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024B1 -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의 제제의 제조 및 퍼스널케어에서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의 제제의 제조 및 퍼스널케어에서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024B1
KR101402024B1 KR1020087013313A KR20087013313A KR101402024B1 KR 101402024 B1 KR101402024 B1 KR 101402024B1 KR 1020087013313 A KR1020087013313 A KR 1020087013313A KR 20087013313 A KR20087013313 A KR 20087013313A KR 101402024 B1 KR101402024 B1 KR 101402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cationic
acid
alk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6849A (ko
Inventor
지키앙 송
존 제닝스
지안웬 마오
Original Assignee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바 홀딩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6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08F8/32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by reaction with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 C08F226/0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 C08F226/04Dially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1Graft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30Introducing nitrogen atoms or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 C08G8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interreacting polymers in the absence of monomers, e.g. block polymers at least one of the polymers being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G81/024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sequences of polymers of C08C or C08F and of polymers of C08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smetic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이 기제 중합체 상에 존재하는 아미노 기의 일부와 적어도 반응성인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공중합체는 퍼스널 케어 및 화장품 제제에서 유용하다.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 아미노 기, 관능성 화합물, 수용성, 퍼스널 케어, 화장품 제제

Description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의 제제의 제조 및 퍼스널 케어에서 그의 용도{Preparation of functionalized cationic 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personal care}
본 발명은 관능화된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이들의 제조방법, 및 퍼스널 케어(personal care) 적용에서 이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퍼스널 케어, 물 처리, 제지, 무기질 가공, 석유 회수, 직물 및 약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들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양이온성 중합체는 디알릴디알킬 암모늄 화합물의 4급 암모늄 중합체이다.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ADMAC)의 중합체는 가정 및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쿼터늄 6으로 공지되어 있고 또 피부 및 모발 케어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모발 케어 분야에서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염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사용은 몇 개의 미국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대부분의 현재 이용가능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기본적 모발 콘디쇼닝 특성을 제공하지만, 이들은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특질도 수반한다. 이들 바람직하지 않은 특질의 하나는 점착성이다. 이것은 또한 모발 상에서 상기 중합체의 끈적이는 느낌 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은 모발이 엉기게 하여서 모발 부피의 감소를 초래한다. 이것은 또한 모발 중량을 감소시켜 평탄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탁월한 콘디쇼닝 특성 및 향상된 점착성을 제공하는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ADMAC) 및 디알릴아민(DAA)의 신규한 수용성 및 양이온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이들 공중합체는 디알릴디알킬 암모늄 화합물의 전형적인 4급 암모늄 중합체(polyDADMAC)의 점착 효과를 극복한다. 이들은 덜 정적인 나풀거리는 탁월한 느낌을 제공한다. 이들은 피부 케어 제품에 유용한 특성을 제공한다.
미국특허 명세서 번호 3,700,623호 및 3,833,531호는 산 안정화된 폴리(디알릴아민)-에피할로히드린 수지의 제조를 개시한다. 제1 단계로서 디알릴아민(DAA)의 중합체를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한 라디칼 중합반응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디알릴아민의 중합체를 약 30 내지 80℃ 온도 및 7 내지 9.5의 pH에서 수용액 중에서 에피할로히드린, 통상 에피클로로히드린(ECH)과 반응시켰다. 20% 내지 30% 고용액 상에서 측정한 점도가 소망하는 점도 범위에 도달하면(가드너-홀트 규모로 A 내지 E), 생성물을 물로 15% 고체 아래로 희석하였다.
수득한 수지는 방치하면 겔로 되는 경향이 있다. 이 수지 용액은 충분한 수용성 산, 예컨대 HCl을 부가하여 pH를 약 2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겔로부터 안정화된다. 산 안정화된 폴리(디알릴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는 염기, 예컨대 NaOH를 부가하여 pH를 7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하기 전에 재활성화된다. 알칼리성 경화 수지의 반-반응된 에피할로히드린 성분은 사용하기 전에 알칼리성 염 기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재활성화된 후에 가교반응을 위한 에폭시 관능을 부여한다. 이들 중합체는 가교 후 불용성이다.
미국특허 명세서 4,354,006호, 4,419,498호 및 4,419,500호는 디알릴아민(DAA) 중합체를 먼저 알릴 할라이드와 반응시킨 다음 하이포할로우스산과 반응시켜 알릴 치환기를 할로히드린 잔기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폴리(DAA-ECH)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6,108,382호는 폴리(디알릴아민)-에피할로히드린 중합체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을 개시한다. 디알릴아민-에피할로히드린 할로 염 단량체는 디알릴아민을 에피할로히드린(전형적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킨 다음 할로 산, 전형적으로 HCl과 중화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DAA-ECH 삼급 아민 염 단량체는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된다. 얻어진 폴리(디알릴아민)-에피할로히드린 중합체는 직접 염료 또는 반응성 염료에 의해 염색된 셀룰로오스 계 섬유에 탁월한 습윤 색 견뢰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명세서 5,147,411호는 DAA-ECH 단량체(3-할로-2-히드록시프로필)디알릴아민 및 (2,3-에폭시프로필)디알릴아민 및 이들의 4급 암모늄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4급 암모늄 DAA-ECH 염은 DAA-ECH 삼급 아민을 알킬 설포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한다. DAA-ECH 4급 암모늄 염은 색 수득율(color yield) 및 염색의 습윤 견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셀룰로오스 섬유 물질을 처리함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사용된다.
미국특허 명세서 4,341,887호는 디알릴아민 및 에피클로로히드린 (3-클로로- 2-히드록시프로필)디알릴아민 (DAA-ECH 단량체)의 반응 생성물이 물 존재하에서 가열에 의해 N,N-디알릴-3-히드록시-아제티디늄 클로라이드 (DAA-ECH 아제티디늄 단량체)로 전환될 수 있다. 증류 또는 동결 건조에 의한 용매(물)의 제거는 DAA-ECH 아제티디늄 단량체가 선형, 비-4급화 N-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N,N-디알릴아민으로 전환을 유발한다. 그러나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알릴아민은 안정하지 않고 2,5-비스(디알릴아미노메틸)-p-디옥산으로 이합체화된다. 아제티디늄 고리는 DAA-ECH 아제티디늄 단량체의 자유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중합체에서 완전하게 유지된다. 1H NMR and 13C NMR 분광측정을 이용하여 단량체 및 중합체 중의 아제티디늄 고리를 확인한다. N,N-디알릴-3-히드록시아제티디늄의 동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물 처리에서 구성분리(demulsification), 응집(flocculation) 및 부유에 유용하다.
상기 검토한 특허 문서는 DAA 단량체 또는 DAA 중합체와 반응하기 위한 반응성 화합물로서 에피할로히드린의 사용을 포함한다. 에피할로히드린, 예컨대 에피클로로히드린은 이관능성 반응성 가교제이기 때문에, 고 가교된 불용성 최종 생성물은 등가의 고 DAA-함유, 즉 >5%의 중합체와 충분히 반응할 때 얻는다. 용해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얻는 경우, 중합체는 반응성 에폭시 기와 절반쯤 반응된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함유한다. 오직 에피할로히드린이 디알릴아민 중합체에 대한 가교제로서 기재되어 있다. 디알릴아민 중합체를 가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다관능성 화합물은 언급되어 있지 않다.
U.S. 특허 명세서 번호 6,323,306호는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아미노-관능화된 DADMAC 중합체를 이관능성 반응성 가교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반응성 가교제는 에피할로히드린 및 디알릴아민 중합체를 가교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다관능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특허는 이관능성 반응성 가교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과도한 가교결합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불용성 생성물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5% 미만의 DAA 함량으로 제한된다.
U.S. 특허 명세서 번호 6,416,627호는 입체장애된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는 중합성 광 안정화제를 개시하며, 이들은 광택 손실을 방지하고 또 리그닌을 함유하는 펄프 또는 종이에서 황색화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하다. 이들 중합체는 현수(pendant)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 기, 예컨대 아미노-관능화된 DADMAC 중합체 또는 폴리아민을 적합한 입체장애 아민 부가생성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체는 1 이상의 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을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는 1 이상의 수용성 아미노기 함유 양이온성 염기 중합체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퍼스널 케어 및 화장품 용도로 유용한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일 양태로서 이것은 예컨대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 및 디알릴아민 (DAA)의 공중합체이다.
고도의 관능성, 즉 >5%의 관능성은 단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고도의 관능성, 즉 >5%의 관능성은 또한 디관능성 반응성 화합물, 즉 가교제를 사용하여, 예컨대 과량의 디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주로 단일 반응 및 염기 중합체의 적은 가교화가 생기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의 관능성은 사용된 관능성 반응성 화합물로부터 유래한다. 소수성 반응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염기 양이온성 중합체에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관능적으로 또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양이온성 공중합체, 예컨대 polyDADMAC-형 공중합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능화된 또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양이온성 공중합체, 예컨대 polyDADMAC-형 공중합체를 예컨대 모발의 감촉, 광택 및 다수의 다른 특성을 향상시키는 헤어 콘디쇼너에 대한 첨가제로서 또는 피부용 조성물에 대한 첨가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 및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미노기 함유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base polymer)를 기제 중합체 상의 아미노 기에 반응성인 1 이상의 화합물에 의해 그라프팅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1 이상의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1 이상의 화장품 작용제, 및 1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을 제공한다.
소수성/친수성 및 양이온성 기를 갖는 본 발명의 중합체는 모발과 같은 케라틴성 기질에 대한 중합체의 직접성(substantivity)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가장 필요로 하는 헤어 콘디쇼너의 효능을 향상시킨다. 동시에, 이들 중합체는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합리적인 수용해성/분산성을 보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수, 오염원 제거 중합체, 착색제, 보존제, 항균제와 같은 다른 첨가제와 함께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활성제, 형광증백제, UV 흡수제 및 기타 광 관리제를 혼입하는 것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 피부용 제품 및 다양한 형태의 모발 케어 제품과 같은 퍼스널 케어 및 화장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으며, 또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기에 반응성인 1 이상의 화합물과 반응시켜 소망하는 관능성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반응성 화합물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다. 일개 양태로서, 1 이상의 소수성 반응성 화합물은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에 소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그라프팅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으며, 또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소수성 또는 친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고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기의 적어도 일부와 반응할 수 있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단 상기 관능성 화합물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기가 존재하면,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는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아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반응하는, 관능화된 및/또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른 요지로서 본 발명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으며, 또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소수성 또는 친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고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기의 적어도 일부와 반응할 수 있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단 상기 관능성 화합물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기가 존재하면,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아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반응하는, 관능화된 및/또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양이온성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능화된 공중합체는 그라프팅제 및 경우에 따라 가교제를 부가하는 것에 의해 그라프팅 또는 가교결합되기에 적합한 부위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로부터 제조한다. 관능화된 수용성 공중합체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제 중합체와 유사한 기제 중합체는 앞서 기재된 바와 있지만, 이전에는 기제 중합체 가교 결합 부위의 수는 일반적으로 아주 다수이고 사용된 가교제 양도 아주 많아서 생성한 중합체는 주로 에피클로로히드린에 의해 가교되어 이들을 불용성으로 만들만큼 충분히 높아야 한다. 이러한 불용성 수지는 사용된 수용성 기제 중합체와 비교하여 구조 및 이들의 사용 목적 면에서 아주 상이하다.
고도의 관능성 (> 5 몰%)은 일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 예컨대 poly-DADMAC-형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의 가교없이 달성될 수 있다.
측쇄 구조를 갖는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기제 중합체로 혼입을 낮은 수준, 예컨대 <5 몰%, 바람직하게는 1-3%로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에피클로로히드린과 같은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미국특허 명세서 6,323,306호는 아미노 관능화된 DADMAC 중합체를 3% 이하의 이관능성 반응성 가교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수용성 가교된 중합체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로 전환될 수 있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로서 적합하다. 측쇄 구조를 갖는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사용된 기제 중합체 반응성 화합물 및/또는 기제 중합체의 분자량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이관능성 반응성 화합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라프트된 공중합체는 모발에 대하여 예외적인 콘디쇼닝 특성 뿐만 아니라 피부 케어 조성물의 특성을 향상을 제공한다.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9 중량%의 하기 화학식(I)에 따른 1 이상의 양이온성 반응물을,
(b) 소수성 또는 친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고 또 화학식(I)의 중합체의 주쇄(backbone) 상의 부착 아미노 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0.1 내지 99.9 중량%의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그라프팅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고, 단 상기 관능성 화합물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기가 존재하면,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아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반응하는, 주요 주쇄(main backbone)를 포함하는 관능화된 양이온성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1
식 중에서,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기이고; MC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임의 단량체(C)로부터의 잔기이고; n, m 및 p는 화학식(I)의 양이온성 반응물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Y- 는 음이온임.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다음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2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3
식 중에서,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이고, MC는 임의의 단량체 C로부터 얻은 잔기이고, 또 Y- 는 무기 또는 유기일 수 있는 음이온을 나타내고, Fg는 양이온성 아미노 기제 중합체 상에 그라프팅된 1 이상의 관능성 반응물로부터 얻은 잔기이며; R3은 수소, C1-C4알킬 또는 Fg 이고; m, n 및 p는 화학식(Ia) 또는 (Ib)의 상응하는 괄호 안에 있는 반복 단위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 이고 또 * 는 말단 기, 예컨대 촉매 잔기이며, 단
상기 관능성 잔기 Fg는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기가 존재하면, 상기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아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 잔기를 가짐.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9 중량%의 화학식(I)에 따른 1 이상의 양이온성 반응물(식중,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기이고; MC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임의 단량체(C)로부터의 잔기이고; n, m 및 p는 화학식(I)의 양이온성 반응물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Y- 는 음이온임)을 소수성 또는 친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고 또 화학식(I)의 중합체의 주쇄 상의 부착 아미노 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0.1 내지 99.9 중량%의 1 이상의 반응성 관능성 화합물(그라프팅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주요 주쇄를 갖는 중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공중합체;
B) 1 이상의 화장품 작용제(cosmetically-functional agent), 및
C) 1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용 및 화장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케어 및 화장품용 조성물의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상기 기재한 화학식(Ia) 또는 (Ib)로 표시되며, 이때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이고, MC는 임의의 단량체 C로부터 얻은 잔기이고, 또 Y- 는 무기 또는 유기일 수 있는 음이온을 나타내고, Fg는 양이온성 아미노 관능성 기제 중합체 상에 그라프팅된 1 이상의 관능성 반응물로부터 얻은 잔기이며; R3은 수소, C1-C4알킬 또는 Fg 이고; m, n 및 p는 화학식(Ia) 또는 (Ib)의 상응하는 괄호 안에 있는 반복 단위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 이고 또 * 는 말단 기, 예컨대 촉매 잔기이다.
