 43b·43c, 44b·44c)에 대해서도,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배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는, 다른 링형상 전극보다 전극폭이 넓은 2개의 링형상 전극(링형상 전극(41B) 및 링형상 전극(42C))이,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제1 카테터 선단부(31) 및 제2 카테터 선단부(32))의 각각에 있어서의 서로 상이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이 1개인 경우, 예를 들면, 링형상 전극(41B)의 전극폭만 넓은 경우에는, X선 영상 상에서, 제2 카테터 선단부(32)와 제4 카테터 선단부(34)를 즉시 식별할 수 없어, 예를 들면, X선 영상 상에 투영된 선단 전극(42a)을, 선단 전극(44a)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면, 제3 카테터 선단부(33)에 장착된 선단 전극(43a)과, 제2 카테터 선단부(32)에 장착된 선단 전극(42a)이,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서 유치되어 있을 때에, X선 영상 상의 선단 전극(42a)을 선단 전극(44a)으로 오인하여, 모니터에 표시된,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지 않은, 선단 전극(43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기의 소작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오진해 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있어서는, 링형상 전극(41B)의 전극폭에 더하여, 제2 카테터 선단부(32)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42C)의 전극폭도 넓기 때문에, 제2 카테터 선단부(32)와 제4 카테터 선단부(34)를 즉시 식별할 수 있고, X선 영상 상에 투영된 선단 전극(42a)을 선단 전극(44a)으로 오인할 우려는 없어, 상기와 같은 오진이 일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링형상 전극보다 전극폭이 넓은 2개의 링형상 전극이,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X선 영상에 있어서,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이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이, 제1 카테터 선단부인지, 제2 카테터 선단부인지 식별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X선 영상 상의 4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측으로부터 본 것인지, 카테터의 기단측으로부터 본 것인지를 즉시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이에 대해서,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서는, 제1 카테터 선단부(31)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41B)의 배치 위치(링형상 전극으로서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와, 제2 카테터 선단부(32)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42C)의 장착 위치(링형상 전극으로서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제1 카테터 선단부(31)와 제2 카테터 선단부(32)를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X선 영상 상의 4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카테터의 선단측으로부터 본 것인지, 카테터의 기단측으로부터 본 것인지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는,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카테터 본체(10)의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휘게 하는 편향기구(고개 흔들기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편향기구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기구이다.
즉, 이 편향기구에 의해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이 굴곡되는 방향(굴곡되는 선단부분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과,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이 굴곡되는 것에 수반하여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의 이등분선이 이동하는 방향(당해 이등분선의 궤적을 포함하는 평면)은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편향기구에 의해,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카테터 선단부(32)와 카테터 선단부(33)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방향), 및 카테터 선단부(34)와 카테터 선단부(31)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굴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이,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굴곡됨으로써, 4개의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는,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한다.
편향기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튜브 부재(11)의 원위단부분에 수용된 판스프링(도시 생략)과, 이 판스프링의 표리면측에 있어서, 튜브 부재(11)의 루멘에 당겨져 관통되는 2개의 인장 와이어(도 4에 있어서 51,52로 나타낸다)와, 2개의 인장 와이어의 각각의 근위단이 접속된 회전판(22)을 구비해서 되는 기구를 들 수 있다.
여기에, 2개의 인장 와이어의 원위단의 각각은, 판스프링을 사이에 두고 상대하는 위치에 있어서, 튜브 부재(11)의 내벽에 고정해도 되고, 판스프링의 원위단에 있어서의 평판부의 표리면에 고정해도 된다.
한편, 인장 와이어(51,52)의 근위단은, 제어 핸들(20)의 회전판(22)에 있어서의 서로 이간된 위치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판(22)은, 도 1에 나타내는 Z축에 수직인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제어 핸들(20)의 파지부(21)를 한쪽 손으로 붙잡고, 그 한쪽 손의 손가락으로 회전판(22)을 조작(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인장 와이어(51,52)의 장력이 변화하여,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이,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화살표 A 또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굴곡된다.
즉, 회전판(22)을,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A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장 와이어(52)가 당겨서 팽팽하게 되고, 인장 와이어(51)는 느슨해진다. 그 결과로서,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이, 카테터 선단부(32)와 카테터 선단부(33)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굴곡되고, 이것에 의해, 4개의 카테터 선단부는 화살표 A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편향된다.
