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30B1 -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 Google Patents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30B1
KR101401530B1 KR1020120073600A KR20120073600A KR101401530B1 KR 101401530 B1 KR101401530 B1 KR 101401530B1 KR 1020120073600 A KR1020120073600 A KR 1020120073600A KR 20120073600 A KR20120073600 A KR 20120073600A KR 101401530 B1 KR101401530 B1 KR 10140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cla
bifidobacterium longum
linole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6509A (ko
Inventor
신홍식
김희정
장승환
노기정
황인선
Original Assignee
(주)케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비젠 filed Critical (주)케비젠
Priority to KR1020120073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을 생산하는 균주에 관한 것으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공액리놀레산 생산 능력이 우수하며, 위산이나 담즙 등의 산과 항생물질에 대해 강한 내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유제품, 분말 및 수용성 다당류로 이루어진 피복물질 내에 본 발명의 균주와 CLA를 포함하는 캡슐제 형태로 제조되어, 식품, 음료, 동물사료,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등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Bifidobacterium longum strain producing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 생산용 미생물 제제, 캡슐제, 기능성 식품, 동물 사료용 조성물과 약학 조성물, 및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은 필수지방산인 리놀레산(linoleic acid, 이하 LA'라 한다)의 공액화 이성체로, 반추동물의 젖이나 근육에서 미량으로 발견되는 천연 지방산 성분이다. CLA는 사슬 내부의 시스(cis)-9, 트랜스(trans)-11 또는 트랜스-10, 시스-12 위치에 공액화이중결합을 가지는데, 특히 시스-9, 트랜스-11 부위에 공액화이중결합을 갖는 이성체가 인체에 유용한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CLA는 동맥경화증의 발생저하(Artery. 1997. 22:266-277), 면역기능향상(J. Nut. 1999. 129:32-38), 항암작용(Anticancer research. 1997. 17:969-973), 성장촉진(J. Nut. 2000. 130:2981-2989) 및 당뇨병 등의 질환에 대해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체지방감소(AM. J. Physiol. 1998. 275: R667-R672)를 통해 비만을 억제한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CLA는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는 주로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반추동물에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쇠고기의 CLA 함량은 2.9~4.3 ㎎ CLA/fat이며, 어린양에서는 5.6 ㎎ CLA/fat이고, 해산물에서는 0.3~0.6 ㎎ CLA/fat의 양이 확인된다. 인간의 일일 CLA 섭취량은 채식 위주인 동양인의 경우에는 0.1 g/day이고, 육식을 많이 하는 서양인의 경우는 0.4 g/day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까지 CLA의 대량 생산을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기존의 방법은 요소부가법, 분자증류법, HPLC 방법 등 CLA를 LA로부터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방법들이 있으며, LA를 CLA로 전환시킬 수 있는 활성을 지닌 미생물이 다수 분리된 바 있다. 그러나 화학적 합성법들은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거나, 공정에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많다. 또한 이들 방법은 단일 종류의 CLA 뿐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이성체들을 함께 생성하기 때문에, 기존의 화학적 방법으로 단일 종류의 CLA 이성체만을 생산한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CLA를 가장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은 CLA를 생성할 수 있는 미생물로부터 CLA를 생산, 분리하는 것이다. CLA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Propionibacterium), 부티리비브리오 피브리솔벤스(Butyrivibrio fibrisolvens) 등의 장내 미생물이며, 많은 국가에서 이들은 가축에게 투여하는 생균제(probiotics), 사료 등의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장내 미생물에 의해 합성된 CLA는, 시스-9, 트랜스-11과 트랜스-10, 시스-12의 비율이 약 50% 씩 생성되는 화학적인 합성법과는 달리, 시스-9, 트랜스-11만 특이적으로 생성된다. 반추동물 유래의 육유에서는 소량의 시스-9, 트랜스-11이 확인되지만, 탈지유를 이용한 발효 유제품에서는 매우 낮은 시스-9, 트랜스-11이 검출될 뿐이며, 특히 각종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 김치에서도 시스-9, 트랜스-11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2001-0047292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미생물에 의해 합성된 순수한 시스-9, 트랜스-11형의 CLA를 식품에 첨가시키는 방법을 개시한 바 있으나, 실제 식품에서는 극미량의 CLA 함량이 확인되었을 뿐이다.
