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091B1 -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091B1
KR101402091B1 KR1020130060416A KR20130060416A KR101402091B1 KR 101402091 B1 KR101402091 B1 KR 101402091B1 KR 1020130060416 A KR1020130060416 A KR 1020130060416A KR 20130060416 A KR20130060416 A KR 20130060416A KR 101402091 B1 KR101402091 B1 KR 10140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taping
guide
rotation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130060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6Applying adhesive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12Feeding flexible bags or carton blanks in flat or collapsed state; Feeding flat bags connected to form a series or chain
    • B65B43/14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 B65B43/22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ollers
    • B65B43/225Feeding individual bags or carton blanks from piles or magazines by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arton blanks

Abstract

본 발명은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되는 박스를 회전시켜 박스에 다양한 방향으로 테이핑을 하여 박스를 견고하게 포장할 수 있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는,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가 구비되어 상부에 놓인 박스를 이송시키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를 이송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1테이핑부와; 상기 테이블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를 상기 제1테이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2테이핑부와; 상기 박스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박스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후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부에 도달한 박스는, 상기 회전부 및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2테이핑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 APPARATUS FOR TAPING AND ROTATING BOX }
본 발명은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송되는 박스를 회전시켜 박스에 다양한 방향으로 테이핑을 하여 박스를 견고하게 포장할 수 있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박스는 내부에 포장할 상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상하면이 개구(開口)된 형태의 본체와, 이 본체의 상하면에 형성된 개구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개구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상면 및 하면 덮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장용 박스를 이용하여 상품을 포장하고자 하는 경우, 통상 본체의 내부에 포장할 상품을 넣고, 상하면의 덮개로 개구를 덮은 상태에서 중심부의 경계선을 따라 테이프를 접착하게 되는데, 이를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 다수의 작업자가 투입되고 포장에 필요한 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박스 테이핑 장치를 통해 박스 포장의 자동화를 실현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박스 테이핑 장치는, 박스가 이동하는 방향으로만 테이핑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으로 견고하게 테이핑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테이핑을 하거나, 1차 테이핑된 박스를 작업자가 회전시켜 다시 테이핑장치에 넣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으로 박스를 테이핑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8029호 (2008년10월02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0938호 (2010년11월17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송되는 박스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다양한 방향으로 견고하게 테이핑할 수 있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는,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가 구비되어 상부에 놓인 박스를 이송시키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를 이송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1테이핑부와; 상기 테이블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를 상기 제1테이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2테이핑부와; 상기 박스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박스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후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부에 도달한 박스는, 상기 회전부 및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2테이핑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테이블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놓이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향전환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보다 상기 테이블의 일측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상기 테이블의 타측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된 상기 박스는 상기 방향전환돌기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방향전환돌기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박스에 접하여 회전하는 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돌기와 이격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박스에 접하여 상기 박스의 수평방향 회전을 안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송되는 박스를 회전부를 통해 자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테이핑부와 제2테이핑부에서 상기 박스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견고하게 테이핑할 수 있다.
특히, 제1테이핑부와 제2테이핑부 모두가 박스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핑을 하지만, 회전부에 의해 박스를 자동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박스에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테이핑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테이핑부와 제2테이핑부 모두가 박스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핑을 하기 때문에, 테이핑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박스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견고하게 테이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서 박스가 제1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상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이송된 박스가 회전부에 접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박스가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박스가 회전부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박스가 제2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상태의 평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는, 테이블(10)과, 제1테이핑부(20)와, 제2테이핑부(30)와, 제1가이드부(40)와, 제2가이드부(50)와, 회전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10)은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15)가 구비되어 상부에 놓인 박스(80)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15)는 상기 박스(8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테이핑부(20)를 통과한 상기 박스(80)가 상기 제1가이드부(40)와 제2가이드부(50)를 따라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테이핑부(20) 및 제2테이핑부(3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테이핑장치와 동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이 구조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테이핑부(20)는 상기 테이블(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80)를 이송방향으로 테이핑한다.