동일하게 하여, 회전판(22)을,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B1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인장 와이어(51)가 당겨서 팽팽하게 되고, 인장 와이어(52)는 느슨해진다. 그 결과로서,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이, 카테터 선단부(34)와 카테터 선단부(31)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굴곡되고, 이것에 의해, 4개의 카테터 선단부는 화살표 B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편향된다.
그리고, 제어 핸들(20)을, 도 1에 나타내는 Z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심강 내에 삽입된 상태로, 제어 핸들(20)에 대한 A방향 또는 B방향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의 사용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면, 먼저, 통형상의 시스에 삽입한 상태(4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직선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심강 내의 목적 부위의 근방까지 전극 카테터(1)를 이동시키고, 목적 부위 근방에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시스로부터 밀어내서, 카테터 선단부의 기억형상(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형상)을 복원시킨다.
다음으로,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튜브 부재(11)의 원위단부분)을 굴곡시키고, 제2 카테터 선단부(32)에 장착된 선단 전극(42a)과, 제3 카테터 선단부(33)에 장착된 선단 전극(43a)을, 이들의 중간점에 어블레이션 라인(AL)이 위치하도록 유치시킨다.
이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2개의 링형상 전극을 유치시킴으로써, 나머지 2개의 링형상 전극, 즉, 제1 카테터 선단부(31)에 장착된 선단 전극(41a)과, 제4 카테터 선단부(34)에 장착된 선단 전극(44a)에 대해서도, 이들의 중간점에 어블레이션 라인(AL)이 위치하도록 유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4개의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한 후에, 어느 하나의 선단 전극으로부터 전기 자극을 부여(페이싱)하는 동시에, 다른 선단 전극에서 전위 측정을 행하고, 그 전달속도(전위를 검출한 시간)를 비교함으로써, 어블레이션 라인(AL)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본체(10)의 주위에 다른 전극 카테터를 배치하고, 당해 다른 전극 카테터로부터 전기 자극을 부여(페이싱)하는 동시에, 각 선단 전극에서 전위 측정을 행하고, 그 전달속도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4개의 선단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함으로써,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 소기의 소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3a) 사이, 및 선단 전극(41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는 전극간에 있어서의 전위의 전달속도)가,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1a) 사이, 및 선단 전극(43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지 않은 전극간에 있어서의 전위의 전달속도)보다도 느려진다.
그리고,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 균질한 소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3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와, 선단 전극(41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가 동등해진다.
또한, 도 6(1)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라인(AL)은, X선 영상 상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통상,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파악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카테터 선단부의 개수가 4인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대응하는 4개의 전극(예를 들면 선단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X선 영상의 전극 및 이들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를, 카테터의 선단측으로부터 본 것인지, 카테터의 기단측으로부터 본 것인지를 즉시 인식할 수 있다.
도 6(1)과 같은 상태의 X선 영상에 있어서,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1B)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1B)이 장착되어 있는, 도면의 좌하측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31)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2C)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2C)이 장착되어 있는, 도면의 좌상측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32)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1)에 있어서는, 제1 카테터 선단부(31), 제2 카테터 선단부(32), 제3 카테터 선단부(33), 제4 카테터 선단부(34)가 「시계방향으로」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X선 영상은, 카테터 선단부를 카테터의 기단측으로부터 본 것이라고 즉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도 6(2)와 같은 상태의 X선 영상에 있어서는, 일견, 도 6(1)과 동일한 것처럼 보이지만,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에 착안하여,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1B)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1B)이 장착되어 있는, 도면의 우하측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31)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에 있는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2C)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2C)이 장착되어 있는, 도면의 우상측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32)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2)에 있어서는, 제1 카테터 선단부(31), 제2 카테터 선단부(32), 제3 카테터 선단부(33), 제4 카테터 선단부(34)가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X선 영상은, 카테터 선단부를 카테터의 선단측으로부터 본 것이라고 즉시 인식할 수 있다.
이하에,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의 사용방법의 일례에 있어서, 4개의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하는 방법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전극 카테터(1)를 통형상의 시스에 삽입하고, 4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직선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닫은 상태)로, 심강 내의 목적 부위(예를 들면, 어블레이션 라인의 형성 부위)의 근방까지 전극 카테터(1)를 이동시키고, 목적 부위 근방에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시스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카테터 선단부의 기억형상(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개형상)을 복원시킨다.
