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0261B1 -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261B1
KR101400261B1 KR1020120112883A KR20120112883A KR101400261B1 KR 101400261 B1 KR101400261 B1 KR 101400261B1 KR 1020120112883 A KR1020120112883 A KR 1020120112883A KR 20120112883 A KR20120112883 A KR 20120112883A KR 101400261 B1 KR101400261 B1 KR 101400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user
song
fingerprint patter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786A (ko
Inventor
최철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영
Priority to KR102012011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26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도적인 지문 입력 인식 없이 식별된 지문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축적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와 관련된 이력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관련된 신상 정보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A KARAOKE APPARATUS AND A KARAOKE SYSTEM USING FINGERPRINT RECONGITION}
본 발명은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의도적인 지문 입력 인식 없이 식별된 지문 패턴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축적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래 반주 장치는 수많은 미디 곡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곡된 곡을 재생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노래방에 비치된 리모컨을 이용하거나 책자를 이용하여 자신이 부르고자 하는 곡을 선택하고 선택된 곡을 리모컨이나 노래 반주 장치의 프런트 패널의 버튼을 이용하여 곡 번호를 입력하여 재생하거나 예약한다.
한편 노래 반주 장치에 저장된 미디 곡들의 개수는 적어도 수만 곡 이상에 달하고 이 곡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곡들을 리모컨이나 책자를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이 결코 용이치 않다.
반면에 사용자가 노래방에서 선곡하여 부르는 곡들은 많게는 단지 수십 곡에 이른다. 따라서 이러한 수십 곡의 애창곡들을 식별하여 이 애창곡들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응하여 휴대폰 등에 사용자의 애창곡을 저장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휴대폰 단말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애창곡의 곡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고 편리한 휴대폰 단말기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저장된 애창곡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휴대폰이 편리한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만 사용자가 직접 애창곡의 번호를 입력하여야 하고, 또한 노래 반주 장치와 자동으로 연결할 방법이 일반적으로 제공되지 않아 또한 리모컨이나 프런트 패널의 버튼을 이용하여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이 노래 반주 장치에 이 애창곡이 저장되어 있는지 혹은 재생 가능한지를 알 수 없는 불편함 등이 역시 존재한다.
한편 노래 반주 장치에 연결된 원격 서버에 사용자에 관련된 애창곡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원격 서버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ID나 패스워드나 그 외 사용자의 신상 정보를 저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ID와 패스워드나 신상 정보는 종종 외부 침입자(해커)에 의해서 해킹될 소지가 높다.
따라서, ID나 패스워드나 신상 정보 없이도 사용자를 식별하고 노래 반주 장치의 사용자가 부르고자 하는 애창곡들을 편리하게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또한 외부 침입으로부터 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노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애창곡 리스트와 같은 이력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대한 인식 없이 다른 기능과 병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대응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해커로부터의 침입 공격에 따라 정보가 노출되는 경우에도 각 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노출 없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체계화되고 분류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는,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키 중 지정된 입력키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패턴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와 상기 지정된 입력키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 장치의 제 1 기능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제 1 기능의 수행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제 1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을 맵핑하는 제어부와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에 맵핑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지문 패턴과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이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을 포함하는 등록 조회 요청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조회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시스템은,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키 중 지정된 입력키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패턴 또는 지문 이미지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포함하여, 상기 지정된 입력키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와 상기 지문 패턴 또는 상기 지문 이미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로 발신하는 리모콘과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에 따라 지정된 제 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지정된 제 1 기능의 수행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제 1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문 패턴 또는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지문 패턴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은, 사용자를 자동으로 식별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애창곡 리스트와 같은 이력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은, 사용자의 지문 입력에 대한 인식 없이 다른 기능과 병합하여 자동으로 사용자를 식별하고 대응하는 이력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은, 외부 해커로부터의 침입 공격에 따라 정보가 노출되는 경우에도 각 사용자의 신상 정보의 노출 없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체계화되고 분류화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외부 서버에서 구현될 수 있는 지문 패턴들과 각 지문 패턴에 연결된 사용자 이력 정보의 예시적인 자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래 반주 장치의 키 입력부의 예시적인 키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노래 반주 장치에서 수행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시스템의 예시적인 시스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이 노래 반주 시스템은, 외부 서버(200)와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 장치(100)와 노래 반주 장치(100)와 외부 서버(2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 블록도에서는, 필요에 따라 일부 시스템 블록을 생략될 수도 있고 혹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시스템 블록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각 시스템 블록들을 살펴보면, 노래 반주 장치(100)는, 노래방 등에 설치된 장치이다. 