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675B1 -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675B1
KR101400675B1 KR1020100114970A KR20100114970A KR101400675B1 KR 101400675 B1 KR101400675 B1 KR 101400675B1 KR 1020100114970 A KR1020100114970 A KR 1020100114970A KR 20100114970 A KR20100114970 A KR 20100114970A KR 101400675 B1 KR101400675 B1 KR 10140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solution
plate
solution receiving
aeroso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711A (ko
Inventor
김권식
박한오
정병래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니아 filed Critical (주)바이오니아
Priority to KR102010011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675B1/ko
Priority to EP11841532.2A priority patent/EP2640825B1/en
Priority to BR112013012113-0A priority patent/BR112013012113B1/pt
Priority to PCT/KR2011/008845 priority patent/WO2012067465A2/en
Priority to JP2013539769A priority patent/JP6001548B2/ja
Priority to US13/885,556 priority patent/US9273306B2/en
Priority to CN201180055013.3A priority patent/CN103210077B/zh
Priority to RU2013127520/10A priority patent/RU2542408C2/ru
Publication of KR2012005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0Processes for the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DNA or RNA
    • C12N15/100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 C12N15/1006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 C12N15/1013Extracting or separating nucleic acids from biological samples, e.g. pure separation or isolation methods; Conditions, buffers or apparatuses therefor by means of a solid support carrier, e.g. particles, polymers by using magnetic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12Q1/6848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r increasing the specificity or sensitivity of an amplification re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교차오염이 없이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의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와 타겟핵산을 저농도 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생체시료들이 섞여 있을 때 고농도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한 자동정제장비이다. 본 발명은 2축 또는 3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멀티피펫블럭, 또는 자석봉에 의해 다수의 생체시료를 정제하는 모든 핵산정제장비에 적용될 수 있는 장치로서 높은 농도의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로부터 에어로졸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Automatic nucleic aci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osol-protecting}
본 발명은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교차오염이 없이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농도의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와 타겟핵산을 저농도 또는 포함하고 있지 않은 생체시료들이 섞여 있을 때 고농도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한 자동정제장비이다. 본 발명은 2축 또는 3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멀티피펫블럭, 또는 자석봉에 의해 다수의 생체시료를 정제하는 모든 핵산정제장비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높은 농도의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로부터 에어로졸에 의한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생체시료로부터 핵산을 분리하기 위하여 자동정제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실시간정량PCR을 사용하면 10개 이하의 타겟병원체로부터 10억개의 타겟병원체까지 고민감도로 정확하게 정량검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핵산정제는 여러 개의 생체시료들을 대상으로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고민감도와 높은 동적검출범위(dynamic range)로 인해 고농도의 타겟병원체를 포함하는 생체시료와 타겟핵산이 없는 생체시료를 동시에 정제하는 경우 에어로졸에 의한 오염이 위양성(false positive)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심각하다. 한 예로 1 ml 당 10억개의 바이러스를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정제하는 경우, 이 생체시료로 발생된 에어로졸이 1억분의 1 ml 즉 1 피코리터(pl)의 에어로졸 한개가 옆의 생체시료에 오염이 되어도 위양성을 나타내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핵산을 정제하기 위하여는 핵산이 선택적으로 흡착되는 재료를 이용하는데,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방법과 자성입자들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자성입자를 사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쉬운 진공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적이 넓은 미세한 자성입자들을 이용하여 용액의 서스펜션 상태에서 빠르게 생화학 물질들을 부착시키고 자기장을 가해 타겟물질이 부착된 자성입자들을 응집시킨 다음, 용액을 제거하여 주는 방법으로서 이와 관련한 자동화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것은 자성입자를 부착시키는 방식에 따라 피펫에 붙이는 방법, 자석봉이 삽입된 튜브에 붙이는 방법, 멀티웰플레이트에 붙이는 방법 등으로 나누어진다.
최근 피펫을 이용하여 자동화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랩시스템사(미국특허 5,647,994)는 일회용 피펫 형태를 이용한 자성입자를 분리하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해 기술을 하고 있다. 프레시즌시스템사이언스사의 방법(미국특허 5,702,950 및 6,231,814)도 피펫에 자성입자를 붙이는 방법으로 기본적으로 원리는 미국특허 5,647,994 와 같다. 다른 점은 자석을 피펫의 한 방향에서 붙였다 떼었다 하여서 팁의 한쪽 방향에서 자기장을 제어하여 주는 방법이다. 이 특허의 청구항은 자성물질을 끌어당기고 풀어주는 조절 방법으로서 다음 단계로 구성된다. 용기로부터 자성입자를 포함하고 있는 액체를 흡입할 수 있고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액체입구를 포함하는 액체흡입라인을 가지고 있는 피펫수단과, 피펫수단의 액체흡입라인의 외부표면에 맞게 부착이 가능한 자석몸체, 또는 자석몸체들을 제공하는 것; 피펫 수단이 끌어당기고 풀어주는 조절을 함에 있어 자성물질 함유용액을 흡입하고, 유지하는 것과 자석들의 자기장에 의해 액체흡입라인에 있는 자성물질들을 피펫수단의 안쪽벽에 끌어당기고 유지하는 것과 반대로 자석들에 의한 자기장을 방해함으로써 용액 흡입라인의 용액 내에 있는 자성물질을 풀어주는 그래서 자성물질과 용액이 같이 용액흡입구 밖으로 나오는 방법이다.
로슈다이아노스틱 사에서는 일회용 팁에 영구자석을 접근시켜 자성입자를 부착시켜 자성입자를 응집시켜 용액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USP 6,187,270) 이 장비는 펌프에 연결된 피펫, 자석, 그리고 피펫을 자석쪽이나 반대쪽으로 이송해 주기 위한 수단, 또는 자석을 피펫쪽과 반대방향으로 이송해 줄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들은 모두 일회용 피펫을 이용하여 용액과 분리를 하고 다른 용액에 현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가장 큰 한계점은 자성입자들에 의해 피펫 하단부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결과가 부정확하게 나오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는 점이다.