다음으로, X선 영상을 보면서,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평행하게) 카테터 본체(10)를 배치하고, 이 카테터 본체(10)를 축방향으로 회전시켜서, X선 영상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이 최대가 되는 위치에서 멈춘다.
도 7(1), (2)는, 이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X선 영상 상에서 파악할 수 있는 형태이다. 도 7(1)에 나타낸 평면시(平面視)에서는, 카테터 선단부(32)와 카테터 선단부(33)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이등분선 상)으로, 어블레이션 라인(AL)이 뻗어 있다.
즉, 도 7(1)에 나타낸 평면시에서는, 카테터 선단부(32)와 카테터 선단부(33)는,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여 선대칭(이들 카테터 선단부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이고,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3a)은,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는 대칭의 위치에 있다.
또한, 도 7(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선단부(31)와 카테터 선단부(34)는, 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는 상태이고, 선단 전극(41a)과 선단 전극(44a)은,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는 대칭의 위치에 있다.
다음으로, 편향기구에 의해,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심장의 내벽측으로) 굴곡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테터 선단부(32(31))와, 카테터 선단부(33(34))가 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들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을, 심장의 내벽에 접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B1방향으로 회전판(22)을 회전시켜서, 인장 와이어(51)를 당겨서 팽팽하게 함으로써,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카테터 선단부(34)와 카테터 선단부(31)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화살표 B방향으로 90° 굴곡시킨다.
이것에 의해, 4개의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하여, 도 8(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을, 심장의 내벽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의 굴곡방향(카테터 선단부의 이동방향)인 화살표 A방향 및 화살표 B방향을, 어블레이션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과 일치시키고, 이 상태로,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90°굴곡시킴으로써, 카테터 선단부(32(31))와, 카테터 선단부(33(34))가 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는 상태[선단 전극(42a(41a))과, 선단 전극(43a(44a))이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는 대칭 위치에 있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31, 32, 33, 34)를 일체적으로 이동시켜서, 이들 각각에 장착된 4개의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을, 심장의 내벽에 접촉시키거나,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어블레이션 라인(AL)은, 통상, X선 영상 상에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통상, 오퍼레이터에 있어서 파악되고 있다.
도 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의 굴곡 후에 있어서, 4개의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은,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선단 전극의 어느 하나로부터 전기 자극을 부여(페이싱)하는 동시에, 다른 선단 전극에서 전위 측정을 행하고, 그 전달속도(전위를 검출한 시간)를 비교함으로써, 어블레이션 라인(AL)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카테터 본체(10)의 주위에 다른 전극 카테터를 배치하고, 당해 다른 전극 카테터로부터 전기 자극을 부여(페이싱)하는 동시에, 각 선단 전극에서 전위 측정을 행하고, 그 전달속도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4개의 선단 전극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함으로써,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 소기의 소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3a) 사이, 및 선단 전극(41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는 전극간에 있어서의 전위의 전달속도)가,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1a) 사이, 및 선단 전극(43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어블레이션 라인(AL)에 걸쳐 있지 않은 전극간에 있어서의 전위의 전달속도)보다도 느려진다.
그리고,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 균질한 소작이 이루어지고 있다면, 선단 전극(42a)과 선단 전극(43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와, 선단 전극(41a)과 선단 전극(44a) 사이의 전위의 전달속도가 동등해 진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제2 발명)의 전극 카테터를 구성하는 편향기구 대신에, 카테터 선단부(633) 및 카테터 선단부(631)의 뻗어 나오는 방향(화살표 a 및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카테터 본체(6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편향기구를 채용한 경우에는, 도 1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선단부(632(631))와, 카테터 선단부(633(634))를,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도록(이들 카테터 선단부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로) 배치해도, 카테터 본체(610)의 선단부분을, 예를 들면 b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도 1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테터 선단부(632(631))와, 카테터 선단부(633(634))가 어블레이션 라인에 걸쳐 있는 상태(굴곡 전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없어, 심장의 내벽에 접근시킨 선단 전극(641a, 642a, 643a, 644a)은,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크게 어긋나 버린다.