상기 제2테이핑부(30)는 상기 테이블(10)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80)를 이송방향으로 테이핑한다.
즉, 상기 제1테이핑부(20)와 제2테이핑부(30)는 모두 상기 박스(80)가 이송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박스(80)를 테이핑한다.
상기 제1가이드부(40)는 상기 박스(8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8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2가이드부(50)는 상기 제1가이드부(40)의 후방에서 상기 박스(80)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80)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회전부(60)는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기 제1가이드부(40)와 제2가이드부(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가이드부(40)를 따라 이동한 상기 박스(80)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박스(80)는 상기 회전부(6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90도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회전부(60)는 기본적으로 구동모터(61)와 회전판(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61)는 상기 테이블(10)에 장착된다.
상기 회전판(62)은 상기 구동모터(61)에 의해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40)와 제2가이드부(5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롤러(15)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40)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80)는, 상기 회전판(62)의 상부에 도달하여 놓이게 되고, 상기 회전판(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80)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박스(80)가 상기 제1테이핑부(20)에 의해 테이핑된 후 상기 제1가이드부(4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부(60)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회전부(60) 및 구동롤러(15)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80)는 수평방향으로 90도 정도 회전된 후 상기 제2가이드부(50)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2테이핑부(30)로 안내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62)은 상기 박스(80)의 수평회전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박스(8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60)는 상기 회전판(62)의 회전중심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향전환돌기(6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방향전환돌기(63)는 상기 제1가이드부(40)보다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상기 테이블의 타측에 더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방향전환돌기(63)는 상기 제1가이드부(40)보다 상기 테이블(10)의 안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이드부(40)를 따라 이송된 상기 박스(80)는 상기 방향전환돌기(63)에 부딪혀 이송이 잠지 멈추게 되고, 이렇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62)에 의해 상기 박스(80)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60)는 추가적으로 상기 방향전환돌기(63)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아이들롤러(6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아이들롤러(64)는 상기 방향전환돌기(63)와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박스(80)가 이동하여 상기 방향전환돌기(63)에 접하기 전에 상기 아이들롤러(64)에 접하게 되고, 상기 회전판(62)에 의해 상기 박스(80)가 회전될 때 상기 박스(80)에 접하고 있는 상기 아이들롤러(64)는 상기 박스(8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박스(80)가 보다 잘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10)의 일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40)와 상기 회전판(62) 사이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70)는 상기 방향전환돌기(63)와 이격되어 있으며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상기 가이드롤러(70)는 상기 회전부(60)에 의해 수평회전하는 박스(80)에 접하여 상기 박스(80)가 상기 테이블(10)로부터 낙하됨이 없이 수평방향으로 보다 잘 회전되도록 안내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에서 박스가 제1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이송된 박스가 회전부에 접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박스가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박스가 회전부에 의해 90도 회전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박스가 제2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상기 테이블(10)에 장착된 구동롤러(15)에 의해 이송되는 박스(80)는 가장 먼저 상기 제1테이핑부(20)에 의해 테이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테이핑부(20)가 상기 박스(80)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박스(80)의 양측을 제1테이프(21)로 테이핑하도록 하였다.
양측이 제1테이프(21)로 테이핑된 박스(80)는 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구동롤러(15)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부(40)를 따라 상기 회전부(6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구동롤러(15)에 의해 일부가 상기 회전판(62)의 상부에 놓이는 박스(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62)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판(62)은 상기 박스(80)의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어, 상기 박스(80)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보다 잘 회전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박스(80)는 상기 회전판(62)에 의해 회전되면서 모서리가 상기 아이들롤러(64)에 접하게 되고, 상기 박스(80)의 회전 및 이동에 의해 상기 아이들롤러(64)는 상기 박스(80)와 함께 회전되어 상기 박스(80)가 상기 회전판(62) 및 구동롤러(15)에 의해 보다 잘 수평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70)는 회전하는 상기 박스(80)의 다른 모서리에 접하여 상기 박스(80)가 상기 테이블(10)로부터 낙하되지 않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기 박스(80)가 보다 잘 회전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60)에 의해 수평회전된 박스(80)는 90도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2가이드부(50)에 접하면서 상기 구동롤러(15)에 의해 상기 제2테이핑부(30)로 이송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테이핑부(30)에 의해 상기 박스(80)는 중심부가 제2테이프(31)로 테이핑되어 테이핑작업이 완료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테이핑부(20)와 제2테이핑부(30)가 상기 박스(80)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핑을 하더라도, 상기 회전부(60)가 상기 박스(80)를 회전시켜주기 때문에, 최종 테이핑된 박스(80)는 직교방향으로 테이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테이핑부(20)와 제2테이핑부(30)가 상기 박스(80)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박스(80)를 테이핑을 하기 때문에, 테이핑하는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자동으로 박스(80)를 회전시켜 테이핑하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테이블, 15 : 구동롤러,
20 : 제1테이핑부, 21 : 제1테이프,
30 : 제2테이핑부, 31 : 제2테이프,
40 : 제1가이드부,
50 : 제2가이드부,
60 : 회전부, 61 : 구동모터, 62 : 회전판, 63 : 방향전환돌기, 64 : 아이들롤러,
70 : 가이드롤러,
80 : 박스,