이러한 노래 반주 장치(100)는, 노래방을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재생할 곡 번호 등을 수신하고 노래 반주 장치(100)에 저장된 미디 파일과 동영상 파일을 이용하여 수신한 곡 번호에 대응하는 음악과 영상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노래 반주 장치(100)는, 또한 사용자의 지문 패턴을 인식할 수 있고 지문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곡, 이에 더하여 시간대에 따른 또는 날씨 등에 따른 선호 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의 이용 패턴(사례)을 수집하고, 수집된 이용 패턴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노래 반주 장치(100)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외부 서버(2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 장치(100)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지문 패턴을 수집하고 각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러한 사용자 이력 정보는 각 사용자가 부른 노래의 곡 번호나 부른 시각 정보나 미디 파일 등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각 노래의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200)는, 노래 반주 장치(100)로부터, 이 노래 반주 장치(100)가 인식한 지문 패턴이 등록된 지문 패턴인지에 대한 등록 조회 요청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수신하고, 이 외부 서버(2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지문 패턴을 등록 조회 요청에 포함된 지문 패턴의 비교로 등록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외부 서버(200)는, 등록 여부 결정에 따라 등록 조회 요청을 전송한 노래 반주 장치(100)로 그 응답을 네트워크(300)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되는 응답에는, 등록되어 있는 경우 등록된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 전체, 또는 사용자 이력 정보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이력 정보는 노래 반주 장치(100)로 하여금, 노래방 사용자에 특화되어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어 시간대별로 혹은 이에 더하여 날씨에 따르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선호곡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이력 정보에 관해서는 도 2를 통해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외부 서버(200)는, 등록된 지문 패턴의 사용자의 노래 반주 장치(100)의 사용 패턴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정보를 노래 반주 장치(1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대응하는 지문 패턴의 사용자 이력 정보에 추가(또는 갱신)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선곡한 곡 번호와 같은 식별자와, 선곡한 곡 번호의 대응하는 곡의 타입과 선곡한 시각 또는 노래를 부른 시각 정보 등을 포함하고, 이외에 해당 곡 번호에 대하여 부가한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제공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템포 키를 변환하였는지(상대적인 레벨 값으로 또는 절대적인 레벨 값으로), 남자/여자 키를 선택하였는지, 우선 예약을 선택하여 먼저 노래를 불렀는지, 노래의 중간에 취소(중단)하였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외에도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의 선택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 서버(200)는 프로그램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와, 사용자 이력 정보 등과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매체와 네트워크(300)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적어도 포함하고, 이 하드웨어 블록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 장치(100)와 연결되고 각 노래 반주 장치(100)로부터 지문 패턴을 수신하여 수신된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생성하거나 갱신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200)는, 예를 들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 서버와 연결될 수 있고, 현재 날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날씨 정보는 각 지역별로 날씨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이러한 정보는 또한 사용자의 선호 곡의 제공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외부 서버(200)에 저장된 지문 패턴과 각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네트워크(300)는, 외부 서버(200)와 노래 반주 장치(100)를 연결하여 데이터나 제어 정보 등을 외부 서버(200)와 노래 반주 장치(100)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네트워크(300)는, 인터넷 등에서 이용될 수 있는 광대역 네트워크이거나 혹은 일정한 범위 또는 지역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근거리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서버(200)는, 다수의 노래 반주 장치(100)가 비치된 업소 내에 설치되거나 혹은 업소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어 여러 업소와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30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정형화된 포맷의 데이터 패킷으로 송수신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 패킷은 노래 반주 장치(100)와 외부 서버(200) 사이에 미리 약속된 포맷으로서 예를 들어 요청 데이터 패킷과 응답 데이터 패킷으로 식별할 수 있고 또한 요청 데이터 패킷의 구체적인 타입(예를 들어 이하에서 살펴볼 등록 조회 요청, 이력 정보 갱신 요청, 이력 정보 다운로드 요청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응답 데이터 패킷의 그 요청에 대응한 응답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외부 서버(200)에서 구현될 수 있는 지문 패턴들과 각 지문 패턴에 연결된 사용자 이력 정보의 예시적인 자료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자료 구조는, 예를 들어 저장 매체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데이터 베이스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에 특화되어 구성될 수 있는 구조(structure)일 수 있다.
