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49B1 - 남성용 비데장치 - Google Patents

남성용 비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49B1
KR101402149B1 KR1020120033709A KR20120033709A KR101402149B1 KR 101402149 B1 KR101402149 B1 KR 101402149B1 KR 1020120033709 A KR1020120033709 A KR 1020120033709A KR 20120033709 A KR20120033709 A KR 20120033709A KR 101402149 B1 KR101402149 B1 KR 10140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ter
bidet
insertion groov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190A (ko
Inventor
이연숙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113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8Night cabinets or tables with closets or bidet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성용 비데장치에 관한 것으로, 비데장치의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는 노즐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노즐 수납함을 일체로 구비하며, 물/바람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배관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밀착 조립될 수 있는 배관 연결부가 노즐 수납함의 몸통을 관통하여 그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배관 연결부로부터 그 전방으로 노즐이 연설되어 노즐 수납함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남성용 비데장치를 제공하여, 개인 위생 및 노즐의 청결 문제를 해결하고, 노즐 보관을 위한 조작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남성용 비데장치{A bidet for mail}
본 발명은 남성용 비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장치의 노즐을 남성용 소변기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설치된 수도 배관에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하고 노즐의 수납과 인출 및 그 사용이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성들의 소변 후 개인적인 위생 및 청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여 고령자의 위생을 청결하게 함으로써 고령자의 이미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물을 사용한 세정기를 말한다. 즉,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고 난 후, 휴지를 사용하는 대신에 물을 사용하여 뒷처리를 할 수 있는 세정수단이 비데이다.
이러한 비데는 항문에 묻어있는 변을 휴지로 해결하지 않고, 물로서 깨끗하게 세척하여 주는 것으로서, 기구 중앙부에서 물이 분출되어 부드럽게 항문과 그 주변을 세척하여 주므로서, 치질, 방광염, 질염, 설사로 인한 쓰라림 등을 해소할 수 있고, 이렇게 신체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질병의 치료차원에서도 큰 효과가 있는 등 근래에 와서는 비데의 사용이 매우 보편화되고 있다.
한편, 남성들의 경우 화장실 사용시 서서 소변을 보게 되는데, 소변 후 남아 있는 잔뇨를 제거하다 손에 묻는 경우가 빈번하게 있고, 또 팬티에 잔뇨로 인한 얼룩이 생기는 일이 많아 불쾌한 기분을 갖게 되는 등 남성들의 경우 개인 위생 및 청결 문제에 있어 편의시설 측면 등이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서의 의존 노인의 경우, 위와 같은 문제들에 취약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고령화 노인들의 타인 의존도를 감소시켜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삶의 존엄성을 지켜주는 것이 필요하고, 결국 고령화 노인들의 위생을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고령화 노인의 이미지를 높여줄 수 있는 비데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에 의해 개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22396호(명칭 :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에 의하면, 소변기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는 남성용 비데를 이용하여 국부를 청결하게 세척함으로써, 손은 물론 팬티까지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 남성들의 소변 후 개인적인 위생 및 청결 문제를 근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소변기는 남성용 비데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즐의 설치가 번거롭고 수납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장실 청소시나 비데 사용시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비데장치의 노즐 단부가 주변 환경에 노출되어 있어 개인 위생 및 청결 문제를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남성용 소변기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설치된 수도 배관에 비데장치의 노즐을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화장실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남성용 비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노즐의 수납과 인출이 간단한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비데장치의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위생 및 노즐의 청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남성용 비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데장치의 노즐을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노즐의 보관과 사용을 위한 조작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남성용 비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물과 공기를 공급하는 물/바람 공급장치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있어서, 노즐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노즐 수납함을 일체로 구비하며, 물/바람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배관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밀착 조립될 수 있는 배관 연결부가 노즐 수납함의 몸통을 관통하여 그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배관 연결부로부터 그 전방으로 노즐이 연설되어 노즐 수납함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남성용 비데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소변기 본체와, 소변기 본체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내장된 물/바람 공급장치와,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토출구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있어서, 노즐은 화장실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도록 유동적으로 설치되며, 노즐이 설치된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노즐 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 삽입구를 통해 노즐의 단부를 끼워 수납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비데 수납부를 포함하여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남성용 비데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는, 소변기 본체와, 소변기 본체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내장된 물/바람 공급장치와,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토출구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있어서, 