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885B1 -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885B1
KR101399885B1 KR1020120120789A KR20120120789A KR101399885B1 KR 101399885 B1 KR101399885 B1 KR 101399885B1 KR 1020120120789 A KR1020120120789 A KR 1020120120789A KR 20120120789 A KR20120120789 A KR 20120120789A KR 101399885 B1 KR101399885 B1 KR 10139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vehicle
actuator
bar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6574A (ko
Inventor
이재규
이진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885B1/ko
Publication of KR2014005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2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remote control, e.g. for rele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반차량에 설치되고, 고정홀부가 관통형성되는 고정구와, 일단부에는 다른 운반차량과의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커플러와, 고정홀부와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과, 운반차량에 설치되고, 커플러를 탄성가압하여 고정핀을 고정홀부와 관통홀부에 밀착시키는 탄성가압장치와, 커플러를 탄성가압장치와 반대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생성하는 액츄에이터와, 연결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잭설치부와, 잭설치부와 연결되고, 운반차량에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착탈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ASSEMBLING APPARATUS FOR COUPLER OF TRANSPORTING VEHICLE}
본 발명은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차량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운반차량에 결합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쇳물)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앞에서 설명한 제선공정을 행하기 위해 고로 또는 전기로가 사용된다. 고로는 철광석으로부터 용선을 추출하는 노이고, 전기로는 유도 전류가 일으키는 열을 이용하여 고철을 용선으로 만드는 노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출선구에는 대탕도가 설치되어 고로에서 배출되는 용선과 슬래그를 분리하고, 슬래그가 분리된 용선은 지탕도를 지나 경주통으로 모아지고, 용선 운반차량에 의해 제강공정 작업장으로 운반된다.
관련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59662호(2012.6.19. 등록, 발명의 명칭 : 용선운반차용 제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운반차량을 상호 연결하는 커플러를 운반차량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커플러 정비 시 커플러를 운반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는, 운반차량에 설치되고, 고정홀부가 관통형성되는 고정구; 일단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커플러; 상기 고정홀부와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 상기 운반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를 탄성가압하여 상기 고정핀을 상기 고정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밀착시키는 탄성가압장치; 상기 커플러를 상기 탄성가압장치와 반대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생성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잭설치부; 및 상기 잭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운반차량에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착탈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잭설치부는,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 중 상기 커플러와 대향되는 일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를 하단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연장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에 설치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장대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측부에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장리브; 및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연장리브와 연결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탈조립부는, 회동 각도에 따라 상호간의 이격간격이 변화되는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착탈조립부는, 상기 잭설치부에 형성되는 힌지연결구; 상기 힌지연결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운반차량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조립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립구는, 상기 회동바와 연결되는 바연결부; 상기 홈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운반차량의 차체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삽입부; 및 상기 홈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외면부와 접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운반차량의 차체에 형성된 개방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방홀부의 둘레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조립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거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운반차량의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돌출부; 및 상기 수평돌출부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직선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수직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직돌출부에 끼워지는 직선형 슬릿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체에 고정설치된 고정구와 커플러의 단부를 고정핀으로 관통시키고, 탄성가압장치로 커플러를 가압함으로써, 커플러를 고정핀과의 유격없이 고정구상에 안정되고 견고하게 구속,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탈조립부의 단부를 운반차량에 결합시켜 잭설치부를 커플러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위치시키고, 잭설치부에 장착된 액츄에이터를 신장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커플러를 탄성가압장치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액츄에이터, 착탈조립부, 잭설치부를 이용하여 고정핀과 커플러간 가압 접촉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파손된 커플러를 교체하는 등의 커플러 정비 시, 커플러를 운반차량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를 운반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를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잭설치부와 착탈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착탈조립부와 잭설치부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액츄에이터를 신장 작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착탈조립부를 운반차량에 돌출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착탈조립부를 운반차량에 돌출부에 결합시킨 상태를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액츄에이터를 신장 작동시킨 상태를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를 운반차량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를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잭설치부와 착탈조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착탈조립부와 잭설치부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액츄에이터를 신장 작동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착탈조립부를 운반차량에 돌출부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착탈조립부를 운반차량에 돌출부에 결합시킨 상태를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의 액츄에이터를 신장 작동시킨 상태를 운반차량의 차체 외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200)는 고정구(210), 커플러(220), 고정핀(230), 탄성가압장치(240), 액츄에이터(250), 잭설치부(260), 착탈조립부(270)를 포함한다.