이 자료 구조는, 인덱스(index) 키와 각 인덱스 키에 연결된 사용자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덱스 키는, 지문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지문 패턴은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지문 패턴을 이 자료 구조에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및/또는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새로운 사용자 정보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사용자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인덱스 키로서 이용되는 지문 패턴은, 외부 서버(200)에 등록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지문으로부터 추출된 정형화된 패턴일 수 있고, 이러한 패턴은 다른 사용자와 구별될 수 있다. 이러한 지문 패턴은 사용자의 지문 자체에 국한할 필요는 없으며, 손가락 또는 손가락 내부의 정맥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는, 사용자가 선곡하거나 노래를 부른 곡 번호와 같은 식별자와 이 곡 번호에 대응하는, 발라드 팝 디스코 트로트 등과 같은, 곡 타입, 이 곡 번호를 부르거나 선곡한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기상청 등의 기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해당 시간 정보에서의 노래 반주 장치(100)가 설치된 업소의 지역에서의 날씨 정보나, 템포 변경 정보(템포의 절대적인 레벨로, 또는 상대적인 레벨로)나 남자 키나 여자 키의 선택 정보나, 다른 곡에 비하여 우선하여 예약을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나 노래 중간에 중단을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가 노래를 부른 노래 반주 장치(100)나 노래 반주 장치(100)의 업소의 식별자(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 엔트리(사용자 정보)는 노래 반주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이에 더하여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되는 각 엔트리의 개수는 일정한 기간 내에서 한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각으로부터 과거 한달 또는 과거 일주일 만큼의 기간 동안에 선곡하거나 기능의 제어가 이루어진 곡에 관련된 정보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 2의 자료 구조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5를 통해서 좀더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노래 반주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노래 반주 장치(100)는,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90)에 연결된 키 입력부(110)와 IRDA 수신부(120)와, 지문 인식부(130)와 오디오 출력부(140)와 디스플레이부(150)와 저장부(160)와 송수신부(170)와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노래 반주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는, 필요에 따라 일부의 블록을 생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이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각 블록들을 살펴보면, 키 입력부(110)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전면 판넬(panel)에 배열된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키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특정 곡을 예약하거나 시작하도록, 특정 곡을 취소하도록, 템포 키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또는 남자 키나 여자 키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복수의 입력키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눌러질 수 있고, 눌러짐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가 제어부(180)로 전송되어, 제어부(180)로 하여금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지문 인식부(130)는, 복수의 입력키 중에서 노래 반주 장치(100)에 의해 미리 지정된 입력키(111)의 눌림에 따라 해당 지정된 입력키(111)의 접촉표면으로부터 지문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된 지문 패턴을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여기서 지정된 입력키(111)는 키배열에 따라서 또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구현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정된 입력키(111)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할당된 입력키(템포 업/다운, 남자/여자 키, 시작 키, 예약 키, 나만의 선곡 키, 도 4의 (a) 참조)이거나 혹은 다수의 기능의 수행을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입력키(선택 키, 도 4의 (b) 참조)일 수 있다.
이러한 지문 인식부(130)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공지의 지문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부(130)는, CMOS 이미지 센서와 광원을 이용하는 광학식 센서나, 정전 용량이나 전기 전도를 감지하는 반도체 소자 방식이나, 초음파를 이용하는 초음파 방식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이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지문 인식 기술의 방식에 따라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지문 이미지를 생성하고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생성된 지문 이미지에서 지문 패턴을 인식하여 인식된 지문 패턴을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지문 패턴의 인식은, 지문 이미지로부터 정형화된 지문 패턴의 추출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추출된 지문 패턴이 다른 지문 패턴과 비교를 위해서 충분한 지문 패턴 데이터의 양이나 범위를 가지는지 및/또는 필수적인 지문 패턴 데이터(이하의 '앵커 지점' 참조)를 가지는 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문 인식부(130)에서 수행되는 지문 패턴의 인식은 제어부(18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고, 이때에는 지문 인식부(13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생략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의 프로세서에서 지문 인식부(130)의 지문 패턴의 인식이 구현될 수도 있다.