노즐은 화장실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도록 유동적으로 설치되며, 노즐이 설치된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노즐 삽입구를 형성하되, 노즐 삽입구의 개방부에 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여 노즐 삽입구로 노즐이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턱에 노즐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비데 수납부를 포함하여 노즐을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측벽에 수납 가능하도록 한 남성용 비데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남성용 비데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비데장치의 노즐을 소변기 본체 주변의 측벽에 설치된 수도 배관에 간단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화장실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설치 작업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비데장치의 노즐을 수납함에 자유롭게 보관 및 인출하여 사용하고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소변이 손에 묻는 문제, 소변으로 인해 팬티에 얼룩이 생기는 문제 등을 말끔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남성들의 개인적인 위생 및 청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세째, 간단한 조작으로 측벽에의 삽입 및 보관이 가능하게 되므로, 고령화 노인들의 소변 후 타인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도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삶의 존엄성을 지키면서 자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째, 남성들의 소변 후 손을 이용한 잔뇨의 제거 행위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소변기 주변, 특히 바닥부분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고, 결국 잦은 물청소 등의 번거로움이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비데장치에서 여닫이 커버를 개방하고 각각 노즐이 인출된 상태와 노즐이 수납된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과 도 3b는 도 1의 비데장치가 화장실 측벽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와 그 연결부(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노즐 동작 상태(물 분사 및 공기 분사)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상세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의 비 사용시 노즐의 수납상태와 인출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비데 수납부에 노즐이 수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남성용 비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비데장치에서 여닫이 커버를 개방하고 각각 노즐이 인출된 상태와 노즐이 수납된 상태를 각각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a과 도 3b는 도 1의 비데장치가 화장실 측벽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와 그 연결부(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남성용 비데장치는 노즐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노즐 수납함(50)의 형태로 구성되며, 남성용 소변기 본체(10) 주변의 화장실 측벽(1)에 설치되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수납함(50)의 전면에는 노즐 수납함의 내부 공간을 필요에 따라 전면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여닫이 커버(52)가 힌지 구조(52a)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노즐 수납함(50)의 내부 중앙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연결부(51)가 노즐 수납함(50)의 몸통에 일체로 형성되어 화장실 측벽의 물/바람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배관(2)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밀착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배관 연결부(51)로부터 그 전방으로 노즐(20A)이 조립 가능하게 연설되거나 또는 일체로 연설되어 노즐 수납함(50)의 외부로 노즐이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이 노즐 수납함(50)의 내부 공간의 상측에는 팬의 고정 및 수납을 위한 팬 수납함(53)이 일체로 형성되고 팬 수납함(53)의 내부에는 모터(54a)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팬(54)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동작 전원에 의해 모터 및 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팬 수납함(53)의 전면에는 팬조작을 위한 팬구동 버튼(53b)이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다수 개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통풍구(53a)를 형성하여 팬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노즐 수납함의 전면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배관 연결부(51)와 배관(2)의 연결시 그 대응하는 두 단부 사이에는 도 3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밀폐 링(55a)이 개재되고, 그 외주면에 와셔(56)가 긴밀하게 조립되 상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배관 연결부(51)와 노즐(20A)의 연결시 대응하는 두 단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링(57)을 사용하여 노즐이 긴밀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노즐(20A) 구성 및 그 동작 상태(물 분사 및 공기 분사)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상세도로서, 노즐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신축 또는 유동 가능한 주름관 형태의 플렉서블 관(21)으로 구성되며, 그 단부에 토출구(22)를 구비하여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게 구성되고, 토출구(22)의 후방쪽으로는 분사되는 물 또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노브(23), 및 조절되는 온도의 표시를 위한 온도 표시부(25)가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된다. 또한 토출구(22)의 후방쪽으로는 물 또는 바람을 각각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24a,24b)이 구비되어 이들 조작 버튼의 선택 여부에 따라 물 또는 바람의 선택적인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관(21)의 후단부는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 배관(2)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의 배관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배관과 바람을 공급받기 위한 또 다른 배관으로 구성되므로서, 외부의 수도 배관이나 컴프레서로부터 제공되는 물이나 바람이 내부 배관을 통해 플렉서블 관(21)으로 도입될 수 있게 구성 가능하다. 이때의 플렉서블 관(21)의 경우 하나의 통로로 물과 바람을 모두 공급할 수 있거나, 또는 내부에 각각 격리되는 두 개의 통로를 구비하여 물과 바람을 별도로 공급할 수 있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물과 바람이 각각 독자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2개의 관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1회 세척시 한번에 많은 양의 물이나 바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플렉서블 관(21)의 직경은 5~10mm 정도면 적당하다.