고정구(210)는 운반차량(10)의 차체(11) 내부(도 1에서 좌측)에 설치되고, 고정핀(230)이 관통되는 고정홀부(211)가 관통형성된다.
고정홀부(211)는 고정핀(230)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어, 고정핀(230)은 고정홀부(2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홀부(211)의 너비방향(도 1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커플러(220)는 다른 운반차량(10)과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차체(11)에 형성된 개방홀부(1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커플러(220) 중 차체(11) 외부에 위치되는 일단부에는 연결부(221)가 형성되고, 차체(11) 내부에 위치되는 타단부에는 관통홀부(227)가 형성된다.
연결부(221)는, 인접한 다른 운반차량(10)에 설치된 다른 커플러(220)에 마련된 연결부(221)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연결부(221)는 단부의 너비가 신축조정되는 집게형상이나 고리형상을 가지는 등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관통홀부(227)는 고정홀부(211)와 마찬가지로 고정핀(230)보다 큰 너비로 형성되어, 고정핀(230)은 관통홀부(227)에 끼워진 상태에서 관통홀부(227)의 너비방향(도 1의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고정핀(230)은 커플러(220)에 형성된 관통홀부(227)와 커플러(220)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구(210) 각각에 형성된 고정홀부(211)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227)와 고정홀부(211)에 고정핀(230)을 끼우면, 커플러(220)를 고정구(210)에 구속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부(227)와 고정홀부(211)로부터 고정핀(230)를 제거하면, 커플러(220)를 고정구(210)로부터 이격, 분리시킬 수 있다.
탄성가압장치(240)는 운반차량(10)에 설치되고, 커플러(220)를 탄성가압하여 고정핀(230)을 고정홀부(211)와 관통홀부(227)에 밀착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장치(240)는 고무재와 같은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241)와, 금속재와 같은 강성소재로 이루어지는 패널부재(242)를 교대로 적층시킨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커플러(220)를 향해 배열되는 복수개의 탄성부재(241)의 탄성을 이용해 커플러(220)를 안정적으로 탄성가압할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장치(240)의 전(全)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탄성부재(241)로만 형성하는 구조와 비교해, 탄성부재(241)의 손상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250)는 차체(11) 외부에 설치되는 잭설치부(260)에 장착되며, 커플러(220)의 연결부(221)와 접한 상태로 커플러(220)를 가압한다.
즉, 액츄에이터(250)는 커플러(220)를 탄성가압장치(240)와 반대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생성한다.
액츄에이터(250) 미장착 또는 미작동 시, 고정핀(230)은 탄성가압장치(240)의 탄성력에 해당되는 접촉력으로 커플러(220)의 관통홀부(227)와, 고정구(210)의 고정홀부(211)의 내면부에 양측면부가 각각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구(210), 커플러(220), 고정핀(230)간 접촉 구조에 의해, 커플러(220)의 단부를 고정구(210)상에 유격없이 안정되게 구속, 결합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250) 작동 시, 커플러(220)는 액츄에이터(250)에 밀려 도 5,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1)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고정핀(230)의 양측면부는 관통홀부(227)와 고정홀부(211)의 내면부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고, 관통홀부(227)와 고정홀부(211) 외부로 고정핀(230)을 용이하게 인출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액츄에이터(250)로는 압력유의 공급에 의해 그 길이가 신축 변형되는 유압잭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잭설치부(260)는 차체(11) 외부에서 커플러(220)의 연결부(221)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커플러(220)와 마주보는 일측부상에 액츄에이터(250)가 장착된다.
착탈조립부(270)는 잭설치부(260)를 운반차량(10)에 결합시키는 장치로, 잭설치부(26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운반차량(10)에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착탈조립부(270)는 잭설치부(26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설치부(260)를 운반차량(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착탈조립부(270)는 커플러(2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착탈조립부(270)의 각각의 회동 각도에 따라 한 쌍의 착탈조립부(270)의 단부간의 이격간격이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하게 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잭설치부(260)는, 연장대(261), 받침대(265), 이탈방지대(266)를 포함한다.
연장대(261)는 막대형상을 가지고, 커플러(220)의 연결부(221)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받침대(265)는 연장대(261) 중 커플러(220)와 대향되는 일면부에 형성되고, 액츄에이터(250)를 하단지지한다.
받침대(265)의 상부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액츄에이터(250)의 하부에 대응되는 오목한 곡면부를 이룬다.
