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9725B1 -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9725B1
KR101399725B1 KR1020070116746A KR20070116746A KR101399725B1 KR 101399725 B1 KR101399725 B1 KR 101399725B1 KR 1020070116746 A KR1020070116746 A KR 1020070116746A KR 20070116746 A KR20070116746 A KR 20070116746A KR 101399725 B1 KR101399725 B1 KR 101399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dle
circumferential surface
flange
drawba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360A (ko
Inventor
권도형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7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securing to a spindl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02Driving main working members
    • B23Q5/04Driving main working members rotary shafts, e.g.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제1 포트(11)와 제2 포트(12)가 형성된 메인바디(10), 메인바디(10)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구동 모터(30)의 구동축(31)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상측 스핀들 부재(40), 메인바디(10)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하측에 공구가 장착되는 하측 스핀들 부재(50),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에 콜릿(70)이 연결되며 상측 스핀들 부재(40)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측 드로우바(60a)와 체결되는 하측 드로우바(60b), 상측 스핀들 부재(40)의 하측과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상측에 헛돌지 않게 맞물려 결합되고 하측 드로우바(60b)에 타격을 가하는 커플링 부재(100), 메인바디(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제1 포트(11)와 제2 포트(12)에 각각 연통되는 제1, 2 유로(310, 320)가 형성되며 제1, 2 유로(310, 320)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부재(220)가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300) 및 피스톤 부재(220)의 내주면과 커플링 부재(100)의 외주면의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제1, 2 베어링(610, 620)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16746
공작기계, 스핀들, 드로우바, 타격, 충격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Main axis device of machine tool}
본 발명은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축의 단부에서 공구를 교체할 때 드로우바에 타격을 가하여 스핀들의 하단에서 공구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주축의 안쪽에 스핀들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핀들의 단부에 공구가 장착되며, 스핀들의 내측에는 콜릿과 드로우바에 의해 공구를 붙잡게 된다.
상술한 공구를 장착하는 과정을 클램핑(clamping)이라하고, 공구를 분리시키는 과정을 언클램핑(un-clamping)이라 한다.
상술한 스핀들은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고, 상술한 드로우바는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때에 승강하며 특히 언클램핑할 때에 드로우바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즉, 회전체인 스핀들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기계요소가 배치되어야 하고, 드로우바에 타격을 가하기 위한 수단이 배치되어야 하므로 무척 복잡한 구성으 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언클램핑하기 위해서는 드로우바의 상단에서 타격을 가하기 위한 유압 또는 공압의 액추에이터가 구비되어야 하고, 스핀들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기계요소는 상술한 액추에이터와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부득이 벨트와 풀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술한 전동기계요소는 스핀들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그 구성이 무척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전동기계요소는 벨트를 이용할 경우 벨트의 선속도의 제약 및 슬립현상이 발생하고, 기어를 이용할 경우 기어 소음 문제가 발생한다.
다른 한편으로 스핀들을 회전시키기 위해 주축의 안쪽에 빌트인(built-in)형태의 구동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러한 구동 모터는 구동 모터 자체에서 발열하는 열로 인하여 주축의 열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열 변형은 가공품의 품질 저하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스핀들에 전달될 때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스핀들의 회동에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드로우바에 타격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제1 포트와 제2 포트가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구동 모터의 구동축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상측 스핀들 부재;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하측에 공구가 장착되는 하측 스핀들 부재; 상기 하측 스핀들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하측에 콜릿이 연결되며 상기 상측 스핀들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측 드로우바와 체결되는 하측 드로우바; 상기 상측 스핀들 부재의 하측과 상기 하측 스핀들 부재의 상측에 헛돌지 않게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하측 드로우바에 타격을 가하는 커플링 부재;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에 각각 연통되는 제1, 2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2 유로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부재가 배치되는 실린더 바디; 및 상기 피스톤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커플링 부재의 