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890B1 -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890B1
KR101401890B1 KR1020120140934A KR20120140934A KR101401890B1 KR 101401890 B1 KR101401890 B1 KR 101401890B1 KR 1020120140934 A KR1020120140934 A KR 1020120140934A KR 20120140934 A KR20120140934 A KR 20120140934A KR 101401890 B1 KR101401890 B1 KR 101401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light source
road
pres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4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 F21S13/02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 F21S13/10Devices intended to be fixed, e.g. ceiling lamp, wall lamp with a standard, e.g. stree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광원부 및 가드레일 및 방음벽을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에 착탈되며, 정해진 폭을 갖는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부가 체결되어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위치의 도로 구조물에 부착되므로, 야간에 차량 운전자에게 최대의 안전성을 보장해주고, 쾌적함과 시각적인 편안함을 제공해 주며, 운전자의 시각적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Detachable apparatus for lighting load}
본 발명은 도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드레일이나 방음벽 등의 도로 구조물에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조명의 목적은 야간에 자동차 운전자나 보행자 등의 도로 이용자의 시각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안전하고, 원활하며, 쾌적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량 운전자들은 도로조명이 되어 있는 곳에서 원활한 운전을 할 수 있으며, 도로 형태와 주위 환경을 파악하기가 용이하고, 전방의 장애물을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도로조명이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해 주고 우수한 가시성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조명기구가 부적합하게 설치된 경우, 교통사고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야간에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도로 구조 및 도로 부속 시설에 대한 충분한 안전 가시거리 확보의 어려움과 운전자의 시각 피로, 불충분한 도로조명 그리고 이들 간의 부조화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주간에 비해 야간에 사고 발생률이 더 높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 도로조명을 설치하거나 또는 개선시킴으로써 조명된 도로 구간의 야간 교통사고와 노상범죄를 감소시킨다는 사실은 각종 통계로부터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국내 도로조명기구는 도로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등주식 가로등을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등주식 가로등은 폴의 높이, 기구 간격이 도로 폭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적절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로 형태와 주변 환경에 적합하지 않게 설치되어 있는 곳이 많다. 국내의 도로조명설비의 종류와 성능은 매우 제한되어 있어서 대개의 설비들이 눈부심에 대한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높은 등주식 조명기구의 경우 부적합하게 설치되는 경우 주간에는 시 환경에 장해를 주고, 야간 점등 시에는 일부 상향하는 빛들에 의해 도심 야경의 저해 요소가 되기도 한다. 주택가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후사광은 인근 주민들에게 광 침해를 줄 수도 있고, 농경지 주변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경우에는 농작물 피해까지 유발할 수 있다.
에너지 절약과 함께 하나의 조명으로 넓은 면적을 비출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이러한 높은 등주식 가로등 조명 방식에도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높은 위치에서 조명을 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 내에 눈부심을 만들어 내어 심할 때에는 순간적인 시각 불능 현상까지 만들어내어 시각적 불편함을 야기한다. 둘째, 도시의 중심부에 집합된 가로등은 주/야간 모두 복잡한 시 환경을 만들어낸다. 셋째,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빛을 엄밀히 제어한다고 하더라도 도로뿐 아니라 조명이 제공되지 않아야 할 장소(도로후면, 하늘)에도 필연적으로 누설광이 있고 이는 에너지 낭비와 빛공해의 원인이 된다.
