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136B1 -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136B1
KR101402136B1 KR1020120034530A KR20120034530A KR101402136B1 KR 101402136 B1 KR101402136 B1 KR 101402136B1 KR 1020120034530 A KR1020120034530 A KR 1020120034530A KR 20120034530 A KR20120034530 A KR 20120034530A KR 101402136 B1 KR101402136 B1 KR 10140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edge
mold
res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274A (ko
Inventor
지용천
Original Assignee
지용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용천 filed Critical 지용천
Priority to KR102012003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136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3/00Veneer presses; Press plates; Plywood pres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재를 금형내에 안착하되 상기 판상재의 에지면이 금형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안착하는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과, 금형에 안착 된 판상재의 에지면과 금형 내측면간 이격 공간으로 액상의 우레탄계열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공정(S20)과, 상기 수지공급공정(S20)을 거친 판상재를 금형내에서 상온의 조건에서 자연경화시키는 경화공정(S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전과 같이 가구재를 이루는 판상재의 에지면을 가공 마감 처리하는데 있어서 에지밴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판상재의 에지면을 액상의 수지를 이용하여 처리하므로서, 에지면 가공에 따른 작업의 신속성과, 주변과의 조화로운 심미적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효과와, 가구 제작과정에서 원자재의 사용 후 버려지게 되는 잔재들이 다수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재의 잔재들 각 측면 즉 에지면에 액상의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잔재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판상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원자재의 이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버려지는 자재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판상재를 이루는 것을 목재에 국한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리패널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가구재를 이루기 위한 판상재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인테리어적 기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A BOARD EDG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판상재의 에지면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구재 등으로 이용되는 판상재의 에지면을 수지를 이용하여 가공하므로서, 에지면 가공면의 다양한 무늬 및 색상 표현에 의한 연출효과는 물론, 에지면의 자연스러운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구의 경우 일반적으로 합판이나 목재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MDF 또는 P.B등의 패널로 형성한 후 사용하거나 또는 원목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특히 MDF 패널등을 이용하여 가구재를 형성할 때 가구의 표면이나 내면측으로는 통상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필름류나 종이류 등의 마감재에 의해 마감처리된다.
특히 가구재의 에지 부분은 상술한 마감재의 경우보다 더 두터운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로 처리되어 지는데, 이러한 에지 마감재는 가구에서의 에지 부분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구성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부여하게 되는 에지 마감재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께가 얇은 박판 에지 마감재, 경질 PVC 및 연질 PVC의 마감재로 나뉘어지는데, 이러한 종류의 박판 에지 마감재는 비교적 얇은 두께(예를 들면 2 mm)를 가지며 PVC 또는 PP(폴리프로필렌)로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제조되어 가구재 패널의 측면과 모서리 부분 및 라운딩되는 모서리 부분에 적용하게 된다.
이러한 에지마감재는 주로 띠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에지마감재 표면으로는 다양한 무늬를 인공적으로 형성시켜 미감을 불러 있으킬 수도 있는데, 이러한 에지마감재를 가구재 패널 에지부분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에지벤딩기를 구비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에지벤딩기를 이용하여 에지마감재 등을 가구재의 에지면에 접착 하는 과정을 통하여, 가구재의 에지부분에 대한 가공 작업이 완료되는데, 접착제가 에지밴드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 접착제를 수작업으로 하며 접착하는 번잡함과 미관을 크게 해치게 됨은 물론, 접착력의 한계가 있다.