외주면의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제1, 2 베어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 부재는, 내주면에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의 상하측에 각각 제1, 2 암 스플라인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에 통공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은 상기 하측 드로우바가 통과되고, 상기 하측 드로우바에 체결된 제1 너트 부재가 통과되지 않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 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주면 하측에 제3 수나사가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1, 2 베어링과 내륜을 장착한 후에 상기 제3 수나사에 제2 너트 부재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부재는, 내주면에 제3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제3 플랜지의 하측에 상기 제1, 2 베어링이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 부재의 하측에 외륜이 고정되어 상기 외륜이 상기 제1, 2 베어링을 고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2 베어링의 사이에 제1, 2 칼럼이 더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륜의 외주면은 상기 외륜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 부재의 외주에 피스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의 실린더 룸에 상기 피스톤이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의 하측에 커버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실린더 바디의 하측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의 한쪽에 볼 플런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외륜의 바깥 둘레에 환상 홈이 형성되며, 상기 볼 플런저의 볼 헤드가 상기 환상 홈에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공작기계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스핀들에 전달될 때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동력을 전달함에 있어서 전동요소의 부품 개체수를 최소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핀들의 회동에 방해되지 않으면서도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커플링 부재를 이동시켜 드로우바에 타격을 가할 수 있어 스핀들에 장착된 공구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 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메인바디(10)의 상측에 구동 모터(30)가 배치되고, 메인바디(10)의 내측에는 제1 스핀들 부재(40)와 제2 스핀들 부재(5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 2 스핀들 부재(40, 50)의 내측에는 각각 상측 드로우바(60a)와 하측 드로우바(60b)가 배치되고, 제2 스핀들 부재(50)의 하측에 공구가 장착되며 상술한 하측 드로우바(60b)의 하측에 콜릿(70)이 배치되어 콜릿(70)이 상술한 공구를 붙들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동 모터(30)의 구동축(31)은 상술한 제1 스핀들 부재(40)과 직결되어 전동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감속 기어박스(20)를 매개로 감속되어 전동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스핀들 부재(40)와 상술한 제2 스핀들 부재(50)는 커플링 부재(100)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측 드로우바(60a)와 하측 드로우바(60b)는 제1 수나사(61)와 암나사(6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측 드로우바(60a)와 하측 드로우바(60b)는 일체로 형성되어 단품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측 드로우바(60a)의 개수가 복수로 분할되어 더 많은 객체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술한 커플링 부재(100)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것으로 커플링 부재(100)의 구성을 첨부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메인바디(10)는 한쪽에 제1 포트(11)와 제2 포트(12)가 형성되어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된다.
또한, 상술한 커플링 부재(100)는 상술한 상측 스핀들 부재(40)의 하측과 상술한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상측에 헛돌지 않게 맞물려 결합되고 일예로서 상측 스핀들 부재(40)의 하측과 상술한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상측에 각각 제1, 2 수 스플라인(41, 51)이 형성될 수 있고, 커플링 부재(100)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제1, 2 수 스플라인(41, 51)에 맞물리는 암 스플라인(121, 12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플링 부재(10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하여도 상측 스핀들 부재(40)에 가해지는 동력은 하측 스핀들 부재(50)에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커플링 부재(100)는 내주면에 제1 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제1 플랜지(110)의 상하측에 각각 상술한 제1, 2 암 스플라인(121, 122)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제1 플랜지(110)에 통공(111)이 형성되고, 그 통공(111)의 크기는 상술한 하측 드로우바(60b)가 통과되고, 상기 하측 드로우바(60b)에 체결된 제1 너트 부재(64)가 통과되지 않게 형성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100)는 외주면에 제2 플랜지(130)가 형성되고, 외주면 하측에 제3 수나사(140)가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 2 베어링(610, 620)과 내륜(210)을 장착되고, 내륜(210)의 하측에는 제3 수나사(140)에 제2 너트 부재(200)가 체결되어 상술한 제1, 2 베어링(610, 620)의 내륜이 고정된다.
또한, 상술한 메인바디(10)의 내측에는 실린더 바디(300)가 고정되는데, 실린더 바디(300)는 상술한 제1 포트(11)와 상술한 제2 포트(12)에 각각 연통되는 제1, 2 유로(310, 320)가 형성되고 안쪽에 실린더 룸(330)이 형성된다.
상술한 실린더 룸(330)에는 상술한 제1, 2 유로(310, 320)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부재(220)가 배치되고, 그 피스톤 부재(220)의 내주면과 상술한 커플링 부재(100)의 외주면의 사이에 상술한 제1, 2 베어링(610, 620)이 고정된다.