일회용튜브에 착탈이 가능한 자석봉에 자성입자를 붙여서 자성입자를 다양한 핵산정제용 용액으로 이동시켜 핵산을 정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프로메가(Promega)사의 Maxwell 16TM, Thermo 사의 King FisherTM 모델들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자성입자를 포집하는 봉이 삽입되는 튜브를 상하로 이동하여 용액을 교반하므로 튜브전체에 핵산을 포함하는 용액이 많이 묻을 수밖에 없다.
생체시료가 들어있는 용기에서 반응이 이루어지고 자성입자를 부착시켜 정제하는 방법은 오래된 방법으로 젠프로브(Gen-Probe, Inc)사에서는 자기적으로 끌리는 입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기적 분리랙을 사용한 방법을 개시하였다. 아머샴(Amersham International plc)사에서는 도넛형태의 영구자석을 용기와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장을 스위칭하는 방법을 개발하였고(US5,897,783), 베크만(Beckman instruments, Inc)사에서는 영구자석물질을 갖는 자석판(magnetic plate)을 이용하여 자성물질을 갖는 시료를 샘플로부터 분리하는 자동정제장비를 개발하였다(EP0479448). 이 자석 판은 용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멍이 뚫려있는 판(plate)형태로서, 자석판의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바닥에 자성입자를 부착하는 경우 자성입자의 서스펜션과 시료와 용액과의 혼합이 모두 일회용 피펫에 의해 일어나므로 피펫의 겉면에 핵산이 포함된 용액이 묻을 수 밖에 없다.
상기의 어떤 방법에서든 생물학적 물질 정제에 있어 Lysis와 자성입자와의 결합, 세척반응 등으로 핵산이 포함된 용액이 묻어있는 피펫이나 튜브를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 이동단계에서 일회용피펫이나 정제용봉튜브의 표면에 공기의 와류가 발생하게 되므로 에어로졸에 의해 오염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개발되어 온 자동정제장비에 있어서, 에어로졸이 발생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기 위한 수단에 대한 고려는 아직 미미하다. 현재까지 개발되어온 오염방지 시스템은 일회용 피펫에 낙하될 지 모르는 방울들을 막을 수 있는 낙하방지용 가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이오니아의 Exiprep 16 Pro에서 적용되어 있고 Roche의 MagnaPure 96 에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낙하방지가 된다고 해도 이동중에 발생하는 공기의 와류에 의해 소수성의 일회용피펫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을 막을 수는 없다. 그러므로 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생체시료용액으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에어로졸의 발생은 필연적이고 특히 고농도 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에 의한 PCR 에서의 위양성 오염은 피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시료들을 피펫팅한 후 피펫의 표면에 붙어 있는 미세한 물방울이 이동시에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에러로졸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교차오염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이 피펫, 또는 자석봉튜브의 표면에 미세하게 묻어 있는 상태로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공기와류에 의해 에어로졸이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 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이 미세하게 묻어 있는 부분이 수평이동 전에 공기흐름이 최소화되게 닫힌 공간을 형성한 후에 이동하여 표면에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지 않고, 이동한 후에는 피펫, 또는 자석봉튜브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킴으로써 핵산정제를 상호교차 오염없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정제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회용피펫블럭의 수평방향 이동시 다수의 피펫으로부터 용액이 부적절하게 낙하되어 멀티 웰 플레이트 키트의 다수개의 단위웰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정제장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장비에 있어서,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되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정제블록(110); 상기 다수의 피펫(P) 하단부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 및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용액받이대(1050);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함께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감싸도록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대(107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도록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과 마주보며 설치되는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 양측단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및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에 연결되는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과 이격되며 양측단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및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에 연결되며 하단부가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 하단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을 포함하는 4각통 형상이고,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용액받이대 하판(51), 내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1 밀착판(53-1), 외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2 밀착판(55-1), 내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3 밀착판(53-2), 내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4 밀착판(55-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2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253)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에 밀착되며, 개방된 둘레면의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253)에 밀착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2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253)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에 밀착되며, 개방된 둘레면의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253)에 밀착되도록, 수평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3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에 밀착되며,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정제블록(1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3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에 밀착되며,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에 밀착되도록, 상기 정제블록(1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며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 및 상기 정제블록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253, 353-1, 353-2)이 동일한 수직 평면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는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측단이 삽착되는 삽착홈(151-G)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4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과,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4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의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4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과,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4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의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5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과,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5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와, 상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를 내포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57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5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과,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5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와, 상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를 내포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57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는 다수의 안내공(671-H)이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는 다수의 안내공(671-H)이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7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과,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내포하도록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77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7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과,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내포하도록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77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된 정제블록(110)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제블록(110)에 장착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단부가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제블록(11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제블록 상승단계(S10);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와 밀착되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함께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감싸도록,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정제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30);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 상기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 후 상기 정제블록(110)을 하강시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각각 핵산추출용액들에 담그는 정제블록 하강단계(S5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제블록(110)에 장착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부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상기 제1 이동단계(S10)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함께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방지대 하강단계(S120);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정제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130); 상기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130) 후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 및 상기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 후 상기 정제블록(110)을 하강시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각각 핵산추출용액들에 담그는 정제블록 하강단계(S160); 를 포함할 수 있다.
용액받이대와 에어로졸방지대가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정제장비는 다수개의 피펫 또는 다수개의 자석봉튜브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상태에서만 수평이동을 하면서 핵산정제를 수행하므로, 다수개의 피펫 또는 다수개의 자석봉튜브의 표면에 수평이동중의 공기의 와류에 의해 발생하는 에어로졸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타겟핵산을 포함하고 있는 용액이 묻어 있는 다수의 피펫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된 정제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에 공기의 와류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에어로졸발생과 교차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정제블록이 수평방향 이동시 다수의 피펫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용액이 부적절하게 낙하되어 멀티 웰 플레이트의 다수개의 단위 웰이 오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 도2 및 도3은 실시예1의 사시도.