상기 화학식은 이상적인 것이다. 실제 중합체에서, 다양한 기가 임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블록 및 랜덤 공중합체도 상기 화학식의 범위에 속한다.
다수의 퍼스널 케어 조성물, 예컨대 샴푸, 비누 등은 적용 후 기질로부터 세척하여 제거한다. 콘디쇼닝제를 이러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혼입시켜서 상기 제제의 나머지가 세척되어 제거되더라도 활성성분이 잔류하도록 하고 싶은 경우, 콘디쇼닝 공중합체는 기질에 대하여 탁월한 직접성(substantivity)을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수의 관심을 갖는 기질, 즉 피부, 모발 및 손톱은 소수성이고 또 약간 음이온성이기 때문에, 기질에 소망하는 직접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소수성이고, 고분자량이며 또 양이온 하전된 기질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으며, 또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소수성 또는 친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고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기의 적어도 일부와 반응할 수 있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단 상기 관능성 화합물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기가 존재하면,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는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아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반응하는, 관능화된 및/또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의 방법은,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 가교될 수 있는 화학식(I)에 따른 아미노 관능성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식 중,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기이고; MC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임의 단량체(C)로부터의 잔기이고; n, m 및 p는 화학식(I)의 양이온성 반응물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Y- 는 음이온임)를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와 반응할 수 있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단 상기 관능성 화합물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기가 존재하면,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의 적어도 일부가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아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동시에 또는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반응한다.
(A) 아미노 관능화된 기제 중합체의 제조
4급 암모늄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는 1 이상의 4급 암모늄 양이온성 단량체(A), 반응성 아민 기를 함유하는 1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B) 및 경우에 따라, 단량체 A 및 단량체 B 이외의 1 이상의 공중합성 단량체(C)를 자유 리다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공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단량체 B의 중량은 0.05 내지 99%,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0% 범위이고 또 단량체 A + 단량체 C의 중량은 99.9 내지 0.05%, 바람직하게는 99.8 내지 50% 이다. 단량체 C 대 단량체 A의 중량비는 0:3, 바람직하게는 0:1 이다.
4급 암모늄 양이온성 단량체는 단량체 A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한 양이온성 단량체는 디알릴디알킬 암모늄 화합물, 아크릴옥시에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메타크릴옥시에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비닐 벤질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3-아크릴아미도-3-메틸 부틸 트리메틸 암모늄 크로라이드를 포함한다. 단량체 A의 바람직한 양이온성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A)로 표시되는 디알릴디알킬 암모늄 화합물이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4
식 중에서,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 알킬 기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 알킬, 카르복시아미드 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기이며; 또 Y-는 음이온이다. R3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바람직한 양이온성 단량체의 예는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ADMAC),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설페이트,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포스페이트, 디메탈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에틸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릴 디(베타-히드록시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디알릴 디(베타-에톡시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양이온성 단량체는 상업적 중요성으로 인하여 DADMAC이다.
Y-에 대한 바람직한 음이온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아세테이트, 및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를 포함한다. 클로라이드 가 가장 바람직하다.
일급, 이급 또는 삼급 아미노 관능성을 함유하고 단량체 A와 공중합가능한 올레핀 화합물이 단량체 B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아미노 관능성"은 아민 염 및 옥사이드 뿐만 아니라 자유 아민을 포함한다.
단량체 B에 대한 적합한 화합물은 디알릴아민, 모노알릴아민, 디메틸아민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아미드, 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피리딘, 및 다양한 아미노 스티렌, 예커대 p-디메틸아미노메틸 스티렌이다.
일개 양태로서, 아미노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B)로 표시되는 디알릴아민이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5
식 중에서,
R,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알킬이다. R, R3 및 R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화학식(B)의 디알릴아민 단량체의 예는 디알릴아민 (DAA); 2,2'-디메틸 디알릴아민; 2,2'-디에틸 디알릴아민; 2,2'-디이소프로필디알릴아민; 2,2'-디프로필 디알릴아민; 2,2'-디이소부틸 디알릴아민; N-메틸 디알릴아민 (MDAA); N-에틸 디알릴아민; 2,2'-디메틸-N-메틸 디알릴아민; 2,2'-디에틸-N-메틸 디알릴아민; 2,2'-디이소프로필-N-메틸 디알릴아민; 2,2'-디프로필-N-메틸 디알릴아민; 2,2'-디메틸-N-에틸 디알릴아민; 및 2,2'-디에틸-N-에틸 디알릴아민을 포함한다. DAA 및 MDAA가 가장 바람직하다.
DADMAC/DAA 공중합체는 U.S. 특허 명세서 번호 6,323,306호 및 6,416,627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단량체 C에 대한 적합한 화합물은 단량체 A 또는 단량체 B 이외의 올레핀 단량체이다. 이러한 올레핀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 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 아미노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비닐 설폰산 및 이들의 염, 비닐 피롤리돈,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비닐 아민, 비닐 포름아미드, 비닐 알코올, 비닐 카프로락탐, 디메틸 실옥산의 비닐 유도체, 아미노실옥산, 비닐 플루오로카본,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예컨대 N,N-디메틸 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N,N-디메틸 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7-아미노-3,7-디메틸옥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염, 예컨대 이들의 알킬 및 벤질 4급화된 염 등을 포함한다. 이산화황은 올레핀성 단량체는 아니지만 단량체 C의 적합한 화합물일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단량체 A, B 및 경우에 따라, 단량체 C가 공중합하여 아미노-관능화된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은 적합한 자유 라디칼 개시제를 사용하여 수용액 중합반응, w/o 역 에멀젼(inverse emulsion) 중합반응 또는 분산액 중합반응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개시제의 예는 퍼설페이트, 예컨대 암모늄 퍼설페이트(APS); 퍼옥사이드, 예컨대 과산화수소,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 및 t-부틸 퍼옥시 피발레 이트; 아조 개시제, 예컨대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디히드로클로라이드,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산화환원 개시제 계, 예컨대 t-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Fe(II) 및 암모늄 퍼설페이트/비설파이트를 포함한다. 암모늄 퍼설페이트(APS)를 사용한 수용액 중합반응은 바람직한 단량체 DADMAC 및 DAA (또는 MDAA)의 아미노-관능화된 기제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다.
중합반응 방법에 사용된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양은 사용된 단량체의 전체 농도 및 단량체 유형에 따라 달라지며, 또 전체 단량체 장입량의 약 0.2 내지 약 5.0 중량% 범위이어서 전체 단량체 전환의 99% 이상을 달성한다.
일개 양태로서, 중합반응은 실질적인 산소 부재하에서 실시한다. 산소는 교반에 의해 진공을 인가하거나 또는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 세정하는 것에 의해 반응 매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중합반응은 불활성 가스 블랭킷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일개 양태로서, 아미노-관능화된 기제 중합체는 화학식(I)로 표시될 수 있고 이때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기이고; MC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임의 단량체(C)로부터의 잔기이고; n, m 및 p는 화학식(I)의 양이온성 반응물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Y- 는 음이온임.
(B) 기제 중합체의 관능화 또는 그라프팅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제조된 아미노 기 함유 기제 중합체(I)는 1 이상의 반응성 관능성 화합물(그라프팅제 및/또는 가교제)(II)와의 반응에 의해 관능화되거나 또는 변형된다.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갖는 화합물은 사용된 그라프팅제의 특성 또는 관능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라프팅 또는 가교를 위한 적합한 반응성 화합물은 에폭시 화합물, 할로알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활성화된 올레핀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비 수성 계 중의 그라프팅 또는 가교를 위한 적합한 반응성 화합물은 산 할라이드 및 무수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개 양태로서, 사용된 관능성 반응성 화합물 또는 그라프팅제(II)는 잔류 Fg'를 기제 중합체의 아미노 질소에 연결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6
결합을 함유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7
로서 관능기 Fg를 제공하는 에폭시 또는 할로히드린 화합물이다.
그라프팅에 적절한 단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의 예는 다음의 글리시딜 화합물을 포함한다: 모노-(2,3-에폭시)프로필에테르-말단 폴리디메틸-실옥산, 3-글리시독시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옥시-2,2,6,6,-테트라메틸-4-글리시딜옥시-피페리딘, 글리시딜 이소프로필 에테르, 글리시딜 이소부틸 에테르, 글리시딜 헵틸 에테르, 글리시딜 2-메틸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헥사데실 에테르, 글리시딜 헥사데카플루오로노닐 에테르, 글리시딜 4-노닐페닐 에테르, 1,2-에폭시도데칸, 1,2-에폭시옥타데 칸, 1,2-에폭시-3-페녹시 프로판,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글리시딜 3-니트로벤젠설포네이트 등.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의 예는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EGDE); 디글리시딜 에테르; 1,2,3,4-디에폭시부탄; 1,2,5,6-디에폭시헥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PPGDE);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3-비스(글리시딜옥시)-메틸-1,2-프로판디올,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BADGE), 폴리(페닐 글리시딜 에테르-코-포름알데히드), 글리세롤프로폭실레이트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N,N-디글리시딜-4-글리시딜옥시아닐린,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에폭시 가교제는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이다.
단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이 화학식(I')의 DAA 공중합체와 반응하면,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예컨대 하기 화학식(IV)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8
식 중에서,
R은 수소, C1 내지 C30 알킬, C1 내지 C30 퍼플루오로알킬, 1 내지 1500 에톡시 단위, 1 내지 1500 프로폭시 단위, 1 내지 1500 혼합된 에톡시-프로폭시 단위이고, m 및 n은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의 몰 분획이며, (m + n) = 1이고 또 r은 1 내지 100의 수임.
할로히드린 중의 에폭시 화합물은 아미노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관능화하기 위한 반응성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수 있다. 이들의 예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옥타 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Quab®342 및 Quab®426, Degussa 제조)를 포함한다. 화학식(IV)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에서, Fg'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키는 것으로부터 얻은 잔기이다.
할로알킬 화합물은 기제 아미노 양이온성 중합체를 관능화하기 위한 양이온성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라프팅에 적합한 단관능성 할로알킬 화합물의 예는 클로로에탄, 브로모에탄, 1-클로로프로판, 1-클로로부탄, 클로로아세트산 및 그의 염, 디클로라이드-치환된 염화시아누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할로알킬 반응물은 저렴한 비용으로 인하여 브로모에탄 및 클로로에탄이다. 화학식(Ia 및 Ib)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에서, Fg는 기제 중합체(I)의 아민 질소에 잔류 Fg'를 연결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09
결합을 함유하는 관능기 Fg를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0
로서 제공하는 할로알킬 화합물의 잔기일 것이다.
할로알킬 화합물은 3 내지 20개 충분히 플루오르화된 탄소원자를 갖는 일가, 퍼플루오르화된, 알킬 또는 알케닐, 선형, 측쇄 또는 시클릭 유기 라디칼로서, 유기 라디칼은 2가 산소 또는 황 원자에 의해 경우에 따라 분단되며 또 말단 요오도 기를 갖는다. 퍼플루오로알킬 잔기는 단일 퍼플루오로알킬 기일 수 있고, 예컨대 퍼플루오로부틸 또는 퍼플루오로헥실 또는 이러한 기의 혼합물, 예컨대 C4F9-, C6F13-, C8F17-, C10F21-, C12F25- 및 C14F29- 기의 혼합물일 수 있다.
퍼플루오로알킬 요오다이드 CnF2n +1-I (n = 4 내지 14임)은 상품명 ZONYL®PFBI, ZONYL®TELA-L 및 ZONYL®TELA-N로 DuPont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평균 텔로머(telomer) 분포를 갖는다:
ZONYL®TEL PFBI,: C4 = 99.5% 최대;
ZONYL®TELA-L: C4 = 4% 최대, C6 50 = ±3%, C8 29 = ±2%, C10 11= ±2%, C12 = 4 ± 1%, C14 및 그 이상 = 2% 최대;
ZONYL® TELA-N: C6 = 6% 최대, C8 50 = ±3%, C10 29 = ±2%, C12 = 11 ±1%, C14 및 그 이상 = 4% 최대.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요오다이드는 상품명 ZONYL® TELB-L, ZONYL® TELB 및 ZONYL® TELB-N으로 Dupont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평균 텔로머 분산을 갖는다:
ZONYL® TELB: C4 = 4% 최대, C6 = 35 = ±3%, C8 30 = ±3%, C10 17 = ±2%, C12 = 8±1%, C14 및 그 이상 = 6% 최대;
ZONYL® TELB-L: C4 = 4% 최대, C6 50 = ±3%, C8 29 = ±2%, C10 11= ±2%, C12 = 4±1%, C14 및 그 이상 = 2% 최대;
ZONYL® TELB-N: C6 = 6% 최대, C8 50 = ±3%, C10 29 = ±2%, C12 = 11 ±1%, C14 및 그 이상 = 4% 최대.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먼저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알릴 할라이드를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 상의 일급 또는 이급 아민과 반응시켜 1 이상의 알릴옥시 기를 도입한 다음 RF-요오다이드를 상기 생성한 알릴옥시 라디칼에 부가한 다음 부분적 또는 완전한 탈수소할로겐화(dehydrohalogenation)시키는 것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이것은 미국특허 6,706,923호에 기재된 반응 수순과 유사하다.
알릴옥시 기에 퍼플루오로알킬 요오다이드를 부가하는 것은 미국 특허 명세서 5,585,517호에서 퍼플루오로알킬 요오다이드를 알릴 알코올에 부가하는 것에 대해 기재된 것과 유사한 방법 및 조건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다른 양태로서 퍼플루오로알킬에틸 요오다이드는 미국특허 명세서 6,365,67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먼저 퍼플루오로에틸렌 중간체를 형성한 다음 중합체 주쇄 상의 아민 기에 부가하는 것에 의해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 주쇄에 부가될 수 있다.
일급 또는 이급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그라프트 또는 가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디할로알킬 화합물의 예는 1,2-디클로로에탄, 1,2-디브로모에탄, 1,3-디클로로프로판, 1,4-디클로로부탄, 1,6-디클로로헥산, 1,10-디클로로데칸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할로알킬 화합물은 1,2-디브로모에탄 및 1,2-디클로로에탄이다.