IRDA 수신부(120)는, 노래 반주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부터의 무선(IRDA : Infrared Data Association)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여 제어부(180)로 하여금 리모콘의 제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IRDA 수신부(120)(또는 이하에서 살펴볼 송수신부(170))는 또한, 리모콘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인식된 지문 패턴 또는 이 지문 패턴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지문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지문 패턴 또는 지문 이미지는 지문 인식부(130)에서 인식된 지문 패턴과 동일하게 제어부(180)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으로 리모콘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은, 노래 반주 장치(100)의 키 입력부(110)와 지문 인식부(1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키 입력부와 지문 인식부를 구비한다.
또한 리모콘은, 무선의 리모콘 신호를 발신하는 리모콘 신호 발신부나 지그비(Zigbee)나 블루투스(Bluetooth)나 무선 랜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무선 신호를 발신하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와 이러한 각 블록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적어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모콘에서의 키 입력에 따르는 지문 패턴 또는 지문 이미지를 리모콘의 지문 인식부가 인식하여 이 인식된 지문 패턴 또는 지문 이미지와 대응하는 리모콘의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키의 식별 코드(입력된 키를 식별하기 위한 리모콘 코드 값)를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리모콘 신호 발신부를 통해 또는 무선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지문 인식부(130)을 통해 인식된 지문 패턴과 동일하게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지문 패턴(혹은 지문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지문 패턴)을 처리할 수 있다.
물론 리모콘의 프로세서는, 입력된 키가 지정된 입력키가 아닌 경우에는 식별 코드 만을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 입력부(110) 및/또는 리모콘의 키 입력부의 복수의 입력키에 대한 예시적인 키 배열을 도 4를 통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키 입력부(110)의 예시적인 키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도 4의 (b)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는 상이한 형태의 입력키 배열을 나타낸다. 이러한 예시적인 키 배열은 전면 판넬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또는 대안으로 리모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의 (a)와 도 4의 (b) 공히 곡의 예약이나 시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예를 들어 곡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를 포함하고, 노래 반주 장치(100)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템포 업/다운, 남자/여자 키, 예약, 취소, 나만의 선곡, 시작, 선택 등)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의 (a)는, 지문 인식부(130)가 지문 패턴을 인식하기 위해 할당된 지정된 입력키(111)가 다수개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의 (b)는, 지문 인식부(130)가 지문 패턴을 인식하기 위한 지정된 입력키(111)가 하나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각 기능의 지정된 입력키(111)의 눌림에 반응하여, 각 기능의 지정된 입력키(111)로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눌러진 지정된 입력키(111)의 접촉표면으로부터 지문 패턴을 알려진 지문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각각 인식하도록 한다. 여기서의 지문 패턴의 인식은 각각의 기능별로 할당된 입력키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는, 하나의 입력키 만을 지문 패턴의 인식을 위한 할당된 지정된 입력키(111)로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 4의 (b)는, 이에 따라, 일련의 입력키의 시퀀스를 제어부(180)로 하여금 기억하도록 하고, 기능 키(예약, 취소, 남자/여자 키, 템포 업/다운, 나만의 선곡)와 선택 키를 식별한 후에 해당하는 대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4의 (a)와 (b)는 그 응용 예에 따라서 달리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예를 들어 도 4의 (a)와 (b)의 조합으로 키 배열이 구성될 수 있어, 하나 이상의 입력키와 '선택' 키가 지정된 입력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알려진 지문 인식 기술 중에 노래 반주 장치(100)에 적용된 특정 기술은 키 배열상에 잉크 등으로 인쇄된 숫자나 문자를 고려하여 지문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된 문자나 숫자의 잉크의 광 투과성(물론 인쇄 부분과 비 인쇄 부분이 동일한 투과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을 고려하여 지문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인쇄 부분과 비 인쇄 부분의 전도성 등의 차이를 고려하여 지문 인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의 블록도를 살펴보면, 오디오 출력부(140)는, 제어부(180)의 제어하에 디지털의 오디오 신호를 외부 스피커 등의 입력 포맷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스피커 등으로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출력부(140)는, 외부 스피커의 입력 포맷에 부합하는 오디오 DAC(Digital Analog Converter)나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80)의 제어하에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노래 반주 장치(100) 외부의 TV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비디오 입력 포맷에 부합하는 비디오 포맷으로 제어부(180) 등으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또는 영상을 변환하여 외부의 표시 장치로 출력한다.