도4 및 도5는 도1 및 도2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6 및 도7은 실시예2의 사시도.
도8 및 도9는 실시예2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10 및 도11은 실시예3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12 및 도13은 실시예5의 주요부의 사시도.
도14는 실시예7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
도15는 실시예9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
도16은 실시예11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
도17은 실시예13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
도18은 실시예15의 흐름도.
도19는 실시예16의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 도2 및 도3은 실시예1의 사시도를, 도4 및 도5는 도1 및 도2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기 위한 정제블록(110)을 가진다. 정제블록(110)은 정제블록 지지대(1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1 내지 도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제블록 지지대(120)에는 정제블록(11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정제블록 승강모터(151, 도7 참조)가 설치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정제블록 지지대(120)는 수평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정제블록 제1 수평가이더(130)에 장착된다. 정제블록 제1 수평가이더(130)는 정제블록 제2 수평 가이더(140)에 수평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x축 방향과 상기 y축 방향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이다. 정제블록 지지대(120)및 정제블록 제1 수평가이더(130)를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은 도면에 미도시되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정제블록(110)에는 시린지 핀 홀더(11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시린지 핀 홀더(113)에는 다수개의 시린지 핀(115)이 고정 장착된다. 한편, 정제블록(110)에는 시린지 핀 홀더(113)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시린지 핀 이동모터(111)가 고정 장착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정제블록(11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가 장착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용액받이대(1050)를 가진다. 용액받이대(1050)는 다수의 피펫(P) 하단부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하단부와 이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용액받이대(105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액받이대(1050)를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 및 상기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이동수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5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51)을 가진다. 용액받이대 하판(5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도5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하판(51)의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용액받이대 제1 밀착판(53-1), 용액받이대 제2 밀착판(55-1), 용액받이대 제3 밀착판(53-2) 및 용액받이대 제4 밀착판(55-2)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1 밀착판(53-1)은 내측면이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의 외측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제2 밀착판(55-1)은 외측면이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의 내측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제3 밀착판(53-2)은 내측면이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의 외측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제4 밀착판(55-2)은 내측면이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의 외측면에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실시예1은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도록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통 형상의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가진다.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외부와 차단시킴으로써, 정제블록(110)의 수평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제블록(110)의 수평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어느 하나의 피펫(P) 둘레면 또는 어느 하나의 자석봉튜브 둘레면에 적셔진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하여 나머지 피펫(P)의 둘레면 또는 나머지 자석봉튜브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 및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4각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정제블록 지지대(120)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고정블록(86)이 고정 연결된다.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이 에어로졸방지대용 고정블록(86)에 고정 장착됨으로써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은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과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은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과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은 하단부가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 하단부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의 외측면이 용액받이대 제1 밀착판(53-1)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의 내측면이 용액받이대 제2 밀착판(55-1)의 외측면에 밀착되고,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의 외측면이 용액받이대 제3 밀착판(53-2)의 내측면에 밀착되며,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의 외측면이 용액받이대 제4 밀착판(55-2)의 내측면에 밀착됨으로써 용액받이대(1050)와 에어로졸방지대(1070) 사이의 기밀성이 좋아진다.
이하, 상기 용액받이대 이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고정블록(86)에는 용액받이대용 지지대(61)가 연결 설치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고정블록(86)과 정제블록 지지대(120) 사이에는 용액받이대용 안내봉(62)이 설치된다. 용액받이대용 안내봉(62)에는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63)가 용액받이대용 안내봉(6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용 지지대(61)에는 용액받이대 이동모터(64)가 고정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이동모터(64)에는 피니언(66)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63)에는 피니언(66)과 치합되는 래크(65)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용액받이대 이동모터(64)에 의하여 피니언(66)이 회동하면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63)가 용액받이대용 안내봉(6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63)에는 용액받이대 하판(51)이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63)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액받이대(105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용액받이대(1050)는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63)의 이동시 용액받이대 하판(51)이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하판(51)이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용액받이대 하판(51)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실시예2
실시예2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6 및 도7은 실시예2의 사시도를, 도8 및 도9는 실시예2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기 위한 정제블록(110)을 가진다. 정제블록(110)은 정제블록 지지대(12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정제블록 지지대(120)에는 정제블록(11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정제블록 승강모터(151)가 설치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정제블록 지지대(120)는 수평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정제블록 제1 수평가이더(130)에 장착된다. 정제블록 제1 수평가이더(130)는 정제블록 제2 수평 가이더(140)에 수평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x축 방향과 상기 y축 방향은 상호 직교하는 방향이다. 정제블록 지지대(120)및 정제블록 제1 수평가이더(130)를 각각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은 도면에 미도시되었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정제블록(110)의 하단부에는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가 장착된다.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실시예2는 용액받이대(1050)를 가진다. 용액받이대(1050)는 다수의 피펫(P) 하단부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하단부와 이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용액받이대(105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용액받이대(1050)를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 및 상기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이동수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8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151)을 가진다. 용액받이대 하판(15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하판(151)의 상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 형태를 이루는 삽착홈(151-G)이 형성된다.
도6 및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가진다.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외부와 차단시킴으로써, 정제블록(110)의 수평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제블록(110)의 수평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어느 하나의 피펫(P) 둘레면 또는 어느 하나의 자석봉튜브 둘레면에 적셔진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하여 나머지 피펫(P)의 둘레면 또는 나머지 자석봉튜브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도6 및 도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용액받이대(1050)의 상면에 밀착되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측단이 용액받이대(1050)의 삽착홈(151-G, 도8 참조)에 삽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측단이 용액받이대(1050)의 삽착홈(151-G, 도8 참조)에 삽착됨으로써 용액받이대(1050)와 에어로졸방지대(1070) 사이의 기밀성이 좋아진다.