트리할로 화합물, 예컨대 염화시아누르 및 그의 클로로-치환된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염화시아누르 상의 각 할로겐의 치환은 점진적으로 더 어렵다. 이것은 디할로트리아지닐 관능기를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에 도입하고, 다음 반응으로 다른 관능성을 도입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그라프트 또는 가교하기 위한 다른 이관능성 반응물의 예는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MBA), N,N'-에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MBA는 바람직한 가교제이다.
반응물 장입 비율에 따라서, 이관능성 반응물의 오직 1개의 관능기만을 우선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에 대한 가교제로서 사용한 경우, 소량(0.1 내지 3 중량%)만이 보통 사용된다.
활성화된 올레핀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화합물은 마이클 부가반응을 통하여 일급 또는 이급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그라프트 또는 가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클 부가반응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단관능성 화합물의 예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LA),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N-치환된 (메트)아크릴아미드, 예컨대 N,N-디메틸아 크릴아미드 및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NIPA)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를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한 화학식(Ia 및 Ib)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에서, Fg는 활성화된 올레핀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1 이상의 화합물(상기 화합물은 아크릴 레이트임)을 반응시켜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의 아미노 질소에 잔류 Fg'를 접속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1
결합을 함유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2
로서 관능기 Fg를 생성하는 잔기일 것이다.
상기 화합물이 아크릴아미드이면, 이것은 양이온 기제 중합체의 아미노 질소에 잔류 Fg 기를 연결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3
결합을 함유하는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4
로서 관능기 Fg를 제공하며, 이때 Fg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상기 화합물이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이면,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5
로서 관능기 Fg를 제공한다.
일개 양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일급 또는 이급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에 그라프트된다. 적합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는 알킬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이소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벤질 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도데실 이소시아네이트, 및 기타 단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예컨대 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 이소시아네이트, 이소시아나토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 이트(IPDI), 1,4-디이소시아노부탄,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TDI) 등 뿐만 안 아니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때 각 반응성 기의 하나는 적절한 블로킹제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호된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TDI, HDI, IPDi 등을 포함한다.
무수물 화합물은 일급 또는 이급 아미노 기를 함유하는 기제 중합체에 그라프트될 수 있다. 반응물(II)에 대한 적합한 무수물 화합물의 예는 프탈산, 말레산, 숙신산, 피로멜리트산 및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2-도데센-1-일 숙신산 무수물 등을 포함한다. 일개 양태로서 무수물 화합물은 2-도데센-1-일 숙신산 무수물이다.
반응성 화합물은 기제 중합체에 존재하는 반응성 아민의 몰에 대하여 반응성 화합물 중의 관능기 약 0.02 내지 약 3.0 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몰의 양으로 사용된다. 기제 중합체에 대한 반응성 화합물의 당량비는 최종 중합체에 대한 소망하는 특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반응성 화합물은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미노 관능기와 충분히 반응한 후에 소망하는 특성을 갖는 생성물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사용된다. 1 이상의 반응성 화합물이 동시에 또는 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기제 중합체와 반응할 수 있다.
그라프팅 반응은 수성 매질에서 실시하거나 또는 단계(a)에서 기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것과 동일 반응 매질, 예컨대 w/o 에멀젼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pH 약 7 내지 11,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5의 pH 이고 또 약 0°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20°내지 80℃ 온도인 수성 매질에서 실시한다. 반응 전의 반응 매질에서 기제 중합체의 고체 농도는 기제 중합체의 용액에 대하여 15 내지 약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5 중량%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기제 중합체의 에멀젼 또는 분산액에 대하여 20 내지 50중량% 이다.
일개 양태로서, 반응성 화합물은 적어도 일부는 수성 상에 용해되고 또 중합체 주쇄의 관능성 부분에 그라프트되어 양이온성 기 및 소수성 기를 모두 갖는 중합체를 형성하는 소수성 반응물(II)이다. 소수성 반응물(II)이 중합체에 그의 수용성 보다 더 높은 양으로 부가되면, 과잉량은 적합한 교반을 제공하는 경우 미세 방울 형태로 제2 상을 형성할 수 있다. 고 반응 pH (> 8)에서,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 중의 아민 기는 양성자화되지 않고 또 소수성 도메인을 형성하여 그라프팅하기 위한 소수성 반응물(II)을 흡수한다. 중합체의 소수성 도메인은 소수성 그라프팅 과정, 소수성 반응물(II)의 반응 부위로의 가속 전달에 따라서 성장할 것이다. 소수성 반응물(II)의 미세 방울은 그라프팅하기 위한 기제 중합체(I)의 소수성 도메인으로 모두 전달된 후 결국 사라질 것이다.
기제 양이온성 중합체 중의 아미노 기에 반응성이지만 물과도 매우 반응성인 관능기를 갖는 반응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수성 용매에서 그라프트된다. 일개 양태로서,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는 수용액으로 제조된다. 기제 중합체의 수용액은 물을 제거하여 건조될 수 있고 또 산 할라이드 및 무수물과 같은 물 민감성 반응성 화합물과 반응하기 위한 비 수성 용매에 재용해될 수 있다. 다르게는, 비수성 용매는 공비 증류에 의해 제거된 수성 기제 중합체 및 물의 용액에 부가될 수 있다.
비 수성 그라프팅에 바람직한 물 민감성 반응성 화합물의 예는 산 할라이드, 무수물 및 이소시아네이트이다. 이소시아네이트와 일급 또는 이급 아미노 기의 반응은 물과의 반응에 비하여 훨씬 신속하기 때문에,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수성 매질에서 반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개 양태는 하기 화학식(V)를 갖는 실옥산 변형된 polyDADMAC/DAA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6
식 중에서,
R은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알킬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C4H9 이고, m 및 n은 화학식(V)의 중합체의 상응하는 괄호 안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고, r은 0 내지 100의 수이며 또 * 는 말단 기, 예컨대 촉매 잔기임.
화학식(IV)의 양이온성 공중합체 중에 함유된 실옥산 관능성은 퍼스널 케어 및 기타 적용에서 소망하는 표면 변형 및 기타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소수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 부분 화학식으로 표시된 것과 같은 그라프트된 산화방지제 또는 UV 흡수제와의 polyDADMAC 공중합체이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7
식 중에서,
m 및 n은 화학식(Va) 및 (Vb)의 중합체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또 * 는 말단 기, 예컨대 촉매 잔기임.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가 존재하면, 입체장애 아민 니트록사이드, 히드록실아민 또는 히드록실암모늄 염 기를 함유하지 않는 1 이상의 부가적인 관능성 잔기가 존재해야 한다.
본 발명의 중합체의 분자량 (원자 질량 단위: amu)은 중요하지 않다. 이것은 1.0 x 103 내지 5.0 x 107, 예컨대 1.0 x 104 내지 5,0 x 106, 및 특히 2.0 x 105 내지 2.0 x 106 범위일 수 있고, 수평균 또는 중량 평균 분자량일 수 있고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 예컨대 광산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중합체는 다양한 물리적 형태, 즉 용액, 분산액, 현탁액,과립, 분말, 비이드, 블록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용액, 분산액, 현탁액과 같은 액체 형태인 경우, 액체 상은 수성 및/또는 비 수성, 예컨대 대두유, 에스테르 또는 무기 오일 중의 분산액일 수 있다. 비수성 용매 또는 분산 매질로서 바람직한 탄화수소는 나프톨 스피리트(spirit), Escaid®110 (Exxon 제조), LPA 170 (Condea Vista 제조) 및 Conosol®200 (Penreco 제조), 방향족물질/파라핀/나프탈렌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서, 특히 모발 및 피부 케어 조성물에서 아주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소망하는 화장품 특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된 1 이상의 화장품 작용제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용어 "화장품 작용제"는 화장 효과를 위해 모발이나 피부에 적용되는 물질,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예시적 화장품 작용제는 에몰리엔트, 보습제, 윤활제, UV 광흡수제, 썬레스(sunless) 태닝제(예컨대 DHA),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 보존제, 안료, 염료 레이크, 염료, 다른 착색제, 미적 향상제, 예컨대 폴리실옥산 및 이들의 다양한 유도체, 유동 조절제, 천연 중합체 및 이들의 다양한 유도체 및 공중합체(예컨대 녹말, 셀룰로직 중합체, 글루칸, 및 이들의 유도체), 향수 및 항료, 필름 형성제(방수제), 살균제, 항진균제, 항균제 및 기타 의약, 용매, 계면활성제, 천연 또는 합성 중합체, 다른 콘디쇼닝제 및 모발 고정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장품 작용제는 또한 무기오일, 글리세린, 밀랍, 라놀린, 아세틸레이트된 라놀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세틸 알코올, 올레핀 설포네이트의 나트륨 염, 다양한 단백질 및 유도체, 중합성 당, 콘디쇼닝제, 예컨대 폴리쿼터늄 및 모발 고정제, 예컨대 폴리(비닐 피롤리돈) 및 비닐 피롤 리돈과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포름아미드를 포함한다.
화장품 작용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일개 양태로서, 본 발명은,
A) 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9 중량%의 화학식(I)
(식 중에서,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 기이고; MC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임의 단량체(C)로부터의 잔기이고; n, m 및 p는 화학식(I)의 양이온성 반응물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Y- 는 음이온임)에 따른 1 이상의 양이온성 반응물을,
소수성 또는 친수성,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고 또 화학식(I)의 중합체의 주쇄 상의 부착 아미노 기에 대하여 반응성인 0.1 내지 99.9 중량%의 1 이상의 반응성 관능성 화합물(그라프팅제)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주요 주쇄를 포함하는 중합체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공중합체;
B) 1 이상의 화장품 작용제, 및
C) 1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A) 아미노 변형된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기제 중합체 상의 아미노 기와 반응할 수 있는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과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1 이상의 수용성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를,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15 중량%, 예컨대 0.5 내지 10 중량%,
(B) 1 이상의 화장품 작용제를 0.01 내지 60 중량%, 예컨대 1 내지 40 중량%, 및
(C) 1 이상의 화장품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나머지(balance)로 포함한다.
퍼스널 케어 제제의 일개 양태로서,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Ia) 또는 (Ib)로 표시될 수 있고, 이때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1 내지 18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 히드록시알킬, 카르복시알킬, 카르복사미도알킬 또는 알콕시알킬이고, MC는 임의의 단량체 C로부터 얻은 잔기이고, 또 Y- 는 무기 또는 유기일 수 있는 음이온을 나타내고, Fg는 양이온성 아미노 기제 중합체 상에 그라프팅된 1 이상의 관능성 반응물로부터 얻은 잔기이며; R3은 수소, C1-C4알킬 또는 Fg 이고; m, n 및 p는 화학식(Ia) 또는 (Ib)의 상응하는 괄호 안에 있는 반복 단위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 는 말단 기, 예컨대 촉매 잔기이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다양한 범위의 제품을 포함한다. 적합한 제품은 헤어 트리트먼트 화장품 제제, 예컨대 샴푸 및 헤어 콘디쇼너 형태의 모발 세척제, 헤어 케어 제제, 예컨대 프리트리트먼트 제품, 헤어 토닉, 헤어 스타일링 크림 및 겔, 포마드, 헤어 린스, 딥 콘디쇼닝 트리트먼트, 인텐시브 헤어 케어 트리트먼트, 헤어 셋팅 제품, 예컨대 퍼머용 웨이브제(핫 웨이브, 마일드 웨이브, 콜드 웨이브), 헤어 스트레이트 또는 릴렉싱 제품, 액체 헤어 고정제, 헤어 포옴, 헤어 스프레이, 표백제, 예컨대 과산화수소 용액, 표백 샴푸, 표백 크림, 표백 파우더, 표백 페이스트 또는 오일, 일시적, 반일시적 또는 영구적 헤어 염색제, 자가 산화 염료를 함유하는 제품 또는 헤나 또는 카모마일과 같은 천연 헤어 염료, 및 마스카라를 포함한다.
이들은 또한 린스 오프(rinse off) 및 리브온(leave on) 스킨 케어 제품, 예컨대 부드럽게하고, 습윤화 및 항주름 크림, 로션 및 겔; 광보호 제제, 예컨대 썬 탠 로션, 크림 및 오일, 썬 블록 및 프리태닝 및 선레스 태닝 제제; 치료적 조성물, 예컨대 항여드름제 및 항건선 크림, 겔 및 페이스트 뿐만 아니라 피부 색조 제품, 예컨대 립스틱, 립글로스, 아이 새도우, 액체 메이컵, 데이 크림 또는 파우더 형태의 페이셜 메이컵, 및 페이셜 로션, 크림 및 루스 또는 프레스트 파우더를 포함한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상이한 제품 형태, 예컨대 샴푸, 바스- 및 샤워 첨가제, 헤어 케어 제품, 왁스/지방 조성물, 액체 및 고체 비누, 로션, 겔, 크림, 연고, 또는 기타 수성 또는 알코올성 또는 수성/알코올 용액일 수 있다.
상기 수록한 퍼스널 케어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제공 형태일 수 있다:
● o/w 에멀젼과 같은 액체 제제 형태,
● 겔 형태,
● 오일, 크림, 밀크 또는 로션 형태,
● 스프레이 형태(추진제 또는 펌프 스프레이를 갖는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 형태
● 포옴 형태, 또는
● 페이스트 형태.
본 발명에 따른 퍼스널 케어 제제에 존재하는 표면 활성 화합물(계면활성제)의 선택 및 그 양은 조성물의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서, 숙련자 제조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이 상이한 계면활성제 계를 선택할 수 있다.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의 전체 양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지며 또 60 중량% 정도이다. 전형적으로 조성물은 2중량% 이상의 계면활성제, 예컨대 2-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5-3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퍼스널 케어 조성물이 o/w 에멀젼 형태의 액체 제제이면, 오일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 내지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유화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컨대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중량%, 특히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o/w 에멀젼으로 제제화되면, 유화제 계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오일 상의 5% 내지 20 중량%를 나타낸다.
o/w 제제에서 오일 상(오일 성분)은 다음 성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방 알코올:
6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코올을 기본으로 한 게르베(Guerbet) 알코올, 예컨대 세틸 알코올, 세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옥틸도데칸올, C12-C15알코올의 벤조에이트, 아세틸화된 라놀린 알코올 등.