저장부(16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또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60)는, 예를 들어 지문 인식부(130) 및/또는 제어부(180) 등에 포함될 수 있는 프로세서에 이용될 각종 프로그램들과, 영상이나 음악을 출력하기 위한 압축된 동영상 파일, 압축된 오디오 파일, 곡의 선곡에 따라 재생할 미디 파일, 가사 파일 및/또는 각 곡의 타입 정보와 같은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설정 파일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60)는, 사용자를 각각 식별할 수 있는 복수의 지문 패턴과 각 지문 패턴에 맵핑된 사용자 정보(또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저장한다. 이러한 지문 패턴 및/또는 맵핑된 사용자 정보(또는 사용자 이력 정보)는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이거나 이미 저장되어 있었던 정보이거나 혹은 노래 반주 장치(100)의 키 입력부(110)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지문 패턴 및/또는 맵핑된 사용자 정보는 휘발성 메모리 등에 임시로 저장되거나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나 대용량 저장 매체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지문 인식부(130)에 의해 인식되지 않은 지문 패턴은 저장을 생략할 수도 있다.
송수신부(170)는, 외부 서버(200)나 리모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근거리 네트워크 등에 이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 칩이나, 유선/무선 랜카드나 파이 칩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나의 또는 복수의 근거리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노래 반주 장치(100)의 각 블록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 프로세서상에서 구동되는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블록들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록 발명의 편리한 이해를 위해서, 지문 인식부(130)와 제어부(18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제어부(180)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지문 인식부(130)의 일부 기능(지문의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부(180)에서 각 블록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기능과 지문 인식부(130)의 지문 인식 기능을 같이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프로세서에 의해서 각각 제어부(180)의 기능과 지문 인식부(13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세서와 기능의 할당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선택의 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키 입력부(110)를 통해 및/또는 리모콘으로부터 키 입력(리모콘의 식별 코드)을 수신하고, 수신된 키 입력에 따르는 지정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정된 기능은 입력 키에 따라서 할당되고 예를 들어 곡을 시작하거나 곡을 예약하거나 곡을 중지하거나 검색을 수행하는 기능이거나 사용자의 애창곡, 사용자의 선호 곡 및/또는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추천 곡을 검색하기 위한 것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입력키가 지문 패턴을 인식을 위해 할당된 지정된 입력키(111) 인지를 식별하여, 만일 지정된 입력키(111)인 경우에, 지정된 입력키(111)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기능으로부터 도출되는 사용자 정보를 지문 인식부(130)를 통해 인식된 지문 패턴 및/또는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지문 패턴(혹은 지문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지문 패턴)에 맵핑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지문 패턴과 지문 인식부(130)를 통해 인식된 지문 패턴을 비교하여, 이 인식된 지문 패턴이 저장부(160)에 없는 경우에, 인식된 지문 패턴을 포함하고 외부 서버(200)에 등록이 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한 등록 조회 요청을 송수신부(170)를 통해 외부 서버(200)로 전송하고,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물론 이미 저장되어 있었던 복수의 지문 패턴 각각에 대해서도, 노래 반주 장치(100)의 부팅 초기에 각 지문 패턴의 사용자 이력 정보를 갱신하기 위해서 외부 서버(200)로 이력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전송하고, 외부 서버(200)로부터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를 수신하여 각 지문 패턴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등록 조회 요청에 대한 응답은, 등록 상태인지 또는 미등록 상태인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상태 정보와, 만일 등록 상태라면, 요청된 지문 패턴에 대하여 외부 서버(200)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이력 정보 전체 또는 일부의 사용자 이력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이력 정보를 외부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를(전송 받을) 할 필요는 없으며, 등록 조회 요청 이후에 사용자 이력 정보가 필요한 경우에(예를 들어 '나만의 선곡' 키의 입력에 따라) 동적으로 요청하거나 또는 해당 기능(예를 들어 '나만의 선곡' 키의 기능)의 수행을 외부 서버(200)로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동적으로 저장된 사용자 이력 정보는, 제어부(180)에 의해 특정 사용자를 위한 검색 요청(또는 나만의 선곡 키 등과 같은)의 기능 선택에 따라 사용자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검색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검색 요청은 예를 들어 인식된 지문 패턴의 해당 사용자가 불렀던 혹은 자주 불렀던 애창곡 또는 선호곡이거나 혹은 사용자가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는 추천 곡을 검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검색 정보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며, 예를 들어 현재의 시각, 현재의 날씨, 사용자의 선호도(예를 들어 취소 키가 노래 중간에 선택된 경우에는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간주하여) 등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곡들의 나열된 순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창곡의 검색은, 사용자 이력 정보에서 동일한 곡 번호를 노래를 부른 횟수(즉 동일한 곡 번호가 엔트리에 포함된 횟수로)와 이에 더하여 취소 회수 등을 고려하여 순서화될 수 있고, 추천 곡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부른 곡의 타입에 기초하고 이에 더하여 검색 요청의 날씨 등의 정보를 더 고려하여 순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날씨와 곡의 타입 등에 지정된 가중치를 부가하여 고려된 나열된 순서일 수 있다.