아울러, 접착된 에지벤드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되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더구나 수분에 취약하여 수분 등 습기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수분을 흡수한 에지벤드는 쉽게 떨어짐은 물론, 가구재를 이루는 판상재가 부풀어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지적된 바 있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주변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의 접착 작업시에는 접착제가 응고되거나 접착력이 저하되어 에지밴드와 에지면간 접착력이 크게 저하되어 부분적으로 에지밴드가 들뜨는 현상을 갖게 되는 등 제품의 신뢰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에지밴드를 이용하여 가구재의 에지면을 수작업에 의해 접착하던, 아니면 에지밴딩기를 이용하여 접착하건 그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또는 에지밴드 외주면측으로 접착제가 도출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 되어 작업상 능률이 저하되거나 미관을 크게 해치는 등의 문제점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특허등록 제 10-0572324 호(2006. 04. 24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가구재의 에지면을 마감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에지벤드를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가구재 에지면에 액상의 수지를 금형을 이용하여 마감 처리하므로서 가구재 에지면의 가공 작업의 간편성과 신속성으로 인한 작업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작업 후 가공된 에지면의 심미적 효과를 상승시켜 가구를 이용한 인테리어 효과를 한층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재의 에지면과 완전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떨어지지 않음은 물론, 수분 등 물에 강한 내성을 갖도록 하면서도 반영구적인 판상재를 얻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재 뿐만 아니라 가구 제작 후 버려지는 잔재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가구재 패널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재의 에지면을 가공 처리할 때,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적 효과 부여가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공간의 연출 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 패널들을 이용하여 판상재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잔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상재를 얻은 후 각 단위판상재를 조합하여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 사이에 액상의 수지를 주입 충진하여 접합하여서 되는 판상재를 금형내에 안착하되 상기 판상재의 에지면이 금형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안착하는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과, 상기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을 통해 금형에 안착 된 판상재의 에지면과 금형 내측면간 이격 공간으로 액상의 우레탄계열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공정(S20)과, 상기 수지공급공정(S20)을 거친 판상재를 금형내에서 상온의 조건에서 자연경화시키는 경화공정(S30)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가 접하는 부위면의 각 측면 하단부에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부 상방으로 형성되는 수지충진부에 액상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고, 단위판상재간의 접합에 의한 전체 판상재의 최외곽 에지면은 평활한 면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잔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상재를 얻은 후 각 단위판상재를 조합하여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 사이에 액상의 수지를 주입 충진하여 접합하여서 되는 판상재의 에지면과 이격되는 에지마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에지면과 에지마감부재간을 이격 고정하기 위한 심부재를 이용하여 이격되도록 한 후 금형내에 안착하되 상기 판상재의 에지면이 금형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안착하는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과, 상기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을 통해 금형에 안착 된 판상재의 에지면과 금형 내측면간 이격 공간으로 액상의 우레탄계열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공정(S20)과, 상기 수지공급공정(S20)을 거친 판상재를 금형내에서 상온의 조건에서 자연경화시키는 경화공정(S30)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가 접하는 부위면의 각 측면 하단부에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부 상방으로 형성되는 수지충진부에 액상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고, 단위판상재간의 접합에 의한 전체 판상재의 최외곽 에지면은 평활한 면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종전과 같이 가구재를 이루는 판상재의 에지면을 가공 마감 처리하는데 있어서 에지밴드 등을 이용하는 것으로부터 탈피하여, 판상재의 에지면을 액상의 수지를 이용하여 처리하므로서, 에지면 가공에 따른 작업의 신속성과, 주변과의 조화로운 심미적 인테리어 효과를 배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구 제작과정에서 원자재의 사용 후 버려지게 되는 잔재들이 다수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자재의 잔재들 각 측면 즉 에지면에 액상의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잔재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완성된 판상재를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원자재의 이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버려지는 자재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구재의 판상재를 이루는 것을 목재에 국한하지 않고, 유리패널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가구재를 이루기 위한 판상재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인테리어적 기대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재 에지면의 수지와 판상재간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어 이에 따른 내구성의 증가와, 판상재에 외부로부터 전해질 수 있는 외력에 파손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흐름도
도 2는 판상재가 금형내에 안착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와 같이 금형내 안착된 판상재의 에지면과 금형 내측면간 이격공간으로 액상의 수지가 주입 충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 내지 도 3에 의해 판상재의 에지면이 가공되어 경화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판상재 에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일재질의 에지마감부재를 형성하여 가공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의한 판상재와 에지마감부재간 이격된 상태에서 금형내에 안착된 후 상기한 이격공간으로 액상의 수지를 주입 충진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잔재를 이용하여 완성된 판상재를 형성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와 같이 잔재를 이용하는 단위판상재를 금형내에 각각 안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와 같이 단위판상재들이 금형내에 안착 된 상태에서 액상 수지의 주입 충진 후 경화되어 완성된 판상재를 얻게 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에지면이 다양한 형태의 기하학적 모양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가구재의 일부분에 파여지는 홈 등의 에지면에 대한 가공이 가능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목재류의 판상재와, 상기 판상재의 일면에 재질이 다른 유리재를 이용하여서 되는 완성된 판상재의 한 형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을 시계열순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첨부하는 도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재를 금형내에 안착하는 안착공정(S10)과, 판상재의 측면인 에지면과 금형간 이격 공간으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공정(S20), 상기 수지공급공정(S20)에 의해 이격 공간으로 충진된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공정(S30)으로 이루어진다.