토출구(22)는 물 또는 바람을 분사하는 부분으로서, 플렉서블 관(21)의 끝 부분에 통상의 방식으로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렉서블 관(2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나 바람은 토출구(22)를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국부에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토출구(22)의 후방측에는 2개의 버튼(24a,24b)이 구비되어 각 버튼(24a,24b)의 ON/OFF 조작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 또는 바람이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때, 2개의 버튼 중 1개는 물 분사를 위한 것, 다른 1개는 바람 분사를 위한 것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데 사용시 물이나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토출구(22)의 뒷쪽으로는 회전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링 형태의 온도조절용 노브(23)가 동심원상으로 설치되고, 온도조절용 노브(23)에는 온도식별을 위한 표시부(25), 예를 들면 보통 온도의 세기를 나타내는 표식으로 많이 쓰이는 파란색과 붉은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길다란 삼각형 모양의 식별마크가 표시되어 있어서 이것을 보고 사용자가 물이나 바람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맞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시 엄지 등으로 온도조절용 노브(23)를 쉽게 돌리면서 물이나 바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에서 제공되는 물이나 바람이 플렉서블 관까지 공급되도록 배관을 구성하는 방법, 버튼이나 노브의 내부 회로 구성 방법, 버튼이나 노브의 조작신호에 따라 외부 설비인 보일러나 히터 등이 가동되도록 하는 전기적인 배선 방법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노즐(20A)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노즐 수납함(50)의 여닫이 커버(52)를 상측으로 열면 그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노즐(20A)은 바로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는 노즐(20A)을 꺼내어 세척 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노즐(20A)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노즐 수납함(50)에 수납시켜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세척을 원하는 경우 노즐(20A)을 꺼내 토출구(22)를 국부 가까이 대고 물 분사를 위한 버튼(24a)을 누르면, 배관(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플렉서블 관(21)을 거쳐 토출구(22)로 분사되므로 세척이 가능하게 되며, 이때, 온도조절용 노브(23)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조작하여 물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 조작방식은 한번 누를 때마다 반복해서 ON/OFF가 선택되는 공지의 원터치 버튼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세척시 주변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의 분사강도는 밸브(미도시) 등을 조작하여 미리 적절하게 조절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을 마친 후, 계속해서 바람 분사를 위한 버튼(24b)을 누르면,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바람이 플렉서블 관(21)을 거쳐 토출구(22)로 분사되므로 물기를 간편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세척시와 마찬가지로 온도조절용 노브(23)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조작하여 바람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노즐의 사용이 완료되면, 노즐 수납함(50)에 노즐(20)을 간단히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팬조작용 버튼을 이용하여 팬을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54a) 및 팬(54)의 동작에 의해 손 세척 후의 물기를 건조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여닫이 커버(52)를 닫아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의 비 사용시 노즐의 수납상태와 인출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비데 수납부에 노즐이 수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는 남성용 소변기 본체(10) 주변의 화장실 측벽(1)에 내장된 물/바람 공급장치(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외부로 분사하는 노즐(20), 노즐을 끼워 수납하는 비데 수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노즐과 비데 수납부는 소변기 본체(10)의 근처, 예를 들면 윗쪽에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들 도면에서는 수동으로 비데를 사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소변기 본체(10)는 개구부가 그대로 노출되는 보통의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미사용시 개구부를 마감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소변기 덮개(13)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기 본체의 개구부 앞쪽에는 국부를 걸친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는 U자형 홈부(11)가 마련되고, U자형 홈부에 착탈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소변기 본체(10)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 토출이 가능한 다수의 에어홀(12)이 형성되어 소변기 사용시나 비데 사용시 소변이나 물이 외부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국부 세척시 U자형 홈부(11)에 국부를 걸친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세척을 할 수 있다.