이러한 추천 곡은,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곡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곡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포함되지 않은 곡은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 등에서 제공하는 각 타입별 추천 리스트 상에서 추출된 곡일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날씨와 곡의 타입 정보에 국한하여 추천 곡을 선택할 필요는 없으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불렀던 곡의 박자 정보나 변환하였던 기능 정보(템포나 남자/여자 키 등)에 더 기초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검색 정보에서 특정 곡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다른 기능에 관련된 정보(사용자가 이미 설정하였던 템포나 남자/여자 키 설정 정보 - 예를 들어 애창곡이나 선호곡 등인 경우에)를 이용하여 기본 설정 정보로 설정하여 음악을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만일 미등록 상태임을 나타내는 응답을 외부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등록 의향을 결정할 수 있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0)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혹은 등록 의향의 결정 요청 없이, 자동으로 등록을 결정할 수도 있다. 물론 자동으로 결정을 하는 경우라도, 각 지문 패턴이 누구의 지문 패턴인지를 노래 반주 장치(100)나 외부 서버(200)에서 인식할 수 없으므로, 지문 패턴의 활용과는 별개로 사용자의 중요 개인 신상 정보가 노출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나만의 선곡' 키 등과 같은 간단한 입력에 의한 검색 요청과는 다른, 다른 기능(템포 업/다운, 남자/여자 키, 예약, 취소, 시작 또는 이러한 기능을 선택하는 선택 키 등)의 선택을 위한 지정된 입력키의 입력에 따라 인식된 지문 패턴과 이 지문 패턴에 맵핑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부(160)에 저장하고 저장된 사용자 정보와 대응하는 지문 패턴을 포함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의 갱신을 위한 이력 정보 갱신 요청을 외부 서버(200)로 송수신부(170)를 통해 주기적으로 혹은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서버(200)는, 수신된 지문 패턴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된 지문 패턴을 인덱스로 이용하여 대응하는 사용자 이력 정보에 수신된 사용자 정보를 추가하여 갱신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입력키에 지문 패턴의 인식을 하여,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그리고 자연스럽게 사용자가 선호하는 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또는 기능)를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80)에 수행되는 제어 흐름은 도 5를 통해서 좀더 살펴보도록 한다.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90)는, 각 블록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나 제어 신호를 다른 블록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190)는 병렬 버스이거나 시리얼(serial) 버스일 수 있다.
도 5는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지문 인식을 이용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어 흐름은 제어부(180) 및/또는 지문 인식부(13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세서상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의 설명은 도 3의 설명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노래 반주 장치(100)의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시작(S100)하고, 전원이 오프(off)됨으로써 종료(S200)된다.
먼저 단계 S101에서, 여러 종류의 키 배열에서 지정된 입력키(111)가 눌러짐에 따라 사용자의 지문 패턴의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S103에서, 수신된 지문 패턴이 인식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지문 패턴이 인식 가능한지에 대한 결정은, 예를 들어 수신된 지문 패턴의 이미지에서 지문 패턴을 추출할 수 있는 지와 이에 더하여 수신된 지문 패턴의 이미지에서 특정 지문의 패턴(또는 부분)이 있는 지와 이 특정 지문의 패턴을 중심으로 일정한 범위 내의 이미지가 존재하는 지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 패턴의 이미지에는 지문 선들이 연결을 시작하는(모여져 있는) 앵커(중간) 지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앵커 지점은 원형의 형태로 혹은 곡선의 형태로 되어 지문 패턴의 이미지는 앵커 지점을 중심으로 외부로 확산되는 형태의 이미지를 취한다. 따라서 이러한 앵커 지점(상기 특정 지문의 패턴)을 먼저 식별할 수 있는 지와 이 앵커 지점으로부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충분한 영역 범위(예를 들어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의 지정된 일정한 범위)가 지문 패턴 인식을 위한 이미지에 존재하는 지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지문 패턴의 인식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단지 지정된 입력키(111)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부(180)가 수행(S115)하고 이후에 단계 S117로 전이한다.