이하, 상기 용액받이대 이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정제블록 지지대(120)의 하측단에는 상호 이격되며 2개의 용액받이대용 제1 지지대(161-1, 161-2)가 연결 설치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용 제1 지지대(161-1, 161-2) 사이에는 용액받이대용 안내봉(162)이 설치된다. 용액받이대용 안내봉(162)에는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도면부호 미부여)가 용액받이대용 안내봉(16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용액받이대용 슬라이더(도면부호 미부여)는 용액받이대용 제1 지지대(161-1, 161-2) 사이에 배치되는 용액받이대용 이동판(163)에 고정 설치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용 제1 지지대(161-1)에는 용액받이대 이동모터(164)가 고정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이동모터(164)에는 용액받이대용 볼 스크류(165S)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용액받이대용 볼 스크류(165S)는 용액받이대용 제1 지지대(161-1, 16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용 볼 스크류(165S)에는 용액받이대용 볼 너트(165N)가 끼워진다. 용액받이대용 볼 너트(165N)에는 용액받이대용 볼 스크류(165S)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액받이대용 볼 너트(165N)는 용액받이대용 이동판(163)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용액받이대 이동모터(164)에 의하여 용액받이대용 볼 스크류(165S)가 회동하면 용액받이대용 이동판(163)이 용액받이대용 안내봉(162)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용 이동판(163)에는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가 고정 연결된다.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의 상측면에는 용액받이대(1050)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용액받이대용 이동판(163)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용액받이대(105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용액받이대(1050)는 용액받이대용 이동판(163)의 이동시 용액받이대 하판(151)이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하판(151)이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용액받이대 하판(151)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이하,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정제블록 지지대(120)의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며 되며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용 제1 지지대(181-1, 181-2)가 연결 설치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제1 지지대(181-1, 181-2) 사이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안내봉(182)이 설치된다. 에어로졸방지대용 안내봉(182)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이동블록(183)이 에어로졸방지대용 안내봉(18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제1 지지대(181-1)에는 에어로졸방지대 이동모터(184)가 고정 설치된다. 에어로졸방지대 이동모터(184)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스크류(185S)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스크류(185S)는 에어로졸방지대용 제1 지지대(181-1, 181-2)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스크류(185S)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너트(185N)가 끼워진다.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너트(185N)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스크류(185S)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너트(185N)는 에어로졸방지대용 이동블록(183)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모터(184)에 의하여 에어로졸방지대용 볼 스크류(185S)가 회동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이동블록(183)이 에어로졸방지대용 안내봉(18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용 이동블록(183)에는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의 상측단이 고정 연결된다.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의 하측단에는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에어로졸방지대용 이동블록(183)이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대용 이동블록(183)의 이동시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구성하는 4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이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4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이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4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실시예3
실시예3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0 및 도11은 실시예3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3은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용액받이대 하판(251)과 용액받이대 측판(253)을 가진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하판(251)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하판(251)은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에 고정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하판(251)은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의 이동시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용액받이대 하판(251)은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용액받이대 하판(251)에는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단부가 삽착되는 삽착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된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측판(253)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데, 수직으로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측판(253)은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의 이동시 동일한 수직평면 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액받이대 측판(253)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측판(253)은 용액받이대(1050)가 이동한 경우 상측단이 정제블록(1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3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271, 273-1, 273-2)을 가진다. 3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271, 273-1, 273-2)은 각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수평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연결된다. 에어로졸방지대 측판(273-1)은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의 하측단에 고정 연결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시 3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271, 273-1, 273-2)이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3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271, 273-1, 273-2)이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3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271, 273-1, 273-2)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도1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상기 삽착홈(도면 미도시)에 삽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개방된 둘레면의 양측단, 즉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측판(273-1, 273-2)의 노출된 측단이 용액받이대 측판(253)에 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실시예4
실시예4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0 및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4의 용액받이대 및 에어로졸방지대는 실시예3의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실시예3과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4의 경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실시예4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용액받이대 하판(251)에는 실시예3과 달리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단부가 삽착되는 삽착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4의 용액받이대 하판(251)에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밀착판(53-1, 53-2, 55-1, 55-2, 도5 참조)에 준하는 밀착판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사항은 실시예3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5
실시예5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2 및 도13은 실시예5의 주요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5는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2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용액받이대 하판(351)과 2개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을 가진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하판(351)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하판(351)은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에 고정 설치된다. 용액받이대 하판(351)은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의 이동시 동일한 수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용액받이대 하판(351)은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용액받이대 하판(351)에는 2개의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 도12 참조) 하단부가 각각 삽착되어 기밀성이 증대되도록 상호 이격되며 2개의 삽착홈(도면 미도시)이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2개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데, 수직으로 설치된다. 2개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은 용액받이대용 제2 지지대(166)의 이동시 동일한 수직평면 상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2개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2개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은 용액받이대(1050)가 이동한 경우 상측단이 정제블록(110)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도12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을 가진다.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은 각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측판 연결대(373C)를 통하여 상단부가 상호 연결되며 정제블록(1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며 평행하게 설치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은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의 하측단에 고정 연결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시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이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이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의 이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된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의 상측단 내측면이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각각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상기 삽착홈(도면 미도시)에 삽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의 양측단이 각각 2개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에 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실시예6
실시예6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6의 용액받이대 및 에어로졸방지대는 실시예5의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실시예5와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6의 경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는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실시예6은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용액받이대 하판(351)에는 실시예5와 달리 상면 가장자리에 상호 이격된 2개의 삽착홈(도면 미도시)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6의 용액받이대 하판(351)에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밀착판(53-1, 53-2, 55-1, 55-2, 도5 참조)에 준하는 밀착판이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의 사항은 실시예5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7
실시예7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4는 실시예7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7은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을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 및 에어로졸방지튜브(473)를 가진다.