특히, U자형 홈부(11)에는 착탈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 예를 들면 연질의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재질의 커버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로써 국부를 걸칠 때 부드러운 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의 커버는 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여 가정용으로 사용될 경우 사용 후 가볍게 빼내어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공공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 냅킨 등과 같은 1회용 커버를 씌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에어홀(12)은 소변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공지의 에어배관(미도시)을 통해 외부의 에어 공급원, 예를 들면 컴프레서 등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소정의 스위치(미도시) 조작시 에어홀(12)을 통해 에어가 강하게 토출되므로, 소변기 사용시나 비데 사용시 소변이나 물이 바깥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노즐(20)은 상기 도 4a 및 도 4b의 노즐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데 설치부(30)는 소변기 본체(10)의 윗쪽으로 화장실 측벽(1)에 설치되며 노즐(20)의 관 전체를 수납하여 거치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 비데 설치부(30)는 소변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비데 수납부(40)에는 노즐(20)이 설치된 주변의 화장실 측벽(1)에 노즐 삽입구(41)가 형성되어, 이 노즐 삽입구(41)를 통해 노즐(20)의 단부를 끼워 수납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노즐 삽입구(41)에는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 삽입을 위한 노브 삽입홈(41a)과 노즐의 토출구 삽입을 위한 토출구 삽입홈(41b)이 개방부로부터 심부쪽으로 순차 형성된다. 특히 노브 삽입홈(41a)과 토출구 삽입홈(41b)은 단구조로 연설되되, 토출구 삽입홈(41b)의 직경이 온도조절용 노브(23)의 외경보다 작게 하여 토출구 삽입홈(41b)에 깊숙히 온도조절용 노브(23)가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 비데 수납부(40)는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삽입구(41)의 개방부에 소정 높이의 고정턱(42)을 일체로 형성하여 노즐 삽입구(41)로 노즐(20)이 삽입됨과 동시에 고정턱(42)에 노즐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거나 노즐을 살짝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분리되도록 구성하여, 노즐을 노즐 삽입구(41)에 삽입하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측벽에 수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노즐 삽입구(41)의 개방부는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23)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고, 노브 삽입홈(41a)은 노즐 삽입구(41)의 개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노즐 삽입구(41)의 개방부를 통해 노브 삽입홈(41a)에 삽입 및 안착된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23)가 노브 삽입홈(41a)의 내부에서 약간의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남성용 비데장치의 사용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즐(2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소변기 본체(10) 윗쪽의 비데 수납부(40)에 수납되어 있는 노즐(20)을 살짝 윗부분으로 들어올려 주게 되면 비데 수납부(40)의 고정턱(42)에 걸려 있던 온도 조절용 노브(23)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서, 노즐은 외부로 인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노즐(20)을 꺼내어 세척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노즐(20) 사용이 완료되면 비데 수납부(40)의 노즐 삽입구(41)에 노즐(20)을 삽입 및 수납시켜 노즐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세척을 원하는 경우 비데 수납부(40)에 수납 및 보관되어 있는 노즐(20)을 꺼내 노즐의 토출구(22)를 국부 가까이 대고 물 분사를 위한 버튼(24a)을 누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관(21)을 거쳐 토출구(22)로 분사되므로, 국부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이때, 온도조절용 노브(23)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조작하면, 물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 조작방식은 한번 누를 때마다 반복해서 ON/OFF가 선택되는 공지의 원터치 버튼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세척시 주변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의 분사강도는 밸브(미도시) 등을 조작하여 미리 적절하게 조절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물을 이용한 세척을 마친 후, 계속해서 바람 분사를 위한 버튼(24b)을 누르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이 관(21)을 거쳐 토출구(22)로 분사되므로, 물로 깨끗하게 세척한 국부의 물기를 간편하게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세척시와 마찬가지로 온도조절용 노브(23)를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조작하면, 바람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노즐의 사용이 완료되면, 비데 수납부(40)의 노즐 삽입구(41)에 노즐(20)을 삽입시켜 노즐을 청결하게 수납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노즐 삽입구(41)의 개방부로부터 노브 삽입홈(41a)과 토출구 삽입홈(41b)을 따라 노즐(20)을 삽입하게 되면, 단구조로 연설된 바깥쪽의 노브 삽입홈(41a)의 직경은 온도조절용 노브(23)의 외경보다 크고 안쪽의 토출구 삽입홈(41b)의 직경은 온도조절용 노브(23)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토출구 삽입홈(41b)에는 노즐의 토출구(22)가 안내되어 삽입되고 온도조절용 노브(23)는 단구조의 바깥쪽 홈인 노브 삽입홈(41a)에만 삽입된다. 