상술한 피스톤 부재(220)는, 내주면에 제3 플랜지(222)가 형성되고, 제3 플랜지(222)의 하측에 상술한 제1, 2 베어링(610, 620)이 장착되며, 상술한 피스톤 부재(220)의 하측에 외륜(230)이 고정되어 외륜(230)이 상술한 제1, 2 베어링(610, 620)의 외륜을 고정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베어링(610)과 상술한 제2 베어링(620)의 사이에 제1, 2 칼럼(631, 632)이 더 배치될 수 있는데, 제1, 2 칼럼(631, 632)은 제1 베어링(610)과 제2 베어링(62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내륜(210)의 외주면은 상술한 외륜(230)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피스톤 부재(220)의 외주에 피스톤(221)이 돌출 형성되고, 상술한 실린더 룸(330)에는 상기 피스톤(221)이 배치되며, 피스톤(221)의 하측에 커버 부재(3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커버 부재(350)는 상기 실린더 바디(330)의 하측에 고정되어 실린더 룸(330)을 외기와 차단시키고 상술한 피스톤 부재(220)가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커버 부재(350)의 한쪽에 볼 플런저(500)가 더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외륜(230)의 바깥 둘레에 환상 홈(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볼 플런저(500)의 볼 헤드(501)가 상기 환상 홈(231)에 삽입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다.
상술한 하측 드로우바(60b)에는 스프링 와셔(66)가 끼워지고, 스프링 와셔(66)의 상측에 부싱(65)이 끼워지며, 그 부싱(65)의 상측에는 제1 너트 부재(64)가 채결되는 것이다.
즉 상술한 하측 드로우바(60b)는 상술한 스프링 와셔(66)에 의해 항상 상측방향으로 오른 상태가 유지되고, 아울러 하측 드로우바(60b)의 하측에 장착된 콜릿(70)은 항상 오므려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의 작용상태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축에 공구를 장착하는 척킹부터 설명한다.
상측 스핀들 부재(40)가 멈춘 상태에서 상측, 하측 드로우바(60a, 60b)가 하강하여 콜릿(70)을 개방하면 자동 공구 교환장치(ATC)에 의해 공구가 하측 스핀들(60b)의 하단에 공구를 꽂아서 콜릿(70)에 공구의 싱크를 삽입시킨다.
상술한 상측, 하측 드로우바(60a, 60b)의 하강은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공작기계의 주축에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척킹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후 척킹 액추에이터의 구동력이 해제되면 스프링 와셔(66)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 하측 드로우바(60a, 60b)는 상승하고, 아울러 상술한 콜릿(70)은 오므려지면서 공구의 싱크를 견고하게 억류시키고 또한, 공구의 싱크 표면은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테이퍼 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가 주축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측 스핀들 부재(40)는 구동 구동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고, 이후 공구를 교환하거나 공구를 분리해 낼 때에는 공구의 언클램핑이 진행된다.
언클램핑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구동 모터(30)의 구동이 멈추고, 다음에 상술한 척킹 액추에이터가 구동하여 상측 드로우바(60a)와 하측 드로우바(60b)가 하강하면서 콜릿(70)을 벌려주게 된다.
그러나 이때, 공구는 하측 스핀들 부재(50)에 밀착된 상태로서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는데, 커플링 부재(100)가 짧은 시간에 하강하면서 하측 드로우바(60b)에 타격을 가하게 된다.
타격을 가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포트(12)를 통하여 공압 또는 유압이 공급되고, 이후 실린더 바디(300)의 내에서 피스톤 부재(220)가 하강하고, 아울러 피스톤 부재(220)에 고정된 제1, 2 베어링(610, 620)과 커플링 부재(100)가 하강하는 것이다.
이후 커플링 부재(100)는 하강하면서 제1 플렌지(110)가 제1 너트 부재(64) 에 충격을 가하고, 제1 너트 부재(64)는 하측 드로우바(60b)에 충격을 전달하며, 그충격은 콜릿(70)까지 전달되어 결국 공구에 충격이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에 충격이 전달되면 그 충격에 의해 공구가 하측 스핀들 부재(50)에서 쉽게 분리된다.