또한, 그러한 편향기구에 따라서는,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 카테터 본체(6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면, 카테터 선단부(633 및 631)는, 어블레이션 라인(AL)을 따라서 이동하고, 이들에 장착된 선단 전극(643a 및 641a)은, 어블레이션 라인(AL) 상을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이들 선단 전극을 전위 측정에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전극으로서, 선단 전극(41a, 42a, 43a, 44a)을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대응하는 링형상 전극(도 2에 나타낸 8개의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즉,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링형상 전극(42b(41B))과 링형상 전극(43b(44b))이,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여 대칭 위치에 있다고 하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들 링형상 전극(41B, 42b, 43b, 44b)을, 심장 내벽에 접근(접촉)시키거나,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킨 후, 대응 전극인 4개의 링형상 전극(41B, 42b, 43b, 44b)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링형상 전극(42C(41c))과 링형상 전극(43c(44c))이, 어블레이션 라인(AL)을 축으로 하여 대칭 위치에 있다고 하는 위치 관계를 유지하면서, 이들 링형상 전극(41c, 42C, 43c, 44c)을, 심장 내벽에 접근(접촉)시키거나, 어블레이션 라인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킨 후, 대응 전극인 4개의 링형상 전극(41c, 42C, 43c, 44c)을, 어블레이션 라인(AL)으로부터 등거리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전극 카테터(1)에 의하면, 편향기구에 의한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의 굴곡방향이,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카테터 본체(10)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킬 때의 힘이, 어느 하나의 카테터 선단부에 집중하는 경우는 없어,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에 의해 심장의 내벽을 압압하는 힘은 매우 작기 때문에, 내벽을 상처 입힐 우려는 없다.
<제2 실시형태>
도 9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2)는, 카테터 본체(10)(선단 부재(12))의 선단으로부터 등각도(측면시에 있어서 약 90°)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나와 있는 4개의 카테터 선단부(36, 37, 38, 39)와, 이들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46A, 47a, 48a, 49a)과,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2개씩 장착된 8개의 링형상 전극(46b·46c, 47B·47c, 48b·48c, 49b·49c)을 구비해서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 카테터(2)를 구성하는 4개의 선단 전극(46A, 47a, 48a, 49a) 중, 제1 카테터 선단부(36)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46A)은, 그 전극폭이 다른 선단 전극의 전극폭보다 길고, 구체적으로는 1.5배로 되어 있다.
또한, 전극 카테터(2)를 구성하는 8개의 링형상 전극(46b·46c, 47B·47c, 48b·48c, 49b·49c) 중, 제2 카테터 선단부(37)에 장착되어 있는 링형상 전극(47B)은, 그 전극폭이, 다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도 길고, 구체적으로는 1.5~2.0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전극 카테터(2)에 의하면, X선 영상 상에서, 전극폭이 넓은 선단 전극(46A)을 발견함으로써, 이 선단 전극(46A)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1 카테터 선단부(36)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1 카테터 선단부(36)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링형상 전극의 각각을 링형상 전극(46b), 링형상 전극(46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전극폭이 넓은 링형상 전극(47B)을 발견함으로써, 이 링형상 전극(47B)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가 제2 카테터 선단부(37)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2 카테터 선단부(37)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7a) 및 링형상 전극(47B·47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제1 카테터 선단부(36) 및 제2 카테터 선단부(37)를 인식할 수 있으면, 제2 카테터 선단부(37)의 옆(제1 카테터 선단부(36)의 반대측)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를 제3 카테터 선단부(38)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3 카테터 선단부(38)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8a) 및 링형상 전극(48b·48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서, 제1 카테터 선단부(36), 제2 카테터 선단부(37) 및 제3 카테터 선단부(38)를 인식할 수 있으면, 제3 카테터 선단부(38)의 옆에 있는(제3 카테터 선단부(38)와 제1 카테터 선단부(36) 사이에 있는) 카테터 선단부를 제4 카테터 선단부(39)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X선 영상 상에서 제4 카테터 선단부(39)를 인식할 수 있으면, 이것에 장착되어 있는 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을, 각각, 선단 전극(49a) 및 링형상 전극(49b·49c)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
그 결과,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선단 전극(46A, 47a, 48a, 49a)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링형상 전극(46b·46c, 47B·47c, 48b·48c, 49b·49c)에 대해서도,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 어느 배치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제1 발명)에 있어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는 링형상 전극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같이,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보다도 넓은 것인 경우에는,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는 링형상 전극의 수는 1개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제1 발명)에 있어서,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뻗어 나와 있는 카테터 선단부의 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여도 되고 5개 이상이어도 된다.