지방산의 에스테르:
직쇄 C6-C24지방산과 직쇄 C3-C24알코올의 에스테르, 측쇄 C6-C13카르복시산과 직쇄 C6-C24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직쇄 C6-C24지방산과 측쇄 알코올, 특히 2-에틸헥산올의 에스테르, 히드록시카르복시산과 직쇄 또는 측쇄 C6-C22지방 알코올, 특히 디옥틸 말레이트의 에스테르, 직쇄 및/또는 측쇄 지방산과 다가 알코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이합체 디올 또는 삼합체 트리올) 및/또는 게르베 알코올, 예컨대 카프론산, 카프릴산, 2-에틸헥산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이소트리데칸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팔미톨레산, 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르산, 올레산, 엘라딘산, 페트로셀린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엘라에오스테아르산, 아라키딘산, 가돌렌산, 베헨산 및 에루신산과의 에스테르 및 이들과 알코올, 예컨대 이소프로필 알코올, 카프로 알코올, 카프릴 알코올, 2-에틸헥실 알코올, 카프르 알코올, 라우릴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미리스틸 알코올, 세틸 알코올, 팔모레일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엘라이디일 알코올, 페트로셀리닐 알코올, 리노일 알코올, 니놀레닐 알코올, 엘라에오스테아릴 알코올, 아라키딜 알코올, 가돌레일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에루실 알코올 및 브라시딜 알코올 및 이들의 공업용 혼합물(예컨대 지방 및 오일을 기본으로 한 공업용 메틸 에스테르 또는 로엘렌 옥소합성으로 부터 얻은 알데히드의 고압 수소화에서 및 불포화 지방 알코올의 이합체화에서 단량체 분획으로서 얻어짐)과의 공업용 혼합물 (예컨대 천연 지방 및 오일의 압력 제거에서, 로엘렌의 옥소합성으로 부터 알데히드의 환원에서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이합체화에서 얻어짐)이다.
이러한 에스테르 오일의 예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이소프로필 올레에이트, n-부틸 스테아레이트, n-헥실 스테아레이트, n-헥실 라우레이트, n-데실 올레에이트, 이소옥틸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스테아레이트,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2-헥실 라우레이트, 2-헥실데실 스테아레이트, 2-옥틸도데실 팔미테이트, 올레일 올레에이트, 올레일 에루케이트, 에루실 올레에이트, 에루실 에루케이트, 세테아릴 옥타노에이트, 세틸 팔미테이트, 세틸 스테아레이트, 세틸 올레에이트, 세틸 베헤네이트, 세틸 아세테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 미리스틸 베헤네이트, 미리스틸 올레에이트, 미리스틸 스테아레이트, 미리스틸 팔미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스테아릴 헵타노에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에이트, 옥틸 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이다.
디에틸헥실 2,6-나프탈레이트, 디-n-부틸 아디페이트, 디(2-에틸헥실)아디 페이트, 디(2-에틸헥실)숙시네이트 및 디이소트리데실 아세테이트와 같은 디카르복시산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올레에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이소트리데카노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펠라르고네이트, 부탄디올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및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와 같은 디올 에스테르 같은 다른 오일 성분도 사용될 수 있다. C6-C24지방 알코올 및/또는 게르베 알코올과 방향족 카르복시산, 포화 및/또는 불포화, 특히 벤조산의 에스테르, C2-C12디카르복시산과 1 내지 22개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측쇄 알코올 또는 2 내지 10개 탄소원자 및 2 내지 6개 히드록시 기를 갖는 폴리올과의 에스테르도 사용될 수 있다.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유도체를 비롯한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리드:
C6-C18지방산을 기본으로 하며, 기타 알코올(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리드, 소맥발아 글리세리드 등)과의 반응에 의해 변형된 디- 또는 트리-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세릴-n, 예컨대 폴리글리세릴-4 카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 이소스테아레이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피마자유, 수소화된 식물유, 스위트 아몬드, 소맥발아 오일, 참깨오일, 수소화된 면실유, 코코넛유, 아보카도유, 옥수수유, 수소화된 피마자유, 시버터, 코코아 버터, 대두유, 밍크오일, 해바라기유, 잇꽃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올리브오일, 수소화된 탤로우, 아프리코트 알곡 오일, 헤이즐넛 오일, 보라지 오일 등.
왁스:
이것은 장쇄 산 및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비롯한 왁스 뿐만 아니라 왁스 특성을 갖는 화합물, 예컨대 카르나우바 왁스, 밀랍 (백색 또는 황색), 라놀린 왁스, 칸델릴라 왁스, 오조케리트, 자팬 왁스, 파라핀 왁스, 미세결정성 왁스, 세레신, 세테아릴 에스테르 왁스, 합성 밀랍 등. 또한 세테아릴 알코올 또는 부분 글리세리드와 같은 소수성 왁스를 포함한다.
진주빛 왁스:
이것은 알킬렌 글리콜 에스테르, 특히 에틸렌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특히 코코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부분적 글리세리드, 특히 스테아르산 모노글리세리드; 다가, 비치환 또는 히드록시-치환된 카르복시산과 6 내지 22개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특히 타르타르산과의 장쇄 에스테르; 지방 물질, 예컨대 총 2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코올, 지방 케톤, 지방 알데히드, 지방 에테르 및 지방 카보네이트, 특히 라우론 및 디스테아릴 에테르; 스테아르산, 히드록시스테아르산 또는 벤헨산과 같은 지방산, 12 내지 22개 탄소원자를 갖는 올레핀 에폭사이드와 12 내지 22개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 알코올과의 개환 생성물 및/또는 2 내지 15개 탄소원자 및 2 내지 10개 히드록시 기를 갖는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탄화수소 오일:
이것은 무기 오일 (경유 또는 중유), 광유(황색 또는 백색), 미세결정성 왁스, 파라핀 및 이소파라핀 화합물, 수소화된 이소파라핀 분자, 폴리데센 및 폴리부텐과 같은 수소화된 이소파라핀성 분자, 수소화된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렌, 이소헥 사데칸, 이소도데칸 및 식물 또는 동물 기원의 기타 오일을 포함한다.
실리콘 또는 실록산(유기-치환 폴리실록산)
이것은 실온에서 액체 또는 수지 형태인,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시클릭 실리콘, 및 아미노-, 지방산-, 알코올-, 폴리에테르-, 에폭시-, 플루오린-, 글리코사이드- 및/또는 알킬-변형 실리콘 화합물. 선형 폴리-실록산, 디메티콘(Dow Corning 200 fluid, Rhodia Mirasil DM), 디메티코놀, 시클릭 실리콘 유체, 시클로펜타실록산 휘발물(Dow Corning 345 유체), 페닐트리메티콘(Dow Corning 556 유체)를 포함한다. 수소화 실리케이트를 갖고, 평균 사슬길이가 200 내지 300 디메틸실록산 단위를 갖는 디메티콘의 혼합물인 시메티콘이 또한 적당하다. 적당한 휘발성 실리콘에 관한 Todd 등에 의한 상세한 연구내용을 문헌(Cosm. Toil. 91, 27(1976))에서 찾을 수 있다.
불소첨가(fluorinated) 또는 불소과첨가(perfluorinated) 오일
퍼플루오로헥산, 디메틸시클로헥산, 에틸시클로펜탄(Flutec® 등급), 폴리퍼플루오로메틸이소프로필 에테르(Fomblin® 등급).
유화제
종래부터 사용가능한 유화제중 어떠한 것도 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유화제 계는 예를 들어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카르복시산 및 그들의 염:
예컨대 C8-C24, 바람직하게는 C14-C20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염, C8-C22, 일급 또는 이급 알킬 설포네이트, 알킬 글리세롤 설포네이트, 공개된 영국 특허 1,082,179호에 기재된 설폰화된 폴리카르복시산, 파라핀 설포네이트, N-아실, N'-알킬 타우레이트, 알킬 포스페이트, 이세티오네이트, 알킬 숙신아메이트, 알킬 설포숙시네이트, 설포숙시네이트의 모노에스테르 또는 디에스테르, N-아실 사르코시네이트, 알킬 글리코시드 설페이트, 폴리에톡시카르복실레이트, 양이온은 알칼리 금속(나트류, 칼륨, 리튬),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암모늄 잔기(메틸, 에틸, 트리메틸, 테트라메틸 암모늄, 디메틸 피페리디늄 등) 또는 알칸올 아민의 유도체(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등);
17-히드록시옥타데센산으로부터 유도된 산 또는 락톤 형태와 같은 소포로지질, 및 WO 96/3719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스핀고- 및 글리코지질;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의 알칼리 비누, 칼슘 또는 마그네슘의 금속성 비누, 라우르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 등과 같은 유기-기제 비누, 알킬 포스페이트 또는 인산 에스테르; 산 포스페이트, 디에탄올아민 포스페이트, 칼륨 세틸 포스페이트;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의 알킬 에스테르 설포네이트
R100-CH(SO3m)-COOR200
식 중에서,
R100은 C8-C20 알킬, 바람직하게는 C10-C16 알킬 라디칼이고, R200은 C1-C16, 바람 직하게는 C1-C3 알킬 라디칼이며, 또 M은 알칼리 양이온(나트륨, 칼륨, 리튬), 치환된 또는 비치환 암모늄(메틸, 디메틸, 트리메틸, 테트라메틸 암모늄, 디메틸 피페리디늄 등) 또는 알칸올아민의 유도체(모노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등)임;
화학식 R300OSO3M의 알킬 설페이트(여기서 R300은 C5-C24 알킬, 바람직하게는 C10-C18 알킬 또는 히드록시알킬 라디칼이고, 또 M은 수소 원자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양이온임) 및 평균 0.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EO 및/또는 PO 단위를 갖는 이들의 에틸렌옥시(EO) 및/또는 프로필렌옥시(PO) 유도체;
화학식 R400CONHR500OSO3M의 알킬 아미드 설페이트(여기서 R400은 C2-C22 알킬, 바람직하게는 C6-C20 알킬 라디칼이고, R500은 C2-C3 알킬 라디칼이며, 또 M은 수소 원자 또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양이온임) 및 평균 0.5 내지 60 EO 및/또는 PO 단위를 갖는 이들의 에틸렌옥시(EO) 및/또는 프로필렌옥시(PO) 유도체.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급 및 이급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특히 알코올 분자당 1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에 의해 에톡실화된 C8-C20 지방족 알코올, 보다 특히 알코올 분자당 1 내지 1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에 의해 에톡실화된 C10-C15 일급 및 이급 지방족 알코올을 포함한다. 비에톡실화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폴리글 리코시드, 글리세롤 모노에테르, 및 폴리히드록시아미드(글루카미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일부 특정 예는 다음을 포함한다:
폴리알콕시렌화된 알킬 페놀 (즉, 폴리에틸렌옥시, 폴리프로필렌옥시, 폴리부틸렌옥시), 그의 알킬 치환기는 6 내지 12개 탄소원자를 갖고 또 5 내지 25개 알콕실렌화된 단위를 함유한다; 그 예는 Rohm & Haas Co.,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TRITON X-45, X-1 14, X-100 및 X-102 및 Rhodia가 제조한 IGEPAL NP2 내지 NP17 이다.
1 내지 25개 알콕실렌화딘(에틸렌옥시, 프로필렌옥시) 단위를 갖는 C8-C22 폴리알콕실렌화된 지방족 알코올; 그 예는 TERGITOL 15-S-9, TERGITOL 24-L-6 NMW (Dow 제조), NEODOL 45-9, NEODOL 23-65, NEODOL 45-7, 및 NEODOL 45-4 (Shell Chemical Co., 제조), KYRO EOB (The Procter & Gamble Co., 제조), SYNPERONIC A3 내지 A9 (ICI 제조), RHODASURF IT, DB 및 B (Rhodia 제조)를 포함한다;
에틸렌 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글리콜 및/또는 PLURONIC 제품 (BASF 제조)와 같은 분자량 2,000 내지 10,000의 에틸렌 글리콜과의 축합반응으로 생긴 생성물;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TETRONIC 제품(BASF 제조)과 같은 에틸렌 디아민과의 축합반응으로 생긴 생성물;
5 내지 25개 에틸렌옥시 및/또는 프로필렌옥시 단위를 함유하는 C8-C18 에톡시 및/또는 프로폭시 지방산;
5 내지 30개 에틸렌옥시 단위를 함유하는 C8-C20 지방산 아미드;
5 내지 30개 에틸렌옥시 단위를 함유하는 에톡실화된 아민;
1 내지 50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개, 특히 2 내지 20개 알킬렌옥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옥시) 단위를 함유하는 알콕시화된 아미도아민;
C10-C18 디메틸아민의 옥사이드, 알콕시 C8-C22 에틸 디히드록시 에틸아민의 옥사이드와 같은 아민 옥사이드;
1 내지 30개 에틸렌옥시 및/또는 프로필렌옥시 단위를 함유하는 에톡실화된 및/또는 프로폭실화된 α- 또는 β-피넨(pinenes)과 같은 알콕실화된 테르펜 탄화수소;
미국특허 명세서 3,598,865호 및 4,565,647호 및 EP-A-132 043호 및 EP-A-13 04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글루코오스와 일급 지방 알코올의 축합반응(예컨대 산 촉매)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C4-C20, 바람직하게는 C8-C18 알킬 기를 갖고 또 글루코오스 단위의 평균 수가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APG) 몰당 0.5 내지 3,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8, 특히 C8-C14 알킬 기를 갖고 또 몰당 평균 1.4 개 글루코오스 단위, C12-C14 알킬 기를 갖고 또 몰당 평균 1.4 글루코오스 단위, C8-C14 알킬 기를 갖고 또 몰당 평균 1.5개 글루코오스 단위 또는 C8-C10 알킬 기를 갖고 또 몰당 평균 1.6개 글루코오스 단위를 갖는 것, 예컨대 헨켈이 제조한 GLUCOPON 600 EC, GLUCOPON 600 CSUP, GLUCOPON 650 EC 및 GLUCOPON 225 CSUP 으로 시판되는 알킬폴 리글리코시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전체 수준은 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15 중량%이다.