이후 제1 포트(11)를 통해 유압 또는 공압이 공급되고 실린더 바디(300)의 내에서 피스톤 부재(220)는 상승하여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측 스핀들 부재(40)와 하측 스핀들 부재(50)가 회전하면, 커플링 부재(100)와 상측, 하측 드로우바(60a, 60b)와 콜릿(70)이 회전하며 이때 커플링 부재(100)는 제1, 2 베어링(610, 620)에 의해 지지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플런저(500)는 외륜(230)에 형성된 환상 홈(231)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는데, 상술한 커플링 부재(100)가 상승한 상태일 때에 볼 헤드(501)는 외륜(230)의 환상 홈(231)에 삽입되어 임의로 피스톤 부재(220)가 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첨부도면 도 4에서는 피스톤 부재(220)를 포함한 커플링 부재(100)의 상승 상태와 하강 상태를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타나낸 바와 같이 제2 너트 부재(200)의 한쪽에는 센서(s)가 배치될 수 있는데 센서(s)는 제2 너트 부재(200)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것으로 센서(s)에서 검출 신호가 검출되면 언클램핑 상태임을 알 수 있고, 센서(s)에서 검출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클램핑 상태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척킹 실린더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하측 드로우바(60b)를 강제로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구동모터(30)의 동력을 스핀들(상측 스핀들 부재(40)와 하측 스핀들 부재(50))에 동력을 직접 전달할 수 있어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종래에서처럼 벨트 또는 기어 등의 전동기계요소를 매개로 전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선속도 저하 슬립현상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어 더욱 정확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언클램핑을 실시할 때에 하측 드로우바(60b)에 충격을 가할 수 있어 공구를 더욱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는 머시닝센터, 터릿선반, 복합 가공기 등의 주축에 공구를 교환 장착하는 공작기계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에서 작용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에서 낙하 방지용 볼 플런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바디 11: 제1 포트
12: 제2 포트 20: 감속기어박스
30: 구동 모터 31: 구동축
40: 상측 스핀들 부재 41: 제1 수 스플라인
50: 하측 스핀들 부재 51: 제2 수 스플라인
60a: 상측 드로우바 60b: 하측 드로우바
61: 제1 수나사 62: 암나사
63: 제2 수나사 64: 제1 너트 부재
65: 부싱 70: 콜릿
100: 커플링 부재 110: 제1 플랜지
111: 통공 121, 122: 제1, 2 암 스플라인
130: 제2 플랜지 140: 제3 수나사
200: 제2 너트 부재 210: 내륜
220: 피스톤 부재 221: 피스톤
222: 제3 플랜지 230: 외륜
231: 환상 홈 300: 실린더 바디
310: 제1 유로 320: 제2 유로
330: 실린더 룸 350: 커버 부재
401, 402, 403: 제1, 2, 3 밀폐부재
500: 볼 플런저 501: 볼 헤드
610, 620: 제1, 2 베어링 631, 632: 제1, 2 칼럼

Claims (7)

  1. 제1 포트(11)와 제2 포트(12)가 형성된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구동 모터(30)의 구동축(31)에 직결되어 동력을 전달 받는 상측 스핀들 부재(40);
    상기 메인바디(10)의 내측에 회전되도록 배치되고 하측에 공구가 장착되는 하측 스핀들 부재(50);
    상기 상측 스핀들 부재(40)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측 드로우바(60a);
    상기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드로우바(60a)와 체결되며, 하측에 콜릿(70)이 연결되는 하측 드로우바(60b);
    상기 상측 스핀들 부재(40)의 하측과 상기 하측 스핀들 부재(50)의 상측에 헛돌지 않게 맞물려 결합되고, 외주면에 제2 플랜지(130)가 형성되며, 상기 하측 드로우바(60b)에 타격을 가하는 커플링 부재(100);
    상기 메인바디(10)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제1, 2 포트(11, 12)에 각각 연통되게 제1, 2 유로(310, 320)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300);
    내주면에 제3 플랜지(222)가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3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2 유로(310, 320)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부재(220); 및
    상기 피스톤 부재(220)의 내주면과 상기 커플링 부재(100)의 외주면의 사이에서 상기 제2, 3 플랜지(130, 222)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피스톤 부재(220)와 상기 커플링 부재(100)간에 상대 회전운동이 자유로우면서 상기 피스톤 부재(220)이 하강하면 상기 커플링 부재(100)이 하강되도록 하는 제1, 2 베어링(610, 620);
    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00)는,
    내주면에 제1 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110)의 상하측에 각각 제1, 2 암 스플라인(121, 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110)에 통공(111)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111)은 상기 하측 드로우바(60b)가 통과되고, 상기 하측 드로우바(60b)에 체결된 제1 너트 부재(64)가 통과되지 않게 형성되며,