여기에, 도 10(1)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는, 카테터 본체(10)(선단 부재(12))의 선단으로부터 등각도(측면시에 있어서 약 120°)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나와 있는 3개의 카테터 선단부(131, 132, 133)와, 이들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141a, 142a, 143a)과,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2개씩 장착된 6개의 링형상 전극(141B·141c, 142b·142C, 143b·143c)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131)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141B)과, 제2 카테터 선단부(132)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142C)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본 발명(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이다.
또한, 도 10(2)에 나타내는 전극 카테터는, 카테터 본체(10)(선단 부재(12))의 선단으로부터 등각도(측면시에 있어서 약 72°)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뻗어 나와 있는 5개의 카테터 선단부(231, 232, 233, 234, 235)와, 이들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241a, 242a, 243a, 244a, 245a)과,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2개씩 장착된 10개의 링형상 전극(241B·241c, 242b·242C, 243b·243c, 244b·244c, 245b·245c)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231)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241B)과, 제2 카테터 선단부(232)에 장착된 링형상 전극(242C)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본 발명(제1 발명)의 전극 카테터이다.
도 10(1)~(2)에 나타낸 전극 카테터에 있어서도, X선 영상 상에 있어서의 모든 전극(선단 전극 및 링형상 전극)에 대해서, 어느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제2 발명)에 있어서,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되는 링형상 전극의 수는 2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모든 링형상 전극에 있어서 전극폭이 동일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전극 카테터는, 어블레이션 치료 후의 확인뿐 아니라, 각종 진단 또는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테터 선단부의 길이를 반경으로 하는 원내 영역의 전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맵핑 카테터로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전극 카테터
10 카테터 본체
11 튜브 부재
12 선단 부재
121 원통형상부분
122 보유·유지(保持)부분
20 제어 핸들
21 파지부(把持部)
22 회전판
31 제1 카테터 선단부
32 제2 카테터 선단부
33 제3 카테터 선단부
34 제4 카테터 선단부
311, 321, 331, 341 코어 부재
312, 322, 332, 342 피복 튜브
41a 선단 전극
41B·41c 링형상 전극
42a 선단 전극
42b·42C 링형상 전극
43a 선단 전극
43b·43c 링형상 전극
44a 선단 전극
44b·44c 링형상 전극

Claims (12)

  1. 하나 이상의 내공(內孔)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基端)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先端)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3개 이상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복수 개 장착된 링형상 전극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상이하며,
    다른 링형상 전극과는 전극폭이 상이한 상기 2개의 링형상 전극은, 각각이 장착되어 있는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배치 위치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3. 제2항에 있어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4. 하나 이상의 내공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3개 이상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선단 전극과,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1개 이상 장착된 링형상 전극을 구비해서 되고;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은,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과 상이하며,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은,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고,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6. 제5항에 있어서,
    4개의 카테터 선단부를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굴곡시키는 편향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8. 하나 이상의 내공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4개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전극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편향기구를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로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첫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과,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으로부터 두 번째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10. 하나 이상의 내공을 갖는 카테터 본체와,
    상기 카테터 본체의 기단에 접속된 제어 핸들과,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각도 간격으로 뻗어 나오는 4개의 카테터 선단부와,
    상기 카테터 선단부의 각각에 장착된 전극과,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카테터 선단부가 이루는 각을 이등분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굴곡시키는 편향기구를 구비해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로서,
    제1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선단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선단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고, 제1 카테터 선단부의 옆에 있는 제2 카테터 선단부에 장착된 1개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이, 그 밖의 링형상 전극의 전극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기구는, 상기 카테터 본체의 선단부분을, 당해 카테터 본체의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카테터.