또한 CLA 생성 미생물이 식품 또는 의약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제조된 제품의 유통기간 내내 미생물이 제품 제조시와 비슷하게 높은 비율로 잔존해야 하며, 사람 등 동물의 체내로 섭취된 후에는 장(腸) 내에서 높은 생존율과 활성을 지녀야 한다. 또한 슈퍼박테리아(superbacteria)를 비롯한 장 내의 유해한 균과 경쟁하여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항생물질에 대해 우수한 내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시판중인 제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미생물 중 많은 균주들은 저장중에 제품뿐만 아니라 섭취 후 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조차 잔존하지 못하며,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CLA 생산 능력과 함께, 동물의 체내에서 높은 생존력과 활성을 나타내며, 균체 자체를 식품 및 의약품의 유효성분으로 직접 첨가할 수 있는 균주에 대한 발명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한국특허등록 제0715730호에는 유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갖는 신규비피도박테리움 롱검 A24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분변으로부터 분리한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생산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산과 항생물질에 대해 뛰어난 내성을 지니는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균주와, 상기 균주를 이용한 유제품, 식품, 음료, 동물사료,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과 그 조성물, 분말 또는 캡슐제 형태로 제조된 생균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 생산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수용성 다당류를 피복물질로 함유하는 캡슐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동맥경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는 LA로부터 CLA를 우수한 효율로 생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위산과 담즙산, 그리고 항생물질에 대해 뛰어난 내성을 지닌다. 본 발명의 균주는 CLA를 생성한 후 균체 내에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CLA가 간접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는 균체 고정화 등의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CLA 외에도 CLA의 이성체들을 대량으로 생합성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주가 리놀레산(LA)이 첨가된 배지에서 생성하는 지방산의 조성을 확인하기 위한 G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리놀레산(LA)이 첨가된 배지에서 본 발명의 균주가 제공하는 생장상태, CLA 생성 정도 및 배양액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리놀레산(LA)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본 발명의 균주가 제공하는 생장상태 및 CLA 생성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리놀레산(LA)이 첨가된 배지에서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했을 때, 배양액과 균체에 각각 분포하는 CLA의 양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리놀레산(LA)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했을 때, 배양액과 균체에 각각 분포하는 CLA의 양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균주를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젖당(Lactose) 및 설탕(sucrose)이 각각 탄소원으로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하여 생장정도(a)와 CLA 생성량(b)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 CLA)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인간 분변을 BS(Bifidobacterium selective) 한천배지인 MRS (Man Rogosa Sharpe) 배지에 접종하고 혐기적 조건에서 배양하여 분리, 선발하였다. 상기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며, 항생제 내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항생제는 바람직하게는 테트라사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또는 카나마이신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이다.
상기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CLA는 시스-9, 트랜스-11의 입체구조만 포함하는데, 이들은 기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이성체이므로, 이들 구조물을 포함하는 지방산과 아실글리세롤은 각종 동물성 유래의 유제품, 식물 유래의 원료물질에 의한 유제품, 발효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과 미생물제제(probiotics) 등을 개발을 위해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방법에 의해 CLA의 이성체들을 대량으로 생합성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 생산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CGB-C11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CGB-C11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보조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의 경우,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folic acid), 비타민 C, 비타민 D3, 비타민 E 등의 비타민류와, 구리, 칼슘, 철, 마그네슘, 칼륨, 아연 등의 미네랄 또는 유산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중, 건강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 등의 단당류,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의 이당류,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다당류,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CGB-C11이다.