이렇게 삽입된 노즐(20)은 노즐 삽입구(41)의 개방부 하부에 형성된 고정턱(42)에 의해 온도 조절용 노브(23)가 걸려 안착되면서, 비데 수납부(40)에 노즐(20)이 고정 및 수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변 후 국부 세척에 취약한 남성들에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남성용 비데를 소변기 일측에 구비하고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변 후 깨끗한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 국부 세척이 밀폐 형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이루어짐에 따라 소변기 주변을 어지럽히는 문제 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며, 노즐을 간단한 조작으로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남성들의 위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1 : 측벽 2 : 배관
10 : 소변기 본체 11 : U자형 홈부
12 : 에어홀 13 : 덮개
20,20A : 노즐 21 : 관
22 : 토출구 23 : 온도조절용 노브
24a,24b : 조작버튼 30 : 비데 설치부
40 : 비데 수납부 41 : 노즐 삽입구
41a : 노브 삽입홈 41b : 토출구 삽입홈
42 : 고정턱 50 : 노즐 수납함
51 : 배관 연결부 52 : 여닫이 커버
52a : 힌지구조 53 : 팬 수납함
53a : 통풍구 53b : 팬구동 버튼
54 : 팬 54a : 모터
55a : 밀폐 링 56 : 와셔
57 : 결합 링

Claims (15)

  1. 물과 공기를 공급하는 물/바람 공급장치와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을 수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노즐 수납함을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배관의 단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밀착 조립될 수 있는 배관 연결부가 상기 노즐 수납함의 몸통을 관통하여 그 배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관 연결부로부터 그 전방으로 상기 노즐이 연설되어 노즐 수납함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함의 전면에는 노즐 수납함의 내부 공간의 전면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여닫이 커버가 힌지 구조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수납함의 몸체 내부에는 팬의 고정 및 수납을 위한 팬 수납함이 형성되고 상기 팬 수납함의 내부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팬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 수납함의 전면에는 다수 개의 미세 구멍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부와 상기 배관의 대응하는 두 단부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밀폐 링이 개재되고, 그 외주면에 와셔가 긴밀하게 조립되는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6. 소변기 본체와, 소변기 본체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내장된 물/바람 공급장치와,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토출구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화장실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도록 유동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노즐이 설치된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노즐 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 삽입구를 통해 상기 노즐의 단부를 끼워 수납하거나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비데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노즐 삽입구는,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 삽입을 위한 노브 삽입홈과 노즐의 토출구 삽입을 위한 토출구 삽입홈이 개방부로부터 심부쪽으로 순차 형성되며, 상기 노브 삽입홈과 토출구 삽입홈은 단구조로 연설되되, 상기 토출구 삽입홈은 상기 온도조절용 노브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토출구 삽입홈에 온도조절용 노브가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7. 