  12. 삭제
KR1020127014097A 2010-01-23 2010-08-19 전극 카테터 KR101402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12643 2010-01-23
JP2010012643A JP5265589B2 (ja) 2010-01-23 2010-01-23 電極カテーテル
JPJP-P-2010-012642 2010-01-23
JP2010012642A JP5201636B2 (ja) 2010-01-23 2010-01-23 電極カテーテル
PCT/JP2010/064028 WO2011089750A1 (ja) 2010-01-23 2010-08-19 電極カテーテ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981A KR20120087981A (ko) 2012-08-07
KR101402543B1 true KR101402543B1 (ko) 2014-05-30

Family

ID=4430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97A KR101402543B1 (ko) 2010-01-23 2010-08-19 전극 카테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402543B1 (ko)
CN (1) CN102686178B (ko)
HK (1) HK1174815A1 (ko)
TW (1) TWI551310B (ko)
WO (1) WO2011089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29702B1 (es) * 2014-09-12 2015-09-29 Universitat Politècnica De València Catéter y método para la detección de actividad eléctrica en un órgano
CN106691578B (zh) * 2015-07-17 2020-01-24 上海微创电生理医疗科技有限公司 电生理导管
US10624554B2 (en) * 2016-01-14 2020-04-21 Biosense Webster (Israel) Ltd. Non-overlapping loop-type or spline-type catheter to determine activation source direction and activation source ty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102A (ja) * 1997-09-05 1999-07-13 Cordis Webster Inc 操作可能な全方向性カテ−テル
KR20020005466A (ko) * 2000-07-07 2002-01-17 카페주토 루이스 제이. 심장의 포텐셜의 바이폴라 매핑
JP2003235821A (ja) 2001-12-31 2003-08-26 Biosense Webster Inc 電気的マッピング能力および位置感知能力をそれぞれ有している多数のとげ状突起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20050016063A (ko) * 2003-08-01 2005-02-21 바이오센스 웹스터 인코포레이티드 전극 스트립을 갖는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239A (en) * 1992-06-30 1998-07-21 Cordis Webster, Inc. Unique electrode configurations for cardiovascular electrode catheter with built-in deflection method and central puller wire
CN1147964A (zh) * 1995-10-17 1997-04-23 郭伟 组合电极导管
JP3529537B2 (ja) * 1996-03-25 2004-05-24 テルモ株式会社 電極カテーテル
US6219582B1 (en) * 1998-12-30 2001-04-17 Daig Corporation Temporary atrial cardioversion catheter
US7949395B2 (en) * 1999-10-01 2011-05-24 Boston Scientific Neuromodulation Corporation Implantable microdevice with extended lead and remote electrode
US7407503B2 (en) * 2004-12-21 2008-08-05 Ethicon Endo-Surgey, Inc. Medical-treatment electrode assembly having treatment-monitoring appl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8102A (ja) * 1997-09-05 1999-07-13 Cordis Webster Inc 操作可能な全方向性カテ−テル
KR20020005466A (ko) * 2000-07-07 2002-01-17 카페주토 루이스 제이. 심장의 포텐셜의 바이폴라 매핑
JP2003235821A (ja) 2001-12-31 2003-08-26 Biosense Webster Inc 電気的マッピング能力および位置感知能力をそれぞれ有している多数のとげ状突起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20050016063A (ko) * 2003-08-01 2005-02-21 바이오센스 웹스터 인코포레이티드 전극 스트립을 갖는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6178B (zh) 2014-10-15
TW201125601A (en) 2011-08-01
KR20120087981A (ko) 2012-08-07
HK1174815A1 (en) 2013-06-21
TWI551310B (zh) 2016-10-01
CN102686178A (zh) 2012-09-19
WO2011089750A1 (ja)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436B1 (ko) 전극 카테터
JP2021098094A (ja) マルチ電極アレイ・カテーテル用バスケット
JP6482337B2 (ja)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JP2012130392A (ja) 電極カテーテル
JP2001245864A (ja) マッピング組立体を有するカテーテル
KR20140140048A (ko) 전극 카테터
EP3178386B1 (en) Catheter
KR101402543B1 (ko) 전극 카테터
JP6116505B2 (ja) 温度センサ付電極カテーテル
JP5339630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6113682B2 (ja)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WO2018037594A1 (ja) 医療機器用ハンドルおよび医療機器
JP5317131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4925210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5265589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5201636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4925206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7135202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6219805B2 (ja) 電極カテーテル
JP7033672B2 (ja) カテーテル
WO2019171695A1 (ja) 心腔内除細動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