본 발명의 사료용 조성물은 기초사료에 일정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기초사료는 주성분이 옥수수, 대두박, 유청, 어분, 당밀,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비타민 프리믹스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리보프라빈 및 나이아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미네랄 프리믹스는 망간, 철 아연, 칼슘, 구리, 코발트 및 셀레니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동맥경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공액리놀레산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공액리놀레산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는 CLA를 생산하며, 생산된 CLA는 동맥경화증의 발생저하(Artery. 1997. 22:266-277), 면역기능향상(J. Nut. 1999. 129:32-38), 항암작용(Anticancer research. 1997. 17:969-973), 당뇨병 등의 질환에 대해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체지방감소(AM. J. Physiol. 1998. 275: R667-R672)를 통해 비만을 억제한다고도 알려져 있으므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암, 동맥경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CGB-C11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60∼130 uM(Cancer Epidemiol. Biol. Prev. 2000. 9:689-696), 그리고 기능성 식품의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3.4∼6 g/day(J. Nutr. 2000. 130:2943-2948)인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섭취량에 관계없이 체내에 안전하게 흡수된다. 투여량 또는 섭취량은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체에 투약하는 경우, 화학적으로 합성된 CLA 함유 식품 및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도 약제학적 또는 식품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약제학적 또는 식품에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과립제, 피복정, 정제, 캡슐제, 탕제, 엑기스제, 좌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및 활성 화합물의 서방출형 제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는 피복물질(coating material)과, 피복되는 내부의 핵물질(core material)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캡슐제에서 핵물질은 본 발명의 균주와 리놀레산을 함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캡슐제에서 핵물질을 둘러싸는 피복물질은 흡수성, 분산성, 점착성이 우수한 수용성 다당류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수용성 다당류는 전분, 한천, 카라기난, 알긴산,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acrylate), 소맥단백, 대두단백을 비롯하여,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ydroxylpropylcellulose),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hydroxyl-propylmethylcellulose)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잔탄검(xanthan gum), 아라비아검(arabic gum),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 구아검(guar gum), 타마린드검(tamarind gum), 타라검(Tara gum), 카라야검(karaya gum), 트라가칸검(tragacanth gum), 가티검(ghatti gum) 등의 검류, 그리고 젤란(gellan), 잔탄(xanthan), 펙틴(LM, HM type), 덱스트란(dextran), 글루칸(glucan), 글루코만난(glucomannan), 아라비노갈락탄(arabino galactan), 퍼셀레란(furcelleran), 풀루란(pullulan), 글루코사민(glucosamine), 젤라틴(gelatin), 카제인(casein)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 제조시 코팅물질의 양은 용도 및 목적에 따라 그 양을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으며, 핵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범위인 1~80 중량% 범위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캡슐제는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호제 및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캡슐화 방법 중 적절한 방법을 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캡슐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유제품(우유, 두유, 가공우유), 발효유(액상 요구르트, 호상 요구르트), 발효성식품(김치류, 장류), 가축용 사료, 건강보조식품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CGB-C11이다.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 배양시 적합한 탄소원으로는 포도당, 과당, 젖당 및 설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젖당이 CLA를 최대로 생산하므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균주 분리 및 동정
CLA를 생성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한국인 성인의 분변 10종을 채취하여, L-시스테인(L-cystein)이 0.05% 첨가된 MRS(Man Rogosa Sharpe) 배지에 접종하였다. 멸균 생리식염수 0.85%(w/v)로 30~150개 정도의 균락(colony)이 생기도록 희석하여 BS 한천배지(Bifidobacterium selective Agar)에 도말한 후, 혐기조건에 가스 팩(Gas pack, MGC, mitsubishi)과 함께 넣어 37℃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이때 리놀레산(LA)을 0.5%(w/v) 트윈 80(tween 80)에 잘 유화시켜 제면 여과한 후 L-시스테인(L-cystein)이 0.05% 첨가된 MRS 배지에 첨가하였다.
배양된 배지에서 300개 정도의 균 집락을 임의 선택하여 각 균주를 MRS 배지에 2회 계대배양한 후 20 ㎖ 시험관에 1% 접종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헥산(hexane)으로 추출한 후 23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CLA 생성량을 얻고, 이를 균체량, 즉 600 nm에서의 흡광도 값으로 보정하여 상대적인 CLA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생균수 측정은 BS 한천 배지를 이용하여 10배 희석법에 의해 평판 배양하고 이를 혐기조(Difco, USA)에 넣어 가스팩과 함께 72시간 경과 후 생성된 균 집락의 수를 세어 측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CLA 생성 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발하고 CBG-C11으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의 균주들에 대해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그 속과 종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CBG-C11 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에 속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 균주는 2011년 7월 6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센터에 CBG-C11(KCTC 11979BP)로 기탁되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균주가 생성하는 지방산의 조성 확인
본 발명의 균주가 생성하는 지방산의 조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균주가 CLA를 생성하는지 재차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GC를 수행하였다. 균체를 LA(500 ㎍/㎖)가 포함된 배지에서 4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였다. 배양액 혹은 증류수에 현탁한 균체에 2배 부피의 이소프로필 알콜(isopropyl alcohol)을 첨가하여 격렬히 혼합한 후, 여기에 1.5배 부피의 헥산을 가하여 3분 동안 흔들어 주면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상온에서 3000 rpm으로 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233 nm에서 상층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추출한 지방산은 [American Oil Chemists's Society: Official Method and Recommended Practoces pf AOCS, 4th. ed.(1989)] 방법에 따라 메틸 에스테르(methly ester)화하여 GC 분석에 필요한 시료를 준비하였다.