안착공정 - S10
본 공정은 가구재를 이루는 판상재(100)를 금형(200)에 안착하는 공정이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재(100)를 금형(200)에 안착할 때, 상기 판상재(100)의 에지면(110)과 금형(200)의 내측면간에는 이격공간(210)이 형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의 이격공간(210)으로는 후술하게 될 수지 등이 주입 충진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이격공간(210)으로는 액상의 수지가 주입, 경화되며 기존의 에지밴드와 같이 에지면(110)을 마감 처리하게 되는 역할을 갖게 된다.
한편 도 5 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한 판상재(100)의 에지면(110)을 판상재(10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재(100)의 에지면(110)과 이격되는 에지마감부재(120)를 구비하되 상기 에지마감부재(120)와 에지면(110)간의 이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심부재(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심부재(130)에 의해 형성된 이격공간(210')으로 액상의 수지를 충진 하여, 경화과정을 거치며 판상재(100)의 에지면(110) 가공 과정이 완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심부재(130)는 에지면(110)과 에지마감부재(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되 상하로 각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판상재(100)는 주로 목재류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상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상재(100)를 이용할 경우, 그 판상재(100)의 에지면(110)으로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지마감부재(120)를 이용하고 상기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상재(100)와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에지마감부재(120)간을 심부재(130)를 이용하여 이격공간(21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판상재(100)가 유리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한 심부재(130)는 동일하게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판상재(100)의 에지면(110)과 에지마감부재(120)간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상재(100)와 에지마감부재(120)가 투명하게 이루어질 경우이나, 예컨데 유리재질의 판상재(100)와 에지마감부재(120)에 색상이 가미될 경우에는 심부재(130)는 목재류를 이용하더라도 유용할 것이며, 유리재질로 되는 판상재(100)와 에지마감부재(120)간 접착력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재질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판상재(10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폐자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8 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잔재를 단위판상재(140)라 칭하기로 한다.
즉 단위판상재(140)는 다수의 조각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주로 사각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단위판상재(140)를 이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판상재(10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단위판상재(140)와 단위판상재(140)간 접하는 부위에서 수지가 충진 될 수 있는 수지충진부(150)를 구성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단위판상재(140)간 상호 접하는 측면 하단으로 각각 돌부(141)를 형성하여 상호 맞대도록 구성하고, 단위판상재(140)의 조합에 의해 하나의 완성된 판상재(100)를 이루게 되는 최외곽의 에지면(110)은 일자 형태로 평활한 에지면(110)을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수지공급공정 - S20
본 공정은 액상의 수지를 상기한 안착공정(S10)에 의해 금형에 안착되어 있는 판상재(100)의 에지면(110)과 금형(200)의 내주면간 이격공간(210)으로 주입 충진하기 위한 공정이다.