적합한 겨면활성제의 종류는 본 발명과 유사한 조성물에 사용되는 단일한 장쇄 알킬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R10R20R30R40N+ X- 의 4급 암모늄 염이며, 이때 R은 장쇄 또는 단쇄 탄화수소이고; 전형적으로 알킬, 히드록시알킬 또는 에톡실화된 알킬 기이고; 또 X는 대이온(예컨대 R10 은 C8-C22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C8-C10 또는 C12-C14 알킬기이며, R20 은메틸 기이고, 또 R30 및 R40은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메틸 또는 히드록시에틸 기임) 및 양이온성 에스테르(예컨대 콜린 에스테르임)이다.
에톡실화된 카르복시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PEG-n 아크릴레이트), 8 내지 22의 탄소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 알코올, 2 내지 3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0 내지 5몰의 프로필렌 옥사이드와 12 내지 22개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산 및 알킬 기에 8 내지 15개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페놀의 생성물, 예컨대 라우레쓰-n, 세테아레쓰-n, 스테아레쓰-n, 올레쓰-n과 같은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PEG-n-스테아레이트, PEG-n-올리에이트, PEG-n-코코에이트와 같은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테르도 유용하다.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올 에스테르: 1 내지 3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와 폴리올의 부가 제품의 C12-C22 지방산 모노-, 디-에스테르;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로일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디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글리세릴 디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2-세스퀼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글리세릴 디머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및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 이들 성분 계통 복수개를 혼합한 화합물 역시 적당하다.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지방산 및 수크로스 에스테르와 같은 사카로스 에스테르, 글리세롤 및 수크로스 글리세라이드와 같은 사카로스 에스테르.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6 내지 22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의 소르비탄 모노- 및 디-에스테르 및 에틸렌 옥사이드 부가 생성물.
폴리소르베이트-n 계열, 세스퀼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소르비탄 에스테르, 소르비탄, PEG-(6)-이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PEG-(10)-라우레이트 소르비탄, PEG-17-디올리에이트 소르비탄; 글루코스 유도체.
C8-C22 알킬-모노 및 올리고-글리코사이드 및 글루코스를 갖는 당성분으로 갖는 에톡시화 유사체; 메틸 글루세쓰-20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수크로스 코코에이트, 메틸 글루코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 세테아릴 알코올/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와 같은 O/W 유화제; 메틸 글루코스 디올레에이트/메틸 글루코스 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O/W 유화제.
설페이트 및 술폰화 유도체:
디알킬술포숙시네이트(예컨대 DOSS, 디옥틸 설포숙시네이트), 알킬 라우릴 술포네이트, 선형 술폰화 파라핀, 술폰화 테트라프로필렌 술포네이트,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및 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나트륨 라우레쓰 설페이트, 술포숙시네이트, 아세틸 이소티아네이트, 알카놀아미드 설페이트, 타우린, 메틸 타우린, 이미다졸 설페이트;
아민 유도체:
이들은 아민 염, 에톡시화 아민, 알킬 이미다졸과 같은,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한 사슬을 갖는 옥시 아민, 피리딘 유도체, 이소퀴놀린,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브로마이드,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TBA)와 같은 4가 암모늄, 스테아릴알코늄을 포함한다;
아미드 유도체: 아실아미드 DEA와 같은 알칸올아미드, PEG-n 아실아미드와 같은 에톡시화 아미드, 옥시데아미드;
폴리실록산/폴리알킬/폴리에테르 공중합체 및 유도체: 디메티콘, 코폴리올, 실리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실리콘 글리콜 공중합체;
프로폭시화 또는 POE-n 에테르(Meroxapols), 폴락사머 또는 폴리(옥시에틸렌)m-블록-폴리(옥시프로필렌)n-블록(옥시에틸렌) 공중합체;
적어도 하나의 4가 암모늄기와 적어도 하나의 카르복실레이트 및/또는 분자내의 술포네이트기를 수송할 수 있는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로 특히 적당한 것은, 그 각각이 알킬 또는 아실기내에 8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N-알킬-N,N-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코코알킬디메틸 암모늄 글리 시네이트, N-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코코아실아미노프로필디메틸 암모늄 글리시네이트 및 2-알킬-3-카르복시메틸-3-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과 같은 베타인 및 코코아실아미노에틸히드록시에틸카르복시메틸글리시네이트, N-알킬베타인, N-알킬아미노베타인이다;
알킬이미다졸린, 알킬 펩타이드, 리포아미노산;
자가 유화 염기 (참조 K.F. DePoIo - A Short Textbook Of Cosmetology, Chapter 8, Table 8-7, p 250-251);
PEG-6 밀랍 (및) PEG-6 스테아레이트 (및) 폴리글리세릴 2-이소스테아레이트[Apifac],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100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비이온성 유화제. [Arlacel 165], PEG-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Arlatone 983 S], 소르비탄 올리에이트 (및) 폴리글리세릴-3-리시노올리에이트[Arlacel 1689],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및 수크로스 코코에이트[Arlatone 212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라우레쓰 23[Cerasynth 945], 세테아릴 알코올 및 Ceteth-20[cetomacrogol wax], 세테아릴 알코올 및 폴리소르베이트 60 및 PEG-150 및 스테아레이트-20[폴라왁스 NF],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테아릴 폴리글루코사이드[Emulgade PL 1618],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테아레쓰-20[Emulgade 1000NI, Cosmowax], 세테아릴 알코올 및 PEG-40 피마자유[Emulgade F Special], 세테아릴 알코올 및 PEG-40 피마자유 및 나트륨 세테아릴 설페이트[Emulgade F], 세테아릴 알코올 및 스테아레쓰-7 및 스테아레쓰-10[Emulgator E 2155], 세테아릴 알코올 및 스테아레쓰-7 및 스테아레쓰-10[유화제 왁스 U.S.N.F],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PEG-75 스테아레이트[Gelot 64], 프로필 렌 글리콜 세테쓰-3 아세테이트[Hetester PCS], 프로필렌 글리콜 이소세쓰-3 아세테이트[Hetester PHA],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테쓰-12 및 올레쓰-12[Lanbritol Wax N21], PEG-6 스테아레이트 및 PEG-32 스테아레이트[Tefose 1500], PEG-6 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쓰-20 및 스테아레쓰-20[Tefose 2000], PEG-6 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쓰-20 및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레쓰-20[Tefose 256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세테아레쓰-20[Teginacid H, C, X];
PEG-2 스테아레이트 S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Monelgine, Cutina KD], 프로필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Tegin P];
세테아릴 알코올 및 나트륨 세테아릴 설페이트[Lanette N, Cutina LE, Crodacol GP], 세테아릴 알코올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Lanette W], 트릴라네쓰-4 포스페이트 및 글리콜 스테아레이트 및 PEG-2 스테아레이트[Sedefos 7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및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Teginacid Special]과 같은 비이온성 유화제; 및
세테아릴 알코올 및 세트리모늄 브로마이드와 같은 양이온성 산 염기.
보조제 및 첨가제:
퍼스널 케어 조성물, 예컨대 크림, 젤, 로숀, 알코올성 및 수성/알코올성 용액, 에멀젼, 왁스/지방 조성물, 점착성 제제, 파우더 또는 연고 등은 추가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로서, 순한 계면활성제, 슈퍼패팅제(superfatting agent), 점조성 조절제(consistency regulators), 증점제(thickeners), 폴리머, 안정화제, 생물학적 활성성분, 냄새제거 활성성분(deodorising active ingredients), 비듬제거 제(anti-dandruff agents), 막형성제(film formers), 팽윤제(swelling agents), 자외선-보호 인자(UV light-protective factors), 산화방지제, 굴수제(hydrotropic agents), 보존제, 곤충퇴치제(insect repellents), 용해화제, 향수 오일, 착색제, 세균 억제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는 퍼스널 케어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퍼스널 케어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슈퍼패팅제:
슈퍼패팅제로 적당한 성분의 예를 들면, 라놀린 및 레시틴 그리고 폴리에톡시화 또는 아크릴화 라놀린 및 레시틴 유도체, 폴리올 지방산 에스테르,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인데, 마지막 것의 경우 거품안정제로서도 동시에 기능한다.
계면활성제:
순한 계면활성제, 즉 피부에 친화적인 계면활성제로 적당한 것의 예를 들면, 지방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설페이트,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페이트, 모노- 및/또는 디-알킬 술포숙시네이트, 지방산 이소티오네이트, 지방산 사코시네이트, 지방산 타우라이드, 지방산 글루타메이트, α-올레핀 술포네이트, 에테르카르복실산, 알킬 올리고글루코사이드, 지방산 글루코아미드, 알킬아미도베타인 및/또는 단백질 지방산 농축 제품이 있는데, 마지막 것의 경우는 밀 단백질 기제의 것이 바람직하다.
점조성 유지제/증점제 및 유동개선제(rheology modifers):
실리콘 디옥사이드,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다당류 또는 그들의 유도체, 예를 들면, 히알우론산, 크산탄 검, 구아-구아, 한천-한천, 알지네이트, 카라귀난, 겔란, 펙틴 또는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변형 셀룰로오스. 가교된 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아미드의 단일중합체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에 추가하여, 카르보폴 범위(Carbopol types 980, 981, 1382, ETD 2001, ETD2020, Ultrez10,; INCI: Carbomer) 또는 Ciba Scalcare® 범위, 이를테면 Salcare® SC10, Salcare® SC11 및 Salcare® SC Super 7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전체 공중합체(DADMAC)), Salcare® SC30 (DADMAC 동종중합체), Salcare® 80(스테아레쓰-10 알릴 에테르/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Salcare SC81(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소수성 캐리어 매질에 미세미립자 아크릴 기제 중합체 증점제류인 액체 분산액 중합체의 Ciba Salcare® 범위, 예컨대 Salcare® SC91 (나트륨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PPG-1 트리데세쓰-6/무기 오일), Salcare® SC92 (폴리쿼터늄 32/무기 오일), Salcare® SC95 (PPG-1 트리데세쓰-6을 갖는 무기 오일 중의 폴리쿼터늄 37); Sepigel 305(폴리아크릴아미드/라우레쓰-7), Simulgel NS 및 Simulgel EG(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나트륨 아크릴로일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Stabilen 30(아크릴레이트/비닐 이소디카노에이트 가교중합 체), Pemulen® TR-1(아크릴레이트/C10-C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Luvigel® EM(나트륨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Aculyn® 28(아크릴레이트/베헤네쓰-25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
폴리머:
적당한 양이온성 폴리머는, 예를 들어, 양이온성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어 제4급 히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예를 들어, Amerchol, 양이온성 전분, 디알릴암모늄 염 및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로부터 된 Polymer JR 400®로 얻어지는 것, 제4급 비닐피롤리돈/비닐 이미다졸 중합체, 예를 들어 상표명 Luviquat® (BASF)(폴리글리콜과 아민의 농축제품), 제4급 콜라겐 폴리펩타이드, 예를 들어 라우릴디모늄 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롤라이즈드 콜라겐(Lamequat® L/Grunau), 제4급 밀 폴리펩타이드, 폴리에틸렌이민, 양이온성 실리콘 폴리머, 예를 들어 아미노메티콘, 아딥트산과 디메틸아미노히드록시프로필 디에틸렌트리아민의 공중합체(Cartaretin®/Sandoz),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갖는 아크릴산의 공중합체(Merquat® 550/Chemviron), 폴리아미노폴리아미드, 이는 FR-A-2 252 840에 개시된 바와 같고, 그들의 가교 수용성 폴리머, 양이온성 치틴 유도체,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미세결정으로서 유통되는 제4급 치토산; 디할로알킬의 농축제품, 예를 들어 비스디알킬아민을 갖는 디브로모부탄, 예를 들어 비스디메틸아미노-1,3-프로판, 양이온성 구아 검, 예를 들어 Celanese로부터의 Jaguar® C-17, Jaguar® C-16, 제4급 암모늄 염 폴리머, 예를 들어, Miranol로부터의 Mirapol® A-15, Mirapol® AD-1. 고려될 수 있는 음이온성, 쯔비터이온성, 양성적 및 비이온성 폴리머의 예를 들면, 비닐 아세테이트/크로토닉산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부틸 말리에이트/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틸 비닐 에테르/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그들의 에스테르, 미가교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올로 가교된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도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Ciba Salcare® SC 60), 옥틸 아크릴아미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tert-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비닐 카프로락탐 터폴리머 및 선택적으로 유도되는 셀룰로오스 에테르 및 실리콘. 또한, EP 1 093 796(3-8쪽, 17-68행)에 기재된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생체 활성성분:
생체 활성성분은 다음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바, 예를 들어, 토코페롤,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브산, 데옥시리보핵산, 레티놀, 비사보롤, 알란토인, 피탄트리올, 판테놀, AHA 산, 아미노산, 세라마이드, 슈도세라마이드, 에센셜 오일, 식물 추출물 및 비타민 복합체이다.
냄새제거 활성성분:
피부 케어를 위한 냄새제거 활성성분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와 같은 땀제거제를 포함한다(J. Soc. Cosm. Chem. 24, 281(1973)). Clariant의 상표명 Locron® 으로 시판되는 것의 예를 들면 Al2(OH)5Clx2.5H2O의 화학식에 대응되는 알루미늄 클로로하이드레이트이며, 그 사용은 특별히 바람직하다(J. Pharm. Pharmacol. 26, 531(1975)). 클로로하이드레이트 이외에, 알루미늄 히드록시 아세테이트 및 산성 알루미늄/지르코늄 염의 사용도 가능하다. 에스테라아제 억제제가 추가적인 냄새제거 활성성분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억제제로서 바람직한 것은 트리알킬 시트레이트인데, 이를테면, 트리메틸 시트레이트, 트리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이소프로필 시트레이트, 트리부틸 시트레이트 및 특히 트리에틸 시트레이트(Hydagen® CAT, Henkel, KGaA, Dusseldorf/GER)인데, 이는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냄새의 형성을 저지한다. 에스테라아제 억제제로서 고려가능한 추가의 성분은 스테롤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예를 들어, 라노스테롤, 콜레스테롤, 캠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시토스테롤 설페이트 또는 포스페이트, 디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글루타르산, 글루타르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글루타르산 디에틸 에스테르, 아디프산, 아디프산 모노에틸 에스테르, 아디프산 디에틸 에스테르, 말론산 및 말론산 디에틸 에스테르 및 히드록시카르복실산 및 그것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또는 타르타르산 디에틸 에스테르이다. 세균총(germ flora)에 영향을 주고 땀-분해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향균 활성성분이 제제내에 존재할 수 있다(특히 점착성 제제내에). 예를 든다면, 페녹시에탄올 및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를 포함한다. 5-클로로-2(2,4-디클로로페녹시)-페놀(Irgasan®DP 300,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이 특히 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듬 제거제:
클림바졸, 옥토피록스 및 아연 피리티온과 같은 비듬제거제가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필름 형성제는 예컨대 키토산, 미세결정성 키토산, 제4급화 키토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비닐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고비율의 아크릴산을 함유하는 제4급화 셀룰로오스 유도체, 콜라겐, 히알우론산 및 그의 염 및 유사 화합물을 포함한다.