등주식 가로등은 높은 위치에서 넓은 노면을 비추어 주어야 하며, 고속도로에서는 기구 간격이 30m 이상으로 설치되므로, 노면의 균일한 밝기를 얻는 것은 더 어려워진다. 국내의 경우 고속도로에는 일부 구간에만 등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굽은 도로나 교량에 설치되어 선형유도 역할도 한다. 전조등에 의존해서 고속 주행을 한다면 전방 장애물 인식과 도로 파악에 있어서 문제가 되므로 질적, 양적으로 우수한 도로조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기존 등주식 도로조명은 등주 및 조명기구의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고,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 등주식 도로조명은 도로상황에 의해 신속하게 조명이 필요한 경우나, 한시적으로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8264호 (2011.12.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야간에 차량 운전자에게 최대의 안전성을 보장해주고, 쾌적함과 시각적인 편안함을 제공해 주며, 운전자의 시각적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도로 구조물에 부착하는 도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며, 도로 상황에 따라 배광특성이 다른 LED 렌즈를 부착할 수 있는 도로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빛을 발광하기 위한 광원부 및 가드레일 및 방음벽을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에 착탈되며, 정해진 폭을 갖는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부가 체결되어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케이블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LED 모듈은, LED 및 상기 LED를 상기 본체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은 길이 방향으로 양극(+) 전원선 및 음극(-) 전원선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양극 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양극 단자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양극 단자대와, 상기 음극 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음극 단자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음극 단자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도로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낮은 위치의 도로 구조물에 부착되므로, 야간에 차량 운전자에게 최대의 안전성을 보장해주고, 쾌적함과 시각적인 편안함을 제공해 주며, 운전자의 시각적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조명 장치는 도로 구조물에 착탈가능하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가능하고, 신속하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도로 조명 장치는 도로의 난간 측면 또는 그 위치의 구조물에 설치되므로, 비교적 낮은 높이에 설치되고,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 및 철거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로상황에 의해 신속하게 조명이 필요한 경우나, 한시적으로 조명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가 착탈가능하므로, 도로상황에 맞도록 배광특성이 다른 LED 렌즈를 부착하여 범용성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로 조명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대부분을 노면으로 비추기 때문에, 등주식 조명기구에 비해 빛 공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단자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와 전원 케이블의 체결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조명 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로 조명 장치는 광원부(100), 전원 케이블(200)을 포함한다.
광원부(100)는 빛을 발광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광원부(100)는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원 케이블(200)은 가드레일 및 방음벽을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에 착탈되며, 정해진 폭을 갖는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광원부(100)가 체결되어 광원부(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전원 케이블(200)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원 케이블(200)이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됨으로써, 평소에는 원형으로 말아서 전원 케이블(200)을 보관할 수 있으며, 도로 구조물에 부착시에는 전원 케이블(200)을 일자로 펴서 도로 구조물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전원 케이블(200)에는 도로 구조물에 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홀(21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원 케이블(200)은 길이 방향으로 양극(+) 전원선(222) 및 음극(-) 전원선(224)이 삽입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부분 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케이블(200) 내에 길이 방향으로 양극(+) 전원선(222) 및 음극(-) 전원선(224)이 삽입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200)은 양극 단자대(232)와 음극 단자대(234)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원부(100)는 렌즈(110), LED 모듈(120), 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렌즈(110)는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하면서 도로조명에 적합한 배광을 만드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렌즈(110)는 본체(120)에 착탈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로 상황에 따라 배광 특성이 다른 렌즈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LED 모듈(120)은 본체(130) 내부에 위치하며,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30)는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전원 케이블(2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양극(+) 단자(122)와, 음극(-) 단자(124)가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LED 모듈(120)은 LED(132) 및 LED(132)를 본체(120)의 양극 단자(122) 및 음극 단자(124)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케이블(200)은 도로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홀(210)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케이블(200)은 길이 방향으로 양극(+) 전원선(222) 및 음극(-) 전원선(224)이 삽입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케이블의 단자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원 케이블(200)은 양극 전원선(222)에 연결되며 본체(120)의 양극 단자(122)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양극 단자대(232)와, 음극 전원선(224)에 연결되며 음극 단자(124)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음극 단자대(234)를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와 전원 케이블의 체결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체(120)의 양극 단자(122)와 전원 케이블(200)의 양극 단자대(232)가 서로 맞물리고, 본체(120)의 음극 단자(124)와 전원 케이블(200)의 음극 단자대(234)가 서로 맞물리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광원부 200 전원 케이블
110 렌즈 120 본체
130 LED 모듈 132 LED
134 PCB 122 양극 단자
124 음극 단자 222 양극 전원선
224 음극 전원선 210 고정용 홀
232 양극 단자대 234 음극 단자대

Claims (8)

  1. 빛을 발광하기 위한 광원부; 및
    가드레일 및 방음벽을 포함하는 도로 구조물에 착탈되며, 정해진 폭을 갖는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상기 광원부가 체결되어 상기 광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는,
    상기 전원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LED(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LED 모듈; 및
    상기 LED 모듈에서 방출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렌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은,
    LED; 및
    상기 LED를 상기 본체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구조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길이 방향으로 양극(+) 전원선 및 음극(-) 전원선이 삽입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양극 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양극 단자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양극 단자대와, 상기 음극 전원선에 연결되며 상기 음극 단자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음극 단자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케이블은 상기 도로 구조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조명 장치.