도1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에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471-H)이 형성된다. 다수의 관통홀(471-H)은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거나,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하되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의 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은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 도8 참조)의 하측단에 고정 연결되어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1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튜브(473)는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의 하부로 연장되며 다수개 형성된다.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는 다수의 관통홀(471-H)에 연통되며 하단부가 용액받이대(1050)에 각각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다수개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는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형성된다. 정제블록(110)은 수회에 걸쳐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에 주입된 용액들에 담그고 꺼내는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은 상기 타겟핵산 정제를 위하여 하강한 정제블록(110)과 충돌하지 않도록, 정제블록(110)이 하강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야 한다.
도14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451)을 가진다. 용액받이대 하판(45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하판(451)의 상면에는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방향 이동시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 하측단이 삽착되는 삽착홈(451-G1)이 형성된다. 한편, 삽착홈(451-G1)의 내측으로는 상기 낙하되는 용액이 고일 수 있도록 용액 수거홈(451-G2)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7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각각 서로 다른 에어로졸방지튜브(473)에 의하여 둘러싸이며 외부와 차단된다.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사이의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다수개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에 끼워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실시예7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가 가느다란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8
실시예8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8의 용액받이대 및 에어로졸방지대는 실시예7의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실시예7과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8의 경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가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할 수 있는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실시예8은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용액받이대 하판(451)에는 실시예7과 달리 삽착홈(451-G1)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외의 사항은 실시예7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9
실시예9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5는 실시예9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9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도1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 에어로졸방지튜브(573) 및 에어로졸방지통(575)을 가진다.
도1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에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571-H)이 형성된다. 다수의 관통홀(571-H)은 실시예7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은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 도8 참조)의 하측단에 고정 연결된다.
도1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튜브(573)는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의 하부로 연장되며 다수개 형성된다.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는 다수의 관통홀(571-H)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다수개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는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실시예7과 마찬가지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은 상기 타겟핵산 정제를 위하여 하강한 정제블록(110)과 충돌하지 않도록, 정제블록(110)이 하강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 한다.
도1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통(575)은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의 하부로 연장형성되는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를 내포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통(575)은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하단부가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15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551)을 가진다. 용액받이대 하판(55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하판(551)의 상면에는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방향 이동시 에어로졸방지통(575)의 하측단이 삽착되는 삽착홈(551-G)이 형성된다.
실시예7과 마찬가지로 실시예9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가 가느다란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10
실시예10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10의 용액받이대 및 에어로졸방지대는 실시예9의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실시예9와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0의 경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가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할 수 있는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실시예10은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용액받이대 하판(551)의 상면에는 삽착홈(551-G)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외의 사항은 실시예9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11
실시예11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6은 실시예11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1은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도1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블록(671) 및 에어로졸방지통(673)을 가진다.
도1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블록(671)에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안내공(671-H)이 형성된다. 다수의 안내공(671-H)의 상측단은 실시예7의 관통홀(471-H)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안내공(671-H) 중 상측단 하부는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실시예7과 마찬가지로,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은 상기 타겟핵산 정제를 위하여 하강한 정제블록(110)과 충돌하지 않도록, 정제블록(110)이 하강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 한다.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은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 도8 참조)의 하측단에 고정 연결되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16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통(673)은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의 하측단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데, 다수의 안내공(671-H) 하부를 내포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통(673)은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하단부가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16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651)을 가진다. 용액받이대 하판(65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하판(651)의 상면에는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방향 이동시 에어로졸방지통(673)의 하측단이 삽착되는 삽착홈(651-G)이 형성된다.
실시예7과 마찬가지로 실시예1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가 가느다란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12
실시예12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12의 용액받이대 및 에어로졸방지대는 실시예11의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실시예11과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2의 경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안내공(671-H)이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할 수 있는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실시예12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용액받이대 하판(651)의 상면에는 삽착홈(651-G)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외의 사항은 실시예11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13
실시예13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7은 실시예13의 에어로졸방지대 및 용액받이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3은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제외하고는 실시예2와 동일하다.
도1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 및 에어로졸방지통(775)을 가진다.
도1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에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771-H)이 형성된다. 다수의 관통홀(771-H)은 실시예7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은 에어로졸방지대용 제2 지지대(186, 도8 참조)의 하측단에 고정 연결되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1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통(775)은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이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에어로졸방지통(775)은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하단부가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실시예7과 마찬가지로,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은 상기 타겟핵산 정제를 위하여 하강한 정제블록(110)과 충돌하지 않도록, 정제블록(110)이 하강하는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여 한다.
도17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1050)는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751)을 가진다. 용액받이대 하판(751)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빠짐없이 받을 수 있도록 충분히 넓게 형성된다. 용액받이대 하판(751)의 상면에는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방향 이동시 에어로졸방지통(775)의 하측단이 삽착되는 삽착홈(751-G)이 형성된다.
실시예7과 마찬가지로 실시예13은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가 가느다란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도면 미도시)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14
실시예14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또 다른 자동정제장비에 관한 것이다.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실시예14의 용액받이대 및 에어로졸방지대는 실시예13의 용액받이대(1050) 및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실시예13과 동일한 도면부호 및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14의 경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에어로졸방지통(775)이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할 수 있는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실시예14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에어로졸방지대 이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는다. 또한, 용액받이대 하판(551)의 상면에는 삽착홈(751-G)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외의 사항은 실시예13에서 설명한 바에 준한다.