    외주면 하측에 제3 수나사(140)가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1, 2 베어링(610, 620)과 내륜(210)을 장착한 후에 상기 제3 수나사(140)에 제2 너트 부재(200)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너트부재(2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감지수단이 더 배치되어 상기 제2 너트부재(200)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220)는,
    상기 피스톤 부재(220)의 하측에 외륜(230)이 고정되어 상기 외륜(230)이 상기 제1, 2 베어링(610, 62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부재(2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실린더 바디(300)의 하측에 고정되는 커버 부재(350);
    상기 커버 부재(350)의 한쪽에 배치되는 볼 플런저(500); 및
    상기 외륜(230)의 바깥 둘레에 환상 홈(231)이 형성되고, 상기 볼 플런저(500)의 볼 헤드(501)가 상기 환상 홈(23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00)는,
    내주면에 제1 플랜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110)의 상하측에 각각 제1, 2 암 스플라인(121, 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110)에 통공(111)을 형성하되 상기 통공(111)은 상기 하측 드로우바(60b)가 통과되고, 상기 하측 드로우바(60b)에 체결된 제1 너트 부재(64)가 통과되지 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부재(100)는,
    외주면 하측에 제3 수나사(140)가 형성되어 외주면에 상기 제1, 2 베어링(610, 620)과 내륜(210)을 장착한 후에 상기 제3 수나사(140)에 제2 너트 부재(200)가 체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KR1020070116746A 2007-11-15 2007-11-15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KR10139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746A KR101399725B1 (ko) 2007-11-15 2007-11-15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746A KR101399725B1 (ko) 2007-11-15 2007-11-15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360A KR20090050360A (ko) 2009-05-20
KR101399725B1 true KR101399725B1 (ko) 2014-05-30

Family

ID=40858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746A KR101399725B1 (ko) 2007-11-15 2007-11-15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107B1 (ko) * 2015-09-25 2016-10-10 (주)기흥기계 조립성이 우수한 가공장치용 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602A (ja) * 1991-05-31 1992-12-09 Nippei Toyama Mechatronics:Kk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H0647602A (ja) * 1992-07-30 1994-02-22 Nippei Toyama Corp 主軸装置
KR100426478B1 (ko) * 1995-11-23 2004-06-24 글리코-안트립스테크닉 게엠베하 유체의흐름을위한통합로터리유니언을구비하는처크
KR20090049629A (ko) * 2007-11-14 2009-05-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어태치먼트 인덱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4602A (ja) * 1991-05-31 1992-12-09 Nippei Toyama Mechatronics:Kk 工作機械の主軸装置
JPH0647602A (ja) * 1992-07-30 1994-02-22 Nippei Toyama Corp 主軸装置
KR100426478B1 (ko) * 1995-11-23 2004-06-24 글리코-안트립스테크닉 게엠베하 유체의흐름을위한통합로터리유니언을구비하는처크
KR20090049629A (ko) * 2007-11-14 2009-05-1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기계의 어태치먼트 인덱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360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1984B2 (ja) 自動化方式で結合可能なチャック
JP4565199B1 (ja) 5面加工用アタッチメントユニット
US8657541B2 (en) Spindle head for machine tool
KR101884651B1 (ko) 공작 기계
KR101959077B1 (ko) 드릴 가공 장치
JP4628427B2 (ja) 工具アンクランプ装置
WO2011039886A1 (ja) 5面加工用アングルツールホルダ
KR101892174B1 (ko) 토크 제어방식을 이용한 드릴 가공 장치
US5150994A (en) Spindle means of machine center
KR101399725B1 (ko) 공작기계의 주축 장치
KR100938872B1 (ko) 액슬 타입의 터렛공구대
CN110355598B (zh) 一种碟簧式主轴微进给机构
JP2009233844A (ja) ワークパレット着脱システム
RU23029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зирования и закрепления деталей
KR20080058584A (ko) 단일 모터를 이용한 터렛 구동장치
JP6767779B2 (ja) チャック装置及びワークチャック方法
KR101870409B1 (ko) 이형공작물의 cnc자동선반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67877A (ko) 주축 언-클램프의 충격 완충장치
JP4107912B2 (ja) 工作機械の主軸装置
KR20220004418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공작 기계용 유니버설 헤드 유닛
JP2003119592A (ja) カセット形ロール自動脱着装置
JPS63260737A (ja) 工具の寿命検出機構を備えた工具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