산화방지제:
퍼스널 케어 제품은 경우에 따라 1 이상의 산화방지제를 함유할 수 있다. 통상적인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방지제의 전형적인 예는 4,4'-디-알파-큐밀-디페닐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된 tert-부틸/tert-옥틸-디페닐아민, n-옥타데실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테트라디부틸 펜타에리트리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 테트라키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디-n-옥타데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페이트, 1,3,5-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티오디에틸렌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트리메 틸-2,4,6-트리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3,6-디옥사옥타메틸렌비스 (3-메틸-5-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2,6-디-tert-부틸-p-크레졸, 2,2'-에틸리덴-비스(4,6-디-tert-부틸페놀), 1,3,5-트리스(2,6-디메틸-4-tert-부틸-3-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ert-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2-(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3,5-디-(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메시톨, 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1-(3,5-디-tert-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3,5-디(옥틸티오)-s-트리아진,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남아미드), 칼슘 비스(에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페이트), 에틸렌 비스[3,3-디(3-tert-부틸-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옥틸 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히드라지드, N,N'-비스[2-(3,5-디-ter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모일옥시)-에틸]옥사미드, 디(수소화된 탤로우)아민을 직접적 산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및 나트륨 벤조트리아졸릴 부틸페놀 설포네이트 (Cibafast®H,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제조)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산화방지제는 아미노산(예를 들어, 글리신, 히스티딘, 티로신, 트립토판) 및 그 유도체, 이미다졸(예를 들어 우로카닉산) 및 그 유도체, 펩타이드, 이를테면, D,L-카르노신, D-카르노신, L-카르노신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안 세린), 카로티노이드, 카로텐(예컨대 알파-카로텐, 베타-카로텐, 리코펜), 및 그 유도체, 클로로제닉산 및 그 유도체, 리포익산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디히드로리포익산), 아우로티오글리코스, 프로필티오우라실 및 기타의 티올(예를 들어, 티오레독신, 글루타티온, 시스테인, 시스타마인 및 글리코실, N-아세틸, 메틸, 에틸, 프로필, 아밀, 부틸, 라우릴, 팔미토일, 올레일, 리놀레일, 콜레스테로일 및 그의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그 염, 디아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티오디프로피온산 및 그 유도체(에스테르, 에테르, 펩타이드, 리피드,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사이드 및 염) 및 또한 설폭시민 화합물(예를 들어, 부티오닌 설폭시민, 호모시스테인 설폭시민, 부티오닌 설폰, 펜타-, 헥사-, 헵타-티오닌 설폭시민), 또한 (금속)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히드록시 지방산, 팔미트산, 피틱산, 락토페린), 히드록시산(예를 들어, 시트르산, 락트산, 말르산), 휴믹산, 빌레산, 빌레 추출물, 빌루빈, 빌베르딘, EDTA, EDDS, EGTA 및 그 유도체, 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리놀렌산, 리놀레산, 올레산), 폴릭산 및 그 유도체, 유비퀴논 및 유비퀴놀 및 그 유도체, 비타민 C 및 유도체(예를 들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스페이트, 아스코르빌 아세테이트), 토코페롤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비타민 A 팔미테이트) 및 또한 벤조인 레진의 코니페릴 벤조에이트, 루티닉산 및 그 유도체, 알파-글리코실루틴, 페룰산, 푸르푸릴리덴 글루시톨, 카르노신, 부틸 히드록시톨루엔, 부틸 히드록시아니졸, 노르디히드로아구아이아레틱산, 트리히드록시부티로페논, 우릭산 및 그 유도체, 만노스 및 그 유도체,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 제, N-[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설파닐릭산(및 그 염, 예를 들어 디나트륨염), 아연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ZnO, ZnSO4), 셀레늄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셀레늄 메티오닌), 스틸벤 및 그 유도체(예를 들어 스틸벤 옥사이드, 트랜스-스틸벤 옥사이드) 및 언급된 활성성분이 본 발명에 따른 적당한 유도체(염, 에스테르, 에테르 당,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사이드, 펩타이드 및 리피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화합물 또한 언급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제의 함량은 퍼스널 케어 제품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보통 0.0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 중량%이다.
굴수제(Hydrotropic agents):
유동 거동을 개선하기 위하여 굴수제를 채용할 수 있는데, 그 예를 들면, 많은 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 에톡시화 또는 비에톡시화 모노-알코올, 디올 또는 폴리올 또는 그 에테르(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1,2-디프로판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및 유사 생성물)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고려가능한 폴리올은 2 내지 15개의 탄소원자 그리고 적어도 2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은 추가로 관능기, 특히 아미노기를 함유할 수 있고, 질소로 개질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 다: 글리세롤, 알킬렌 글리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및 평균분자량이 100 내지 1000 amu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1.5 내지 10의 고유한 농축 정도를 갖는 공업용 올리고글리세롤 혼합물, 예를 들어 40 내지 50 중량%의 디글리세롤 함량을 갖는 공업용 디글리세롤 혼합물; 트리메틸올레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틸올부탄, 펜타에리트리톨 및 디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메틸올 화합물; 저급 알킬-글루코사이드, 특히 알킬 라디칼내에 1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것, 예를 들어 메틸 및 부틸 글루코사이드; 5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당 알콜, 예를 들어 소르비톨 또는 만니톨; 5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당,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또는 사카로오스; 아미노 당, 예를 들어 글루카민; 디알코올 아민, 예를 들어 디에탄올 아민 또는 2-아미노-1,3-프로판디올.
보존제 및 세균억제제:
적당한 보존제의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파라벤,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2-니트로-프로판-1,3-디올, 디히드로아세트산,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2-디클로로-벤질 알코올, DMDM 히단토인, 포름알데히드 용액, 메틸디브로모 글루타니트릴, 페녹시에탄올, 나트륨 히드록시메틸글리시네이트,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트리클로산 및 다음 문헌에 열거된 종류의 추가적 성분: K.F.DePolo - 미용 관련 간이교과서, 7장, 표 7-2, 7-3, 7-4 및 7-5, p210-219).
세균 억제제:
세균억제제의 전형적인 예는 그람-양성 세균에 대한 특이활성을 갖는 보존제, 예를 들어, 2,4,4'-트리클로로-2'-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클로르-헥시딘(1,6-디(클로로페닐-비구아니도)헥산) 또는 TCC(3,4,4'-트리클로로카바닐라이드)이다. 많은 수의 방향족 물질 및 에테르성 오일 역시 항균성을 갖는다. 전형적인 예를 들면 클로브오일, 민트 오일 및 타임 오일의 티몰, 멘톨 및 유게놀이다. 천연의 냄새제거제로서 관심가는 것은 테르펜 알코올 파르네졸(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엔-1-올)인데, 이는 라임 꽃 오일에 존재한다. 글리세롤 모노라우레이트는 세균발육저지제로 판명되었다.
추가적인 세균 억제제의 양은 제제의 고체 기준으로 통상 0.1 내지 2 중량% 이다.
향수 오일:
천연 및/또는 합성의 방향족 물질의 혼합물이 향수 오일로서 거론될 수 있다. 천연 방향족 물질의 예를 들면, 꽃으로부터의 추출물(백합, 라벤더, 장미, 자스민, 네롤리, 일랑-일랑), 줄기 및 잎으로부터 추출물(제라늄, 파출리, 페티트그레인), 열매로부터의 추출물(아니스의 열매, 고수풀, 캐러웨이, 주니퍼), 열매껍질로부터의 추출물(베르가모트, 레몬, 오렌지), 뿌리로부터의 추출물(메이스, 안젤리카, 셀러리, 카르다몸, 코스터스, 아이리스, 칼머스), 나무로부터의 추출물(소나무, 백단, 유창목, 시더우드, 로즈우드), 허브 및 풀로부터의 추출물(타라곤, 레몬풀, 세이지, 타임), 침엽 및 가지로부터의 추출물(전나무, 소나무, 스코틀랜드 소나무, 마운틴 소나무), 로진 및 발삼으로부터의 추출물(갈바눔, 엘레미, 벤조인, 몰약, 올리바눔, 오포포낙스)이 있다. 동물성 원재료로서 고려가능한 것의 예를 들면, 사향 및 비버향이다. 전형적인 합성 방향족 물질의 예를 들면 에스테르, 에테르, 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또는 탄화수소 형태의 제품이다. 에스테르 형태의 방향족 성분 화합물의 예를 들면, 벤질 아세테이트, 페녹시에틸 이소부티레이트, p-tert-부틸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리날릴 아세테이트, 디메틸벤질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아세테이트, 리날릴 벤조에이트, 벤질 포메이트, 에틸메틸페닐 글리시네이트, 알릴시클로헥실 프로피오네이트, 스티르알릴 프로피오네이트 및 벤질 살리실레이트이다. 에테르의 예를 들면, 벤질 에틸 에테르; 알데히드의 예를 들면, 8 내지 18개의 탄화수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카놀, 시트랄, 시트로넬랄, 시트로넬릴 옥시아세트알데히드, 시클라멘 알데히드, 히드록시시트로넬랄, 릴리알 및 유인물질; 케톤, 예를 들면, 이오논, 이소메틸이오논 및 메틸 세드릴 케톤; 알코올의 예를 들면, 아네톨, 시트로넬롤, 유게놀, 이소유게놀, 게라니올, 리날로울, 페닐 에틸 알코올 및 테르피놀; 및 탄화수소의 예를 들면 주로 테르펜과 발삼이다. 그러나, 매력적인 향을 발산하는 다양한 방향족 물질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방향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저휘발성의 에테르성 오일 역시 향유로서 적합한데, 그 예를 들면, 세이지 오일, 카모마일 오일, 클로브 오일, 멜리사 오일, 시나몬잎의 오일, 라임꽃 오일, 주니퍼 버리 오일, 베티버 오일, 올리바눔 오일, 갈바눔 오일, 랍다눔 오일 및 라벤딘 오일이다. 바람직하게는 베르가모 오일, 디히드로마이세놀, 릴리얼, 라이랄, 시트로넬롤, 페닐 에틸 알코올, 헥실 신남알데히드, 제라니올, 벤질 아세톤, 시클라멘 알데히드, 리날로울, 바이오삼브렌 포르테, 앰브록산, 인돌, 헤디온, 산델리스, 레몬 오일, 탄제린 오일, 오렌지 오일, 알릴 아밀 글리콜레이트, 시클로버탈, 라반딘 오일, 뮤스카텔 세이지 오일, 아마스콘, 보르본 젤라늄 오일, 시클로헥실 살리실레이트, 보르토플릭스 코에르, 이소-E-Super, Fixolide NP, 에버닐, 이랄데인 감마, 페닐아세트산, 제라닐 아세테이트, 벤질 아세테이트, 로스 옥사이드, 로밀랏, 이고틸 및 플로라맛 단독 또는 서로 간의 혼합물이다.
착색제:
문헌 "Kosmetische Farbemittel" of the Farbstoffkommission der Deutschen Forschungsgemeinschaft, Verlag Chemie, Weinheim, 1984, pages 81 to 106 및 기타 다른 나라에서 유사한 문헌, 예컨대 미국에서 CTFA 및 FDA에 기재된 바와 같이 화장품 목적에 적합하고 허용되는 물질이 착색제로 사용될 수 있다. 착색제는 통상 전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0.1 중량%의 농도로 사용된다.
기타 보조제
화장품 제제에 추가로 사용되는 보조제의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소포제, 말레인산과 같은 스트럭쳐런트(structurants),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또는 디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용해제, 라텍스, 스티렌/PVP 또는 스티렌/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와 같은 불투명화제(opacifiers), EDTA, NTA, 알라닌디아세트산 또는 포스폰산과 같은 착화제(complexing agents), 프로판/부탄 혼합물, N2O, 디메틸에테르, CO2, N2 또는 공기와 같은 추진물질, 산화 안료 전구체로서의 소위 커플러(coupler) 및 현상성분(developer components), 환원제, 예를 들어 트리글리콜릭산 및 그 유도체, 티오락틱산, 시스테아민, 티오말릭산 또는 머캅토에탄술폰산, 또는 산화제, 예를 들어 히드로겐 퍼옥사이드, 칼륨 브로메이트 또는 나트륨 브로메이트이다.