GC 분석시 조건은 FID가 부착된 GC DS-6200(DONAM)을 사용하였고, 컬럼은 HP-FFAP capillary column (30 m×0.25 ㎜, 두께 0.25 ㎛)을 사용하였으며, 오븐 온도는 210℃, 인젝터(injector) 온도는 250℃, 디텍터(detector) 온도는 270℃이었다. 운반기체는 헬륨을 사용하였으며 1 ㎖/min 유속으로 용출시켰고, 분해비(split ratio)는 50:1로 하였다. 각 피크의 면적은 기기에 연결된 적분계(moder 3390A, Hewlett-packard, USA)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CLA의 동정은 표준 물질의 머무름 시간과 비교하여 확인하였으며, CLA의 함량은 표준 물질의 면적과 CLA의 면적비에 의해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LA 및 CLA 피크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LA를 기질로 하여 CLA를 생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균주 배양시 CLA 생성 최적 조건 확인
본 발명의 균주에 대한 CLA 최적 생성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기질인 LA가 배지에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의 두 조건에서 생육 특성을 관찰하였다. 우선, 전배양하여 활성화된 균주를 LA(500 ㎍/㎖)가 포함된 MRS 배지 2 ℓ에 1%가 되도록 접종한 후, 시간별로 배양액을 회수하여 균체 농도, CLA 생성량 및 배양액의 pH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수기(log phase)에 접어들면서 CLA 생성량도 증가하였으며, 정지기(stationary phase)에 도달하기 직전에 CLA를 최대로 생성하였다. 배양액의 최초 pH는 6.5 정도였으나, 배양 시간이 지날수록 떨어져 약 42시간 발효 후에는 pH 4.2 정도를 나타내었다.
한편, 전배양한 균주를 LA가 포함되지 않은 MRS 배지에 1%가 되도록 접종한 후, 20 ㎖ 시험관에 분주하고 배양하여 생장 곡선을 측정하고, 3시간마다 배양액의 pH를 측정하였다. 균체를 회수하여 균체량의 10배 부피의 트리스(Tris) 완충액에 현탁시킨 후, 효소 반응을 수행하여 생장곡선의 변화에 따른 CLA 이소머라제(isomerase)의 역가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효소 반응에 첨가한 LA의 농도는 100 ㎍/㎖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LA를 첨가하지 않고 배양한 경우는 LA를 첨가하고 배양한 경우보다 정지기에 이르는 시간이 더 길었다. 배양액의 최종 pH는 4.2 정도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들은 대수기에서 정지기로 넘어가기 직전에 최대로 CLA를 생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결과 중 LA가 존재할 때 얻은 실험 결과는 기질 존재 하에 균을 발효 반응시켜 제품을 개발할 때, 그리고 LA가 존재하지 않을 때 얻은 실험 결과는 균 자체를 제품의 유효 성분으로 첨가하여 CLA를 간접적으로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 단위 균체당 최대 역가를 나타내는 균체의 성장시기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균주 배양시, 배양액과 균체에 각각 분포되는 CLA 의 양 확인
본 발명의 균주 배양시, 배양액과 균체에 각각 분포되는 CLA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LA가 포함된 배양액에 균주를 접종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18, 24, 36, 42시간 후의 CLA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체와 배양액에 존재하는 CLA의 비율이 42시간 후에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1.5의 비율로 나타났으며, 총 CLA전환율은 45.6%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균주의 CLA 전환률
균주명 구분 생산률
CLA(ug)/건조세포량(mg)
CLA 전환률(%) 분포비(%)
CBG-C11
배양액 113.9 45.6
59.4
균체 73.8 38.5
한편, LA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 균주를 접종한 후, 18, 24, 36, 42시간 동안 배양한 균체를 회수하여 LA가 함유된 완충용액과 혼합 후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CLA의 분포를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육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CLA의 양이 증가하였다. 배양 36시간 후에는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균체에 의해 1시간 동안 생성된 CLA의 분포는 균체와 배양액의 비율이 약 1:1이었다.