실시예15
실시예15는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8은 실시예15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5는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된 정제블록(110)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 중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 실시예를 이용한 실시예15의 자동정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8을 참조하면 실시예16은 정제블록 상승단계(S10),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30),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 및 정제블록 하강단계(S50)를 포함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정제블록 상승단계(S10)에서는 정제블록(110)에 장착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단부가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정제블록(11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정제블록(110)은 수회에 걸쳐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에 주입된 용액들에 담그고 꺼내는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즉, 정제블록 상승단계(S10)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단부가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1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에서는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와 밀착되어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함께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감싸도록,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정제블록(110)의 수평 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부에 위치하는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에 낙하되지 않고, 용액받이대(1050)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에 적셔진 용액이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 중 원하지 않는 웰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이에 따라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에 의하여 이동된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에서는 용액받이대(1050)가 용액받이대(105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용액받이대 하판(51)을 동일한 수평면 상을 따라 이동시킨다.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30)에서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정제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 주변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제블록(110)의 수평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어느 하나의 피펫(P) 둘레면 또는 어느 하나의 자석봉튜브 둘레면에 적셔진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하여 나머지 피펫(P)의 둘레면 또는 나머지 자석봉튜브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에서는 용액받이대(1050)를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에서는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에서와 마찬가지로 용액받이대(1050)가 용액받이대(105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용액받이대 하판(51)을 동일한 수평면 상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3을 참조하면 정제블록 하강단계(S50)에서는 정제블록(110)을 하강시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각각 상기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에 주입된 핵산추출용액들에 담그게 된다.
실시예16
실시예16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다른 자동정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9는 실시예16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6은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된 정제블록(110)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실시예 중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실시예를 이용한 실시예16의 자동정제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9를 참조하면 실시예16은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 에어로졸방지대 하강단계(S120),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130),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 및 정제블록 하강단계(S160)를 포함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에서는 정제블록(110)에 장착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부로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정제블록(110)의 수평 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부에 위치하는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에 낙하되지 않고, 용액받이대(1050)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에 적셔진 용액이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 중 원하지 않는 웰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에서는 용액받이대(1050)가 용액받이대(105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용액받이대 하판(151)을 동일한 수평면 상을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도10 내지 도13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에서는 용액받이대(105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용액받이대 측판(253, 353-1, 353-2)을 동일한 수직면 상을 따라 이동시킨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 하강단계(S120)에서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정제블록(110)의 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제1 이동단계(S110)에 의하여 이동된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다. 정제블록(110)은 수회에 걸쳐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상기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에 주입된 용액들에 담그고 꺼내는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도8은 정제블록(110)이 최초 하강하기 전의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정제블록(110)은 수회에 걸쳐 하강과 상승에 따라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에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 또는 기타의 용액이 적셔진 경우, 즉 정제과정 중에는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제1 이동단계(S110)에 의하여 이동된 용액받이대(1050)로부터 약간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머무르게 된다. 즉, 도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하측단이 용액받이대(1050)의 삽착홈(151-G)으로 이탈될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 머무른다. 따라서, 에어로졸방지대 하강단계(S120)에서 도14 내지 도17에 도시된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공기의 흐름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130)에서는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정제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 주변에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정제블록(110)의 수평이동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어느 하나의 피펫(P) 둘레면 또는 어느 하나의 자석봉튜브 둘레면에 적셔진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하여 나머지 피펫(P)의 둘레면 또는 나머지 자석봉튜브의 둘레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에서는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정제블록(110)의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측단을 용액받이대(1050)의 삽착홈(151-G, 도8 참조)으로 이탈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는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측단이 용액받이대(1050)의 삽착홈(151-G)으로 이탈될 수 있을 정도로 약간만 상승시킨다.
도8을 참조하면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에서는 용액받이대(1050)를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에서는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용액받이대(1050)가 용액받이대(1050)에 의한 공기의 흐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용액받이대 하판(151)을 동일한 수평면 상을 따라 이동시킨다.
정제블록 하강단계(S160)에서는 정제블록(110)을 하강시켜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각각 상기 멀티웰플레이트(도면 미도시)의 다수개의 웰에 주입된 핵산추출용액들에 담그게 된다.
110:정제블록
151-G:삽착홈
251:용액받이대 하판 253:용액받이대 측판
351:용액받이대 하판 353-1, 353-2:용액받이대 측판
373-1, 373-2:에어로졸방지대 측판
471: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 471-H:관통홀
473:에어로졸방지튜브
571: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 571-H:관통홀
573:에어로졸방지튜브 575:에어로졸방지통
671:에어로졸방지블록 671-H:안내공
771:에어로졸방지대 상판 771-H:관통홀
775:에어로졸방지통
1050:용액받이대
1070:에어로졸방지대
P:피펫

Claims (21)

  1.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장비에 있어서,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되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정제블록(110);