KR1020120140934A 2012-12-06 2012-12-06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KR101401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934A KR101401890B1 (ko) 2012-12-06 2012-12-06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934A KR101401890B1 (ko) 2012-12-06 2012-12-06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890B1 true KR101401890B1 (ko) 2014-05-29

Family

ID=5089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934A KR101401890B1 (ko) 2012-12-06 2012-12-06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89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714U (ko) * 1990-03-26 1991-12-11
KR20030084759A (ko) * 2002-04-25 2003-11-01 린 유안 Cob 기반의 발광 다이오드 램프로 형성된 유연한막대형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120714U (ja) 2006-01-17 2006-04-20 森山産業株式会社 Led照明発光体装置
KR20120063642A (ko) * 2010-12-08 2012-06-18 (주)한도공영 가드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체 발광용 시선유도장치
JP5031011B2 (ja) * 2009-10-21 2012-09-19 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0714U (ko) * 1990-03-26 1991-12-11
KR20030084759A (ko) * 2002-04-25 2003-11-01 린 유안 Cob 기반의 발광 다이오드 램프로 형성된 유연한막대형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3120714U (ja) 2006-01-17 2006-04-20 森山産業株式会社 Led照明発光体装置
JP5031011B2 (ja) * 2009-10-21 2012-09-19 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63642A (ko) * 2010-12-08 2012-06-18 (주)한도공영 가드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한 자체 발광용 시선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477B1 (ko) 도로용 난간조명장치
US20070008732A1 (en) Illuminated bedrail for pickup trucks
KR101255678B1 (ko) 도로명 및 도로안내 표지판용 엘이디 조명기구
KR101998336B1 (ko) 횡단보도용 안전유도 조명장치
KR100648381B1 (ko) 도로용 조명장치
KR20220121164A (ko) 조립식 도로 표지병
EP2375130B1 (en) Lighting module for tunnel, road or street light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101158243B1 (ko)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KR101401890B1 (ko) 착탈 가능한 도로 조명 장치
KR100621839B1 (ko) 도로의 볼라드 구조
KR200435120Y1 (ko) 조명수단을 구비한 횡단보도용 볼라드
RU123111U1 (ru)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пешеходного перехода (устройство в целом), светодиодный светильник (часть целого)
KR102050534B1 (ko) 낮은 도로 조명 장치
KR100826612B1 (ko) 차도용 조명등기구
KR101764571B1 (ko) 안개등이 일체로 구성된 조명장치
KR20110084037A (ko) 각도 조절과 모듈의 교체가 자유로운 반사판이 장착된 조명등
EP2803911B1 (en) Led lighting device with improved light distribution
CN102444850A (zh) 车用led警示灯
KR102602657B1 (ko) 도로의 가이드 레일용 조명 장치
KR200383185Y1 (ko) 빛을 이용한 안전표시 무전원 발광장치
KR200482744Y1 (ko) 실내 주차장 조명장치
KR200473149Y1 (ko) 경관 조명 기구
KR20240043844A (ko)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2280010B1 (ko) 다양한 직경의 수직 안내표지판 원통지주용 태양광 led조명등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