본 발명의 균주의 CLA 전환률
균주명 구분 생산률
CLA(ug)/건조세포량(mg)
CLA 전환률(%) 분포비(%)
CBG-C11
배양액 24.5 51.2
51.0
균체 23.5 49.0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CLA를 생성하여 배지로 분비하는 한편, 균체 내에도 축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의 이러한 특성은 균체 자체를 식품 및 의약품의 유효성분으로 첨가하여 CLA가 생성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균주 배양시 탄소원의 종류에 따른 균의 생장 및 CLA 생성량 변화
본 발명의 균주 배양시, 당원의 종류에 따른 생장 및 CLA 생성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포도당(glucose), 과당(fructose), 젖당(lactose) 및 설탕(sucrose) 등 다양한 탄소원이 첨가된 배지에서 균주를 배양하여 생장 정도와 CLA 생성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각 균주의 생장에 가장 적합한 탄소원은 도 6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지에 LA가 존재하는 경우 포도당과 젖당이었으며, 배지에 LA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젖당과 포도당이었다. 한편 LA 첨가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의 CLA 생성량은 도 6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젖당을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균주의 pH , 담즙 및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 확인
본 발명의 균주의 pH 내성, 담즙 내성 및 항생물질 내성 등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분리, 동정된 신균주를 이용하여 CLA생산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제품이나 혹은 균체내 함유되어 있는 CLA를 이용한 첨가제로의 용도를 위해 균주의 생육특성을 알아보았다.
1) pH 내성
본 발명의 균주의 pH별 내성을 확인하기 위해, 배지에 LA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은 경우의 두 조건하에서 균을 배양하면서 배양액의 pH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배지에 LA가 포함되어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균 생육이 정지기에 접어들면서 배양액의 pH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최종 pH가 4.2 정도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보아 전형적인 유산균의 발효양상을 지니고 있었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배양액의 pH 변화에 따른 균의 생육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염산을 사용하여 MRS 배지를 pH 2부터 pH 6까지 다양하게 준비하였다. 대조구로는 B. longum KCTC 3420을 사용하였으며,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고 37℃에서 3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균의 생육여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pH 2 pH 3 pH 4 pH 5 pH 6
CBG-C11 - +++ ++++ ++++ ++++
B. longum
(KCTC 3420)
- ++ +++ ++++ ++++
(-: 전혀 증식하지 않음, +: 약간 증식, ++: 보통 증식, +++: 많이 증식, ++++: 매우 많이 증식)
표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균주는 pH 4.0~6.0의 범위에서 모두 생육이 가능하였고, 우수한 pH 내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약알칼리와 약산성에 걸치는 넓은 범위에서 모두 생육이 가능하며, 특히 위산이 분비되어 산성 환경이 조성되는 위에서 충분히 생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담즙 내성
본 발명의 균주의 담즙 내성을 확인하기 위해, 담즙의 성분인 소듐 디옥시콜레이트(sodium deoxycholate)가 0, 100, 300, 500, 800, 1000 ㎍/㎖으로 다양하게 첨가된 MRS 배지를 준비하였다. 각 배지에 균주를 접종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육 여부를 검토하였으며, 이때 대조균주로는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같은 종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KCTC 3420)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농도(ug/ml) CBG-C11 Bifidobacterium longum KCTC 3420
0 +++ +++
100 +++ +++
300 +++ +++
500 +++ +++
800 +++ ++
1000 ++ +
(+: 약간 증식, ++: 보통 증식, +++: 많이 증식)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담즙 1000 ㎍/㎖까지도 우수하게 생육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담즙이 분비되는 위장관에서 안정적으로 생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 항생물질 내성
본 발명의 균주의 항생물질 내성을 확인하기 위해, 20 ㎖ 시험관에 밤새 배양한 균주를 MRS 배지에 희석하여 고체 배지를 제조하였다. 대조 균주로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KCTC 3420)을 사용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항생물질은 암피실린(ampicill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리파마이신 sv(rifamycin sv) 및 카나마이신(kanamycin)으로, 50, 100, 1000, 10000 ㎍/㎖의 농도를 준비하였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항생물질들을 각각 종이 디스크(paper disc)에 40 ㎕씩 떨어뜨린 후, 디스크를 건조시켰다. 디스크를 균이 혼합된 배지 위에 올려놓고,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생육 여부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항생제 종류 항생제 농도(ug/ml) CBG-C11 비피도박테리운 롱검 KCTC 3420

암피실린
50 - -
100 - -
1000 - -
10000 - -

테트라사이클린
50 ++ +
100 + -
1000 - -
10000 - -

스트렙토마이신
50 ++ +
100 + -
1000 - -
10000 - -

리파마이신 sv
50 - -
100 - -
1000 - -
10000 - -

카나마이신
50 ++ +
100 ++ +
1000 + -
10000 - -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3개의 항생물질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카나마이신 등 높은 농도로 처리된 항생물질에 대해서도 내성을 나타내어,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광범위한 종류와 농도 범위의 항생물질에 대해 내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979BP 20110706

Claims (13)

  1. cis-9, trans-11 이성질체의 공액리놀레산(Conjugated Linoleic acid)을 생산하는 내산성, 내담즙성 및 항생제 내성의 특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Bifidobacterium longum)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 생산용 미생물 제제.