피부 케어를 위해, 예컨대 N,N-디에틸-m-톨루아미드, 1,2-펜탄디올 또는 곤충퇴치제 3535과 같은 곤충퇴치제를 고려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UV 흡수제)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손상으로부터 제품 및/또는 기질을 보호하기 위해 화장품에 사용된다. 썬스크린제는 자외선으로부터부터 보호하는 OTC 약물 성분이다. 썬 스크린제와 같은 UV 흡수제는 입사 자외선을 손상이 덜한 적외선(열)으로 전환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UV 흡수제는 예컨대 다음을 포함한다:
아세트아미노살올, 알란토인 PABA, 벤잘프탈리드, 벤조페논, 벤조페논-1, 벤조페논-2, 벤조페논-3, 벤조페논-4, 벤조페논-5, 벤조페논-6, 벤조페논-7, 벤조페논-8, 벤조페논-9, 벤조페논-10, 벤조페논-11, 벤조페논-12,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3-벤질리덴 캄포르, 벤질리덴-캄포르 가수분해된 콜라겐 설폰아미드, 벤질리덴 캄포르 설폰산, 벤질 살리실레이트,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보르넬론, 부메트리졸,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 부틸 PABA, Cibafast H, 칼로필룸 이노필룸(Callophyllum Inophyllum) 종자 오일, 카멜리아 시넨시스(Camellia Sinensis) 잎 추출물, 카로테노이드, 세리아/실리카, 세리아/실리카 활석, 시노세이트(Cinoxate), DEA-메톡시신나메이트, 디벤조옥사졸릴 나프탈렌, 디-t-부틸 히드록시벤질리덴 캄포르,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디에틸헥실 2,6-나프탈레이트, 디갈로일 트리올레에이트, 디이소프로필 메틸 신나메이트, 1-(3,4-디메톡시페닐)-4,4-디메틸-1,3-펜탄디엔, 디메틸 PABA, 에틸 세테아릴디모늄 토실레이트, 디모르폴리노피리다지논, 디페닐 카르보메톡시 아세톡시 나프토피란, 디나트륨 비스에틸페닐 트리아미노트리아진 스틸벤디설포네이트, 디나트륨 디스티릴비페닐 디설포네이트, 디나트륨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드로메트리아졸, 드로메트리졸 트리실옥산, 에스쿨린(Esculin), 에틸 디히드록시프로필 PABA, 에틸 디이소프로필신나메이트, 에틸헥실 디메톡시벤질리덴 디옥소이미다졸리딘 프로피오네이트, 에틸헥실 디메틸 PABA, 에틸헥실 페룰레이트(Ferulate),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에틸헥실 트리아존, 에틸 메톡시신나메이트, 에틸 PABA, 에틸 우로카네이트(urocanate), 에토크릴렌(Etocrylene), 페룰산, 4-(2-베타-글루코피라노실옥시) 프로폭시-2-히드록시벤조페논, 글리세릴 에틸헥사노에이트 디메톡시신나메이트, 글리세릴 PABA, 글리콜 살리실레이트, 헥산디올 살리실레이트, 호모살레이트, 가수분해된 루핀 단백질,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이소펜틸트리메톡시신나메이트 트리실옥산, 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이소프로필 디벤조일메탄, 이소프로필 메톡시신나메이트,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메틸렌비스-벤조트리아졸릴 테트라메틸부틸페놀, 옥토크릴렌, 옥트리아졸, PABA, PEG-25 PABA, 펜틸 디메틸 PABA,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폰산, 피누스 피나스터(Pinus Pinaster) 수피 추출물(bark extract),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 벤질리덴 캄포르, 폴리실리콘-15, 칼륨 메톡시신나메이트, 칼륨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네이트, 적색 피트롤륨, TINOSORB®M, TINOSORB®S 및 Cibafast®H (나트륨 벤조트리아졸릴 부틸페놀 설포네이트, 예: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나트륨 이소페룰레이트, 나트륨 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네이트, 나트륨 우로카네이트,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Spirulina Platensis) 파우더, TEA-페닐-벤즈이미다졸 설포네이트, TEA-살리실레이트,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 설폰산, 테트라부틸 페닐 히드록시벤조에이트, 이산화티탄, 토코트리에놀, 트리 PABA 판테놀, 우로칸산, VA/크로토네이트/메타크릴옥시벤조페논-1 공중합체 및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포도) 씨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양태를 설명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상세한 기재에 따라서 기재된 양태에 대하여 다수의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모든 부는 특별히 다르게 기재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실시예 1
pDADMAC / DAA 공중합체의 합성
응축기, 온도계, 질소 도입기 및 오버헤드 교반기를 구비한 1 리터 반응기에 260 g의 66% DADMAC 단량체, 34.5 g의 디알릴아민 (DAA), 35.0 g의 HCl 용액, 6.0 g의 탈이온수 및 0.4 g의 20% Na4EDTA 용액을 장입하였다. 중합 혼합물을 질소로 씻어내고 교반하면서 80℃ 온도로 가열하였다. 2.1 g의 과황산암모늄 (APS)을 함유하는 수용액을 서서히 반응 혼합물에 190분간에 걸쳐서 부가하였다. 이 반응 온도는 점점 90℃ 이상으로 증가시킨 다음 APS 공급 기간 동안 90 내지 100℃로 유지하였다. APS 공급 후, 반응 온도는 95℃에서 30분간 유지시켜 중합반응을 완성시켰다(99% 이상 전환). 중합체 용액은 충분한 물을 사용하여 약 35 중량% 고체로 희석하고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최종 생성물은 25℃에서 9100 cps의 브룩필드 점도(브룩필드 LV4 스핀들 사용, 30 rpm에서)를 갖고 고체 함량은 33% 중합체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과정을 실시하여 이하의 중합체(하기 표 1)를 합성하였다. 최종 생성물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 브룩필드 LVT #3 스핀들을 사용하여 12 rpm으로 25℃에서 측정하였다. 점도 결과를 하기 표 1에 수록한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8
실시예 3
기계적 교반기, 부가적 깔때기 및 응축기를 구비한 0.5 리터들이 반응기에 228.0 g (0.129 몰 이급 아민, NH)의 실시예 1로부터 얻은 기제 중합체를 장입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은 25% NaOH 수용액 6.0 g을 사용하여 pH 9.0 내지 10.0으로 조정하고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하였다. pH 조절 후, 7.6 g (0.0076몰 에폭사이드)의 모노-(2ㅏ3-에폭시)프로필 에테르-말단 폴리디메틸실옥산 (MCR-E11, Gelest 제조)를 반응기에 부가하였다. 그라프팅 반응은 약 70℃에서 유지하였고, 반응 용액의 점도는 진탕기 토르크 미터를 이용하여 모니터하였다. 반응기 내용물의 점도는 토르크 미터 판독으로부터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응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점도 증가는 그라프트된 소수성 실옥산 기의 결합으로부터 생긴 것으로 믿어지며 그라프트 반응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약 4시간 후 반응시간 증가에 따라 적은 증가를 나타내지만, 반응 혼합물은 70℃에서 2시간 더 유지된다. 농축 HCl 용액 및 탈이온수를 부가하여 pH를 약 5로 조정하고 고체로 하였다. 생성한 중합체 생성물은 균질하고, 황색을 띄는 에멀젼 유사 용액으로서 20.0 중량%의 중합체 고체(기제 중합체 Ia + 그라프팅제 II)를 갖고 약 1200 cps (30 rpm, 25℃에서, 브룩필드 LV3 스핀들 사용)의 브룩필드 점도를 갖는다.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는 약 10 중량%의 그라프트된 MCR-E11을 함유하며, 공중합체에 소수성 실옥산 관능성을 제공하다.
실시예 4
7.6 g의 MCR-E11 그라프트제 대신 18.1 g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3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생성한 중합체 생성물은 균질하고, 황색을 띄는 에멀젼-유사 용액으로서, 20.0 중량%의 중합체 고체(기제 중합체 I + 그라프트제 II)과 브룩필드 점도가 약 1200 cps (30 rpm, 25℃에서, 브룩필드 LV3 스핀들 사용)를 얻었다. 공중합체는 약 20 중량%의 그라프트된 MCR-E11을 함유하며, 이것은 양이온성 공중합체에 소수성 실옥산 관능성을 제공하다.
실시예 5
기계적 교반기, 부가적 깔때기 및 응축기를 구비한 1 리터들이 반응기에 250 g 의 22.1 중량% 기제 중합체(실시예 1로부터 얻음)(0.096 몰 이급 아민, NH)를 장입하였다. 25% NaOH 수용액 6.0 g을 부가하여 pH 9.0 이상으로 만들었다. 반응기 내용물을 26.2 g의 탈이온수로 희석시킨 다음 10.0 g의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HEA, 97%)를 약 20℃의 온도에서 부가하였다. 이 반응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하여 HEA의 사라짐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그라프팅 반응은 부가된 HEA의 95% 이상이 반응한 후 종료되었다. 이 반응은 점도 증가를 초래한다. 반응하는 동안 탈이온수를 때때로 부가하여 교반을 위한 적합한 반응 점도를 유지하였다. 생성한 생성물은 11.5 중량%의 그라프트된 중합체 고체를 함유하는 투명 용액이다. 중합체 고체는 약 15 중량%의 그라프트된 HEA 단위를 함유하며, 이는 양이온성 pDADMAC/DAA 공중합체에 히드록실 관능성을 부가한다.
실시예 6
1.8 g의 아크릴아미드 (50%) 용액을 실시예 1의 생성물 25 g에 부가한 후 pH를 25% NaOH 용액으로 9.0으로 조절하였다. 완전히 혼합한 후, 상기 용액을 23℃ 내지 26℃에서 약 3일간 반응시켰다. 생성한 중합체 용액은 투명하며 31.2 중량% 중합체 고체를 함유한다. 수득한 양이온성 공중합체는 약 15 중량%의 그라프트된 아크릴아미드 단위를 가지며, 이것은 양이온성 pDADMAC/DAA 공중합체에 현수 아미드기 관능성을 부가한다.
실시예 7
50 g (428 밀리몰)의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350 (MPEG 350- 다우 케미컬 제조)을 교반기, 질소 도입구 및 온도조절기를 구비한 원형 바닥의 플라스크에 장입하고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온도가 65℃에 도달하면, 1.6 g의 삼플루오르화붕소 에테레이트를 플라스크에 부가하였다. 이어 35.7 g(386 밀리몰)의 에피클로로히드린을 플라스크에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65℃ 내지 74℃ 온도에서 증가에 의해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온도 증가가 그치면,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하였다. 이 때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소비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완전히 끝난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어, 30.8 g의 50% NaOH 용액을 혼합물에 부가한 다음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폭시 기의 형성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및 클로라이드 이온 적정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투명 호박색 액체로서 중간체를 얻었다.
실시예 8-28
실시예 2로부터 얻은 기제 중합체 B 50.0 g (20.5 밀리몰/당량 중량, 샘플 중의 DAA 기준)은 20 g의 탈이온수로 희석시켰다. pH는 50% NaOH 용액 1.2 g으로 조절하였다. 1.2 g(6.2 밀리몰)의 1-옥시-2,2,6,6-테트라메틸-4-글리시딜옥시피페리딘(글리시돌 TEMPO)을 용액에 부가하였다. 완전히 혼합한 후,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때 1-옥시-2,2,6,6-테트라메틸-4-글리시딜옥시피페리딘 (글리돌 TEMPO)의 소비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99% 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온도가 70℃에 도달하면, 5.5 g(6.2 밀리몰)의 38%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Quab® 342, Degussa) 용액 및 5 g의 2-프로판올을 플라스크에 부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70-7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시켰다. 반응 하는 동안 20.0 g의 탈이온수를 부가하여 점도 제어를 보조하였다. 이 혼합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Quab 342의 소비에 대해 분석하였다. Quab 342의 글리콜로의 가수분해는 적정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16 g의 탈이온수 및 1.4 g의 진한 HCl을 부가하여 pH를 조절하였다. 변형된 polyDADMAC 공중합체는 9.1 중량% 고체의 투명한 점성 황색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양이온성 중합체는 약 4.4 중량5의 그라프트된 글리시돌 TEMPO를 함유하며, 이는 현수 니트록실 기의 산화방지 관능성을 제공하며 또 7.7 중량%의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반응 생성물을 함유한다.
표 2는 상기 중합체 및 기타 유사하게 제조된 다른 중합체의 특성을 요약한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19
1) 디알릴아민 함량 기준
글리시돌 TEMPO = 1-옥시-2,2,6,6,-테트라메틸-4-글리시딜옥시피페리딘
Quab 342 =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Quab 151 =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Quab 426 =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E-도데칸 = 1,2-에폭시도데칸
E-헥산 = 1,2-에폭시헥산
PGE =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PSA = 3-클로로-2-히드록시-1-프로판 설폰산, Na 염.
CA = 2-클로로아세트아미드
PEG 350 = 카르보wax 350 = 폴리에틸렌 글리콜 350
도데세닐 SA = 2-도데센-1-일 무수 숙신산
실시예 29 - 49
실시예 2로부터 얻은 기제 중합체 A 50.0 g (42 밀리몰/당량 중량, 샘플 중의 DAA 기준), 10 g의 탈이온수 및 3.3 g의 50% NaOH 용액을 교반기, 질소 도입기 및 온도조절기를 구비한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장입하였다. 온도가 70℃에 도달하면, 30.2 g(33.5 밀리몰)의 38%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Quab 342, Degussa 제조) 용액 및 8 g의 2-프로판올을 플라스크에 부가하였다. 온도가 65℃에서 70℃로 증가함에 따라서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온도 상승이 중지되면,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하였다. 반응 하는 동안 6.0 g의 탈이온수를 부가하여 점도 제어하도록 보조하였다. 이 때 Quab 342의 소비는 클로라이드 적정에 의해 > 99%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Quab 342의 글리콜로의 가수분해는 적정 및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모니터링하였다. 이 때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또 179 g의 탈이온수 및 1.5 g의 2.3% HCl/물 용액을 부가하여 pH를 조절하였다. 변형된 polyDADMAC 공중합체는 12.8 중량% 고체의 투명한 점성 황색 혼합물로 얻었다.
최종 생성물은 25℃에서 4900 cps의 브룩필드 점도(브룩필드 LV3 스핀들 사용, 12 rpm) 및 12.8% 중합체 고체를 가졌다.
표 3은 상기 중합체 및 유사하게 제조된 기타 중합체의 특성을 요약한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0
1 디알릴아민 함량 기준
2 브룩필드(Brookfield) LVT #3, 속도 12 rpm
3 브룩필드(Brookfield) LVT #4, 속도 12 rpm
4 브룩필드(Brookfield) RVT-E, 속도 10 rpm
5 브룩필드(Brookfield) LVT #2, 속도 12 rpm
6 브룩필드(Brookfield) LVT A, 속도 12 rpm
Quab 151 =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Quab 342 =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Quab 426 =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E-도데칸 = 1,2-에폭시도데칸
E-헥산 = 1,2-에폭시헥산
PGE =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PSA = 3-클로로-2-히드록시-1-프로판 설폰산, Na 염
SCA =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
CA = 2-클로로아세트아미드
PEG 350 = 카르보wax 350 = 폴리에틸렌 글리콜350
도데세닐 SA = 2-도데센-1-일 무수 숙신산
실시예 50
듀퐁이 제조한 퍼플루오로부틸 요오다디드 40.0 g (115.6 밀리몰), 탈이온수 4.1 g 및 나트륨 메타비설파이트 (26.8 % 용액) 1.1 g을 교반기, 질소 도입기 및 온도조절기를 구비한 원형 바닥 플라스크에 장입하였다. 온도가 60℃에 도달하면, 16.8 g(231.2 밀리몰)의 알릴 알코올 (Acros 제조)을 1시간에 걸쳐 플라스크에 부가하였다. 온도가 60℃에서 70℃로 증가함에 따라서 발열반응이 관찰되었다. 온도 상승이 중지되면,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유지하였다. 이때 퍼플루오로부틸 요오다이드의 소비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 95%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 후 과량의 알릴 알코올을 85℃에서 진공 증류에 의해 제거하였다. 잔류하는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분리 깔때기에 넣었다. 25.8 g의 탈이온수 및 100 g의 디에틸 에테르를 부가하였다. 물층을 버리고 에테르층을 40℃에서 진공 증류하에서 증발시켰다. 퍼플루오로알킬 요오다이드 중간체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1
를 42.3 % 플루오르를 함유하는 투명 오렌지 혼합물로서 얻었다.