본 발명에서의 수지는 우레탄계열의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수지공급공정(S20)에 의하면, 전술한 것과 같이 판상재(100)의 에지면(110)과 금형(200) 내측면간의 이격공간(210)을 통해 액상 수지가 주입 충진되거나 또는 판상재(100) 및 그 판상재(100)와 동일재료로 형성되는 에지마감부재(120)간을 심부재(130)에 의해 고정되며 이격되어 형성되는 이격공간(210)으로 액상 수지가 주입 충진 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수지공급공정(S20)에 의해 판상재(100)의 에지면(110) 가공이 이루어지며 도 4 에서와 같은 완성된 판상재(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판상재(100)의 에지면(110)으로부터 이격되는 동일재질의 에지마감부재(120)를 활용할 경우에도 판상재(100)와 에지마감부재(120) 사이의 이격공간(210')으로 액상의 수지가 주입 충진되도록 하거나,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상재(100)를 이용하여 에지면(110)이 가공된 완성된 판상재(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가구재의 잔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상재(140)를 얻은 상태에서, 각 단위판상재(140)를 상호 조합하며 수지에 의해 접착되도록 하며 최외곽 에지면(110)에는 전술한 방법을 통하여 완성된 하나의 형태를 갖는 판상재(100)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은 상기한 실시예와는 다른 예로서 예컨데 MDF나 P.B와 같은 목재류와, 목재류가 아닌 소재를 혼용하여 판상재를 얻을 수 있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1 에서 보듯이 목재류로 이루어지는 판상재(100)의 상면에 유리(300)를 적층하고, 판상재(100)의 에지면(110)과 유리(300)의 측면간을 에지처리하도록 금형(200)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수지를 공급하여 경화시키게 되면 유리(300)재와 목재류로 이루어지는 판상재(100)간 결합이 이루어지며 완성된 하나의 판상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경화공정 - S30
상기와 같이 수지공급공정(S20)을 통해 금형(200)에 안착 되어 있는 목재류의 판상재(100)나 유리재질의 판상재(100) 또는 가구재를 제조한 후 남게 되는 잔존하는 잔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상재(140)를 조합하며 완성 시킨 판상재 등을 금형(200)내에서 상온의 조건을 유지하며 자연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거쳐 완성된 판상재(100)를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의 판상재(100)는 직사각형태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 에서와 같이 원형태 또는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가구재 등에서도 적용 가능하게 될 것인바, 종전과 같은 띠 형태의 에지밴드와 벤딩기 등의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주로 직사각형태의 판상재에 대한 에지면의 가공에만 국한 될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판상재의 모양이나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자유로운 형태에 의하여도 능동적 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판상재(100)의 에지면(110) 형태가 곡선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기하학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에지면(110)의 가공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S10;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
S20; 수지공급공정
S30; 경화공정
100; 판상재 110; 에지면
120; 에지마감부재 130; 심부재
140; 단위판상재 141; 돌부
150; 수지충진부 200; 금형
210; 이격공간

Claims (6)

  1.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잔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상재를 얻은 후 각 단위판상재를 조합하여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 사이에 액상의 수지를 주입 충진하여 접합하여서 되는 판상재를 금형내에 안착하되 상기 판상재의 에지면이 금형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안착하는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과, 상기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을 통해 금형에 안착 된 판상재의 에지면과 금형 내측면간 이격 공간으로 액상의 우레탄계열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공정(S20)과, 상기 수지공급공정(S20)을 거친 판상재를 금형내에서 상온의 조건에서 자연경화시키는 경화공정(S30)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가 접하는 부위면의 각 측면 하단부에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부 상방으로 형성되는 수지충진부에 액상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고, 단위판상재간의 접합에 의한 전체 판상재의 최외곽 에지면은 평활한 면을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가구재를 제작한 후 남게 되는 잔재를 이용하여 단위판상재를 얻은 후 각 단위판상재를 조합하여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 사이에 액상의 수지를 주입 충진하여 접합하여서 되는 판상재의 에지면과 이격되는 에지마감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에지면과 