  7. 제1항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수용성 다당류를 피복물질로 함유하는 캡슐제.
  8. 제1항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9. 제8항에 있어서, 액상요구르트, 호상요구르트, 치즈, 김치류 및 장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10. 제1항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
  11. 삭제
  12. 제1항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동맥경화, 당뇨병 또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3. 제1항의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CGB-C11(수탁번호 KCTC 11979BP)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120073600A 2012-07-06 2012-07-06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KR10140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00A KR101401530B1 (ko) 2012-07-06 2012-07-06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00A KR101401530B1 (ko) 2012-07-06 2012-07-06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09A KR20140006509A (ko) 2014-01-16
KR101401530B1 true KR101401530B1 (ko) 2014-06-11

Family

ID=5014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600A KR101401530B1 (ko) 2012-07-06 2012-07-06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672B2 (en) 2016-09-27 2022-01-25 Dae Hee Lee Probiotics composition containing hericium erinace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853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bg-c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4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bg-c1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6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 cbg-c1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2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bg-c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48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cbg-c1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1B1 (ko) * 2015-02-16 2016-09-08 (주)케비젠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bg-c13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70032815A (ko) 2015-09-15 2017-03-2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01092B2 (ja) * 2016-09-07 2021-07-14 ユニバーシティ−インダストリー コーオペレイション グループ オブ キョンヒ ユニバーシティ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多様な機能性を有する新規乳酸菌およびその用途
KR102074445B1 (ko) 2018-12-12 2020-02-06 주식회사 비피도 류마티스관절염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rapo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54496B1 (ko) * 2022-06-29 2022-10-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jkl2022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공액리놀레산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58A (ko) * 2000-03-23 2001-10-12 김세헌 씨엘에이를 함유하는 발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58A (ko) * 2000-03-23 2001-10-12 김세헌 씨엘에이를 함유하는 발효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 Journal of Nutrition, Vol.136, pp.1483-1487(2006.06.) *
The Journal of Nutrition, Vol.136, pp.1483-1487(2006.06.)*
World Journal of Microbiology & Biotechnology, Vol.19, pp.907-912(2003.)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Vol.24,pp.817-832(201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672B2 (en) 2016-09-27 2022-01-25 Dae Hee Lee Probiotics composition containing hericium erinace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09A (ko) 201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530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검 균주 및 그 용도
KR100514592B1 (ko) 공역화 리놀렌산을 생산하는 신규한 균주, 이를 함유하는 캡슐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Beheshtipour et al. Supplementation of Spirulina platensis and Chlorella vulgaris algae into probiotic fermented milks
Sharma et al. Efficacy and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modulating human health
US20120020942A1 (en) Novel Lactobacillus Strains And Their Use Against Helicobacter Pylori
TW200904340A (en) Processing of natural polysaccharides by selected non-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23524476A (ja) 優れた免疫機能増進効果を有する新規な乳酸菌及びそれを含む食品組成物、健康機能性食品組成物及びプロバイオティクス
KR101446309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말리스 균주 및 그 용도
KR102005617B1 (ko) 항콜레스테롤 활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f.m.b #31 균주 및 이의 용도
JP3520012B2 (ja) 栄養素補完剤として、かつ、腸障害の治療および細菌フローラの改変に適した組成物
KR101655854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cbg-c16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60007964A (ko)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4007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라이체니포미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1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cbg-c1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2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cbg-c1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5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코커스 락티스 cbg-c1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3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cbg-c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64306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cbg-c1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191893B1 (ko) 초유로부터 분리한 공액리놀레산 생산 균주 및 그 용도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59972A (ko) 비타민 k2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5848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 cbg-c1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5856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스트렙토코커스 서모필러스 cbg-c1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23634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cbg-c2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64310B1 (ko) 공액리놀레산을 생산하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cbg-c20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