실시예 51-54
표 4는 실시예 50의 그라프트 성분을 사용하여 실시예 29와 유사하게 제조한 그라프트된 양이온성 공중합체의 특성을 요약한다.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2
적용 실시예
실시예 55: 헤어 콘디쇼닝 제제 (중량%)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3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4
실시예 56: 로션/크림 제제 (중량%)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5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6
Figure 112008039350013-pct00027

Claims (15)

  1. (a) 0.1 내지 99.9 중량%의 하기 화학식(I)에 따른 1 이상의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b) 관능기 Fg를 기제 중합체의 적어도 아미노 질소에 연결된
    Figure 112013061894534-pct00035
    (식중, Fg'는
    Figure 112013061894534-pct00036
    ,
    Figure 112013061894534-pct00037
    이고 또 R은 수소, C1 내지 C30 알킬임)로서 제공하는 1 이상의 에폭시 또는 할로히드린 화합물인 1 이상의 관능성 화합물 0.1 내지 99.9 중량%와 반응시켜 얻을 수 있는, 주요 중합체 주쇄를 포함하는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Figure 112013061894534-pct00038
    (I)
    식 중에서,
    R은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1 및 R2는 메틸이며; MC는 임의 단량체(C)로부터의 잔기이고; n, m 및 p는 화학식(I)의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의 상응하는 괄호 내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며; m + n + p = 1이고 또 Y- 는 음이온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앙이온성 기제 중합체는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설페이트 및 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4급 암모늄 단량체 및 디알릴아민, N-메틸디알릴아민 및 N-에틸디알릴아민으로부터 선택된 단량체의 반응성 아민 기로부터 제조되는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V)의 화합물인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Figure 112013061894534-pct00034
    식 중에서,
    R은 1 내지 18개 탄소원자의 알킬 라디칼이고, m 및 n은 화학식(V)의 중합체의 상응하는 괄호 안의 반복 단위체의 몰 분획이고, r은 0 내지 100의 수이며 또 * 는 말단 기임.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Fg'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디메틸옥타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의 반응으로부터 잔기인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9. 화학식(I)의 양이온성 기제 중합체를 제1항에 정의된 1 이상의 에폭시 또는 할로히드린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1항에 따른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1 이상의 화장품 작용제, 및 1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용 또는 화장품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Ia) 또는 (Ib)인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Figure 112013117418055-pct00039
    (Ia)
    Figure 112013117418055-pct00040
    (Ib)
    식 중에서, R3은 수소, C1-C4알킬 또는 Fg이고,
    R, R1, R2, Y-, m, n, p, Fg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12. 제1항에 있어서, 일천 내지 5백만 달톤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13. 제10항에 있어서,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가 하기 화학식(Ia) 또는 (Ib)인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
    Figure 112013117418055-pct00041
    (Ia)
    Figure 112013117418055-pct00042
    (Ib)
    식 중에서, R3은 수소, C1-C4알킬 또는 Fg이고,
    R, R1, R2, Y-, m, n, p, Fg는 제1항에서 정의된 바와 동일함.
  14. 제10항에 있어서, 헤어 콘디쇼닝 제품으로서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인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
  15. 제10항에 있어서, 헤어 콘디쇼닝 제품으로서 향수, 착색제, 보존제, 항균제, 형광증백제, UV 흡수제, 기타 광 관리제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더 포함하는 퍼스널 케어용 조성물.
KR1020087013313A 2005-11-14 2006-11-06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의 제제의 제조 및 퍼스널케어에서 그의 용도 KR101402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3660805P 2005-11-14 2005-11-14
US60/736,608 2005-11-14
PCT/EP2006/068097 WO2007054468A2 (en) 2005-11-14 2006-11-06 Preparation of functionalized cationic 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personal c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6849A KR20080066849A (ko) 2008-07-16
KR101402024B1 true KR101402024B1 (ko) 2014-06-19

Family

ID=3802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13A KR101402024B1 (ko) 2005-11-14 2006-11-06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의 제제의 제조 및 퍼스널케어에서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63388B2 (ko)
EP (1) EP1948700A2 (ko)
JP (1) JP5380072B2 (ko)
KR (1) KR101402024B1 (ko)
CN (1) CN101360764B (ko)
BR (1) BRPI0618567A2 (ko)
WO (1) WO20070544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8071B2 (en) * 2007-07-30 2011-01-11 Georgia-Pacific Chemicals Llc Method of stabilizing aqueous cationic polymers
US8414872B2 (en) 2007-09-10 2013-04-09 Liquid Keratin, Inc. Hair straightening formulations, methods and systems
CA2710425A1 (en) * 2007-12-04 2009-06-11 Boston Cosmetics, Llc. Pigment compositions for hair coloring
MX2010005563A (es) * 2007-12-20 2010-06-03 Basf Se Preparacion de terpolimeros cationicos y composiciones para el cuidado personal.
WO2009115428A1 (en) * 2008-03-20 2009-09-24 Basf Se Cationic polymer emulsifiers
US20100102142A1 (en) * 2008-10-28 2010-04-29 Daria Tagliareni Scent dispenser assembly
US8268975B2 (en) * 2009-04-03 2012-09-18 Dow Agrosciences Llc Demulsification compositions, systems and methods for demulsifying and separating aqueous emulsions
US11173106B2 (en) 2009-10-07 2021-11-1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Compositions comprising a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 and a micellar thickener
US8258250B2 (en) * 2009-10-07 2012-09-04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superhydrophilic amphiphilic copolyme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SI2461767T1 (sl) 2010-07-30 2013-08-30 Novartis Ag Silikonske hidrogelne leče s površinami, bogatimi z vodo
SG11201400228WA (en) 2011-10-12 2014-05-29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uv-absorbing ophthalmic lenses by coating
US9505184B2 (en) 2011-11-15 2016-11-29 Novartis Ag Silicone hydrogel lens with a crosslinked hydrophilic coating
CN102603956B (zh) * 2012-01-18 2014-04-16 朗盛(常州)有限公司 二羟乙基二烯丙基氯化铵衍生物、制备方法以及其在皮革复鞣和加脂剂中的应用
AR093756A1 (es) * 2012-07-19 2015-06-24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polimeros cationicos hidrofobamente modificados
JP5979598B2 (ja) * 2012-11-26 2016-08-24 日東紡績株式会社 4級カチオン性(メタ)アクリルアミド類−二酸化イオウ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SG11201504763UA (en) 2012-12-17 2015-07-30 Novartis Ag Method for making improved uv-absorbing ophthalmic lenses
WO2015095157A1 (en) 2013-12-17 2015-06-25 Novartis Ag A silicone hydrogel lens with a crosslinked hydrophilic coating
WO2015146486A1 (ja) * 2014-03-24 2015-10-01 日東紡績株式会社 グラフト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02884B2 (en) 2014-08-26 2021-05-11 Alcon Inc. Method for applying stable coating on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N105085896A (zh) * 2015-07-27 2015-11-25 天禾化学品(苏州)有限公司 高分子表面活性剂的制备方法
JP6350829B2 (ja) * 2015-10-15 2018-07-04 日東紡績株式会社 ジアリルアミン類と二酸化硫黄との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7070336A1 (en) * 2015-10-21 2017-04-27 Saudi Arabian Oil Company Cationic polymers and porous materials
SG11201803726VA (en) 2015-12-15 2018-06-28 Novartis Ag Method for applying stable coating on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FR3047662B1 (fr) 2016-02-12 2018-03-16 Capsum Emulsions huile-dans-eau dont la phase grasse est sous forme d'un melange de gouttes de differentes tailles
EP3219737A1 (en) * 2016-03-16 2017-09-20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Ionic polymers and use thereof in processing of biomass
FR3070858B1 (fr) 2017-09-14 2020-02-21 Capsum Dispersion avec phase grasse dispersee a teneur elevee en pigments
EP3724697B1 (en) 2017-12-13 2022-01-12 Alcon Inc. Method for producing mps-compatible water gradient contact lenses
CN108659162A (zh) * 2018-06-01 2018-10-16 陕西科技大学 一种季铵盐掺杂氮氧自由基聚合物及其制备方法
CN116082183A (zh) * 2018-08-29 2023-05-09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衍生自多胺的带多个电荷的离子化合物及其组合物和其作为反相破乳剂用于油气操作的用途
CN110511349B (zh) * 2019-07-30 2021-08-06 湖北大学 一种超支化型温敏型水性聚氨酯的制备方法
KR20210051907A (ko) * 2019-10-31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성상 변화 화장료 조성물
CN114761487B (zh) * 2019-12-06 2024-02-20 日产化学株式会社 聚合物组合物、液晶取向剂、液晶取向膜、液晶显示元件以及液晶显示元件的制造方法
CN112264194B (zh) * 2020-11-04 2022-06-07 昆明冶金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硫铁易泥化细粒复杂嵌布铜钼矿高效浮选捕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429493B (zh) * 2021-06-29 2022-06-17 吉祥三宝高科纺织有限公司 一种非释放型高分子抗菌防螨剂的制备方法
CN113717307B (zh) * 2021-09-26 2023-08-15 烟台明远创意生活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聚合物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093487B (zh) * 2021-12-30 2023-07-25 江苏超力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水化热抑制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4585A (ja) * 1998-09-08 2002-08-06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ウォーター トリートメント リミテッド 水溶性架橋カチオン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2003509555A (ja) * 1999-09-15 2003-03-11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パルプに対して高い親和力を有するポリマー性安定剤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3531A (en) * 1970-04-22 1974-09-03 Hercules Inc Reaction products of epihalohydrin and polymers of diallylamine and salts thereof and their use in paper
US3700623A (en) * 1970-04-22 1972-10-24 Hercules Inc Reaction products of epihalohydrin and polymers of diallylamine and their use in paper
US4382800A (en) * 1975-12-08 1983-05-10 Dynapol Free amine-containing polymeric dyes
LU78170A1 (fr) * 1977-09-23 1979-05-25 Oreal Nouvelles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les cheveux et la peau a base de polymeres amines comportant des motifs a structure cyclique
US4341887A (en) * 1980-03-07 1982-07-27 Petrolite Corporation Azetidinium salts and polymers and copolymers thereof
US4419498A (en) * 1980-05-30 1983-12-06 Hercules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ing quaternary ammonium amino polyamide containing halohydrin functionality
US4419500A (en) * 1980-05-30 1983-12-06 Hercules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ing quaternary ammonium polyamino ureylene containing halohydrin functionality
US4354006A (en) * 1980-05-30 1982-10-12 Hercules Incorporated Process for producing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halohydrin functionality
FR2596985B1 (fr) * 1986-04-10 1990-08-24 Oreal Compositions cosmetiques pour teindre ou pour decolorer les cheveux
EP0447352B1 (de) * 1990-03-15 1994-12-21 Ciba-Geigy Ag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Ausbeute und der Nassechtheiten von mit anionischen Farbstoffen auf Cellulosefasermaterial erzeugten Färbungen oder Drucken
JPH06108382A (ja) 1992-09-25 1994-04-19 Senka Kk 湿潤堅牢度向上法
JPH0718583A (ja) * 1993-06-30 1995-01-20 Senka Kk ポリエステル系繊維材料のコーティング加工布の製造 方法
JPH0835185A (ja) * 1994-07-21 1996-02-06 Sumitomo Chem Co Ltd セルロース系繊維材料染色物の後処理方法
JPH09169817A (ja) * 1995-12-19 1997-06-30 Sumitomo Chem Co Ltd ケイ素含有水溶性高分子化合物、その製法および用途
US6203785B1 (en) * 1996-12-30 2001-03-20 Geltex Pharmaceuticals, Inc. Poly(diallylamine)-based bile acid sequestrants
GB9804720D0 (en) * 1998-03-05 1998-04-29 Unilever Plc Shampoo compositions
ZA200704946B (en) * 2004-12-28 2008-09-25 Akzo Nobel Nv Polymer disper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dispers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24585A (ja) * 1998-09-08 2002-08-06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ウォーター トリートメント リミテッド 水溶性架橋カチオン性ポリマーの製造方法
JP2003509555A (ja) * 1999-09-15 2003-03-11 チバ スペシャルティ ケミカルズ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パルプに対して高い親和力を有するポリマー性安定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80072B2 (ja) 2014-01-08
KR20080066849A (ko) 2008-07-16
JP2009516012A (ja) 2009-04-16
US20070185281A1 (en) 2007-08-09
US7863388B2 (en) 2011-01-04
WO2007054468A2 (en) 2007-05-18
EP1948700A2 (en) 2008-07-30
CN101360764A (zh) 2009-02-04
BRPI0618567A2 (pt) 2011-09-06
WO2007054468A3 (en) 2007-12-06
CN101360764B (zh)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024B1 (ko) 관능화된 양이온성 중합체 및 그의 제제의 제조 및 퍼스널케어에서 그의 용도
US6494920B1 (en) Detergent mixtures
JP2011137012A (ja) コポリマー及び個人ケア用組成物中におけるその使用
JP2004536145A (ja) ヘアケア製剤用の増粘剤
WO2007090759A1 (en) Copolymers and their use as rheology modifier
US6740130B2 (en) Hair-colorant prepara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3162766A1 (en) Multifunctional polymers
KR20180037906A (ko) 자외 방사선 흡수 중합체 조성물
JP5427358B2 (ja) 不斉側鎖を有するポリマーエステルクォート
US6800293B1 (en) Cosmetic and/o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US7786319B2 (en) Asymmetric cationic surfactants
WO2013134755A1 (en) Multi-functional grafted polymers
AU6331899A (en) Cosmetic preparations
KR20080025394A (ko) 보존제
WO2004035012A1 (en) The use of biomimic polymers in personal care compositions
MX2008006073A (en) Preparation of functionalized cationic 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 in personal care
EP1301073A1 (de) Verwendung von esterquats als mikrobizide wirkstof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