에지마감부재간을 이격 고정하기 위한 심부재를 이용하여 이격되도록 한 후 금형내에 안착하되 상기 판상재의 에지면이 금형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안착하는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과, 상기 판상재의 금형내 안착공정(S10)을 통해 금형에 안착 된 판상재의 에지면과 금형 내측면간 이격 공간으로 액상의 우레탄계열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공급공정(S20)과, 상기 수지공급공정(S20)을 거친 판상재를 금형내에서 상온의 조건에서 자연경화시키는 경화공정(S30)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위판상재와 단위판상재가 접하는 부위면의 각 측면 하단부에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호 접한 상태에서 상기 돌부 상방으로 형성되는 수지충진부에 액상 수지가 충진되도록 하고, 단위판상재간의 접합에 의한 전체 판상재의 최외곽 에지면은 평활한 면을 갖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6. 삭제
KR1020120034530A 2012-04-03 2012-04-03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KR101402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30A KR101402136B1 (ko) 2012-04-03 2012-04-03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30A KR101402136B1 (ko) 2012-04-03 2012-04-03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74A KR20130112274A (ko) 2013-10-14
KR101402136B1 true KR101402136B1 (ko) 2014-06-03

Family

ID=4963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530A KR101402136B1 (ko) 2012-04-03 2012-04-03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04B1 (ko) 2020-12-14 2021-09-02 (주) 투템디자인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9392B2 (ko) * 1979-04-13 1982-10-21
JPS5850589B2 (ja) * 1979-03-31 1983-11-11 ヤマハ株式会社 化粧合板の切断端面仕上法
JP2976005B2 (ja) * 1991-03-05 1999-11-10 アイカ工業株式会社 樹脂エッジ付き天板の製造方法
KR20110013694A (ko) * 2009-08-03 2011-02-10 (주)캠퍼스라인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복합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589B2 (ja) * 1979-03-31 1983-11-11 ヤマハ株式会社 化粧合板の切断端面仕上法
JPS5749392B2 (ko) * 1979-04-13 1982-10-21
JP2976005B2 (ja) * 1991-03-05 1999-11-10 アイカ工業株式会社 樹脂エッジ付き天板の製造方法
KR20110013694A (ko) * 2009-08-03 2011-02-10 (주)캠퍼스라인 테두리에 인조대리석을 갖는 불연복합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불연복합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904B1 (ko) 2020-12-14 2021-09-02 (주) 투템디자인 테이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74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9998B1 (ko) 천연무늬목을 이용한 화장판 및 마루판의 제조 방법
KR101833858B1 (ko) 중밀도 섬유판의 엣지 접착 방법
US7960004B2 (en) Glue-laminated bamboo furniture
CN103821317B (zh) 一种实木复合正方形拼花地板及其制作方法
KR101402136B1 (ko) 판상재의 에지면 가공방법
US8347506B2 (en) Method for producing engineered wood flooring and product
DE502005010354D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rbundteils durch spritzgiessen oder spritzprägen oder hinterpressen von kunststoffmaterial
KR20100134864A (ko)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KR101192006B1 (ko) 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핸들프리도어
CN202430932U (zh) 瓷塑装饰板
KR101627469B1 (ko) 상판 분리형 마루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상판 분리형 마루판
JP2008001058A (ja) 化粧ボード
CN112917630A (zh) 一种新型木质地板及其制造方法
JP5618761B2 (ja) ラミネート建材の製造方法
US9394688B2 (en) Compose stave flooring,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rrective maintenance of same
KR100936717B1 (ko) 목재를 사용하는 가방의 제조방법
US20150050449A1 (en) Flooring having pla layer
CN204054250U (zh) 一种竹木塑复合建筑模板
CN211250415U (zh) 一种带封条的竹塑胶合板
CN220734868U (zh) 一种防开裂的多层实木板材
KR100324485B1 (ko) 문양장식편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CN110405874B (zh) 艺术地板的制作方法
CN212097866U (zh) 吸塑模压板材及家具
KR20100060117A (ko) 도어 문틀용 지지판을 목재로 성형하는 방법 및 그 지지판
CN2401353Y (zh) 一种竹木人造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