소변기 본체와, 소변기 본체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내장된 물/바람 공급장치와,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토출구로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남성용 비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화장실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자유롭게 인출 가능하도록 유동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노즐이 설치된 주변의 화장실 측벽에 노즐 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노즐 삽입구의 개방부에 고정턱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노즐 삽입구로 노즐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턱에 노즐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비데 수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삽입구는,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 삽입을 위한 노브 삽입홈과 노즐의 토출구 삽입을 위한 토출구 삽입홈이 개방부로부터 심부쪽으로 순차 형성되며, 상기 노브 삽입홈과 토출구 삽입홈은 단구조로 연설되되, 상기 토출구 삽입홈은 상기 온도조절용 노브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토출구 삽입홈에 온도조절용 노브가 삽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삽입구의 개방부는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노브 삽입홈은 상기 노즐 삽입구의 개방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 삽입구의 개방부를 통해 노브 삽입홈에 삽입 및 안착된 노즐의 온도조절용 노브가 상기 노브 삽입홈의 내부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10. 제1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관을 통해 연결되고 단부에 토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 또는 바람을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분사하며, 상기 토출구의 후방쪽으로는 분사되는 물 또는 바람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용 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후방쪽으로는 물 또는 바람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11. 제1항 또는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신축 및 유동 가능한 플렉시블관을 통해 상기 물/바람 공급장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소변기 본체의 윗쪽으로 화장실 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노즐의 관 전체를 수납하여 거치할 수 있는 비데 설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13.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개구부 앞쪽에는 국부를 걸친 상태에서 세척할 수 있는 U자형 홈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홈부에 착탈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의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15.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기 본체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 토출이 가능한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되어 소변시나 비데 사용시 소변이나 물이 외부쪽으로 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용 비데장치.
KR1020120033709A 2011-04-04 2012-04-02 남성용 비데장치 KR101402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715 2011-04-04
KR20110030715 2011-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90A KR20120113190A (ko) 2012-10-12
KR101402149B1 true KR101402149B1 (ko) 2014-06-11

Family

ID=47282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709A KR101402149B1 (ko) 2011-04-04 2012-04-02 남성용 비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015B1 (ko) 2016-12-29 2019-09-03 공병성 비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396A (ko) * 2007-08-30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2396A (ko) * 2007-08-30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90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JP4728029B2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1382693B1 (ko)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변기 에어커튼 장치
JP2011106175A (ja) 温水洗浄便座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101402149B1 (ko) 남성용 비데장치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00091039A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KR200384276Y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70021550A (ko) 질 또는 항문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핸드비데
KR100893676B1 (ko)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
JP4722528B2 (ja) トイレ装置
JP2007167599A (ja) 男性用小型便器収納便座
KR100904539B1 (ko) 남성용 비데를 갖춘 소변기
KR101998129B1 (ko) 비데 노즐 세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170037204A (ko) 세정수 분사용 압축기를 구비한 착탈식 핸드비데
JP2004121504A (ja) シャワー装置
JP2002180519A (ja) 洋風便器装置
KR100494075B1 (ko) 휴대형 비데장치
JP2004116151A (ja) 衛生洗浄装置
CN218060608U (zh) 一种具有香薰功能的按压式冲洗洁身器
KR100822893B1 (ko) 남성용 비데
JP2000120143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4089465A (ja) 泡式シャワー浴システム
JPH0426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