Claims (6)

  1. 회전하는 다수개의 구동롤러가 구비되어 상부에 놓인 박스를 이송시키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를 이송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1테이핑부와;
    상기 테이블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송되는 상기 박스를 상기 제1테이핑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핑하는 제2테이핑부와;
    상기 박스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후방에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박스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사이에서 배치되어 상기 박스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테이핑부에 의해 테이핑된 후 상기 제1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회전부에 도달한 박스는, 상기 회전부 및 구동롤러의 회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된 후 상기 제2가이드부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상기 제2테이핑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테이블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와 제2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롤러에 의해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되는 박스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놓이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박스는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기 박스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회전판의 회전중심부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방향전환돌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향전환돌기는 상기 제1가이드부보다 상기 테이블의 일측의 맞은편에 배치되는 상기 테이블의 타측에 더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를 따라 이송된 상기 박스는 상기 방향전환돌기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판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방향전환돌기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상기 박스에 접하여 회전하는 아이들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의 일측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회전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향전환돌기와 이격되어 있으며 수직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하는 박스에 접하여 상기 박스의 수평방향 회전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KR1020130060416A 2013-05-28 2013-05-28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KR10140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416A KR101402091B1 (ko) 2013-05-28 2013-05-28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416A KR101402091B1 (ko) 2013-05-28 2013-05-28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091B1 true KR101402091B1 (ko) 2014-06-02

Family

ID=51131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416A KR101402091B1 (ko) 2013-05-28 2013-05-28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052A1 (en) * 2022-03-17 2023-11-08 ISHIDA CO., Ltd. Box pack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45A (ko) * 1996-07-19 1998-04-30 김광호 박스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19980014522U (ko) * 1998-03-20 1998-06-05 원영대 반자동 박스포장장치
KR20080088029A (ko) * 2007-03-28 2008-10-02 유호준 봉함기
KR20100120938A (ko) * 2009-05-07 2010-11-17 배백수 긴 박스 테이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045A (ko) * 1996-07-19 1998-04-30 김광호 박스포장장치 및 포장방법
KR19980014522U (ko) * 1998-03-20 1998-06-05 원영대 반자동 박스포장장치
KR20080088029A (ko) * 2007-03-28 2008-10-02 유호준 봉함기
KR20100120938A (ko) * 2009-05-07 2010-11-17 배백수 긴 박스 테이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3052A1 (en) * 2022-03-17 2023-11-08 ISHIDA CO., Ltd. Box pac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7480B2 (en) Transport device
US9457479B2 (en) Transport device
US9433994B2 (en) Centering device for plate-shaped workpiece
KR101656675B1 (ko) 로봇을 이용한 이송장치
TW200943469A (en) Loading tabl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system
US11305905B2 (en) Web packaging machines with variable depth forming
WO2015029126A1 (ja) フィーダ
KR101402091B1 (ko) 박스 방향전환 테이핑 장치
JP2009050985A (ja) 化粧枠取り付け装置
CN205346016U (zh) 一种包装工件输送装置
US7854308B2 (en) Flipping apparatus
KR101566420B1 (ko) 박스 하부 자동 테이핑장치
KR20190051382A (ko) 오픈형 포장 박스용 테이핑 장치
JP2006111280A (ja) 包装袋の供給用コンベア
KR20150022493A (ko) 박스 테이핑용 컨베이어 장치
KR20100120938A (ko) 긴 박스 테이핑 장치
JP6149805B2 (ja) 搬送装置
KR20160042401A (ko) 반송 장치 및 진공 장치
KR20160009317A (ko) 웨이퍼 카세트
KR101410432B1 (ko) 금속 테이핑 장치
TW201718372A (zh) 輸送裝置
JP6247000B2 (ja) フィルムフィーダおよび組立作業機
KR101514026B1 (ko) 자동 테이핑 장치
JP2011213470A (ja) 移送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KR101327192B1 (ko) 반도체 패키지용 테이프 릴 반송로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