이에 따라, 액츄에이터(250)는 받침대(265)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받침대(265)에 형성된 곡면부의 가장자리부와 접하게 되어 측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탈방지대(266)는 연장대(26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받침대(265) 상측에 위치되어 받침대(265)에 설치된 액츄에이터(250)의 상향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탈방지대(266)는 ㄷ자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대(261)상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면 'ㅁ', '日'자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대(261)는 연장부(262), 연장리브(263), 보강리브(264)를 포함한다.
연장부(262)는 두께를 가지는 패널부재를 막대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한 형상을 가진다.
연장리브(263)는 연장부(262)의 양측부에 연장부(26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연장부(262)와 직각을 이룬다.
연장리브(263) 중 일측은 커플러(220)와 마주보게 위치되고, 착탈조립부(270)를 안정되게 설치할 수 있는 설치면을 이룬다.
보강리브(264)는 연장부(2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연장리브(263)와 연결된다.
연장대(261)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연장부(262)에 의해 수평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강리브(264)에 의해 수직방향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탈조립부(270)는 힌지연결구(271), 회동바(272), 조립구(274)를 포함한다.
힌지연결구(271)는 잭설치부(260) 중 커플러(220)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연결구(271)는 잭설치부(260)의 양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힌지핀(272a)이 관통될 수 있는 홀부가 형성된다.
힌지핀(272a)은 힌지연결구(271)와 회동바(27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회동바(272)는 잭설치부(260)에서 차체(11)에 형성된 돌출부(13)까지 연장되는 막대형상을 가지며, 힌지핀(272a)에 관통되어 힌지연결구(27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바(272)의 단부에는 회전핀(274a)이 관통될 수 있는 홀부가 형성된다.
회전핀(274a)은 조립구(274)와 회동바(27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조립구(274)는 회전핀(274a)에 관통되어 회동바(27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조립구(274) 중 운반차량(10)과 접하는 일측부에는 돌출부(13)에 끼워지는 홈부(276)가 형성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구(274)는 바연결부(275), 삽입부(277), 걸림부(278)를 포함한다.
바연결부(275)는 회전핀(274a)에 관통되어 회동바(27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삽입부(277)는 홈부(276)의 일측에 형성되고, 홈부(27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에 끼워진 상태에서 차체(11)와 돌출부(13) 사이에 위치된다.
걸림부(278)는 홈부(276)의 타측에 형성되고, 홈부(276)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출부(13)의 외면부(13b)와 접한다.
삽입부(277)와 걸림부(278)는 각각 돌출부(13)의 내면부(13a)와 외면부(13b)에 접하게 된다.
또한, 조립구(274)를 돌출부(13)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삽입부(277)의 일측부와 타측부는 각각 차체(11), 돌출부(13)의 내면부(13a)와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립구(274)에 작용하는 회전력에 의해,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250)의 신장 작동에 의해 조립구(274)가 회전되거나 것을 안정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13)는 수평돌출부(14)와 수직돌출부(15)를 포함하여, 개방홀부(12)의 둘레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평돌출부(14)는 차체(1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수직돌출부(15)는 수평돌출부(14)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직선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홈부(276)는 수직돌출부(15)에 끼워지는 직선형 슬릿형상을 가진다.
홈부(276)는 조립구(274)의 회전에 의해 돌출부(13)에 끼워지거나 돌출부(13)로부터 이격된다.