여기서 단계 S101이나 이에 더하여 단계 S103은, 노래 반주 장치(100)에서 뿐 아니라 노래 반주 장치(100) 외부의 리모콘에서도(혹은 대안으로) 수행될 수 있고, 리모콘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리모콘에서의 지정된 입력키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코드와 이 지정된 입력키로부터 인식된 지문 패턴 또는 캡쳐링된(인식된) 지문 이미지는, 리모콘의 리모콘 신호 발신부나 무선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무선 신호의 형태로 노래 반주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지문 패턴이 인식 가능한 경우에는, 인식된 지문 패턴이 등록된 지문 패턴인지를 단계 S105에서 결정한다.
이러한 단계 S105는, 이미 저장부(160)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지문 패턴과의 비교로 일치하는지 혹은 일정한 임계치 내로 유사한지로 결정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혹은 별도로 외부 서버(200)로 인식된 지문 패턴을 포함하는 등록 조회 요청을 전송하고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만일 등록된 지문 패턴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07에서 인식된 지문 패턴을 등록한다. 이러한 등록 과정은 사용자에게 알리는 과정을 수반하거나 혹은 생략할 수 있고, 외부 서버(200)와 연동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후 단계 S109에서, 지정된 입력키(111)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어부(180)가 수행하고, 대응하는 기능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지문 패턴을 맵핑한다.
여기서 지정된 입력키(111)는 하나의 입력키이거나 혹은 복수의 입력키 중에서 선택된 다수의 입력키(도 4의 (a) 및 (b) 참조) 일 수 있다.
각각의 지정된 입력키(111)(도 4의 (a) 참조)는 각 입력키에 특화된 기능(템포, 남자/여자 키, 취소 시작 등)을 수행하거나 하나의 지정된 입력키(111)(도 4의 (b) 참조)는 다른 입력키의 지정된 기능을 선택(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11에서, 현재 선곡되어 재생중인 곡에 대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곡 번호에 대응하는 기능의 선택 정보는, 사용자 정보로서 대응하는 지문 패턴을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저장된다.
여기서, 하나의 곡 번호에 대해서 여러 기능(템포, 남자 키, 취소 키 등)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현재 재생중인 곡에 대하여 하나의 사용자 정보가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외부 서버(200)의 사용자 이력 정보의 엔트리와 동일한 구성 또는 이 엔트리를 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필요한 정보(곡 번호, 곡 타입, 시간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단계 S113에서, 지문 패턴별로 맵핑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는 대응하는 지문 패턴과 함께 또는 이에 더하여 노래 반주 장치(100)의 식별자를 더 포함하여, 이력 정보 갱신 요청을 외부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외부 서버(200)로의 이력 정보 갱신 요청의 전송은, 재생중인 한 곡의 재생 완료에 따라 전송되거나 혹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복수의 곡이 재생 완료됨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송 방식은 다양한 변형 예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변형 예는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단계 S109에서의 지정된 기능들 중에서 일부의 기능은, 사용자 정보 생성과 외부 서버(200)로의 전송을 생략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애창곡이나 선호곡이나 추천곡을 선택하기 위한 '나만의 선곡' 키의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자 정보의 생성과 외부 서버(200)로의 전송이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후 단계 S117에서, 전원 오프(off)인지를 결정하여 전원 오프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 S101로 전이하여 본 제어 흐름을 반복하고, 전원이 오프된 경우에는 단계 S200으로 전이하여 본 제어 흐름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 흐름에 따라, 사용자에 특화된 다양한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에 대한 노래 반주 장치(100)의 사용 정보를 자연스럽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식별자의 외부로 노출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노래 반주 장치(100) 및/또는 노래 반주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노래 반주 장치
110 : 키 입력부 111 : 지정된 입력키
120 : IRDA 수신부 130 : 지문 인식부
140 : 오디오 출력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저장부 170 : 송수신부
180 : 제어부 190 : 시스템 버스/제어 버스
200 : 외부 서버
300 : 네트워크

Claims (7)

  1.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로서,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
    상기 복수의 입력키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입력키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패턴을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
    상기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입력키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노래 반주 장치의 제 1 기능을 수행하고, 대응하는 제 1 기능의 수행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제 1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을 맵핑하는 제어부;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에 맵핑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이미지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기능과는 상이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입력키의 선택에 따른 제 2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입력키로부터 인식된 사용자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노래 반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지문 패턴과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이 상기 저장부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인식된 지문 패턴을 포함하는 등록 조회 요청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등록 조회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노래 반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1 기능의 수행에 관련된 곡 타입 및 상기 제 1 기능의 수행시의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기능을 수행하도록 인식된 상기 사용자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정보의 곡 타입 및 날씨 정보에 기초하여 검색되는 추천 곡의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노래 반주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이 미등록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로 하여금 등록 의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노래 반주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인식된 지문 패턴과 맵핑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 외부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 1 기능의 수행에 관련된 곡 번호, 곡 타입,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 장치.