    상기 다수의 피펫(P) 하단부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 및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용액받이대(1050);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한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함께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감싸도록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대(10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도록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과 마주보며 설치되는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 양측단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및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에 연결되는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과 이격되며 양측단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 및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에 연결되며 하단부가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 하단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을 포함하는 4각통 형상이고,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용액받이대 하판(51), 내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1 측판(73-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1 밀착판(53-1), 외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2 측판(75-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2 밀착판(55-1), 내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3 측판(73-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3 밀착판(53-2), 내측면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제4 측판(75-2)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51)에 세워지는 용액받이대 제4 밀착판(5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2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253)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에 밀착되며, 개방된 둘레면의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253)에 밀착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L'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2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253)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251)에 밀착되며, 개방된 둘레면의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253)에 밀착되도록, 수평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3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에 밀착되며,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에 밀착 가능하도록 상기 정제블록(11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U'자 형상을 이루도록,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하판(351)과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세워지는 평판 형상의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측단 내측면이 상기 정제블록(110)의 둘레면에 밀착되고, 하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하판(351)에 밀착되며, 양측단이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353-1, 353-2)에 밀착되도록, 상기 정제블록(1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보며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에어로졸방지대 측판(373-1, 37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9.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상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위치 및 상기 정제블록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의 이동이 최소화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용액받이대 측판(253, 353-1, 353-2)이 동일한 수직 평면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0. 제4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는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의 하측단이 삽착되는 삽착홈(151-G)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4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과,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4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의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4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과,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4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471)의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4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5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과,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5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와, 상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를 내포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5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5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과,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도록 상기 다수의 관통홀(571-H)에 연통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와, 상기 다수의 에어로졸방지튜브(573)를 내포하며 상기 에어로졸방지튜브지지판(571)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5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는 다수의 안내공(671-H)이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각각 내포하는 다수의 안내공(671-H)이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블록(6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7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과,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이 하방으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내포하도록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7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받이대(1050)는 평판 형상이고,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는 상기 정제블록(110) 하부의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끼워져 각각 통과되는 다수의 관통홀(771-H)이 형성된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과,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내포하도록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판(77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상기 용액받이대(1050)에 밀착되는 에어로졸방지통(7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19. 다수의 생체시료로부터 타겟핵산을 분리하는 자동정제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피펫(P) 또는 다수의 자석봉튜브가 장착된 정제블록(110)의 수평방향 이동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블록(110)에 장착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단부가 일정한 수직 위치에 고정 설치된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정제블록(110)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제블록 상승단계(S10);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 하단부와 밀착되어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와 함께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감싸도록,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20);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정제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30);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
    상기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40) 후 상기 정제블록(110)을 하강시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각각 핵산추출용액들에 담그는 정제블록 하강단계(S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블록(110)에 장착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하부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로부터 낙하되는 용액을 받을 수 있는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1 이동단계(S110);
    에어로졸방지대(1070)가 상기 제1 이동단계(S10)에 의하여 이동된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밀착되어 상기 용액받이대(1050)와 함께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방지대 하강단계(S120);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 중 상기 타겟핵산을 포함한 용액에 적셔진 부분들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정제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130);
    상기 정제블록 수평이동단계(S130) 후 상기 에어로졸방지대(1070)를 상기 정제블록(110)의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
    상기 정제블록(110)의 하강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와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용액받이대(1050)를 이동시키는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
    상기 에어로졸방지대 상승단계(S140) 및 상기 용액받이대 제2 이동단계(S150) 후 상기 정제블록(110)을 하강시켜 상기 다수의 피펫(P) 또는 상기 다수의 자석봉튜브를 각각 핵산추출용액들에 담그는 정제블록 하강단계(S1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방법.
KR1020100114970A 2010-11-18 2010-11-18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KR10140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970A KR101400675B1 (ko) 2010-11-18 2010-11-18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EP11841532.2A EP2640825B1 (en) 2010-11-18 2011-11-18 Automatic necleic acid purification apparatus for aerosol-protecting