한 쌍의 착탈조립부(270)의 단부를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 양측에 위치시키고, 착탈조립부(270) 각각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돌출부(13)에 결합시킴으로써, 잭설치부(260)를 커플러(220)의 단부와 대향되는 정위치(正位置)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설치부(260)의 받침대(265)에 액츄에이터(250)를 장착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50)를 신장 구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220)를 차체(11) 내측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플러(220)를 차체(11) 내측으로 밀어낸 상태에서 고정핀(230)을 고정구(210)와 커플러(22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크레인 등의 견인장치와 연결된 와이어(30)를 이용해 커플러(220)를 리프팅시킨 상태로 운반차량(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운반차량 11 : 차체
12 : 개방홀부 13 : 돌출부
14 : 수평돌출부 15 : 수직돌출부
200 :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210 : 고정구
211 : 고정홀부 220 : 커플러
221 : 연결부 227 : 관통홀부
230 : 고정핀 240 : 탄성가압장치
250 : 액츄에이터 260 : 잭설치부
261 : 연장대 262 : 연장부
263 : 연장리브 264 : 보강리브
265 : 받침대 266 : 이탈방지대
270 : 착탈조립부 271 : 힌지연결구
272 : 회동바 274 : 조립구
275 : 바연결부 276 : 홈부
277 : 삽입부 278 : 걸림부

Claims (8)

  1. 운반차량에 설치되고, 고정홀부가 관통형성되는 고정구;
    일단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커플러;
    상기 고정홀부와 상기 관통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
    상기 운반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커플러를 탄성가압하여 상기 고정핀을 상기 고정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밀착시키는 탄성가압장치;
    상기 커플러를 상기 탄성가압장치와 반대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을 생성하는 액츄에이터;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가 장착되는 잭설치부; 및
    상기 잭설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운반차량에 착탈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착탈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잭설치부는,
    상기 연결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 중 상기 커플러와 대향되는 일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를 하단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연장대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에 설치된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막대형상을 가지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양측부에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연장리브; 및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연장리브와 연결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조립부는, 회동 각도에 따라 상호간의 이격간격이 변화되는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조립부는,
    상기 잭설치부에 형성되는 힌지연결구;
    상기 힌지연결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바; 및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운반차량에 형성된 돌출부에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는 조립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는,
    상기 회동바와 연결되는 바연결부;
    상기 홈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운반차량의 차체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삽입부; 및
    상기 홈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부가 상기 돌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외면부와 접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운반차량의 차체에 형성된 개방홀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방홀부의 둘레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홈부는, 상기 조립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 끼워지거나 상기 돌출부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운반차량의 차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수평돌출부; 및
    상기 수평돌출부의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직선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수직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수직돌출부에 끼워지는 직선형 슬릿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KR1020120120789A 2012-10-29 2012-10-29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KR101399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789A KR101399885B1 (ko) 2012-10-29 2012-10-29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789A KR101399885B1 (ko) 2012-10-29 2012-10-29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574A KR20140056574A (ko) 2014-05-12
KR101399885B1 true KR101399885B1 (ko) 2014-05-30

Family

ID=5088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789A KR101399885B1 (ko) 2012-10-29 2012-10-29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8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472Y1 (ko) * 2002-03-08 2002-06-03 주식회사 삼홍사 모형기차의 커플러
JP2007169980A (ja) * 2005-12-21 2007-07-0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車両のクイックカプラ
JP2008079435A (ja)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電気自動車
JP2009064627A (ja) * 2007-09-05 2009-03-26 Yutaka Seisakusho:Kk 自動芯合わせ式オートカプ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472Y1 (ko) * 2002-03-08 2002-06-03 주식회사 삼홍사 모형기차의 커플러
JP2007169980A (ja) * 2005-12-21 2007-07-05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車両のクイックカプラ
JP2008079435A (ja) * 2006-09-21 2008-04-03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電気自動車
JP2009064627A (ja) * 2007-09-05 2009-03-26 Yutaka Seisakusho:Kk 自動芯合わせ式オートカプ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574A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5747B (zh) 具有用于偶联两个输送带末端的连接铰链的钢丝绳芯输送带
KR101399885B1 (ko) 운반차량의 커플러 조립장치
KR101668563B1 (ko) 볼소켓형 현수애자의 핀 탈착 장치
CN104003138A (zh) 一种便于更换h型支架的快速拆装装置
KR101719973B1 (ko) 자동으로 체결 및 분리가능한 퀵 커플러 장치
KR20100011726A (ko) 차체 조립지그의 클램프장치
KR100920607B1 (ko) 압연 선재 가이드 장치
CN110248748B (zh) 在履带铸造机上固定冷却块的夹紧系统和固定及脱开方法
KR101435032B1 (ko) 철편 분리기
JP4441418B2 (ja) 連続鋳造用鋳型
KR20140029479A (ko) 천공된 블록과 천공된 블록을 체결하기 위한 장치
KR101347862B1 (ko) 프레스 소재 흡/탈착 장치의 탈/부착 구조
JP2022045270A (ja) 組立柱の解体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解体方法
KR101620641B1 (ko) 분리형 패스라인 롤러
JP2009068091A (ja) 金属製品加熱用台車
CN205555851U (zh) 砂芯组芯吊具
CN107276003B (zh) 一种电缆耐张线夹
KR101529201B1 (ko) 운반차량의 보조연결장치
KR20160002045U (ko) 리프팅 러그
CN217374499U (zh) 机车牵引连接装置及牵引车
KR101435044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298754B1 (ko) 압연기용 피드롤러 교체장치
KR101424438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101726053B1 (ko) 운송장치
KR20140017099A (ko) 벨트 컨베이어의 리턴롤러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