  6.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입력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입력키 중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입력키로부터 사용자의 지문 패턴 또는 지문 이미지를 인식하는 지문 인식부를 포함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지정된 입력키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와 상기 지문 패턴 또는 상기 지문 이미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노래 반주 장치로 발신하는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식별 코드에 따라 지정된 제 1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지정된 제 1 기능의 수행으로부터 도출되는 상기 제 1 기능에 관련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지문 패턴 또는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지문 패턴을 맵핑하여 저장하는, 노래 반주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노래 반주 장치는, 수신된 식별 코드에 따라 상기 제 1 기능과는 상이한 제 2 기능을 수행하도록, 수신된 상기 지문 패턴 또는 상기 지문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노래 반주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 반주 장치에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부터 지문 패턴을 포함하는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한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 전송하는 외부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서버는, 사용자의 지문 패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노래 반주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이력 정보에 저장하고, 수신한 요청에 대응한 응답에 상기 사용자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는,
    노래 반주 시스템.
KR1020120112883A 2012-10-11 2012-10-11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101400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83A KR101400261B1 (ko) 2012-10-11 2012-10-11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2883A KR101400261B1 (ko) 2012-10-11 2012-10-11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86A KR20140046786A (ko) 2014-04-21
KR101400261B1 true KR101400261B1 (ko) 2014-05-28

Family

ID=5065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883A KR101400261B1 (ko) 2012-10-11 2012-10-11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46B1 (ko) * 2017-07-21 2019-05-30 김성혁 노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바이스, 서버,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N109903745B (zh) * 2017-12-07 2021-04-09 北京雷石天地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生成伴奏的方法和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2632A (ja) * 1999-05-10 2000-11-24 Fuji Electric Co Ltd 貨幣等の取扱装置
JP3422688B2 (ja) * 1998-07-02 2003-06-30 株式会社第一興商 選曲履歴を表示する通信カラオケ演奏端末
JP2009288645A (ja) * 2008-05-30 2009-12-10 Bmb Corp カラオケリモコン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
JP4434681B2 (ja) * 2003-09-30 2010-03-17 株式会社エスアンドケイ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用リモコ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2688B2 (ja) * 1998-07-02 2003-06-30 株式会社第一興商 選曲履歴を表示する通信カラオケ演奏端末
JP2000322632A (ja) * 1999-05-10 2000-11-24 Fuji Electric Co Ltd 貨幣等の取扱装置
JP4434681B2 (ja) * 2003-09-30 2010-03-17 株式会社エスアンドケイ カラオケシステム、カラオケ用リモコン装置
JP2009288645A (ja) * 2008-05-30 2009-12-10 Bmb Corp カラオケリモコン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786A (ko) 201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27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function of mobile terminal
EP3160151B1 (en)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WO2015011867A1 (ja) 情報管理方法
CN104346548A (zh) 穿戴式设备的认证方法及穿戴式设备
US805518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exchanging contents
JP2012141658A (ja) 配信サーバ装置及びカテゴリ生成方法
JP200914005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推薦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5370432B2 (ja) 管理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KR101400261B1 (ko) 지문 인식을 이용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JP5887162B2 (ja) 通信端末、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41929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6257040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78403B2 (ja) カラオケ管理システム
JP2003271635A (ja) コンテンツ選択提供方法および装置とコンテンツ選択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TWI392365B (zh) 電視接收器以及相關之電視系統與電視控制方法
JP2014167630A (ja) リモコン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楽曲予約方法
JP4265435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8026413A (ja) カラオ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21105998A (ja) 映像表示装置
JP7117216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US20140136702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sharing data in a data sharing system
JP6355797B1 (ja) 決定装置、決定方法、及び決定プログラム
JP6356565B2 (ja) カラオケ用プログラム
JP2002132373A (ja) 電子機器、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処理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媒体
JP6410639B2 (ja) カラオ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