BR112013012113-0A BR112013012113B1 (pt) 2010-11-18 2011-11-18 Aparelho de purificação automática para isolar ácidos nucleicos alvo de uma pluralidade de amostras biológicas
PCT/KR2011/008845 WO2012067465A2 (en) 2010-11-18 2011-11-18 Automatic necleic aci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osol-protecting
JP2013539769A JP6001548B2 (ja) 2010-11-18 2011-11-18 エアロゾル防止のための自動精製装備及び自動精製方法
US13/885,556 US9273306B2 (en) 2010-11-18 2011-11-18 Automatic necleic acid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erosol-protecting
CN201180055013.3A CN103210077B (zh) 2010-11-18 2011-11-18 防止气溶胶的自动纯化设备及自动纯化方法
RU2013127520/10A RU2542408C2 (ru) 2010-11-18 2011-11-18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нуклеиновой кислоты и способ для защиты от аэрозоля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970A KR101400675B1 (ko) 2010-11-18 2010-11-18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711A KR20120053711A (ko) 2012-05-29
KR101400675B1 true KR101400675B1 (ko) 2014-05-29

Family

ID=4608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970A KR101400675B1 (ko) 2010-11-18 2010-11-18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73306B2 (ko)
EP (1) EP2640825B1 (ko)
JP (1) JP6001548B2 (ko)
KR (1) KR101400675B1 (ko)
CN (1) CN103210077B (ko)
BR (1) BR112013012113B1 (ko)
RU (1) RU2542408C2 (ko)
WO (1) WO201206746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421A (ko) 2016-09-29 2018-04-06 (주)바이오니아 생물학적 시료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45404C2 (ru) * 2010-04-30 2015-03-27 Байонир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бразцов, оснащенное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риложения магнитного поля,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целевого вещества из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бразца и способ экспрессии и очистки белка
CN103756871B (zh) * 2013-12-30 2015-04-22 西安天隆科技有限公司 一种单样本核酸封闭式提取仪
CN106554901B (zh) * 2015-09-30 2019-06-14 精专生医股份有限公司 自动化萃取核酸的机台及配合其使用的针筒
CN106119082B (zh) * 2016-08-17 2018-06-05 杭州奥盛仪器有限公司 改混匀方式的核酸提取设备及其混匀、吸附方法
TWI626928B (zh) * 2017-02-17 2018-06-21 陳昭先 立體定向裝置
AU2018303111B2 (en) * 2017-07-21 2021-07-15 Seegene, Inc. Modules for transferring magnetic beads, automated system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nucleic acid extraction using the same
CN208574655U (zh) * 2018-03-13 2019-03-05 武汉医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移液机构
CN108277148A (zh) * 2018-04-25 2018-07-13 江苏硕世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核酸提取分液装置
CN108410859A (zh) * 2018-04-28 2018-08-17 绍兴迅敏康生物科技有限公司 核酸提取方法
KR102256776B1 (ko) * 2018-07-26 2021-05-27 (주)바이오니아 자석봉 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표적물질 추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44B1 (ko) * 2006-04-27 2007-05-18 코아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생물학적 물질 또는 핵산 추출 자동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9448A3 (en) 1990-10-02 1992-12-23 Beckman Instruments, Inc. Magnetic separation device
US5897783A (en) 1992-09-24 1999-04-27 Amersham International Plc Magnetic separation method
FI932866A0 (fi) 1993-06-21 1993-06-21 Labsystems Oy Separeringsfoerfarande
JP3115501B2 (ja) 1994-06-15 2000-12-11 プレシジョン・システム・サイエンス株式会社 分注機を利用した磁性体の脱着制御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って処理される各種装置
DE4423878A1 (de) 1994-07-07 1996-01-11 Boehringer Mannheim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scheiden von magnetischen Mikropartikeln
WO1997032645A1 (en) * 1996-03-06 1997-09-12 Akzo Nobel N.V. Automated nucleic acid extraction from samples
CA2480530C (en) * 2002-05-17 2008-12-23 Gen-Probe Incorporated Sample carrier having releasable locking mechanism
JP4129864B2 (ja) * 2003-03-24 2008-08-06 農工大ティー・エル・オー株式会社 磁気微粒子の磁気分離装置
US20070092403A1 (en) * 2005-10-21 2007-04-26 Alan Wirbisky Compact apparatu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urifying nucleic acids
EP1785189A1 (en) * 2005-11-11 2007-05-16 Roche Diagnostics GmbH Drop Catcher
JP4804278B2 (ja) * 2006-08-30 2011-11-02 ユニバーサル・バイオ・リサーチ株式会社 マイクロプレート分割処理装置およびマイクロプレート分割処理方法
TWI391492B (zh) 2007-11-20 2013-04-01 Quanta Comp Inc 自動化遺傳物質處理系統及方法
JP5043694B2 (ja) * 2008-01-18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検査装置
US20110009608A1 (en) 2008-04-09 2011-01-13 Bioneer Corporation Automatic refining apparatus, multi-well plate kit and method for extracting hexane from biological samples
RU2380418C1 (ru) * 2008-10-01 2010-01-27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ститут молекулярной биологии им. В.А. Энгельгардта РАН Сменный микрофлюидный модуль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выделения и очистки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из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бразцов и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и очистки нуклеиновых кислот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RU2545404C2 (ru) * 2010-04-30 2015-03-27 Байонир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биологических образцов, оснащенное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риложения магнитного поля,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я целевого вещества из биологического образца и способ экспрессии и очистки белка
CN103540518B (zh) * 2010-07-23 2015-07-08 贝克曼考尔特公司 化验盒
KR101420094B1 (ko) * 2010-10-27 2014-07-17 (주)바이오니아 다양한 생체시료분석을 위한 전자동실시간정량증폭장비, 다양한 생체시료분석을 위한 자동정제 및 반응준비 장치, 전자동 핵산정제 및 실시간 정량 유전자증폭 방법, 전자동 핵산정제방법, 실시간정량pcr을 이용한 병원균의 전자동 생균수검사방법, 정량면역pcr을 이용한 전자동 항원농도획득방법 및 타겟항원에 라벨링된 부착용 타겟핵산의 정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044B1 (ko) * 2006-04-27 2007-05-18 코아바이오시스템 주식회사 생물학적 물질 또는 핵산 추출 자동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5421A (ko) 2016-09-29 2018-04-06 (주)바이오니아 생물학적 시료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0825B1 (en) 2018-01-03
BR112013012113B1 (pt) 2021-03-23
US20130236903A1 (en) 2013-09-12
RU2542408C2 (ru) 2015-02-20
BR112013012113A2 (pt) 2020-09-01
KR20120053711A (ko) 2012-05-29
US9273306B2 (en) 2016-03-01
WO2012067465A3 (en) 2012-09-20
EP2640825A4 (en) 2014-08-13
CN103210077B (zh) 2015-08-05
EP2640825A2 (en) 2013-09-25
RU2013127520A (ru) 2014-12-27
CN103210077A (zh) 2013-07-17
JP2013544097A (ja) 2013-12-12
WO2012067465A2 (en) 2012-05-24
JP6001548B2 (ja)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675B1 (ko) 에어로졸방지를 위한 자동정제장비 및 자동정제방법
EP2309278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mixing and concentrating magnetic particles with a fluid and use thereof in purification methods
JP5136806B2 (ja) 分析用の流体を取り扱う装置および方法
KR101443727B1 (ko) 자기장 인가부를 구비한 생물학적 시료 자동정제장치,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타겟물질을 추출하는 방법 그리고 단백질 발현 및 정제 방법
JP4792192B2 (ja) 液体サンプル内の磁気応答性粒子を操作し、サンプルからdna又はrnaを収集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025135B1 (ko) 자동정제장치, 멀티 웰 플레이트 키트 및 생물학적 시료로부터 핵산을 추출하는 방법
US8658042B2 (en) Microplate carrier having magnets
US9932574B2 (en) Suspension container for binding particles for the isolation of biological material
EP2871460B1 (en) Kit for nucleic acid extraction, and nucleic acid extractor
KR102256776B1 (ko) 자석봉 블록의 교체가 가능한 표적물질 추출장치
CN105659096A (zh) 样品制备工作站
JP7155258B2 (ja) 磁気粒子を用いて生物学的試料をプロセシングするための方法
EP2423688B1 (en) Suspension container for binding particles for the isolation of biological material
JP5979838B2 (ja) 生物学的材料の単離のための結合粒子のための懸濁容器
CN213388596U (zh) 磁珠捕获装置和组件
CN203582873U (zh) 磁性分离工具
KR20190136486A (ko) 생물학적 물질의 추출장치
AU20112028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mixing and concentrating magnetic particles with a fluid and use thereof in purification methods
CN103667049A (zh) 磁性分离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